KR102015038B1 -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 - Google Patents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038B1
KR102015038B1 KR1020170086507A KR20170086507A KR102015038B1 KR 102015038 B1 KR102015038 B1 KR 102015038B1 KR 1020170086507 A KR1020170086507 A KR 1020170086507A KR 20170086507 A KR20170086507 A KR 20170086507A KR 102015038 B1 KR102015038 B1 KR 10201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device
grants
percen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77A (ko
Inventor
파루크 벨굴
리디 스마이니
타릭 타벳
사이드 아온 무즈타바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0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11D3/201Monohydric alcohols linear
    • C11D3/2013Monohydric alcohols linear fatty or with at least 8 carbon atoms in the alkyl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1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16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1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 F16H2057/012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of g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06Details, e.g. in the structure or functioning of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디바이스(UE)는 하나 이상의 제1(예컨대, 인가) 주파수 대역(들) 및 하나 이상의 제2(예컨대, 비인가) 주파수 대역(들)과 연관된 각자의 셀들로부터 수신되는 승인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수신된 승인들에 기초하여, UE는 무선 리소스 할당에 불균형이 존재하고 그에 의해 UE가 제2 주파수 대역(들)에서 의도된 것보다 더 많이 통신하는지 판정할 수 있다. 불균형은 UE의 모든 무선 통신에 대해 제2 주파수 대역(들)에서 이행되는 통신의 비율 또는 부분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UE가 불균형을 검출하는 경우, 그것은 UE가 제2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하는 데 호의적이지 않은 조건들을 나타내는 리포트를 네트워크로(예컨대,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제2 주파수 대역(들)과 연관된 각자의 셀(들)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고/있거나 그것은 UE에 대한 캐리어 집성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DYNAMIC LINK MONITORING TO RESOLVE IMBALANCE IN LAA/LTE RADIO RESOURCE ALLOCATION}
본 출원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LAA/LTE 통신 동안의 무선 리소스 할당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은 점점 더 복잡해졌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즉,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 또는 UE들)은, 이제, 전화 통화들을 지원하는 것에 추가로, 인터넷, 이메일, 텍스트 메시징,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내비게이션에의 액세스를 제공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활용하는 정교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과 표준이 존재한다. 무선 통신 표준의 일부 예시로는 GSM, UMTS(WCDMA, TDS-CDMA), LTE, LTE-A(LTE Advanced), HSPA, 3GPP2 CDMA2000(예컨대, 1xRTT, 1xEV-DO, HRPD, eHRPD), IEEE 802.11(WLAN 또는 Wi-Fi), IEEE 802.16(WiMAX), BLUETOOTH™ 등이 포함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도입되는 계속 증가하는 개수의 특징부들 및 기능은, 또한, 무선 통신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양측 모두에서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필요성을 창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들을 통한, 예컨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에 이용되는 셀룰러 전화기들, 기지국들, 및 중계국들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을 통한 송신 및 수신 신호들의 정확도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적으로, UE 디바이스의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은 UE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UE 디바이스가 개선된 통신을 위해 양호한 송신 및 수신 능력들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면서 UE 디바이스 설계들에서 전력 요건들을 또한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모바일 전화기들 또는 스마트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 랩톱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PDA들, 태블릿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일 수 있는 UE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들(LTE, LTE-A, Wi-Fi, BLUETOOTH™ 등)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다수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의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들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존재는 UE가 이동성 솔루션을 구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엔드-투-엔드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서(예컨대, LTE/LTE-A 및 BLUETOOTH™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끊임없이 구동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즉, UE는 이동성 솔루션을 구현하여 다수의 RAT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예컨대, LTE/LTE-A, Wi-Fi, BLUETOOTH™ 등)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데 필요할 수 있다.
전술된 통신 표준들 외에도, 소정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송신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확장안들이 또한 존재한다. 예를 들어, LTE-U(LTE in Unlicensed spectrum)는 많은 Wi-Fi 디바이스들에 의해서도 사용되는 비인가(Unlicensed) 5 ㎓ 대역에서 송신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그들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의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LAA(License Assisted Access)는 동일한 대역 상에서 다른 Wi-Fi 디바이스들과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LBT(listen-before-talk)로 지칭되는 회선쟁탈(contention) 프로토콜의 사용을 통해서 Wi-Fi 대역들 내에서 LTE의 동작을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사한 기술을 설명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동일한 대역 내에서의 셀룰러 통신과 Wi-Fi 통신과의 공존은, Wi-Fi 신호들 및 LAA/LTE-U 신호들 양측 모두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율의 열화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스트리밍(데이터 스트리밍)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비인가 대역(들)에서 이행되는 셀룰러 통신은, 종종, 인가 대역(들)에서 이행되는 셀룰러 통신에 비해 증가된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과 관련된 다른 대응하는 사안들은 그러한 종래 기술을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개시된 실시예들과 비교한 후에는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그 중에서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특정된 스펙트럼에서(예컨대, 인가 대역에서) 이행되는 셀룰러 통신과 제2 특정된 스펙트럼에서(예컨대, 비인가 대역에서) 이행되는 셀룰러 통신 사이에서의 불균형을 검출하기 위한, 그리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성능 및/또는 전력 소비에 대한 불균형의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들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다. 무선 리소스 할당 패턴들 및 임계치들에서의 불균형은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 무선 베어러들의 타입, 및/또는 IP 흐름들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 내에서 서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들 및/또는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추가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따라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또는 그 내에서) 무선 통신을 이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RAT는 셀룰러 무선 통신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제1 RAT에 따라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또는 그 내에서) 무선 통신을 동시에 이행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RAT와 연관되는 인가 대역, 예컨대 3GPP 통신과 연관되는 인가 대역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제2 RAT와도 또한 연관되는 주파수 대역, 예컨대 Wi-Fi 통신과도 또한 연관되는 5 ㎓ 대역과 같은, 제1 RAT와 연관되는 비인가 대역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RAT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 이행되는 통신과 제2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 이행되는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할 수 있고, 이러한 불균형을 검출할 시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RAT에 따라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이행되는 무선 통신의 부분 및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이행되는 무선 통신의 부분을 조절하도록 하는 정정 동작(들)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RAT에 따라 이행되는 전체 무선 통신 중 이전에 결정된 또는 특정된 부분보다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예컨대,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더 많은 무선 통신이 이행되는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보다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예컨대, 인가 대역을 통해서) 제1 RAT에 따라 더 많은 무선 통신을 이행하게 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행할 수 있고, 적어도, 이전에 특정된 부분보다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의 더 높은 부분을 이행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나타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할 수 있고,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기지국으로 하여금,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할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게 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무선 통신을 위한 인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제2 주파수 대역은 무선 통신을 위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 내에 통합되는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그리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되는 프라이머리 셀 및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되는 세컨더리 셀(들)에 각자 연관되는 승인들을 추적함으로써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송신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세컨더리 셀(들)과 연관되는 특정된 개수의 승인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했음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프라이머리 셀과 연관되는 제1 개수의 승인들 및 세컨더리 셀(들)과 연관되는 제2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개수가 적어도 특정된 양만큼 제1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그를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정된 양은 VoLTE, 최선형(Best Effort) 등과 같은, 무선 통신에 포함되는 트래픽의 각각의 상이한 타입마다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특정된 양들이 다양한 타입들의 트래픽과 연관되는 서비스 품질(Qo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된 양(또는 임계치)은 소정 타입들의 트래픽과 연관되는 제1 QoS에 대한 경우와 다른 타입들의 트래픽과 연관되는 제2 QoS에 대한 경우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프라이머리 셀과 연관되는 승인들 및 세컨더리 셀(들)과 연관되는 승인들이 송신 시간 간격 동안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얼마나 많이 수신되는지 추적하여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세컨더리 셀(들)을 비활성화시키고/비활성화시키거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세컨더리 셀(들)에 대한 0의 채널 품질 표시자 값을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기지국에 의한 세컨더리 셀(들)의 비활성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 리포트를 송신할 수 있는데, 리포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데 호의적이지 않은 조건들을 나타내고, 그에 응답하여, 기지국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할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기술된 기법들은 한정적이지는 않으나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셀룰러 전화기, 휴대 미디어 재생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다양한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디바이스들 내에 구현되고/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 내에 기술된 요지 중 일부의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요지의 범주 또는 기술적 사상을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요지의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그리고 간소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기지국을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UE의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이 Wi-Fi를 이용하여 2.4 ㎓ 및/또는 5 ㎓ 주파수 대역들과 같은 특정 대역을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전형적인 LAA 제어 및 데이터 스케줄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가 대역을 통해서 이행되는 무선 통신과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이행되는 무선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특징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을 허용하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예로서 도시되고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들 및 도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요지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들, 등가들 및 대안들을 포괄하려는 의도로 이해하여야 한다.
두문자어
다양한 두문자어들이 본 출원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서 언급될 수 있는 가장 현저하게 사용되는 두문자어들의 정의들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1
ACK: Acknowledgemen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2
APR: Applications Processor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3
BS: Base Station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4
BSR: Buffer Size Repor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5
CC: Component Carrier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6
CMR: Change Mode Reques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7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8
DL: (BS로부터 UE로의) Downlink
Figure 112017065271249-pat00009
DYN: Dynamic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0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1
FT: Frame Type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2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3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4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5
IE: Information Elemen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6
LAN: Local Area Network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7
LBT: Listen Before Talk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8
LTE: Long Term Evolution
Figure 112017065271249-pat00019
LTE-U: LTE in Unlicensed Spectrum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0
LAA: License Assisted Access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1
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2
NACK: Negative Acknowledgemen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3
PCell: Primary Cel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4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5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6
PDN: Packet Data Network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7
PDU: Protocol Data Uni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8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29
QoS: Quality of Service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0
RAT: Radio Access Technology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1
RF: Radio Frequency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2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3
RX: Reception/Receive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4
SCell: Secondary Cel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5
TBS: Transport Block Size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6
TDD: Time Division Duplexing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7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8
TX: Transmission/Transmit
Figure 112017065271249-pat00039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Figure 112017065271249-pat00040
UE: User Equipment(디바이스)
Figure 112017065271249-pat00041
UL: (UE로부터 BS로의) Uplink
Figure 112017065271249-pat00042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igure 112017065271249-pat00043
VoLTE: Voice over LTE
Figure 112017065271249-pat00044
WLAN: Wireless LAN
Figure 112017065271249-pat00045
Wi-Fi: IEEE 802.11 표준들에 기초하는 WLAN RAT
용어
다음은 본 출원에서 등장할 수 있는 용어들의 해설이다:
메모리 매체 ― 다양한 유형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용어 "메모리 매체"는 설치 매체, 예컨대 CD-ROM, 플로피 디스크들,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DRAM, DDR RAM, SRAM, EDO RAM, 램버스(Rambus) RAM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자기 매체들, 예컨대 하드드라이브, 또는 광 저장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들의 메모리 요소들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 매체는 또한 다른 타입들의 메모리도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하는 상이한 제2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컴퓨터 시스템은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 매체"는 상이한 위치들,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상이한 컴퓨터 시스템들에 존재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메모리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 매체 ― 전술된 메모리 매체뿐만 아니라, 버스, 네트워크와 같은 물리적 송신 매체, 및/또는 전기, 전자기, 또는 디지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전달하는 다른 물리적 송신 매체.
컴퓨터 시스템(또는 컴퓨터) ―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PC),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mainframe computer system),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network appliance),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텔레비전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퓨팅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 일반적으로, 용어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괄하는 것으로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또는 "UE 디바이스") ― 모바일 또는 휴대용이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 지칭됨. UE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전화기들 또는 스마트폰들(예컨대, iPhone™, Android™ 기반 전화기들) 및 iPad™, 삼성 Galaxy™ 등과 같은 태블릿 컴퓨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예컨대, Nintendo DS™, PlayStation Portable™, Gameboy Advance™, iPod™), 랩톱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컨대, Apple Watch™, Google Glass™), PDA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은, 그들이, 예를 들어 BLUETOOTH™ 등과 같은 단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SRAT)들을 통해서, Wi-Fi, 또는 셀룰러 및 Wi-Fi 통신 능력들 양측 모두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능력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러한 카테고리 내에 속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어 "UE" 또는 "UE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괄하는 것으로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BS) - 용어 "기지국"은 그의 일반적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지며, 적어도,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무선 전화 시스템 또는 무선 시스템의 일부로서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국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요소 - 디바이스에서, 예컨대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조합들을 지칭함. 프로세싱 요소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및 관련 메모리, 개별 프로세서 코어들의 부분들 또는 회로들, 전체 프로세서 코어들, 프로세서 어레이들,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회로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들뿐 아니라 상기의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 WLAN 통신, SRAT 통신, Wi-Fi 통신 등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UE 디바이스, 또는 고정 무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기지국과 같은 고정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클라이언트 스테이션(UE)과 같은 802.11 시스템의 임의의 타입의 무선국, 또는 기지국 또는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셀룰러 무선 액세스 기술(예컨대, LTE, CDMA, GSM)에 따라 통신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임의의 타입의 무선국일 수 있다.
Wi-Fi ― 용어 "Wi-Fi"는 그의 일반적인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지며, 적어도, 무선 LAN(WLAN)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서비스되고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한 인터넷에의 접속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RAT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최신 Wi-Fi 네트워크들(또는 WLAN 네트워크들)은 IEEE 802.11 표준들에 기초하고, 명칭 "Wi-Fi"로 판매된다. Wi-Fi(WLAN)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와는 상이하다.
자동으로 ― 액션 또는 동작을 직접적으로 특정하거나 수행시키는 사용자 입력 없이 컴퓨터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바이스(예컨대, 회로,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들, ASIC들 등)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 또는 동작을 지칭함. 따라서, 용어 "자동으로"는 사용자가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시키는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되는 동작과 대비된다. 자동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 있지만, "자동으로" 수행되는 후속 액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지 않는데,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수행할 각각의 액션을 특정하는 "수동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필드를 선택하고 (예컨대, 정보를 타이핑하는 것, 체크 박스들을 선택하는 것, 무선 선택 등에 의해) 정보를 특정하는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양식을 기입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액션들에 응답하여 그 양식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라 해도, 그 양식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것이다. 양식은 컴퓨터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 양식의 필드들을 분석하고 필드들에 대한 응답을 특정하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그 양식에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식의 자동 기입을 호출할 수 있지만, 양식의 실제 기입에 참여되지 않는다(예컨대, 사용자가 필드들에 대한 응답들을 수동으로 특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들이 자동으로 완료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취한 동작들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는 동작들의 다양한 예들을 제공한다.
~하도록 구성된 -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하도록 구성된"은 동작 동안에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광의의 설명이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현재 태스크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전기 전도체들의 세트는 하나의 모듈과 다른 모듈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두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맥락에서, "~하도록 구성된"은 동작 동안에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회로를 갖는"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구조의 광의의 설명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현재 온(on)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도록 구성된"에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회로는 하드웨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한 설명은 "~하도록 구성된"이라는 문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를 언급하는 것은 그 컴포넌트에 대해 35 U.S.C. § 112, 6항의 해석을 적용하지 않고자 명백히 의도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그리고 간소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의 시스템이 단지 가능한 시스템의 일례이고, 실시예들이 원하는 바대로 다양한 시스템들 중 임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 매체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과 통신하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UE) 또는 UE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들(106)은 UE들 또는 UE 디바이스들로 지칭된다. UE 디바이스들 중 다양한 것들이 동적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셀 사이트(cell site)일 수 있으며, UE들(106A 내지 106N)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또한 네트워크(100)(예컨대, 다양한 가능성들 중에서도,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와 통신하도록 설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그리고/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10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지국의 통신 영역(또는 커버리지 영역)은 "셀"로 지칭될 수 있다. "셀"은 또한 주어진 주파수에서 주어진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로직 아이덴티티(logical identity)를 지칭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독립적인 셀룰러 무선 커버리지 영역이 "셀"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기지국은 3개의 셀들의 특정 합류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균일 토폴로지에서, 셀들로 언급되는 3개의 120도 빔폭 영역들을 서빙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집성의 경우에 있어서, 소형 셀들, 중계기들 등이 각각 셀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캐리어 집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들에서 그러나 상이한 각자의 주파수들로 서빙할 수 있는 프라이머리 셀들 및 세컨더리 셀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임의의 개수의 셀들을 서빙할 수 있고,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들은 동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동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예컨대, 원격 무선 헤드들). 본 명세서에서 또한 사용되는 바와 같이, UE들의 관점으로부터, 기지국은, 때때로, UE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이 관련되는 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UE가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는 것은 UE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으로도 또한 해석될 수 있다.
기지국(102)과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GSM, UMTS(WCDMA), LTE, LTE-A(LTE-Advanced), LAA/LTE-U, 3GPP2 CDMA2000(예컨대 1xRTT, 1xEV-DO, HRPD, eHRPD), Wi-Fi, WiMAX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술 또는 통신 표준이라고도 또한 지칭되는 다양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한 송신 매체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102)은 개선된 UL(업링크) 및 DL(다운링크) 디커플링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LTE 또는 유사한 RAT표준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UE와 통신한다.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LTE와 같은) 3GPP 셀룰러 통신 표준 또는 (셀룰러 통신 표준들의 CDMA2000 계열의 셀룰러 통신 표준과 같은) 3GPP2 셀룰러 통신 표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 모두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06)는, 적어도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에 따라, 동적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유사한 기지국들이 셀들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표준을 통해서 광범위한 지리학적 영역에 걸쳐 UE(106)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에게 계속적이거나 거의 계속적인 중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UE(106)는, 또한 또는 대안으로, WLAN, BLUETOOTH™, 하나 이상의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예컨대, GPS 또는 GLONASS), 하나 및/또는 하나 초과의 이동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팅 표준들(예컨대, ATSC-M/H 또는 DVB-H) 등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 초과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표준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102)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106)(예컨대, 디바이스(106-A 내지 106-N)들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UE(106)는 모바일 폰,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터 또는 태블릿, 또는 사실상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성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06)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그러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UE(106)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방법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방법 실시예의 임의의 부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FPGA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CDMA2000, LTE, LTE-A, WLAN, 또는 GNSS 중 2개 이상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표준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UE(106)는 하나 이상의 RAT 표준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 사이에서 수신 체인 및/또는 송신 체인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공유할 수 있다. 공유되는 무선 통신 장치(shared radio)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일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MIMO용)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UE(106)는 자신이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 각각에 대해 별개의 송신 및/또는 수신 체인들(예컨대, 별개의 안테나들 및 다른 무선 컴포넌트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장치들, 및 단일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독점적으로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LTE 또는 CDMA2000 1xRTT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공유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Wi-Fi 및 BLUETOOTH™ 각각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별개의 무선 통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 3 - 예시적인 UE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106)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302)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360)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로(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또한, 프로세서(들)(302)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그러한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컨대, 메모리(306), 읽기 전용 메모리(ROM)(350), NAND 플래시 메모리(31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340)에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 회로(304), 무선 회로(330), 커넥터 I/F(320), 및/또는 디스플레이(360)와 같은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MMU(340)는 메모리 보호 및 페이지 테이블 변환 또는 셋업(set up)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MU(340)는 프로세서(들)(302)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다양한 타입들의 메모리(예컨대, NAND 플래시(310)를 포함함),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과 커플링하기 위한) 커넥터 인터페이스(320), 디스플레이(360), 및 (예컨대, LTE, LTE-A, CDMA2000, BLUETOOTH™, Wi-Fi, GPS 등에 대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예컨대, 335a) 및 가능하게는 다수의 안테나들(예컨대, 안테나들(335a, 335b)로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들(335a, 335b)은 예로서 도시되고, UE 디바이스(106)는 더 적거나 또는 더 많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이 총체적으로 안테나(들)(335)로 언급된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는 무선 회로(330)의 도움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들)(335)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UE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후속해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UE(106)(및/또는 기지국(102))는 적어도 UE(106)가 인가 스펙트럼(인가 주파수 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한 UE(106)의 통신과 비인가 스펙트럼(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한 UE(106)의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그러한 불균형이 UE(106)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그 불균형을 해결하도록 그의 동작들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06)는 UE(106)가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예컨대, 비인가 스펙트럼을 통해서) 그의 셀룰러 무선 통신의 소정 양 또는 소정 부분 또는 소정 백분율(예를 들어, UE(106)의 모든 셀룰러 통신의 특정 백분율 초과)을 이행하고 있는 때 대(versus)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예컨대, 인가 스펙트럼)을 통해서 그의 셀룰러 무선 통신을 이행하고 있는 때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가능한 조정들을 행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의 프로세서(들)(302)는, 예컨대 메모리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들)(302)는 FPGA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로서 또는 ASIC로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들)(3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UE(106)의 무선 통신을 위해 LAA/LTE 불균형의 잠재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을 구체화하는 UE(106)에 의한 통신을 구현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그들과 상호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들)(302)는 UE(106)의 LAA 통신과 LTE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도록 시도하는 방식으로 UE(106)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그들과 상호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또한, UE(106)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스(들)(302)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상호동작가능한 다수의 프로세싱 요소들을 대표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300)는 다양한 각자의 RAT 표준들에 대한 통신을 제어하는 것에 전용되는 별개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회로(330)는 Wi-Fi 제어기(350), 셀룰러 제어기(예컨대, LTE/3GPP 제어기)(352), 및 BLUETOOTH™ 제어기(354)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제어기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는 서로 그리고 SOC(300)와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들)(302)와) 통신하는 각자의 집적 회로(간략히 말해서, IC 또는 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제어기(350)는 셀-ISM 링크 또는 WC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셀룰러 제어기(352)와 통신할 수 있고/있거나, BLUETOOTH™ 제어기(354)는 셀-ISM 링크를 통해서 셀룰러 제어기(352)와 통신할 수 있고, 등등이다. 3개의 별개의 제어기들이 무선 회로(330) 내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UE 디바이스(106)에서 구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이한 RAT들에 대해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유사한 제어기들을 갖는다.
도 4 - 예시적인 기지국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102)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의 기지국은 단지 가능한 기지국의 하나의 예시일 뿐임에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4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04)는 또한 프로세서(들)(404)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그들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컨대, 메모리(460) 및 읽기 전용 메모리(ROM)(45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MU)(440)에 또는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4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포트(470)는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되어 복수의 디바이스들, 예컨대, UE 디바이스(106)들에게 도 1 및 도 2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포트(470)(또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포트)는, 또한 또는 대안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UE 디바이스(106)들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이동성 관련 서비스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포트(470)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코어 네트워크는 (예컨대,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른 UE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화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34), 그리고 가능하게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34)는 무선 송수신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회로(430)를 통해서 UE 디바이스들(106)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434)는 통신 체인(432)을 통해서 무선 회로(430)와 통신한다. 통신 체인(432)은 수신 체인, 송신 체인, 또는 양측 모두일 수 있다. 무선 회로(430)는 LTE, LTE-A WCDMA, CDMA200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들을 통해서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지국(102)의 프로세서(404)는, 예컨대, 메모리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여, 기지국(102)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LAA 통신과 LTE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할 수 있고 조정을 행하여 그러한 불균형들을 다룰 수 있는 UE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404)는 FPGA 또는 ASIC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정 RAT들, 예를 들어 Wi-Fi의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102)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 포트(470)는 광역 통신망 및/또는 근거리 통신망(들)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이더넷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회로(430)는 Wi-Fi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LAA 무선 통신과 LTE 셀룰러 무선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용가능 시, 그들의 무선 동작들을 조정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5 -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시스템(500)은 LTE 액세스 네트워크 및 Wi-Fi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구현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500)은 UE(106)와 LTE 네트워크(504) 및 Wi-Fi 네트워크(506)를 포함할 수 있다.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는 제1 RAT 액세스의 일부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대표이고, Wi-Fi 액세스 네트워크(506)는 제2 RAT 액세스의 일부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대표이다.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는 더 넓은 셀룰러 네트워크(예컨대, LTE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고, Wi-Fi 액세스 네트워크(506)는 인터넷(514)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는 서빙 기지국(BS)(508)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어서 더 넓은 셀룰러 네트워크(516)에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Wi-Fi 액세스 네트워크(506)는 액세스 포인트(AP)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어서 인터넷(514)에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106)는 AP(510)를 통해서 인터넷(514)에 그리고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를 통해서 셀룰러 네트워크(516)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UE(106)는, 또한,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를 통해서 인터넷(514)에 액세스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는 서빙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는, 이어서, 인터넷(514)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106)는 LTE 액세스 네트워크(504) 및 Wi-Fi 액세스 네트워크(50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 모두를 통해서 인터넷(514)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6 - 다수의 Wi-Fi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도 6은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이 Wi-Fi RAT를 이용하여 2.4 ㎓ 및/또는 5 ㎓ 주파수 대역들과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5 ㎓ Wi-Fi(IEEE 802.11 ac/n) 가능 디바이스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보편적이 되어, 피어-투-피어 모드 및/또는 스테이션 모드 양측 모두에서 동작하게 되었다. 특정 주파수 대역들을 통한, 예컨대 5 ㎓ 대역을 통한 데이터 통신은 음성, 비디오, 실시간, 및 최선형 타입의 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디바이스들은 카메라들(111), 태블릿들(113), 매체 서버들/미니 서버들(115), 휴대용 컴퓨터들(105, 117), 액세스 포트들/라우터들(103), 게임 제어기들(119), 스마트폰들과 같은 이동 디바이스들(107), 및 스마트 모니터들(121) 또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니터들(123과 함께 121)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중 많은 것이 Wi-Fi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5 ㎓ 대역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행되는 Wi-Fi 통신은 5 ㎓ 대역을 통해서 또한 발생하는 LAA/LTE-U 통신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6에 예시된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RAT들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고,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통신하는 데 이용되는 RAT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제1 RAT에 따라 양측(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들 모두를 통해서 통신하면서 2개의 주파수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통신이 또한 제2 RAT에 따라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2개의 상이한 RAT들에 따라 각자 송신되는 신호들의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공존에 의해 야기되는 데이터 처리율의 열화 및/또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AA/LTE-U 신호들의 존재
LTE에서, 캐리어 집성(CA)은 더 넓은 송신 대역폭들, 예컨대 100 ㎒에 이르는 대역폭들을 지원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C)들의 집성을 지칭한다. UE는 UE의 능력들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CC들을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CA가 구성되는 경우, UE는 네트워크와의 하나의 RRC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UE의 RRC 접속을 관리하는 서빙 셀은 프라이머리 셀(PCell)로 지칭되고, PCell과 함께 세컨더리 셀(SCell)이 서빙 셀들의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CA에서, UE는 PDCCH를 경유하여 동시에 다수의 서빙 셀들을 통해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캐리어 표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와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서빙 셀의 PDCCH가 다른 서빙 셀 상의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게 한다. 즉, 하나의 CC 상의 다운링크 할당을 수신한 UE는 다른 CC 상의 연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LAA는 LTE 대역간 캐리어 집성의 서브카테고리인데, 여기서 세컨더리 캐리어들 중 하나는 Wi-Fi와 같은 다른 RAT에 따른 통신이 또한 발생하고 있을 수 있는 대역인 5 ㎓ 비인가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다. LAA 캐리어에서의 리소스들은 리소스들이 레거시 캐리어 집성(CA)에서 스케줄링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스케줄링된다. 즉, LAA 캐리어들에 대한 캐리어 스케줄링 및/또는 크로스 계층 스케줄링은 다른 CA 캐리어들에 대한 것(PDCCH 또는 ePDCCH)과 동일하다. LAA SCell은 20개의 슬롯들로 구성된 프레임 구조 타입 3(도 7에 도시됨)으로 동작할 수 있고, 성공적인 LBT 절차를 따라서 액세스될 수 있다. 도 7은, 이전 서브프레임에서의 성공적으로 완료된 LBT 절차를 가정하여, 동일한 캐리어 스케줄링에 대한 각자의 예(201)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각자의 예(251)를 제공하는 전형적인 LAA 제어 및 데이터 스케줄링의 일례를 도시한다. RRC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가 's07'을 나타내고 어떠한 DCI도 슬롯 1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UE는 슬롯 2의 PDCCH/ePDCCH를 판독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가용성을 검사할 수 있다.
비인가 스펙트럼 및 LAA의 사용
셀룰러 트래픽은 미래에 지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2015년 월 3.7 엑사바이트 또는 EB(~3.7 * 1018 바이트)로부터 2020년 월 30.6 EB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인가 스펙트럼은 사업자들이 네트워크 용량을 확장시키지 못하게 하는 주요 병목사항으로 간주된다. 최신 AWS(Advanced Wireless Services)-3/79 스펙트럼 경매 동안, 미국 사업자들은 65 ㎒ 스펙트럼에서 449억 달러 이상을 소비했다. 반면, 5 ㎓ 비인가 대역은 0 경매 비용으로 500 ㎒에 이르는 가용 대역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LAA는 이러한 매우 동일한 스펙트럼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적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법을 나타낸다.
LAA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에서의 불균형화된 리소스 할당
전술된 바와 같이, LAA는 셀룰러 사업자들이 인가 무선 스펙트럼 하에 그들의 동작들을 확장시키기 위한 솔루션이다. 인가되고 조절된 스펙트럼의 가용성은, 전형적으로, Wi-Fi를 통한 무선 통신과 대조하여, LTE 및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통해서, 보증된 QoS로 더 강건한 무선 통신을 초래한다. 비인가 스펙트럼은, 디폴트로, 다수의 벤더들 및 기술로부터의 다수의 장비가 공존할 수 있는 "최선형" 스펙트럼이다.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이행되는 무선 통신에 대한 QoS는,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들의 개수 및 신호 간섭의 레벨에 크게 좌우된다. 셀룰러 디바이스(UE)들에 대한 인가 스펙트럼 및 비인가 스펙트럼을 혼합하고 그들 디바이스들의 사용자에게 접속의 속성을 은닉함으로써, 사업자들은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광범위하게 동작하도록 일부 무선 셀룰러 디바이스들을 위임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 사업자들은, 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대역폭이 이용가능한 경우에도, UE의 셀룰러 통신을 비인가 스펙트럼으로, 예컨대 LAA 3GPP 통신으로서, 너무 빈번하게 오프로드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에서, 셀룰러 사업자는 특정 그룹 또는 타입의 가입자들과 연관되는(또는 그들에게 속하는) UE들의 통신/트래픽 모두를 비인가 스펙트럼으로 오프로드하여, 그들의 인가 스펙트럼을 선호되는 고객들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낮은 부담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대역에서(예컨대, 5 ㎓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는 많은 가정/기업/Wi-Fi 디바이스들의 성능을 인공적으로 열화시켜서, 그들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소유자들에 대한 불량한 사용자 경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LAA를 지원하지 않는 UE들은 실질적으로 이점을 가질 수 있어서, 이들 디바이스들이 더 양호한 스펙트럼(예컨대, 인가 스펙트럼)에서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불균형 할당 시, eNB 서버는, 유일하게 또는 주로 LAA SCell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반면, (인가 스펙트럼에서) PCell은 시그널링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이는 영향받은 UE들에서 더 높은 전력 소비를 이끌 수 있고, 또한, 인가 스펙트럼/대역(들)에서만 동작하는 비-LAA 디바이스들에 비해 더 낮은 QoS를 초래할 수 있다.
인가 대역 및 비인가 대역에서 이행되는 통신에 대한 불균형의 검출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셀룰러 서비스 사업자/네트워크가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과도하게 오프로드하여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때를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그들 영향받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내의 LAA(CA) 특징부를 (운용 중에 또는 동적으로) 비활성화시켜서 사업자가 그들 영향받은 디바이스들에게 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을 제공할 것을 효과적으로 강제하기 위해 세이프가드(safeguard)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스펙트럼이 비인가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고 제1 주파수 스펙트럼이 인가 주파수 스펙트럼일 수 있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제2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도록 과도하게 위임되게 하는 불균형을 검출함으로써,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더 이상 과도하게 동작하지 않게 되고 대신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게 하는 소정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무선 리소스 할당 패턴들 및 임계치들에서의 불균형은, 적어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 무선 베어러들의 타입, 및/또는 IP 흐름들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모든 무선 통신 중 소정 백분율 또는 부분이 제2 스펙트럼 내에 있는 경우, 그 백분율 또는 부분이 불균형을 나타내는 시기는, 적어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 무선 베어러들의 타입, 및/또는 IP 흐름들에 기초하여 정의 또는 판정/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UE(106))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따라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또는 그 내에서) 무선 통신을 이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RAT는 셀룰러 무선 통신 표준, 예컨대 3GPP/LTE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제1 RAT에 따라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또는 그 내에서) 무선 통신을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무선 통신을 이행하는 것에 대해) 동시에 이행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RAT와 연관되는 인가 대역, 예컨대 3GPP/LTE 통신과 연관되는 인가 대역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제2 RAT와도 또한 연관되는 주파수 대역, 예컨대 Wi-Fi 통신과도 또한 연관되는 5 ㎓ 대역일 수 있는, 제1 RAT와 연관되는 비인가 대역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RAT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 이행되는 통신과 제2 주파수 대역(또는 스펙트럼)을 통해서 이행되는 통신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할 수 있고, 이러한 불균형을 검출할 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게 되는 것을 야기하거나 초래하는 정정 동작(들)을 취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행되는 통신에 대해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그의 총 무선 통신의 크게 감소된 부분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의도될 수 있는 것보다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예컨대,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더 많은 무선 통신이 이행되는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라기보다 제1 특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예컨대, 인가 대역을 통해서) 제1 RAT에 따라 더 많은 무선 통신을 이행하게 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주파수 스펙트럼 무선 리소스 할당 및 모니터링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UE)는 비인가/인가 무선 리소스 할당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리소스 할당 시에 불균형이 있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희망하는 것보다 UE의 무선 통신 중 더 많은 것이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이행되는 때, 예를 들어 인가 대역에서보다 비인가 대역에서 무선 통신의 더 많은 것(또는 더 높은 부분)이 동시에 이행되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UE의 셀룰러 통신 중 전부 또는 대부분은 그들 무선 통신이 인가 대역을 통해서/그 내에서 이행되고 있는 것 대신에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그 내에서 이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MAC 계층(캐리어 집성과 연관됨) 내에 통합되는 무선 링크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실행시킴으로써 모니터링 및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MAC 계층에서 (인가 또는 비인가) 스펙트럼의 특성 및 SCell ID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UE를 현재 서빙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송신 시간 간격(TTI)으로 수신된 승인들을 (알고리즘으로의) 입력들로 간주할 수 있다. 각각의 승인은 SCell 또는 PCell과 연관될 수 있다. SCell과 연관된 각각의 승인은 불균형의 인스턴스 또는 발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로부터(예컨대, 네트워크 내의 UE를 현재 서빙하는 기지국 또는 eNB로부터) 승인을 수신하고 승인이 SCell과 연관되는 경우, UE는 승인을 불균형의 하나의 인스턴스/발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적 또는 통계적 임계치는 MAC 계층에서 인가 무선 리소스들과 비인가 무선 리소스들의 할당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이한 QoS와 연관된 상이한 타입들(예컨대, VoLTE, 최선형 등)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해 상이한 임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LTE 트래픽의 경우, 매우 낮은 공차를 대표하는 임계치가 비인가 SCell들과 연관된 VoLTE 승인들을 수신하는 것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최선형 트래픽의 경우, 더 높은 공차를 대표하는 임계치가 인가 스펙트럼과 연관된 (적어도) 동등한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로 비인가 스펙트럼과 연관된 승인들을 수신하는 것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불균형이 검출되는 경우, UE는 적절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불균형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LAA SCell이 비활성화될 수 있지만,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캐리어 집성 자체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여러 가지 방식들로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로부터 eNB로의 IDC 표시, LAA/Wi-Fi 공유를 위한 릴리스 11 IDC 표시 및 릴리스 13 IDC 표시, 또는 SCell에 대한 CQI 리포팅을 이용하여 SCell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불균형이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 다운링크 HARQ ACK/NACK 표시자들 및 다른 정보 뿐 아니라 - CQI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IE(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기지국으로 리포트될 수 있다. 캐리어 채널(CC)들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PCell과 연관된(또는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PUCCH가 있으므로, 각각의 CC에 대한 UCI는 동일한 PUCCH를 통해 리포트될 수 있다. 비인가 데이터 수신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UE는 UE가 PUCCH를 통해 0(zero)의 CQI 값을 송신하여 기지국으로 리포트함으로써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SCell(들)을 비활성화시킬 것을 네트워크(예컨대, 주어진 네트워크에서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에게 간단히 요청할 수 있다. 각자의 SCell과 연관된(또는 그에 대응하는) 0의 CQI 값을 수신할 시, 기지국은 0의 CQI 값을 SCell이 범위 밖에 있고 SCell이 비활성화되어야 한다는 표시로 해석할 수 있다. SCell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상위 계층(들)에 대해 완전히 투명할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진행 중인 송신/통신(예컨대, 데이터 및/또는 VoIP 세션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어서, 네트워크(예컨대, 네트워크 내의 UE를 서빙하는 기지국)는 SCell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다음 TTI 동안 인가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가용 PCell/SCell(들)을 통해서 UE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UE는 기지국이 비인가 대역(들)과 연관된 SCell(들)을 디스에이블시키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자들 및/또는 메트릭들에 대한 값들을 포함하는 리포트 또는 리포트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SCell(들)이 UE의 통신을 위해 비활성화되어야 함을 네트워크에 표시하는, SCell(들)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값들을 네트워크에(예컨대,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에) 리포트할 수 있다. 다른 예는 UE가 SCell(들)에 대해 낮은 PHR(Power Headroom)을 갖는다는 것을 UE가 리포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PHR은 현재 송신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전력 외에도 UE가 사용하기 위한 송신 전력이 얼마나 많이 남겨져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PHR은 현재 송신 전력(추정 전력)과 공칭 전력 사이의 PHR을 리포트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의 타입이다. 기지국은 PHR 값을 수신하여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해 UE가 사용할 수 있는 업링크 대역폭이 얼마나 많은지 추정할 수 있다. 낮은 PHR을 수신할 시, 네트워크는 SCell(들)을 사용한 향후의 동시 송신을 위해 낮은 PHR을 UE의 무능력으로 해석할 수 있고, 따라서, UE의 무선 송신 시에 사용하기 위해 SCell(들)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8 -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 검출 및 완화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예를 들어 인가 스펙트럼(또는 주파수 대역) 및 비인가 스펙트럼(또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동시에 이행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의 원하는 것보다 더 높은 백분율이 비인가 스펙트럼(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 및 완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UE(예를 들어, UE(106))는 UE가 동시에 통신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제1(예컨대, 인가) 주파수 대역(들) 및 하나 이상의 제2(예컨대, 비인가) 주파수 대역(들)과 연관된 각자의 셀들에 대해 수신되는 승인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802).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송신 시간 간격(TTI) 동안 수신된 모든 그러한 승인들을 추적할 수 있고, TTI 단위로 불균형 검출 결정들을 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임의의 특정된 시간 듀레이션 내에 수신되는 승인들을 추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균형은 특정 RAT에 따라 UE에 의해 이행되는 모든 무선 통신이 얼마나 많이 또는 그의 어떤 부분이 제2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지와 관련하여 판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UE에 의해 이행되는 모든 무선 통신이 얼마나 많이 또는 그의 어떤 부분이 제1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지와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다. UE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RAT에 따라 동시에 통신하고 있으므로, UE의 전체(총) 무선 통신 중 제1 부분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한 것이고 UE의 전체 통신 중 나머지(제2) 부분은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한 것이다.
UE가 불균형을 검출하는 경우(804에서 "예" 분기), 그것은 네트워크로(예컨대,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으로) 리포트를 송신할 수 있는데, 리포트는 UE가 제2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하는 데 호의적이지 않은 조건들을 나타낸다(806). 그러한 리포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제2 주파수 대역(들)과 연관된 각자의 셀(들)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고/있거나 그것은 UE에 대한 캐리어 집성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80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ASIC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문 설계형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메모리 요소)는 그것이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 시스템이 방법, 예컨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예컨대, UE)는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의 세트) 및 메모리 매체(또는, 메모리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이 상당히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일단 상기 개시 내용이 충분히 이해되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장치로서,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행하고 - 상기 무선 통신의 제1 백분율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고, 상기 무선 통신의 나머지 백분율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됨 -;
    적어도 상기 나머지 백분율이 특정된 백분율을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고 - 상기 특정된 백분율은 디바이스 타입,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 무선 베어러들의 타입 또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흐름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정의됨 - ;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기지국이 상기 제1 RAT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이행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게 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는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의 백분율이 상기 제1 백분율을 초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인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 내에 통합되는 알고리즘을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로부터 각자 수신되는 승인들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로부터 적어도 특정된 개수의 승인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했음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제1 개수의 승인들을 그리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로부터 제2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했고 상기 제2 개수가 적어도 특정된 양만큼 상기 제1 개수를 초과함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양은 상기 무선 통신에 포함되는 각각의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마다 상이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소정 송신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승인들의 수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로부터 상기 송신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승인들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의 비활성화;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캐리어 집성의 비활성화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0의 채널 품질 표시자 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세컨더리 셀의 비활성화를 야기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으로 리포트를 송신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리포트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는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의 상기 백분율이 상기 제1 백분율을 초과하게 하는 표시자들 및/또는 메트릭들에 대한 값들을 포함하는, 장치.
  12.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 - 상기 무선 통신의 제1 백분율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고, 상기 무선 통신의 나머지 백분율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됨 -; 및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회로와 상호동작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나머지 백분율이 특정된 백분율을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고 - 상기 특정된 백분율은 디바이스 타입,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 무선 베어러들의 타입 또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흐름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정의됨 - ;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기지국이 상기 제1 RAT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이행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게 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는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의 백분율이 상기 제1 백분율을 초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회로와 상호동작함으로써, 추가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 내에 통합되는 알고리즘의 실행;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로부터 각자 수신되는 승인들의 추적;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적어도 특정된 개수의 승인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의 검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제1 개수의 승인들을 그리고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제2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하는 것 - 상기 제2 개수가 적어도 특정된 양만큼 상기 제1 개수를 초과함 - 의 검출; 또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소정 송신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승인들의 수 및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상기 송신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승인들의 수의 카운트
    중 하나 이상을 통해서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제1 개수의 승인들을 그리고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제2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하는 것의 검출에 대해, 상기 특정된 양은 상기 무선 통신에 포함되는 각각의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마다 상이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의 비활성화;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캐리어 집성의 비활성화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무선 회로와 상호동작함으로써, 추가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0의 채널 품질 표시자 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세컨더리 셀의 비활성화를 야기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행하고 - 상기 무선 통신의 제1 백분율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고, 상기 무선 통신의 나머지 백분율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됨 -;
    적어도 상기 나머지 백분율이 특정된 백분율을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고 - 상기 특정된 백분율은 디바이스 타입,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 무선 베어러들의 타입 또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흐름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정의됨 - ;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기지국이 상기 제1 RAT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이행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게 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는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의 백분율이 상기 제1 백분율을 초과하게 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 내에 통합되는 알고리즘의 실행;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로부터 각자 수신되는 승인들의 추적;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적어도 특정된 개수의 승인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의 검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제1 개수의 승인들을 그리고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제2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하는 것 - 상기 제2 개수가 적어도 특정된 양만큼 상기 제1 개수를 초과함 - 의 검출; 또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소정 송신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승인들의 수 및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상기 송신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승인들의 수의 카운트
    중 하나 이상을 통해서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불균형을 검출하게 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부터 제1 개수의 승인들을 그리고 상기 세컨더리 셀로부터 제2 개수의 승인들을 수신하는 것의 검출에 대해, 상기 특정된 양은 상기 무선 통신에 포함되는 각각의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마다 상이한,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의 비활성화;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캐리어 집성의 비활성화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추가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으로 리포트를 송신하게 하며, 상기 리포트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을 스케줄링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이행되는 상기 후속 무선 통신의 상기 백분율이 상기 제1 백분율을 초과하게 하는 표시자들 및/또는 메트릭들에 대한 값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KR1020170086507A 2016-07-13 2017-07-07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 KR102015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61995P 2016-07-13 2016-07-13
US62/361,995 2016-07-13
US15/593,702 2017-05-12
US15/593,702 US10433211B2 (en) 2016-07-13 2017-05-12 Dynamic link monitoring to resolve imbalance in LAA/LTE radio resource allo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77A KR20180007677A (ko) 2018-01-23
KR102015038B1 true KR102015038B1 (ko) 2019-08-27

Family

ID=6094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07A KR102015038B1 (ko) 2016-07-13 2017-07-07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433211B2 (ko)
KR (1) KR102015038B1 (ko)
CN (1) CN107623918B (ko)
DE (1) DE102017211969B4 (ko)
MX (1) MX20200001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US10433211B2 (en) * 2016-07-13 2019-10-01 Apple Inc. Dynamic link monitoring to resolve imbalance in LAA/LTE radio resource allocation
EP3598828A1 (en) * 2017-04-01 2020-01-22 Cloudminds (Shenzhen) Robotics System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resource scheduling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10167187B (zh) * 2018-02-13 2021-08-1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未授权频谱中lbt策略的配置方法、设备及可读介质
KR102369783B1 (ko) * 2018-03-05 2022-03-03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관리 서버
US20190373546A1 (en) * 2018-05-31 2019-12-05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Multi-radio wireless transceiver power conservation
US20210410127A1 (en) * 2018-11-09 2021-12-30 Nokia Technologies Oy Usage of one or more bands with duty-cycle limitation
JP7062086B2 (ja) * 2018-11-27 2022-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無線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10863525B1 (en) * 2019-08-28 2020-12-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vercoming carrier aggregation signaling overhead when FirstNet QoS policies are enforced
US11425753B2 (en) * 2019-08-29 2022-08-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ut-of-band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11252740B2 (en) * 2019-09-19 2022-02-15 Cisco Technology, Inc. Controlling communication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11375561B2 (en) * 2019-12-09 2022-06-28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functional, software configurable device for fixed wireless networ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5110A1 (en) * 2014-09-26 2016-03-31 Broadcom Corporation Wifi-coordinated laa-lte
US20160157230A1 (en) * 2014-12-01 2016-06-02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protection
US20160157293A1 (en) * 2014-12-02 2016-06-0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to Provide Dual Connectivity Using LTE Master eNodeB and Wi-Fi Based Secondary eNodeB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343A2 (en) 2010-12-03 201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n multiple spectrum bands
GB201200253D0 (en) * 2012-01-09 2012-02-22 Isis Innovation Monitoring engine components
US8965390B2 (en) 2012-01-30 2015-02-24 T-Mobile Usa, Inc. Simultaneous communications over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US9184886B2 (en) 2012-08-10 2015-11-10 Blackberry Limited TD LTE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n unlicensed bands
US9883404B2 (en) * 2013-06-11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LTE/LTE—A uplink carrier aggregation using unlicensed spectrum
US20150063151A1 (en) * 2013-09-04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supplemental downlink in unlicensed spectrum
US9479315B2 (en) * 2013-12-16 2016-10-2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initiated management of carrier aggregation
US9763117B2 (en) 2014-03-24 2017-09-12 Netgear, Inc. Multi-band wireless station having multiple radios in one band
US9461918B2 (en) * 2014-04-14 2016-10-04 Arris Enterprises, Inc. Multi-carrier load-balancing
US9560651B2 (en) 2014-05-27 2017-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resource allocation of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9706469B2 (en) * 2014-06-03 2017-07-11 Intel Corporation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for cell selection and traffic steering for integrated WLAN/3GPP radio access technologies
US9596623B2 (en) 2014-08-11 2017-03-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hared spectrum load balancing
US20160050587A1 (en) 2014-08-15 2016-02-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active network congestion mitigation
WO2016037340A1 (zh) * 2014-09-11 2016-03-17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设备、终端,以及确定通信频谱可用性的方法
TWI573412B (zh) * 2014-10-23 2017-03-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控制無線實體和用戶設備的通信模式的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的通信系統
US10219178B2 (en) * 2014-12-02 2019-02-26 Cisco Technology, Inc. Channel aggregation using Wi-Fi
US9913263B2 (en) 2014-12-23 2018-03-06 Intel Corporation Association request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in a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US9380594B1 (en) 2015-05-21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layer management
US10187838B2 (en) * 2015-11-03 2019-01-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ad rebalancing
CN107046707B (zh) * 2016-02-06 2021-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点选择方法及装置
MX2019000537A (es) * 2016-07-13 2019-09-11 SHUMKA Thomas Metodos, materiales y aparato para limpiar e inspeccionar conjuntos de engranajes circunferenciales.
US10433211B2 (en) * 2016-07-13 2019-10-01 Apple Inc. Dynamic link monitoring to resolve imbalance in LAA/LTE radio resource allocation
CA2956749A1 (en) * 2017-01-27 2018-07-27 Global Inspections-Ndt, Inc. Form-fitting eddy current array senso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619737B2 (en) * 2017-08-11 2020-04-14 Electricfil Corporation Park pawl engagement and sensor assembly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5110A1 (en) * 2014-09-26 2016-03-31 Broadcom Corporation Wifi-coordinated laa-lte
US20160157230A1 (en) * 2014-12-01 2016-06-02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protection
US20160157293A1 (en) * 2014-12-02 2016-06-0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to Provide Dual Connectivity Using LTE Master eNodeB and Wi-Fi Based Secondary eNod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23413A1 (en) 2020-01-23
DE102017211969A1 (de) 2018-01-18
US20180020376A1 (en) 2018-01-18
US11044635B2 (en) 2021-06-22
MX2020000173A (es) 2021-10-13
CN107623918A (zh) 2018-01-23
KR20180007677A (ko) 2018-01-23
US10433211B2 (en) 2019-10-01
US20200384508A1 (en) 2020-12-10
DE102017211969B4 (de) 2023-08-31
CN107623918B (zh) 2021-08-20
US11228941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038B1 (ko)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
US10462805B2 (en) LAA/WiFi Coexistence for 5GHz antenna sharing
US10993277B2 (en) Enhanced PDCP duplication handling and RLC failure handling
EP3175671B1 (en) Spectrum analysis and operation of a dual radio device
US11064366B2 (en) Mechanisms for LAA/LTE-U detection to mitigate impact on Wi-Fi performance
US11737083B2 (en) Cross-slot scheduling for new radio
US20200221313A1 (en) License Assisted Access Communication with Dynamic Use of Request-to-Send and Clear-to-Send Messages
US10966248B2 (en) Coexistence features for cellular commun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CN111491383B (zh) 用于5GHz天线共享的LAA/Wi-Fi共存
US11895532B2 (en) Detecting cellular network bottlenecks using data allocation patterns
US11432313B2 (en) Detecting cellular network bottlenecks through analysis of resource allocation patterns
US11659402B2 (en) Enhanced reservation signal for cellular commun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KR102669434B1 (ko) 5 ㎓ 안테나 공유를 위한 LAA/Wi-Fi 공존
WO2018053787A1 (en) Autonomous measurement report for carrier aggregation setup
WO2018053791A1 (en) Autonomous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ower control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