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51B1 -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51B1
KR102129251B1 KR1020180057387A KR20180057387A KR102129251B1 KR 102129251 B1 KR102129251 B1 KR 102129251B1 KR 1020180057387 A KR1020180057387 A KR 1020180057387A KR 20180057387 A KR20180057387 A KR 20180057387A KR 102129251 B1 KR102129251 B1 KR 10212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control signal
ion generating
m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2116A (en
Inventor
이상대
김의중
이인제
정재훈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8005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51B1/en
Publication of KR2019013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10Treatment of gases
    • H05H2245/15Ambient air; Ozon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는, 제1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상기 제1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전압을 출력하는 강압부; 상기 제1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전압을 출력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전압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플라즈마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모듈; 상기 강압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발생된 플라즈마 이온이 확산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강압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MCU를 포함한다.The battery-driven plasma 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that outputs a first voltage; A step-down unit which step-downs the first voltage to output a step-down voltage; A booster configured to boost the first voltage to output a boosted voltage; An ion generating module that generates plasma ions by receiving the boosted voltage and generating a high voltage; A blower fan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step-down voltage and causes the generated plasma ions to diffuse; And an MCU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step-down voltage and controls the on/off of the blower fan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to be repeated periodically.

Figure R1020180057387
Figure R1020180057387

Description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ion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driven plasma ion generator using a battery as a power source.

환경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오염된 공기에 의해 각종 호흡기 질환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공기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음이온을 발생시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serious, people who have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or allergic reactions are increasing by the polluted air, and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to purify the polluted air by generating negative ions as a means to improve the air quality Is being carried out.

이온의 종류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존재하며, 음이온은 공기중의 산소나 질소 등의 분자가 음의 전하를 갖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Types of ions have positive and negative ions, and negative ions mean a state in which molecules such as oxygen and nitrogen in the air have a negative charge.

최근, 음이온은 먼지, 냄새 및 유해 화학물질의 제거에도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따라서, 최근 가정용 공기정화장치, 헤어드라이어, 정수기,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및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공기조화장치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이온 발생장치가 부착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Recently, it is known that anions are effective in removing dust, odors, and harmful chemicals, and are considered to b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are increasing cases where ion generating devices are attached to electronic products such as household air purifying devices, hair dryers, water purifiers, air purifying devices for vehicles, and air conditioning devices for cooling or heating indoors.

또한, 음이온 발생만으로 공기중의 부유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점에 근거하여 음이온 이외에 양이온도 함께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장치도 각광을 받고 있다.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loating bacteria in the air only by generating anions, an 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cations in addition to anions is also in the spotlight.

종래 소개된 많은 이온 발생장치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 또는 공기 정화장치 등에 이온 발생기능의 형태로 추가되는 경우가 많았다. Many ion generator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the past are often added in the form of ion generating functions to air cleaners or air purifiers using AC power.

그러나 사용자는 특정 공간에만 거주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온 발생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여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먼지, 냄새 및 유해 화학물질의 제거 기능에 주목하여, 이온 발생장치는 옷장이나 신발장과 같은 밀폐된 공간의 먼지나 냄새 제거 및 공기 정화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since the user does not only live in a specific space, the ion generator may be implemented to be portable by the user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In addi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removing dust, odor and harmful chemicals, the ion generating device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dust and odor and air purification in a closed space such as a closet or shoe rack.

휴대형 이온 발생장치나 옷장이나 신발장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온 발생장치의 경우, 상시 교류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하므로 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배터리 구동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구동형 이온 발생장치는 배터리가 금방 소모되어 수시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해야 하는 등 비효율성과 번거로움이 있고, 기타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들로 인해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portable ion generator or an ion generator for use in an enclosed space such as a closet or shoe rack, since it is impossible to supply AC power at all times, it must be manufactured in a battery-driven type that uses a battery as a power source. However, such a battery-driven ion generator has inefficiency and hassle, such as the battery is quickly consumed and needs to be replaced or charged frequently, and has not yet been commercialized due to various other technical problems.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교체나 충전 없이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함으로 인해 유발되는 기술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capable of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caused by using the battery as a power source To prov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는, 제1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상기 제1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전압을 출력하는 강압부; 상기 제1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전압을 출력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전압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플라즈마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모듈; 상기 강압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발생된 플라즈마 이온이 확산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강압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한다.The battery-driven plasma 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battery outputting a first voltage; A step-down unit which step-downs the first voltage to output a step-down voltage; A booster configured to boost the first voltage to output a boosted voltage; An ion generating module that generates plasma ions by receiving the boosted voltage and generating a high voltage; A blower fan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step-down voltage and causes the generated plasma ions to diffuse; And a micro controller unit (MCU)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step-down voltage and controls the on/off of the blower fan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to be periodically repeated.

상기 MCU는, 상기 송풍팬의 온 시점과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CU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n time of the blowing fan and the on time of the ion generation module.

상기 MCU는, 상기 이온발생모듈이 먼저 온 된 다음 상기 시간차를 두고 상기 송풍팬이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CU may control the ion generating module to be turned on first, and then the fan to be turned on with the time difference.

상기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강압부로부터의 상기 강압전압을 상기 송풍팬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칭 회로; 및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승압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MCU는, 제1 제어신호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강압전압의 상기 송풍팬으로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하고, 제2 제어신호로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압의 상기 승압부로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includes: a first switching circuit that transmits or blocks the step-down voltage from the step-down unit to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second switching circuit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first voltage from the battery to the boos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wherein the MCU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circuit with a first control signal to reduce the step-down voltage. The transmission/blocking of the fan to the fan is periodically repeated, and the second switching signal is used to control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so that the transmission/blocking of the first voltage to the booster is periodically repeated. The fan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may be controlled to be repeatedly turned on/off.

상기 MCU는,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인가할 수 있다.The MCU may appl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with a time difference.

상기 MCU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먼저 인가한 다음 상기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MCU may first apply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n apply the first control signal at the time difference.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는, 베이스로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에미터는 접지로 연결되며 콜렉터는 상기 송풍팬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콜렉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송풍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강압부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circuit,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he emitter is connected to ground, the collector is a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blowing fa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and the other end of the blowing fan It may include a Schottky diod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tep-down portion.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는, 베이스로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에미터는 접지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이 상기 승압부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and the emitter is connected to a ground, a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gate, a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a sourc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and a drain is to the booster. It may includ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모듈과 플라즈마 이온이 확산되도록 하는 송풍팬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교체나 충전 없이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n/off of the ion generating module generating plasma ions and the blowing fan allowing plasma ions to be diffused is periodically repeated, thereby minimiz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or charging.

또한, 상기 송풍팬의 온 시점과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있도록 함으로써, 송풍팬과 이온발생모듈이 동시에 온 됨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MCU의 리셋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n time of the blowing fan and the on time of the ion generating module,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by preventing the reset phenomenon of the MCU that may be caused by the simultaneous turning on of the blowing fan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칭 회로(4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칭 회로(5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CU(200)의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은 동시에 온 되는 경우의 강압부(300)의 출력전압과 배터리 소모 전류를 보여준다.
도 6는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른 MCU(200)의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이온발생모듈(600)이 먼저 온 된 다음 시간차를 두고 송풍팬(400)이 온 되는 경우의 강압부(300)의 출력전압과 배터리 소모 전류를 보여준다.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switching circu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diagram of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MCU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output voltage and the battery consumption current of the step-down unit 300 when the blower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6 is a timing diagram of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MCU 200 according to an improv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the output voltage and the battery consumption current of the step-down unit 300 when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first turned on and then the blower fan 400 is turned on with a time differen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element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이하, '이온 발생장치'라 함)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는, 배터리(100), MCU(Micro Controller Unit)(200), 강압부(300), 송풍팬(400), 승압부(500), 이온발생모듈(600), 제1 스위칭 회로(410), 제2 스위칭 회로(5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100, the microcontroller unit (MCU) 200, the step-down unit 300, the blowing fan 400, the boosting unit 500 , Ion generation module 600, a first switching circuit 410, may include a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배터리(100)는 MCU(200), 송풍팬(400), 이온발생모듈(6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00)는 충전식 배터리로서 예컨대 리튬폴리머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100)는 제1 전압(Vbat)을 출력하며, 제1 전압(Vbat)은 배터리(100)의 충전 상태에 따라 3.5~4.2V일 수 있다.The battery 100 su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MCU 200, the blowing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The battery 100 is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for example, a lithium polymer battery or a lithium ion battery. The battery 100 outputs a first voltage (V bat ), and the first voltage (V bat ) may be 3.5 to 4.2 V depending on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00.

강압부(300)는 제1 전압(Vbat)을 강압하여 강압전압(Vdown)을 출력한다. 강압부(300)는 예컨대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강압전압(Vdown)은 예컨대 약 3.3V일 수 있다. 강압전압(Vdown)은 MCU(200)와 송풍팬(400)으로 공급된다. The step-down unit 300 outputs the step-down voltage V down by stepping down the first voltage V bat . The step-down unit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low drop out (LDO) regulator. The step-down voltage V down may be, for example, about 3.3V. The step-down voltage V down is supplied to the MCU 200 and the blowing fan 400.

승압부(500)는 제1 전압(Vbat)을 승압하여 승압전압(Vup)을 출력한다. 승압부(500)는 예컨대 부스트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승압전압(Vup)은 예컨대 약 12V일 수 있다. 승압전압(Vup)은 이온발생모듈(600)로 공급된다.The boosting unit 500 boosts the first voltage V bat to output the boosted voltage V up . The booster 500 may include, for example, a boost regulator. The boost voltage V up may be, for example, about 12V. The boost voltage V up is supplied to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이온발생모듈(600)은 승압전압(Vup)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고전압을 발생시켜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플라즈마 이온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이온발생모듈(600)은 양과 음의 고전압(약 ㅁ5,000V)을 발생시켜 각각 양전극과 음전극에 인가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킨다.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operates by receiving a boost voltage V up and generates plasma ions by generating a high voltage and applying it to the electrode. For example,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generates positive and negative high voltages (approximately ㅁ5,000 V) to generate positive and negative ions by apply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respectively.

송풍팬(400)은 강압전압(Vdown)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이온발생모듈(600)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송풍을 함으로써 그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 이온이 확산되도록 한다. The blower fan 400 operates by receiving a step-down voltage V down and blows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so that the plasma ions generated therefrom are diffused.

MCU(200)는 이온 발생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강압전압(Vdown)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이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제어한다.The MCU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operates by receiving a step-down voltage (V down ), and the blowing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do not always turn on/on. The off is controlled to repeat periodic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는 먼지, 냄새 및 유해 화학물질의 제거, 또는 공기 정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지속적으로 이온을 발생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온 상태인 동안만 이온을 발생시키더라도 위와 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이 오프 상태인 동안에는 배터리(100)의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므로, 배터리의 교체나 충전 없이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dust, odors and harmful chemicals, or purifying air, so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generate ions.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n/off of the blower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periodically repeated, even when generating ions only during the on state, the above-described function may be achieved. While the blower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re in an off stat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100 is minimized,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or charging the battery.

온/오프 반복 주기와 지속 시간은 요구되는 성능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의 온 지속 시간은 10초 내지 30초, 오프 지속 시간은 100초 내지 300초일 수 있다. 가령 온 지속 시간은 20초, 오프 지속 시간은 220초, 따라서 반복 주기는 240초가 될 수 있다.The on/off repetition period and duratio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required performance and power consumption, and may be settable by a user. For example, the on duration of the blowing fan 400 and the ion generation module 600 may be 10 seconds to 30 seconds, and the off duration may be 100 seconds to 300 seconds. For example, the on duration may be 20 seconds, the off duration may be 220 seconds, and thus the repetition period may be 240 seconds.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의 온/오프 제어를 위하여, 강압부(300)와 송풍팬(400) 사이에 제1 스위칭 회로(410)가 구비되고, 배터리(100)와 승압부(500) 사이에 제2 스위칭 회로(510)가 구비될 수 있다.For on/off control of the blower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 first switching circuit 410 is provided between the step-down unit 300 and the blower fan 400, and the battery 100 and the booster A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nits 500.

제1 스위칭 회로(410)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압부(300)로부터의 강압전압(Vdown)을 송풍팬(400)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위칭 회로(410)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만 강압부(300)로부터의 강압전압(Vdown)을 송풍팬(4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switching circuit 410 may transmit or block the step-down voltage V down from the step-down unit 300 to the blowing fan 400 according to the applied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first switching circuit 410 may transmit the step-down voltage V down from the step-down unit 300 to the blowing fan 400 only while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제2 스위칭 회로(510)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100)로부터의 제1 전압(Vbat)을 승압부(500)로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위칭 회로(510)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만 배터리(100)로부터의 제1 전압(Vbat)을 승압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may transmit or block the first voltage V bat from the battery 100 to the booster 500 according to the applied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may transmit the first voltage V bat from the battery 100 to the booster 500 only while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MCU(200)는 제1 제어신호(CS1)로 제1 스위칭 회로(410)를 제어하여 강압전압(Vdown)의 송풍팬(400)으로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송풍팬(400)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할 수 있다.The MCU 200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circuit 410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to periodically transmit/block the step-down voltage V down to the blowing fan 400, thereby repeatedly blowing the blowing fan. The on/off of 400 may be repeated periodically.

또한, MCU(200)는 제2 제어신호(CS2)로 제2 스위칭 회로(510)를 제어하여 제1 전압(Vbat)의 승압부(500)로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승압부(500)로부터 이온발생모듈(600)로의 승압전압(Vup)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이온발생모듈(600)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CU 200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so that the transfer/blocking of the first voltage V bat to the booster 500 is periodically repeated, The on/off of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may be periodically repeated through the periodic repetition of the transfer/blocking of the boosting voltage V up from the booster 500 to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칭 회로(4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2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switching circu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스위칭 회로(410)는, 제1 저항(R1)을 통해 베이스로 MCU(200)의 제1 제어신호(CS1)가 인가되고 에미터는 접지로 연결되며 콜렉터는 송풍팬(400)의 접지 단자(GND)와 연결되고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제2 저항(R2)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1)와, 일단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송풍팬(400)의 전원 단자(Vcc)와 연결되는 한편 제3 저항(R3)을 통해 강압부(300)의 출력단(Vdown)으로 연결되는 쇼트키 다이오드(D)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circuit 410,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 of the MCU 200 is applied to the base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collector is the ground of the blower fan 400 A transistor Q1 connected to the terminal GND and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between the base and the emitt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other end to the power terminal Vcc of the blower fan 400 ) And the Schottky diode 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 down of the step-down unit 300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MCU(200)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제1 제어신호(CS1)를 인가하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이미터가 도통되어, 강압부(300)의 출력단(Vdown)으로부터 제3 저항(R3), 송풍팬(400)의 전원 단자(Vcc), 송풍팬(400)의 내부 회로, 송풍팬(400)의 접지 단자(GND) 및 접지로 연결되는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흘러서 송풍팬(400)이 온 상태가 된다. 제1 제어신호(CS1)가 인가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이미터는 오픈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송풍팬(400)은 오프 상태가 된다. 쇼트키 다이오드(D)는 송풍팬(400)의 전원 단자(Vcc)와 접지 단자(GND) 사이에 역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MCU 200 applies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 are conducted to remove th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 down of the step-down unit 300. 3 Resistor (R3), the power terminal (Vcc) of the blower fan 400, the internal circuit of the blower fan 400,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blower fan 400,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ircuit connected to the ground to blow air The fan 400 is turned on.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is not applied,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 are in an open state, so that no current flows, so the blower fan 400 is turned off. The Schottky diode D serves to prevent the reverse voltage from being applied between the power terminal Vcc and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blower fan 4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칭 회로(5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3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스위칭 회로(510)는, 제4 저항(R4)을 통해 베이스로 MCU(200)의 제2 제어신호(CS2)가 인가되고 에미터는 접지로 연결되며 콜렉터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Q3)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2)와, 게이트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소스가 배터리(100)의 출력단(Vbat)과 연결되며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제5 저항(R5)이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6 저항(R6)을 통해 승압부(510)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FET(Q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 of the MCU 200 is applied to the base through the fourth resistor (R4),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collector is a FET (Field Effect Transistor) ( A transistor Q2 connected to the gate of Q3), a gate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2, a sour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 bat of the battery 100, and a fifth resistor R5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This connection may include a FET Q3 connected to the drain through the sixth resistor R6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booster 510.

MCU(200)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제2 제어신호(CS2)를 인가하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이미터가 도통되어, FET(Q3)의 게이트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FET(Q3)의 소스와 드레인이 도통되어 배터리(100)의 제1 전압(Vbat)이 승압부(500)로 공급된다. 그러면 승압부(500)는 제1 전압(Vbat)을 승압하여 승압전압(Vup)을 이온발생모듈(600)로 공급하므로, 이온발생모듈(600)은 온 상태가 된다. 제2 제어신호(CS2)가 인가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이미터는 오픈 상태가 되어, FET(Q3)의 게이트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Q5(FET)의 소스와 드레인은 오픈 상태가 되어 배터리(100)의 제1 전압(Vbat)이 승압부(500)로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면 승압부(500)는 승압전압(Vup)을 출력하지 않으므로 이온발생모듈(510)은 오프 상태가 된다.When the MCU 200 applies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are conducted,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gate of the FET Q3 and the FET ( The source and drain of Q3) are conducted to supply the first voltage V bat of the battery 100 to the booster 500. Then, since the booster 500 boosts the first voltage V bat and supplies the boosted voltage V up to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is not applied,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are in an open state, so that no current flows to the gate of the FET Q3 and the source and drain of the Q5 (FET) are in an open state. As a result, the first voltage V bat of the battery 100 is not supplied to the booster 500. Then, since the boosting unit 500 does not output the boosting voltage V up , the ion generating module 510 is turned off.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CU(200)의 제1 제어신호(CS1)와 제2 제어신호(CS2)의 타이밍도로서, 제1 제어신호(CS1)와 제2 제어신호(CS2)가 일치하거나 혹은 동기화된 경우를 나타낸다. 송풍팬(400)은 제1 제어신호(CS1)에 의해 온/오프되고, 이온발생모듈(600)은 제2 제어신호(CS2)에 의해 온/오프된다. 따라서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은 동시에 온되고 동시에 오프된다.4 is a timing diagram of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of the MCU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and the second It indicates that the control signal (CS 2 ) is identical or synchronized. The blowing fan 400 is turned on/off by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turned on/off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 Therefore, the blowing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re turned on and off at the same time.

도 5는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은 동시에 온 되는 경우의 강압부(300)의 출력전압(Vdown)과 배터리 소모 전류를 보여준다. 송풍팬(400)과 이온발생모듈(600)이 동시에 온 되는 경우, 전력 사용량이 갑작스럽게 증가하여 배터리에 약 5A 이상의 돌입전류(inrush curren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100)의 출력전압(Vbat)이 낮으면(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낮아질 수 있음) 강압부(300)의 출력전압(Vdown)이 MCU(200)의 구동을 위한 최소전압인 MCU 리셋전압(예컨대 약 1.98V) 아래로 내려가 MCU(200)가 리셋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FIG. 5 shows the output voltage V down and the battery consumption current of the step-down unit 300 when the blower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When the blower fan 400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power consumption suddenly increases, so that an inrush current of about 5 A or more may occur in the battery. At this time, if the output voltage (V bat ) of the battery 100 is low (may be lowered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output voltage (V down ) of the step-down unit 300 is the minimum voltage for driving the MCU 200 A phenomenon in which the MCU 200 is reset may occur when the MCU reset voltage (eg, about 1.98 V) goes down.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의하면, MCU(200)는 이온발생모듈(600)이 먼저 온 된 다음 시간차를 두고 송풍팬(400)이 온 되도록 제어한다. 즉, 이온발생모듈(600)과 송풍팬(400)의 온/오프 타이밍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풍팬(400)이 먼저 온 된 다음 시간차를 두고 이온발생모듈(600)이 온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phenomenon, according to an improv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CU 200 controls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to be turned on first, and then the blower fan 400 is turned on with a time difference. That is, the on/off timing of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nd the blowing fan 400 are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lowing fan 400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t a time difference after being turned on first.

도 6는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른 MCU(200)의 제1 제어신호(CS1)와 제2 제어신호(CS2)의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CU(200)는 제2 스위칭 회로(510)에 제2 제어신호(CS2)를 인가한 다음 시간차(△t)를 두고 제1 스위칭 회로(410)에 제1 제어신호(CS1)를 인가한다. 송풍팬(400)은 제1 제어신호(CS1)에 의해 온/오프되고, 이온발생모듈(600)은 제2 제어신호(CS2)에 의해 온/오프되므로, 이온발생모듈(600)이 온 된 다음 시간차(△t)를 두고 송풍팬(400)이 온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스위칭 회로(410)에 제1 제어신호(CS1)를 인가한 다음 시간차(△t)를 두고 제2 스위칭 회로(510)에 제2 제어신호(CS2)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송풍팬(400)이 온 된 다음 시간차(△t)를 두고 이온발생모듈(600)이 온 될 것이다.6 is a timing diagram of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of the MCU 200 according to the improv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MCU 200 applies a second control signal CS2 to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and then places a time difference Δt, and then applie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first switching circuit 410 ( CS 1 ) is applied. The blowing fan 400 is turned on/off by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turned on/off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 so that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After being turned on, the blower fan 400 is turned on with a time difference (△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CS2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510 with a time difference Δt. You may. In this case, after the blowing fan 400 is turned on,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will be turned on with a time difference (Δt).

도 7은 이온발생모듈(600)이 먼저 온 된 다음 시간차를 두고 송풍팬(400)이 온 되는 경우의 강압부(300)의 출력전압(Vdown)과 배터리 소모 전류를 보여준다. 이 경우 전력 사용량이 덜 갑작스럽게 증가하므로 돌입전류는 발생하지 않거나 완화된다. 따라서 배터리(100)의 출력전압(Vbat)이 낮아지더라도 강압부(300)의 출력전압(Vdown)이 MCU 리셋전압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게 되어, MCU(200)가 리셋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7 shows the output voltage (V down ) and the battery consumption current of the step-down unit 300 when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is first turned on and then the blower fan 400 is turned on with a time difference. In this case,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less abruptly, the inrush current does not occur or is alleviated. Therefore, even if the output voltage (V bat ) of the battery 100 decreases, the output voltage (V down ) of the step-down unit 300 does not fall below the MCU reset voltage, causing the MCU 200 to be reset. I never do that.

이온발생모듈(600)과 송풍팬(400)의 온 시점의 시간차(△t)(즉, 제1 제어신호(CS1)와 제2 제어신호(CS2)의 시간차)는, 배터리(100)의 출력전압(Vbat)이 최소일 때 강압부(300)의 출력전압(Vdown)의 최소값이 MCU 리셋전압보다 충분히 크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령 MCU 리셋전압이 1.98V인 경우, 강압부(300)의 출력전압(Vdown)의 최소값이 약 2.4V가 되도록 시간차(△t)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차(△t)는 1ms 내지 100ms로 설정될 수 있다. The time difference Δt (i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ntrol signal CS 1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S 2 ) at the time when the ion generating module 600 and the blowing fan 400 are turned on is the battery 100. When the output voltage V bat of is minimum, the minimum value of the output voltage V down of the step-down unit 300 may be set to a value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MCU reset voltage. For example, when the MCU reset voltage is 1.98V, the time difference Δt may be set so that the minimum value of the output voltage V down of the step-down unit 300 becomes about 2.4V.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ime difference Δt may be set from 1 ms to 100 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storing and executing program data, a permanent storage such as a disk drive, a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ouch panel, a key, and a button And a user interface device. Methods implemented by a software module or algorithm may b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computer-readable codes or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on the processor. Here,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CD-ROM) ), DVD (Digital Versatile Disc).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The medium is readable by a computer, stored in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a proces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 etc., capable of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y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You can hire them.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xecu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embodiments include C, C++, including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mponents. , Can be implemented in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such as Java, assembler, etc. Functional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embodiments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iqu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can be used wide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iv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the actual device, alternativ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can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explanation, not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제1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상기 제1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전압을 출력하는 강압부;
상기 제1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전압을 출력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전압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플라즈마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모듈;
상기 강압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발생된 플라즈마 이온이 확산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강압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강압부로부터의 상기 강압전압을 상기 송풍팬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칭 회로; 및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승압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MCU는, 제1 제어신호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강압전압의 상기 송풍팬으로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하고, 제2 제어신호로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압의 상기 승압부로의 전달/차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오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A battery outputting a first voltage;
A step-down unit which step-downs the first voltage to output a step-down voltage;
A booster configured to boost the first voltage to output a boosted voltage;
An ion generating module that generates plasma ions by receiving the boosted voltage and generating a high voltage;
A blower fan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step-down voltage and causes the generated plasma ions to diffuse;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step-down voltage and controls the on/off of the blower fan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to be repeated periodically;
A first switching circuit for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step-down voltage from the step-down unit to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nd a second switching circuit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first voltage from the battery to the boos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 MCU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circuit with a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the transmission/blocking of the step-down voltage to the blowing fan is periodically repeated, and the second switching signal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that controls the on/off of the blower fan and the ion generating module to be repeated periodically by allowing the first voltage to be transferred/blocked to the booster periodic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송풍팬의 온 시점과 상기 이온발생모듈의 온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있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CU is a battery-driven plasma ion generating device that controls so that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n time of the blowing fan and the on time of the ion generating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이온발생모듈이 먼저 온 된 다음 상기 시간차를 두고 상기 송풍팬이 온 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CU is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that controls the ion generating module to be turned on first and then the blower fan to be turned on with the time differe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인가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CU is a battery-driven plasma ion generator for apply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with a time differe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먼저 인가한 다음 상기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CU, a battery-driven plasma ion generator for apply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first and then apply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t the time dif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는,
베이스로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에미터는 접지로 연결되며 콜렉터는 상기 송풍팬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콜렉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송풍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강압부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witching circuit,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he emitter is connected to ground, and the collector is a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blowing fan,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comprising a Schottky diod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blower fan an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tep-dow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는,
베이스로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에미터는 접지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이 상기 승압부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형 플라즈마 이온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and the emitter is a transistor connected to ground,
A battery-powered plasma ion generator comprising a FET (Field Effect Transistor) in which a gate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a sourc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and a drain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booster.
KR1020180057387A 2018-05-18 2018-05-18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KR102129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87A KR102129251B1 (en) 2018-05-18 2018-05-18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87A KR102129251B1 (en) 2018-05-18 2018-05-18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116A KR20190132116A (en) 2019-11-27
KR102129251B1 true KR102129251B1 (en) 2020-07-03

Family

ID=6873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87A KR102129251B1 (en) 2018-05-18 2018-05-18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186A (en) 2020-10-23 2022-05-02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for steriliz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07B1 (en) 2004-07-27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Ion gener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it
JP4253666B2 (en) * 2006-04-05 2009-04-15 リソ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Anion generator with air cleaning function
JP2017519611A (en) * 2014-06-08 2017-07-20 ヘッドウォータ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chargeable portable personal ion air purifier
JP2018014841A (en) 2016-07-21 2018-01-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Voltage converter, step-down control method of power conversion circuit, step-up control method of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computer program
US20180133356A1 (en) 2015-07-17 2018-05-17 Creatrix Solutions LLC Plasma Ai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251B2 (en) * 1994-11-16 2001-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leaner
KR20040102515A (en) * 2003-05-28 2004-12-08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Indoor atmosphere purifier using ion clus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07B1 (en) 2004-07-27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Ion gener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it
JP4253666B2 (en) * 2006-04-05 2009-04-15 リソ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Anion generator with air cleaning function
JP2017519611A (en) * 2014-06-08 2017-07-20 ヘッドウォータ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chargeable portable personal ion air purifier
US20180133356A1 (en) 2015-07-17 2018-05-17 Creatrix Solutions LLC Plasma Air Purifier
JP2018014841A (en) 2016-07-21 2018-01-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Voltage converter, step-down control method of power conversion circuit, step-up control method of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186A (en) 2020-10-23 2022-05-02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for sterilizing
KR20220054184A (en) 2020-10-23 2022-05-02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including plasma sterilizing module
KR20220054185A (en) 2020-10-23 2022-05-02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including plasma sterilizing module
KR20220054182A (en) 2020-10-23 2022-05-02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including plasma sterilizing module
KR20220054183A (en) 2020-10-23 2022-05-02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including plasma sterilizing module
KR20230002174A (en) 2020-10-23 2023-01-05 (주)쓰리엠탑 Robot cleaner including plasma steriliz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116A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007B2 (en) Boost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for boost DC-DC converter
JP5336091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US8502511B1 (en) Buck switching regulator
JP2009146130A (en) Dropper type regulator
JP2007024281A (en) Solenoid valve driving control device
JP2002530044A5 (en)
JP4655850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JP2011101452A (en) Dc-dc converter
TWI357718B (en)
HK1072508A1 (en) A self-excited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02129251B1 (en) Battery driving type plasma ion generating apparatus
US20070145923A1 (en) Fan system and real-time stopping device thereof
JP2008141806A (en) Storage battery charging circuit by solar cell
US10637356B2 (en) Multiple-level buck boost converter control
JP5405299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consuming device
CN110143111B (en)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power supply circuit, vehicle-mounted electric control device and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JP2011077698A (en) Load driving device
TW201642541A (en) Inrush current protection circuit
JP2009077501A (en) Charge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ATE385924T1 (en) HYBRID DRI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YBRID DRIVE SYSTEM
JP2003224979A5 (en)
JP2009284615A (en) Charging circuit
JP2017093110A (en) Switching Regulator Circuit
WO2018147102A1 (en) Switch control device
TWI438601B (en) Bandgap circuit and start circui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