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084B1 -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9084B1 KR102129084B1 KR1020180059315A KR20180059315A KR102129084B1 KR 102129084 B1 KR102129084 B1 KR 102129084B1 KR 1020180059315 A KR1020180059315 A KR 1020180059315A KR 20180059315 A KR20180059315 A KR 20180059315A KR 102129084 B1 KR102129084 B1 KR 102129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h
- diterpenoid
- aconine
- aconin
- monoes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22—Bridged r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4—Aconitum (monksh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 가공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유의 공정 방법에 의하면, 특정 성분의 추출 및 성분별 특정 화학반응 유도의 번거로운 공정이 없이도, 부자 또는 천오가 그 건조 원형(약재 원형)으로서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성분을 거의 완전한 수준으로 아코닌으로 변환(전환)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수치방법으로 알려진 것들이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를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특히, 벤조일아코닌)으로 전환하는데 까지만 유효하였던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벤조일아코닌보다 약리 및 안전성 면에서 우수한 아코닌이 고함유된 부자 또는 천오(가공품)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ester-diterpenoid alkaloid)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monoester-diterpenoid alkaloid)의 아코닌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 가공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진범, 놋젓가락나물, 오두, 투구꽃 등 약 20~30종의 바곳속 식물들이 분포되며 이들이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종의 바곳속 식물들로부터 채취된 생약재들은 채취부위, 채취 후 처리 방법 등에 따라 예로부터 서로 다른 명칭을 지니는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재로서, 일례로 놋젓가락나물(Aconitum ciliare Decaisne)의 덩이뿌리를 사용하여 만든 약재인 초오는, 예로부터 두통, 복통, 종기, 반신불수, 인사불성, 구안와사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오두(Aconitum carmichaeli Debeaux)의 뿌리를 사용하여 만든 약재로서 부자 및 천오가 있는데, 오두의 자근(子根)을 부자라고하고 모근(母根)을 천오라고 한다. 상기 부자 및 천오는 심장근육수축, 혈압상승, 항염, 진통, 항한랭작용, 면역증강작용, 뇌하수체 및 부신피질 흥분작용, 혈당강하작용 등이 알려졌다. 이러한 다양한 약재들은 독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각 약재들별로 이러한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여러 수단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일례로 부자 또는 천오에는 약리학적으로 독성이 강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ester-diterpenoid alkaloids)인 하이파코니틴(hypaconitine), 아코니틴(aconitine), 메사코니틴(mesaconitine), 제사코니틴(jesaconitine) 등이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기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물질들은 독성이 강하여 극심한 부정맥이나 서맥을 일으키는 등 심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hn SY. et al., J. Int. Korean Med. 36: 258-469, 2015). 특히, 부자와 천오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순수한 아코니틴은 0.2 mg만 복용하여도 심각한 중독증상을 나타내며 아코니틴의 양이 3~4 mg 이상일 경우에는 사망할 수도 있다고 하며(Hyun SC. et. al., J. Korean Soc. Energ. Med. 8: 434-440, 1997), 인간에 있어서 최소 치사량은 1.2 ~ 2.0 mg 인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WS. et. al., Korean Circ. J. 30: 855-860, 2000). 주요한 중독증상의 임상양상으로는 사지의 마비감 및 입술 주위의 감각 이상 등의 신경계 증상과 오심과 구토 등의 소화기계 증상, 심실기외수축, 심실세동, 심실빈맥 등의 심부정맥과 혈압강하의 순환기계 증상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일시적인 것으로 자연 소실되나 드물게는 심실세동을 초래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Tai YT. et. al., Lancet. 340: 1254-1256, 1992).
이러한 독성에도 불구하고, 예로부터 부자는 항염, 진통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Chang HM. and But PPH. Pharmacology and Application of Chinese materia Medica. World Scientific, Singapore, 668-673, 1987).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오두 뿌리(부자 및 천오)를 자연건조하여 그대로 약재로 이용하기 보다는, 장시간 염수에 침적하거나, 가열처리하는 등의 수치(법제) 과정을 거쳐 독성을 감소시킨 염부자(鹽付子) 또는 포부자 등이 사용되어왔으나, 이들 종래의 방법은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감독화의 정도에 많은 차이가 있어(즉, 고독성 물질이 여전히 잔존하여)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다시말해서, 현재까지 바곳속 식물을 이용한 개별 약재의 물성 등의 특성에 따라서 각 약재들별로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차이를 보이며 여러 수단이 사용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부자로부터 유용약리성분(아코닌)의 고함량화와 무독화를 동시에 달성한 기술은 보고된 바 없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 바곳속 식물의 근경을 장시간 소금물에 침적시키거나, 가열 처리를 통한 수치(修治) 과정을 통하여 독성을 감소시킨 염부자(鹽付子) 또는 포부자 등을 이용하여 왔지만, 독성 제거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1990-021395호로 출원된 '부자류의 수치 방법'에 제안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부자류의 독성물질을 가수 분해시키는 방법은 독성 물질이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많은 양의 독성 물질(아코니틴, 메사코니틴, 벤조일아코닌)을 함유하고 있어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1969-000168호로 출원된 '아코닌의 제조 방법'에 제안된 방법은 강 암모니아수와 초산 용액 등과 같은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독성 물질을 감소시키나 이 역시 독성물질이 잔류하여 무독화를 달성하지는 못하였으며, 뿐만아니라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는 생약재 1kg으로부터 1.4g의 아코닌류를 수득할 수 있을 뿐이었다.
특히 기존에 부자 및 천오 약재의 법제(또는 수치) 방법들은 단순히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ex. 아코니틴) 성분을 제거하여 저독화 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이들 대부분의 방법들이 실질적으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을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ex. 벤조일아코닌) 성분으로 전환하는데 까지만 유효하였다. 실제로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수재생약 공정서에 따르면, 정제부자 또는 가공부자는 오두(烏頭)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를 가공 정제한 것으로 정의하며, 이 약은 아코니틴, 메사코니틴, 제사코니틴 등을 분해시키어 벤조일아코닌 등으로 독성을 감소시킨 것으로서, 총 알칼로이드(벤조일아코닌: C32H45O10N : 502.12) 0.33 % 이상을 함유한 가루로서 기재하여, 아직까지 부자의 법제(수치)는 벤조일아코닌 성분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 고압증기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진 日本標準商品分類番875900 등의 상품들에는 벤조일아코닌이 1.2%까지 포함되고 있고, 이외에도 메사코니틴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2010年2月(改訂第2版),醫藥品インタビュ-フォ-ム).
모노에스터-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monoester-diterpenoid alkaloids)인 벤조일아코닌은 아코니틴에 비하여 그 독성이 1/100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진 반면, 가수분해의 최종산물인 아코닌은 아코니틴에 비하여 그 독성이 1/1,000 ~ 1/2,000로 낮으며 약리적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보다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일례로 Kentaro Wada 등은 ICR 마우스에서 i.v.(intravenous)의한 LD50(반수치사량)이 아코니틴이 0.12 mg/kg, 벤조일아코닌이 23mg/kg, 아코닌이 120 mg/kg 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K. Wada, M. Nihira, H. Hayakawa, Y. Tomita, M. Hayashida, Y. Ohno. Effects of long-term administrations of aconitine on electrocardiogram and tissue concentrations of aconitine and its metabolites in mice. Forensic Sci. Int. 2005, 148, 21.), THOMAS Y.K. CHAN에 의하면 벤조일아코닌은 아코니틴보다 작은 독성을 가지며(less toxic), 아코닌은 무독성(non-toxic)한 것으로 보고한바 있다(THOMAS Y.K. CHAN, Aconite poisoning, Clinical Toxicology (2009) 47, 279285). 이처럼 아코닌은 안전성 측면에서 보다 탁월하고 약리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약재 상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약재의 원형을 유지하며 아코닌을 고함량화 가공하는 연구 및 보고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한약"이란 동물,식물 또는 광물에서 채취된 것으로 주로 원형대로 건조, 절단 또는 정제된 생약(生藥)을 말한다(약사법 제2조 제5항). 정제 한약재의 제조에 있어서, 공산품의 형태로 가공 및 유통되는 의약품과 달리 대부분의 한약재가 원형 상태에서 건조 및 절단되어 유통되는 방식에 의존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한다. 이는 기존에 특정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원료에 대하여 특정 성분 선택적으로 추출물을 제조 및 분획하고 추출물 중 목적 성분에 대해서만 임의의 특정 화학반응을 일으키도록하여 제조되는 단일성분 의약품들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제(가공) 한약재의 제조방법에는 한약재를 이루는 조직의 물성, 성분간 균형 및 목적 성분의 고함유화 등을 고려하여 고도의 정밀한 제조조건 및 특이성을 요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자 및 천오의 무독화 뿐만아니라 유효성분으로서 아코닌을 고함량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유의 공정에 의하면 특정 성분의 추출 및 성분별 특정 화학반응 유도의 번거로운 공정이 없이 뿌리 채로 부자 및 천오가 그 건조 원형(약재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을 거의 완전히 아코닌으로 변환(전환)하고 완전한 제독(除毒)을 동시에 달성 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ester-diterpenoid alkaloid)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monoester-diterpenoid alkaloid)의 아코닌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가공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ester-diterpenoid alkaloid)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monoester-diterpenoid alkaloid)의 아코닌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가공품)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 전반에 걸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 또는 조건들이 범위 형식으로 제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값의 기재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해당 경계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즉, 하한값 이상 내지 상한값 이하의 값을들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범위 형식의 서술은 단순히 편의성 및 간략성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융통성 없는 제한 (inflexible limitation)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서술은 상기 범위 내의 개별적인 수치값들 뿐만 아니라 모든 가능한 하부범위(subrange)를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5와 같은 범위의 서술은 상기 범위 내의 개별적 수치들, 예를 들어, 1, 2, 2.7, 3, 3.5, 4.3 및 5 뿐만 아니라, 1 내지 3, 1 내지 4, 2 내지 5, 2 내지 3, 2 내지 4, 3 내지 4 등과 같은 하부범위들을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과 무관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ester-diterpenoid alkaloid)'는 아코니틴으로 대표되는 화합물과 공통의 구조 및/또는 성질(독성)을 공유하는 화합물들의 군으로서 아코니틴계 알칼로이드(aconitine-type alkaloids) 또는 아코니틴 유도체(aconitine derivatives)로 칭할 수 있으며. 오두(Aconitum carmichaeli Debeaux)에 포함된 것이라면 그 구체적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아코니틴(aconitine), 하이파코니틴(hypaconitine), 메사코니틴(mesaconitine), 또는 제사코니틴(jesaconitin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monoester-diterpenoid alkaloid)'는 상기 아코니틴으로부터 아세틸기가 떨어져나온 형태인 벤조일아코닌으로 대표되는 화합물과 공통의 구조 및/또는 성질(독성)을 공유하는 화합물들의 군으로서 벤조일아코닌계 알칼로이드(benzoylaconine-type alkaloids) 또는 벤조일아코닌 유도체(benzoylaconine derivatives)로 칭할 수 있으며, 오두(Aconitum carmichaeli Debeaux)에 포함된 것이라면 그 구체적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벤조일아코닌(benzoylaconine), 벤조일메사코닌(benzoylmesaconine), 벤조일하이파코닌(benzoylhypaconine) 또는 벤조일 제사코닌(benzoyljesaconin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아코닌’은 바람직하게 아코닌계(류) 화합물로서 이해된다. 즉, 상기 벤조일아코닌으로부터 벤조일기(benzoyl group)가 떨어져 나온 형태인 무독성의 아코닌으로 대표되는 화합물과 공통의 구조 및/또는 성질(약리활성)을 공유하는 화합물들의 군으로, 아코닌에 준하는 무독성의 화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아코닌(aconine), 메사코닌(mesaconine), 하이파코닌(hypaconine) 또는 제사코닌(jesaconin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가공품)의 제조방법을 이하에서 단계별로 설명한다.
(a) 단계에서는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킨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부자'는 오두(Aconitum carmichaeli Debeaux)의 자근(子根)을 의미하며, '천오'는 오두의 모근(母根)을 의미한다.
상기 부자 또는 천오는 이의 채집 시 원형을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거나 당업자가 의도하는 공정 속도 및 공정(제조) 효율을 고려하여 임의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건조, 세절 또는 분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부자 또는 천오는 건조한 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례로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탄산염 화합물은 탄산염 자체 및 상기 탄산염의 유도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공지의 탄산염 화합물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탄산염 화합물 중 탄산염은 바람직하게 물에 녹아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탄산염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탄산염 화합물 중 탄산염은 탄산칼륨(K2CO3), 탄산나트륨(Na2CO3), 탄산수소칼륨(KHCO3)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탄산염 화합물은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다.
기존에 부자 수치(법제)에 염수(특히 소금물(NaCl 수용액)), 단순히 염기(알칼리)성 물질을 바곳속 식물의 가공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무독한 수준으로 제독을 이룰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아코닌을 고수득 할 수도 없었다. 이러한 기존 기술에 반하여, 본원 발명은 특이적으로 탄산염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후술하는 본원 발명 특유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공정(즉, (b) 단계의 공정)을 특징으로하여 한약재로서의 적절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완벽한 제독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으로서 아코닌을 고수득(고함량)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과는 다른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a) 단계에서 탄산염 화합물은 부자 또는 천오 중량 대비 탄산염이 1%(w/w) 내지 5%(w/w)비율이 되도록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산염 화합물은 부자 또는 천오 중량 대비 탄산염이 2%(w/w) 내지 4%(w/w)비율이 되도록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탄산염의 중량비는 상기 탄산염 화합물 중 탄산염 부분의 몰 비율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염의 중량비는 탄산염 화합물 중에서 탄산염 부분만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탄산염 투입량이 부자 또는 천오 중량 대비 1%(w/w) 미만이면 거의 완전히 (99% 이상, 바람직하게는 99.9%이상) 아코닌으로 변환이 되지 않고 일부의 모노에스터 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특히 벤조일아코닌)가 잔존하게 되며, 5%(w/w) 초과이면 아코닌 변환 반응에 사용되고 남은 과량의 탄산염 성분으로 인해 전체적인 반응성 및 제조품 물성이 좋지 않게 된다.
상기 부자 또는 천오 중량 대비 탄산염 중량 비율의 범위에는 구체적으로,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1.45, 1.50, 1.55, 1.60, 1.65, 1.70, 1.75, 1.80, 1.85, 1.90, 1.95, 2.00, 2.05, 2.10, 2.15, 2.20, 2.25, 2.30, 2.35, 2.40, 2.45, 2.50, 2.55, 2.60, 2.65, 2.70, 2.75, 2.80, 2.85, 2.90, 2.95, 3.00, 3.05, 3.10, 3.15, 3.20, 3.25, 3.30, 3.35, 3.40, 3.45, 3.50, 3.55, 3.60, 3.65, 3.70, 3.75, 3.80, 3.85, 3.90, 3.95, 4.00, 4.05, 4.10, 4.15, 4.20, 4.25, 4.30, 4.35, 4.40, 4.45, 4.50, 4.55, 4.60, 4.65, 4.70, 4.75, 4.80, 4.85, 4.90, 4.95 및 5.00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개 숫자를 경계값으로 하는 범위의 값을 모두 포함한다(단위는 %(w/w)). 일례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중량 비율 중 구체적으로 2.00 및 4.50의 경계값이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2.00%(w/w) 내지 4.50%(w/w) 범위 즉, 2.00%(w/w) 이상 내지 4.50%(w/w) 이하의 범위에 있는 모든 값들이 본원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산염 화합물 용액의 흡수는 부자 또는 천오를 상기 탄산염 화합물 용액에 혼합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당업자가 혼합 시간 및 용액 온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공지의 혼합 수단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드럼믹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시간은 2 내지 3 시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시간 일 수 있다. 2 시간 미만으로 혼합시키는 경우에는 흡수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3시간을 초과하면 부자 및 천오의 성상이 물러지며 약재원형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면에서 좋지 않다. 또한 일례로 상기 탄산염 화합물 용액 온도는 15 내지 3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일 수 있다. 15℃ 미만의 온도에서는 흡수 효율이 좋지 않으며, 30℃ 초과의 온도에서는 원료의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탄산염 화합물 용액을 흡수시킨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용기는 아코닌 변환(전환) 반응을 유도하고자 하는 임의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 기구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자 또는 천오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고온 및 고압의 조건을 형성하는 임의의 장치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압력은 2.0 bar 내지 3.0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2.0 bar 내지 2.5 bar로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 bar로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2.0 bar 미만의 압력에서는 아코닌으로 전량 변환이 되지 않고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들이 잔류한다는 면에서 좋지 못하고, 3.0 bar 를 초과하면 고압으로 인하여 폭발의 위험으로 안전성 면에서 좋지 못하다.
상기 (b) 단계에서 가압, 가열 과정 중에 반응용기 내의 기체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는 1회 또는 2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반응 용기내에 발생된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상기 배출은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10회 기체 배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러한 기체 배출 공정을 포함시킴으로서 아코닌 수득률을 현저히 높히고 완전한 제독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4회 기체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경제적인 공정 효율면에서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기체 배출은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이 0.5 bar 내지 1.5 bar로 될 때까지 빼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이 상압(normal pressure)으로 될 때까지 빼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만족하는 한 기체 배출 시간 및 배출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반응용기 내부의 기포 발생양에 따라서 배출 횟수 및 배출시간 등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체 배출 공정은 통상 1회당 30분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상압’은 특별히 압력을 줄이거나 높이지 않을 때의 압력으로 보통의 대기압과 같은 정도의 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0.9 내지 1.1 기압(0.911925 bar 내지 1.114575 bar)의 압력일 수 있다.
상기 기체 배출 후에는 다시 전술한 압력범위로 가압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는 온도가 100℃ 내지 150℃가 되도록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105℃ 내지 130℃로 가열하는 것 일 수 있다. 100℃ 미만의 온도에서는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아코닌 변환이 되지 않는다는 면에서 좋지 못하고, 150℃를 초과하면 폭발의 위험으로 안전성 면에서 좋지 못하다.
상기 (b) 단계에서 가압 및 가열은 30 내지 60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시간 일 수 있다. 30 시간 미만으로 가열 및 가압시키는 경우에는 아코닌으로 전량 변환이 되지 않고 모노에스터-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특히, 벤조일아코닌)가 잔류한다는 면에서 좋지 않으며, 60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정 효율이 나쁘다.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임의의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냉각, 동결, 건조, 세절 또는 분쇄 등의 추가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b) 단계 이후에 건조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당업계에 알려진 식물체 건조법이라면 그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동결건조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가 거의 완전한 수준으로 아코닌으로 전환되고 완전한 제독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한약재로서 부자 또는 천오의 물성이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는 종래의 수치방법들이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를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특히, 벤조일아코닌)으로 전환하는데 까지만 유효하였고, 또한 기존 수치방법에 의하여 제조공정 중에 유효성분(아코닌)을 다량 소실하였던 것과 대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은,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의 95%(w/w) 내지 99.9999%(w/w) 정도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7%(w/w) 내지 99.9% 정도를 아코닌(아코닌계 화합물)으로 전환하여 그 전환 효율성이 기존 공지의 방법과는 현저하게 상승된 특징이 있고, 뿐만아니라 이러한 효율은 기존 수치(또는 법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공 과정에서 유효성분이 다량 소실되어 실질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아코닌량(또는 함량)이 적었던 것과는 대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본원 발명의 방법에 따른 법제 부자를 제조하고 이에 포함된 알칼로이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원재료에 포함된 성분과 비교분석하였다(표 4 참조). 원료로서 건조 생부자에는 통상 아코니틴, 메사코니틴, 하이파코니틴, 벤조일아코닌, 벤조일 메사코닌 및 벤조일 하이파코닌(이들은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에 해당)이 총 약 1.455 mg/g 수준으로 포함되어있고 아코닌계 화합물(아코닌, 메사코닌 및 하이파코닌)이 총 약 0.026 mg/g 수준으로 포함되어있는 것과 대비하여, 본원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법제 부자에는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은 검출되지 않고 아코닌계 화합물이 총 약 2.327 mg/g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생부자에 포함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의 총합보다, 본 발명의 법제 부자에서 아코닌계 화합물의 총량의 수치가 현저히 큰 것을 고려하면, 이는 측정 대상으로 한 주요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들이 거의 완전한 수준으로 아코닌계 화합물로 전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측정 대상으로 한 화합물 이외에도 이와 관련된 다른 성분들이 아코닌계 화합물로 변환된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본원 발명의 아코닌 전환 효과가 시중에 유통되는 다른 법제 부자 또는 천오와 비교하여 독보적으로 우수한 효과임을 보여주었다(표 4 및 표 5 참조)
따라서 본원 발명의 상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한약재가 식물체 상태에서 건조 및 절단되어 유통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정제 한약재가 안전성이 높은 특정 활성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며 그 건조 원형을 유지하며 유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이는 기존에 특정 화합물을 고농도로 수득하기 위하여 원료에 대하여 특정 성분 선택적으로 추출물을 제조 및 분획하고 추출물 중 목적 성분에 대해서만 임의의 특정 화학반응을 일으키도록 하여 타블렛 등의 형태로 제조되는 단일성분 의약품과는 대비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상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를 제공한다.
상기 부자 또는 천오는 상기 (b) 단계의 가공을 마친 후의 가공 원형 상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건조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가공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공품 형태로는 일례로 상기 건조 원형을 세절, 분쇄, 분말화, 추출, 농축, 과립화, 또는 타블렛(tablet)화 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유의 공정 방법에 의하면, 특정 성분의 추출 및 성분별 특정 화학반응 유도의 번거로운 공정이 없이도, 부자 또는 천오가 그 건조 원형(약재 원형)으로서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성분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아코닌으로 변환(전환)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수치방법으로 알려진 것들이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를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특히, 벤조일아코닌)으로 전환하는데 까지만 유효하였던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벤조일아코닌보다 약리 및 안전성 면에서 우수한 아코닌이 고함유된 부자 또는 천오(가공품)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아코닌
고(高)수득
공정의 수립
기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부자의 수치(법제)에는 단순 가열, 또는 고온고압처리(즉, 고압증기에서 찜)하는 방법이 알려졌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어 제공되는 상품들에는 여전히 벤조일아코닌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있어 독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한약재로서 부자 및 천오의 물성 보존을 전제로 하고 이들의 무독화 및 아코닌 고(高)수득의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본원 발명 특유의 공정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후술하는 몇가지 대표적 제조예를 통해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실험예 및 비교예들은, 본 발명 특유의 공정에 따른 효과가 기존의 통상적인 법제기술로 부터는 예측하기 어려운 특별한 효과임을 뒷받침한다.
[
비교예
1]
건조 부자를 SI 한방으로부터 구입하였다(이하, 동일). 부자 1 kg 당 정제수 0.5 L를 부어 주고 충분히 뒤섞어 준 후, 250 L 압력용기(대우사 / 전기약탕기 G008)에 정제수 10 ~ 15 L를 부어주고 상기 부자를 넣어주었다. 압력용기 뚜껑을 닫고 105℃ ~ 115℃로 가열하였으며, 압력이 2.5 bar에 다다르는 시점으로부터 48 시간동안 가압 및 가열을 유지하였다. 가열시간 동안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를 1회 내지 2회 제거해주었다.
[
비교예
2]
부자 1 kg 당 탄산수소나트륨 45 g을 0.5 L의 정제수에 충분히 녹여 부자에 처리하고 충분히 뒤섞어주었다(흡수). 250 L 압력용기에 정제수 10 ~ 15 L를 부어주고, 상기 부자를 넣어주었다. 압력용기 뚜껑을 닫고 105℃ ~ 115℃로 가열하였으며, 압력이 2.5 bar에 다다르는 시점으로부터 가압 및 가열을 유지하였다. 단, 가열시간 동안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지 않은 관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 의도한 압력조건 보다 높게 압력이 급격히 상승되면 중간에 법제를 강제종료 시켜 48시간 이하로 가압 및 가열되었다.
[
비교예
3]
부자 1 kg 당 탄산수소나트륨 45 g을 0.5 L의 정제수에 충분히 녹여 부자에 처리하고 충분히 뒤섞어주었다(흡수). 250 L 압력용기에 정제수 10 ~ 15 L를 부어주고, 상기 부자를 넣어주었다. 압력용기 뚜껑을 닫고 105℃ ~ 115℃로 가열하였으며, 압력이 1.0 bar에 다다르는 시점으로부터 48 시간동안 가압 및 가열을 유지하였다. 가열시간 동안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를 1회 내지 2회 제거해주었다.
[
비교예
4]
압력용기의 압력 조건을 1.5 bar로 해준 것 이외에, 나머지 공정은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
비교예
5]
부자 1 kg 당 탄산수소나트륨 45 g을 0.5 L의 정제수에 충분히 녹여 부자에 처리하고 충분히 뒤섞어주었다(흡수). 250 L 압력용기에 정제수 10 ~ 15 L를 부어주고, 상기 부자를 넣어주었다. 압력용기 뚜껑을 닫고 105℃ ~ 115℃로 가열하였으며, 압력이 2.5 bar에 다다르는 시점으로부터 12시간 동안 가압 및 가열을 유지하였다. 가열시간 동안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를 1회 내지 2회 제거해주었다.
[
비교예
6]
압력용기에서 가압 및 가열 유지 시간을 48시간으로 해준 것 이외에, 나머지 공정은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
제조예
1]
부자 1 kg 당 탄산수소나트륨 45 g을 0.5 L의 정제수에 충분히 녹여 부자에 처리하고 충분히 뒤섞어주었다(흡수). 250 L 압력용기에 정제수 10 ~ 15 L를 부어주고, 상기 부자를 넣어주었다. 압력용기 뚜껑을 닫고 105℃ ~ 115℃로 가열하였으며, 압력이 2.5 bar에 다다르는 시점으로부터 48 시간동안 가압 및 가열을 유지하였다. 가열시간 동안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를 1회 내지 2회 제거해주었다.
상기 비교예들 및 제조예 1의 법제 공정을 종합적으로 요약비교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샘플 | 온도 (Temp. ℃) |
압력(Bar) | 시간(Hour) | 탄산염 처리 | 이산화탄소 |
비교예 1 | 105~115 | 2.5 | 48 | 미처리 | 배출 |
비교예 2 | 105~115 | 2.5 | 48 이하 | 처리 | 미배출 |
비교예 3 | 105~115 | 1.0 | 48 | 처리 | 배출 |
비교예 4 | 105~115 | 1.5 | 48 | 처리 | 배출 |
비교예 5 | 105~115 | 2.5 | 12 | 처리 | 배출 |
비교예 6 | 105~115 | 2.5 | 24 | 처리 | 배출 |
제조예 1 | 105~115 | 2.5 | 48 | 처리 | 배출 |
<
실험예
1>
법제
공정 별
알칼로이드 정량분석 결과 비교
상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부자 법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부자 법제품에 대하여, 알칼로이드 성분에 대한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아코니틴),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벤조일아코닌), 및 유효성분으로서 아코닌의 함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성분 정량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상기 비교예 및 제조예의 부자 법제품들을 미쇄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355 ㎛ 시험용 체에 걸러 분쇄시료 상태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분쇄시료 100 mg에 0.1% FA를 함유하는 50% EtOH 20 mL를 넣어 60분간 초음파로 추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고 필터링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표준액으로서, 표준품인 aconitine(Medchemexpress 社), benzoylaconine(Medchemexpress 社), aconine(Adooq 社)을 각각 1 mg 씩을 정밀하게 달아 각각 5 mL volumetric flask에 넣고 메탄올에 녹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시료와 표준액을 이용하여 ㈜캐머노니아 기업부설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UPLC-MS/MS을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 분석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각 표준품을 3-4 point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R2 값이 0.999 이상의 값을 가짐으로서 분석법에 대한 직선성이 확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UPLC-MS/MS를 통하여 각 실시예 및 대조군들의 성분 분석이 수행되었다.
샘플 | 아코니틴 (mg/g) |
벤조일아코닌 (mg/g) |
아코닌 (mg/g) |
비교예 1 | 0.011 | 0.591 | 0.218 |
비교예 2 | 미검출 | 0.092 | 0.290 |
비교예 3 | 미검출 | 0.023 | 0.307 |
비교예 4 | 미검출 | 0.032 | 0.369 |
비교예 5 | 미검출 | 0.090 | 0.318 |
비교예 6 | 미검출 | 0.030 | 0.278 |
제조예 1 | 미검출 | 미검출 | 0.542 |
상기 비교예 및 제조예들에 대하여 아코니틴, 벤조일아코닌 및 아코닌의 정량분석을 행한 결과는 상기 표 3 과 같다. 탄산수소나트륨을 섞지 않은 채로 법제한 부자(비교예 1)에서는 법제가 완벽히 진행되지 않은 채 아코니틴 및 벤조일아코닌이 검출되었다. 비교예 2와 같이, 법제공정 중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아코니틴은 제거가 되었으나 벤조일아코닌이 여전히 댜량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1.0 bar 또는 1.5 bar의 상이한 압력 조건으로 동일한 가열시간 동안 법제를 수행한 시험결과인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샘플 모두 아코니틴은 제거하였으나 벤조일아코닌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는 벤조일아코닌의 함량이 현저히 저감되었고 아코닌 함량이 향상되었는데, 이로부터 반응용기(압력용기) 내의 기체(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공정특징인 것으로 사료되었고, 이러한 공정은 비교예 1 등과 비교할 때 단순한 압력조건의 증가 및 감소로는 설명되기 어려운 현저한 특유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공정 효율상, 법제과정 중에 충분한 압력이 가하여지지 않은 채로 법제할 경우 벤조일아코닌까지 제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후속적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2.0bar 이상의 압력 조건이 필요로함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2.5 bar의 압력에서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법제를 수행한 시험결과인 비교예 5(12시간 가열) 및 비교예 6(24시간 가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샘플 모두 아코니틴은 제거가 되었으나 벤조일아코닌이 여전히 검출되었다. 법제과정 중 24시간 이상 가열하지 않을 경우에는 벤조일아코닌까지는 제거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후속적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30 시간 이상의 가열시간이 필요로 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들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법제한 샘플인 제조예 1에서는 아코니틴 및 벤조일아코닌이 완벽하게 제거가 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뿐만아니라 아코닌이 고함량으로 포함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로서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을 개시한다.
[
제조예
2]
아코닌
고함량
법제 부자
건조 부자를 SI 한방으로부터 구입하였다. 135g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1.5 L의 물에 용해시킨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용액에 건조 상태의 부자 3kg을 넣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드럼믹서기((주)케이지엠 / KG-105)를 이용하여 혼합침지 시키며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부자 원료에 흡수시켰다. 그 후, 압력용기(대우사 / 전기약탕기 G008)에 부자 원료의 중량 대비 10~20% 양에 해당하는 물을 채웠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흡수된 원료를 부직포 자루에 넣어 용기에 투입하였다. 그 후, 압력 2.5 bar 조건에서 120℃로 4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시간 동안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를 1회 내지 2회 제거해주었다. 48시간 후,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반응을 종료한 뒤, 부자를 꺼내어 전체 수분함량이 총 중량의 5 ~ 10% 미만이 될 때까지 냉풍건조 하였다.
[
제조예
3]
아코닌
고함량
법제 천오
건조 천오를 SI 한방으로부터 구입하여,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천오를 가공하였다.
<
실험예
2>
기존 법제부자 제품들과의 성분 비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 가공품(제조예 2)의 성분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국내 시중에 유통 중인 각 한약회사의 법제부자 제품인 O 회사 경포무염부자 제품, O 회사 소문학회 부자, N 회사 법제부자 제품, H 사 법제부자 제품과 건조 생부자(SI 한방)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아코니틴, 메사코니틴, 하이파코니틴),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벤조일아코닌, 벤조일메사코닌, 벤조일하이파코닌), 히게나민 및 유효성분으로서 아코닌계 화합물의 함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성분별 정량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각각의 부자 법제품과 건조 생부자는 미쇄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355 ㎛ 시험용 체에 걸러 분쇄시료 상태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분쇄 시료 100 mg에 0.1% FA를 함유하는 50% EtOH 20 mL를 넣어 60분간 초음파로 추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고 필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표준액으로서, 표준품인 aconitine(Medchemexpress 社), mesaconitine(Medchemexpress 社), hypaconitine(Adooq 社), benzoylaconine(Medchemexpress 社), benzoylmesaconine(APExBIO 社), benzoylhypaconine(APExBIO 社), aconine(Adooq 社), mesaconine(Chemnorm 社), hypaconine(Chemnorm 社), higenamine(BOC science 社)을 각각 1 mg 씩을 정밀하게 달아 각각 5 mL volumetric flask에 넣고 메탄올에 녹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시료와 표준액을 이용하여 ㈜캐머노니아 기업부설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UPLC-MS/MS을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 분석 조건은 상기 표 2와 같다.
각 표준품을 3-4 point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R2 값이 0.999 이상의 값을 가짐으로서 분석법에 대한 직선성이 확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UPLC-MS/MS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대조군들의 성분 분석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중에 유통중인 법제 부자 제품들은 맹독성 성분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아코니틴, 메사코니틴, 하이파코니틴),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벤조일아코닌, 벤조일메사코닌, 벤조일하이파코닌)가 검출되었다. 특히 N 회사와 H 회사 법제부자의 경우, 다른 타 회사에서 검출되지 않은 아코니틴도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제조예 2의 법제부자는 아코닌이 고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회사의 아코닌 함량에 비하여 14 ~ 33 배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아니라 유용성분으로서 메사코닌, 하이파코닌 역시 타 회사의 법제부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에 독성 성분으로 알려진 아코니틴, 메사코니틴 및 하이파코니틴의 아코니틴계 화합물과 벤조일아코닌, 벤조일메사코닌, 벤조일하이파코닌은 검출되지 않아 완전한 제독(除毒)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부자가 그 건조 약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에 포함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들을 거의 완전한 수준으로 아코닌(아코닌계 화합물)으로 변환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기존
법제천오
제품들과의 성분 비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천오 가공품(제조예 3)의 성분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국내 시중에 유통 중인 각 한약회사의 법제천오 제품인 G 회사 경포무염부자 제품, N 회사 법제천오, K 회사 법제천오 제품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아코니틴, 메사코니틴, 하이파코니틴),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벤조일아코닌, 벤조일메사코닌, 벤조일하이파코닌) 및 유효성분으로서 아코닌계 화합물의 함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성분별 정량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각각의 천오 법제품을 미쇄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355 ㎛ 시험용체에 걸러 분쇄시료 상태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분쇄시료 100 mg에 0.1% FA를 함유하는 50% EtOH 20 mL를 넣어 60분간 초음파로 추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고 필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표준액으로서, 표준품인 aconitine(Medchemexpress 社), mesaconitine(Medchemexpress 社), hypaconitine(Adooq 社), benzoylaconine(Medchemexpress 社), benzoylmesaconine(APExBIO 社), benzoylhypaconine(APExBIO 社), aconine(Adooq 社), mesaconine(Chemnorm 社), hypaconine(Chemnorm 社), higenamine(BOC science 社)을 각각 1 mg 씩을 정밀하게 달아 각각 5 mL volumetric flask에 넣고 메탄올에 녹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시료와 표준액을 이용하여 ㈜캐머노니아 기업부설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UPLC-MS/MS을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 분석 조건은 상기 표 2과 같다.
각 표준품을 3-4 point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R2 값이 0.999 이상의 값을 가짐으로서 분석법에 대한 직선성이 확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UPLC-MS/MS를 통하여 제조예 및 대조군들의 성분 분석이 수행되었다.
정량분석 결과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중에 유통 중인 각 한약회사들의 법제천오 제품은 맹독성 성분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아코니틴, 메사코니틴, 하이파코니틴),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벤조일아코닌, 벤조일메사코닌, 벤조일하이파코닌)가 모두 검출되었다. 이로서 기존의 법제방법으로는 독성성분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들을 완벽하게 제독(除毒)하지 못하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제조예 3의 법제천오는 아코닌이 고함량으로 포함되어있으며, 타 회사의 아코닌 함량에 비하여 약 25배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아니라 유용성분으로서 메사코닌, 하이파코닌 역시 타 회사의 법제천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제조예 2의 법제부자와 동일하게 상기 제조예 3의 법제 천오도 기존에 맹독성 성분으로 알려진 아코니틴, 메사코니틴 및 하이파코니틴의 아코니틴계 화합물과 벤조일아코닌, 벤조일메사코닌, 벤조일하이파코닌은 검출되지 않아 완전한 제독(除毒)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법제부자와 법제천오는 그 건조 약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가공 전 원물에 포함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들이 유의적으로 100%의 효율로 아코닌(아코닌계 화합물)으로 변환 및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법제방법으로 법제한 제품들은 맹독성 성분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들을 완벽하게 제독(除毒)하지 못한 채 시중에 유통 중인 것으로 확인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독보적인 아코닌 전환 및 아코닌 고수득 기술임을 확인하였고 안정성 측면에서도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유의 공정 방법에 의하면, 특정 성분의 추출 및 성분별 특정 화학반응 유도의 번거로운 공정이 없이도, 부자 또는 천오가 그 건조 원형(약재 원형)으로서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성분을 거의 100% 수준으로 아코닌으로 변환(전환)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수치방법으로 알려진 것들이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를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성분(특히, 벤조일아코닌)으로 전환하는데 까지만 유효하였던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벤조일아코닌보다 약리 및 안전성 면에서 우수한 아코닌이 고함유된 부자 또는 천오(가공품)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8)
-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부자 또는 천오 중량 대비 탄산염이 1%(w/w) 내지 5%(w/w) 비율이 되도록 투입하여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5℃ 내지 115℃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ester-diterpenoid alkaloid)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monoester-diterpenoid alkaloid)의 아코닌 전환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압력은 2.0 bar 내지 2.5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30 내지 60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a) 부자 또는 천오에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부자 또는 천오 중량 대비 탄산염이 1%(w/w) 내지 5%(w/w) 비율이 되도록 투입하여 흡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처리 후의 부자 또는 천오를 반응용기 내에서 2.0 bar 내지 3.0 bar의 압력을 가하며 10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의 제조방법.
- 제7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코닌 고함량 부자 또는 천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06907 WO2018236125A1 (ko) | 2017-06-20 | 2018-06-19 |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78212 | 2017-06-20 | ||
KR1020170078212 | 2017-06-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8132A KR20180138132A (ko) | 2018-12-28 |
KR102129084B1 true KR102129084B1 (ko) | 2020-07-01 |
Family
ID=6500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9315A KR102129084B1 (ko) | 2017-06-20 | 2018-05-24 |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90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5278B1 (ko) * | 2018-05-24 | 2021-04-27 | 정희태 | 초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를 아코닌으로 고효율로 전환하는 방법 |
CN116370470A (zh) * | 2023-01-18 | 2023-07-04 | 昆明市宇斯药业有限责任公司 | 一种雪上一枝蒿双酯型二萜生物碱组合物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3847A (ko) * | 1991-08-12 | 1993-03-22 | 송부기 | 인스턴트 훈제 꿩고기 제조방법 |
KR20000031140A (ko) * | 1998-11-03 | 2000-06-05 | 장면주 | 부자류의 독성 물질 제거 방법 |
KR20030037511A (ko) * | 2001-11-06 | 2003-05-14 | 장면주 | 부자류의 독성 물질 제거 방법 |
-
2018
- 2018-05-24 KR KR1020180059315A patent/KR102129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8132A (ko) | 2018-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Vinatoru et al. | Ultrasonically assisted extraction of bioactive principles from plants and their constituents | |
KR102129084B1 (ko) |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 | |
JPH03151315A (ja) | アロエ水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4189008B (zh) | 一种鹿茸微粉片的制备方法 | |
CN105231450B (zh) | 一种南瓜含片及其制备方法 | |
JP2010150231A (ja) | 鎮咳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 |
CN100462091C (zh) | 中药材炮制方法 | |
CN107811924A (zh) | 一种漱口水及其制备方法 | |
KR102245278B1 (ko) | 초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를 아코닌으로 고효율로 전환하는 방법 | |
CN101302156B (zh) | 一种紫茎泽兰中绿原酸的提取工艺 | |
CN108164572A (zh) | 一种利用石斛提取单宁酸的方法 | |
JPS61115460A (ja) | 無臭にんにくエキスの製造法 | |
KR100506176B1 (ko) | 찜질 조성물 | |
WO2018236125A1 (ko) | 부자 또는 천오에 함유된 맹독성 물질인 디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 및 모노에스테르-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의 아코닌 전환 방법 | |
CN105230677B (zh) | 用于茶叶树种植的杀虫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JP2011184381A (ja) | アデノシン三リン酸産生促進剤及びアデノシン三リン酸産生量低下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 | |
CN101926894A (zh) | 一种活性抗氧化素及其制备方法 | |
KR20000012260A (ko) | 약효증강 기능성 약뜸쑥·약뜸봉의 제조방법 | |
CN104491035B (zh) | 一种高乌头的解毒炮制工艺 | |
KR100540760B1 (ko) | 산 또는 알칼리수를 이용한 창포 또는 기타 천연물질의추출 방법, 그의 추출 장치 및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 |
KR102719528B1 (ko) | 노인 냄새 제거를 위한 저알콜 단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 |
CN108542997A (zh) | 一种烧烫伤消炎液及其生产工艺方法 | |
CN1748744B (zh) | 治疗脚气的中药物及其生产方法 | |
CN112472765B (zh) | 一种清热八味提取物的制备方法 | |
CN107789379A (zh) | 一种艾蒿提取物足浴泡腾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