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835B1 -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 Google Patents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835B1
KR102128835B1 KR1020180122665A KR20180122665A KR102128835B1 KR 102128835 B1 KR102128835 B1 KR 102128835B1 KR 1020180122665 A KR1020180122665 A KR 1020180122665A KR 20180122665 A KR20180122665 A KR 20180122665A KR 102128835 B1 KR102128835 B1 KR 10212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graphene quan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277A (ko
Inventor
이봉수
황성원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8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2Additional lead-in metallisation on a device or substrate, e.g. additional pads or pad portions, lines in the scribe line, sacrific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장 부품은 100 nm 이하 크기를 갖는 안정된 양자점 구조와 전체 그래핀 입자 크기가 90% 이상의 균일한 구조의 발광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광추출과 광증폭이 개선되고,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최적 구조의 자동차 전장 부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Automotive applic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light amplification using graphene quantum dot}
본 발명은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에 관한 것이다.
기존 양자점을 적용한 발광소자는 양자점의 구조가 불안정하고, 발광층 내 양자점 적용시 결함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불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안정된 발광소자 구조가 아니므로,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 등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추출과 광증폭을 개선하여 안정된 발광소자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추출과 광증폭을 개선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나노와이어, 및 상기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배치되는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갖는 발광소자;를 포함한 자동차 전장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는 평균 크기가 100 nm 이하인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는 전체 그래핀 양자점 중 90% 이상이 균일한 입자 크기의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는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및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로 n-Ga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는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으로 p-Ga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는 다중 양자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는 다중 양자우물 구조에 배치되는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차 전장 부품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또는 차량용 조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장 부품은 100 nm 이하 크기를 갖는 안정된 양자점 구조와 전체 그래핀 입자 크기가 90% 이상의 균일한 구조의 발광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광추출과 광증폭이 개선되고,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최적 구조의 자동차 전장 부품을 제공한다.
도 1은 자동차 전장 부품에 포함된 그래핀 양자점 3차원 발광소자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광소자에 포함된 그래핀 양자점의 크기 및 미세구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광소자에 포함된 그래핀 양자점의 구조 및 발광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그래핀 양자점 적용유무에 따른 3차원 발광소자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그래핀 양자점 3차원 발광소자구조의 광증폭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 전장 부품
본 발명의 자동차 전장 부품은 도 1에 따라 제조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참고하면, 발광소자는 아래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기판,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절연층,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나노와이어의 내부 및/또는 외면에 배치되는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광소자는 나노와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층 및 충진층, 그리고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반도체 성장용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사파이어, SiC, MgAl2O4, MgO, LiAlO2, LiGaO2, 또는 GaN 등과 같이 절연성, 도전성, 반도체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사파이어의 경우, 육각-롬보형(Hexa-Rhombo R3c) 대칭성을 갖는 결정체로서, c축 및 a측 방향의 격자상수가 각각 13.001 Å 및 4.758 Å이며, C(0001)면, A(11-20)면, R(1-102)면 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C면은 비교적 질화물 박막의 성장이 용이하며, 고온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질화물 성장용 기판으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기판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판 상에는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버퍼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은 예를 들어, 도핑 없이 저온에서 성장된 AlxGa1-x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판은 제거되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가 패키지 기판과 같은 외부 장치 상에 플립칩 실장되는 경우 기판이 제거될 수 있으며, 기판으로 Si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거될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은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은 Ⅲ-Ⅴ족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컨대 GaN일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은 예컨대 n형으로 도핑된 n-GaN일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은 나노와이어의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를 성장시키기 위한 결정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 나노와이어의 일 측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콘택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절연층은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은 SiO2, Al2O3, ZrO 및 T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도록 패턴화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의 크기에 따라 나노와이어의 직경, 길이, 위치 및 성장 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나노와이어는 복수의 개구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나노와이어는 복수의 개구에 의해 노출된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영역으로부터 성장된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은 각각 n형 및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각각 p형 및 n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은 질화물 반도체, 예컨대, AlxInyGa1 -x- yN(0≤x≤1, 0≤y≤1, 0≤x+y≤1)의 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핑 농도, 조성 등의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층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은 질화물 반도체 외에도 AlInGaP 또는 AlInGaAs 계열의 반도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는 Si 또는 C가 도핑된 n-GaN일 수 있고,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은 Mg 또는 Zn이 도핑된 p-GaN일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폭은 절연층의 개구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층은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층은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소정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방출하며, InGaN 등의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층일 수도 있으나, 양자장벽층과 양자우물층이 서로 교대로 배치된 단일(SQW) 또는 다중 양자우물(MQW) 구조,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일 경우, GaN/InGaN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활성층이 InGaN을 포함하는 경우, In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격자 부정합에 의한 결정 결함이 감소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의 내부 양자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활성층 내의 In의 함량에 따라, 발광 파장이 조절될 수 있다.
나노와이어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만 개의 나노와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나노와이어는 하부의 육각기둥 영역과 상부의 육각 피라미드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는 서로 다른 결정면인 하부의 m면 및 상부의 r면을 가질 수 있으며, 결정면에 따라 상부에 형성되는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두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면 상에서의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두께가 r면 상에서의 활성층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나노와이어는 피라미드형 또는 기둥형일 수도 있다. 나노와이어는 이와 같은 3차원 형상을 가지므로, 발광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 광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은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쪽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은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나노와이어의 내부 중 다중 양자우물 구조(MQW)의 활성층에 배치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이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 내부 모두에 배치될 경우, 광추출 및 광증폭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은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의 평균 크기는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nm 이하 또는 50 nm 이하일 수 있다. 평균 크기 하한은 예를 들어 1 nm 이상 또는 5 nm 이상일 수 있다.
전체 그래핀 양자점 중 90% 이상이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균일한 입자 크기란 특정 편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그래핀 양자점 중 90% 이상의 양자점이 ±10% 또는 ±5% 이내의 편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체 양자점 중 90% 이상의 양자점이 20±10% 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투명전극층은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투명전극층은 나노와이어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으며, 인접하는 나노와이어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명전극층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AZO(Aluminium Zinc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GZO(ZnO:Ga), In2O3, SnO2, CdO, CdSnO4, 또는 Ga2O3일 수 있다.
충진층은 나노와이어 및 투명전극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층은 인접한 나노와이어 사이에 충진될 수 있으며, 나노와이어 및 나노와이어 상의 투명전극층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충진층의 상부면은 나노와이어를 따라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충진층은 투광성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O2, SiNx, Al2O3, HfO, TiO2 또는 ZrO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충진층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진층은 제 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소자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패키지 기판과 같은 외부 기판을 향하도록 플립칩 구조로 실장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충진층의 상부에 패시베이션층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상부면만을 노출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각각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발광소자의 일측에서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및 투명전극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배치 및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판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전극은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도전성 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Au, Ag, Cu, Zn, Al, In, Ti, Si, Ge, Sn, Mg, Ta, Cr, W, Ru, Rh, Ir, Ni, Pd, Pt 등의 물질 또는 그 합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차 전장 부품은 계기판, 오디오, 네비게이션과 같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또는 실내등, 표시등과 같은 차량용 조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장 부품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 및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판의 상부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 반도체를 성장시켜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은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결정 성장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나노와이어의 일측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은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반도체 단결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은 결정 성장용 기판일 수 있다.
다음,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에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절연층 상에 몰드층을 형성한 후, 절연층 및 몰드층 각각에 복수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몰드층은 나노와이어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나노와이어의 크기과 형상에 맞게 제작될 수 있고, 나노와이어 제작 후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층 상에 몰드층을 형성하는 물질을 증착한 후, 별도의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절연층 및 몰드층 각각에 복수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몰드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층 및 몰드층의 총 두께는 목적하는 나노와이어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개구의 크기는 목적하는 나노와이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다음, 복수의 개구들이 충진되도록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이 노출된 영역 상에 제 1 도전형 반도체를 성장시킴으로써 복수의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는 예컨대 n형 질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는 유기 금속 화학 기상 증착(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또는 분자 빔 에피텍시(molecular beam epitaxy, MBE)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복수의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들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몰드층을 제거하고,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몰드층을 절연층 및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절연층이 잔존되도록 할 수 있다. 제거 공정은 예를 들어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절연층은 후속 공정에서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이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과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드층을 제거한 후에,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결정면을 반극성 또는 비극성 결정면과 같이 결정 성장에 유리한 안정적인 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열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폭이 개구의 폭보다 커질 수 있으며, 재성장이 이루어져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결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 공정은 필요에 따라 개구부들의 형상 및 그에 따른 제 1 도전형반도체 코어의 성장 형상을 고려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상에 표면에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어-쉘 구조의 나노와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증착 방법에 따라,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m면과 r면 상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활성층의 상부에 전하차단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의 상단부의 경사면에 활성층은 배치되지 않고, 전하차단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전하차단층은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로부터 주입된 전하가 활성층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결합(recombination)에 이용되지 않고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하차단층은 활성층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lGaN 또는 AlInGa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은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나노와이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코팅액은 그래핀 양자점 및 이를 분산하기 위한 용매로 구성될 수 있다. 용매로는 탈이온수(DI water), 유기용매(에탄올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액 중 양자점 농도는 1,000 내지 90,000 ㎡/g, 0.1 내지 5 mg/mL일 수 있다. 농도분석방법은 UV-Vis 흡광(absorption), 형광(Fluorescence)을 이용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4 내지 10 nm일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나노와이어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 나노와이어 형성 후에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노와이어가 완성되는 시점인 제 2 도전형 반도체층(p-GaN) 성장 후 그래핀 양자점을 스프레이 코팅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표면에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나노와이어 내부에 형성하는 경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형성 후 및 활성층 형성 후 중 적어도 한번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활성층인 다중 양자우물 구조에 형성하는 경우,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n-GaN) 성장 후 그래핀 양자점을 스프레이 코팅하거나, 다중 양자우물 구조(MQW) 성장 후 그래핀 양자점을 스프레이 코팅할 수 있으며, 또한 2번 모두 코팅할 수 있다.
한편,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형성하기 전에, 그래핀 양자점 제작 후 미세공정을 적용함으로써, 100 nm 이하 크기를 갖는 안정된 양자점 구조와 전체 그래핀 입자 크기가 90% 이상 균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공정은 액체(코팅액 등) 속에 포함된 특정 크기의 그래핀 양자점을 걸러내기 위해, 분자량의 변화에 따라 물질 투과를 제어하는 맴브레인 필터링 공정을 의미하며, 가령 다이알리시스(투석) 공정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이알리시스 백(dialysis bag, 분획 분자량: 3,500±500 Da)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나노와이어 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전극층은 인접한 나노와이어 사이에서 절연층의 상부면을 덮도록 연장되어 복수의 나노와이어 상에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투명전극층 상부 및/또는 하부에 충진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충진층은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층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서로 다른 증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일 영역에서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을 노출시켜,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투명전극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투명전극층 대신 반사전극층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사전극층은 Ag 또는 A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소자는 패키지 기판과 같은 외부 장치에 플립칩 실장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인 자동차 전장 부품에 포함되는 발광소자는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도 1과 같이, n-GaN 성장, SiO2 템플레이트(template) 제작, un-GaN 성장, n-GaN 성장, 그래핀 양자점(GQD) 코팅, MQW 성장, 그래핀 양자점 코팅, p-GaN 성장, SiO2 필링(filling), ITO 증착 순으로 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파이어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 반도체로서 n-GaN을 성장시켜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에 SiO2 절연층을 형성하고, 절연층 상에 몰드층을 형성한 후,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절연층 및 몰드층 각각에 복수의 개구를 형성하였다. 다음, 복수의 개구들이 충진되도록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이 노출된 영역 상에 제 1 도전형 반도체로서 n-GaN를 성장시킴으로써 복수의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를 형성하였다. 다음, 복수의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들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몰드층을 제거하였다. 다음, 그래핀 양자점을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다음, 다중 양자우물(MQW) 구조의 활성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그래핀 양자점을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다음, p-GaN로 이루어진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형성하여 나노와이어를 제작하였다. 다음, 스프레이 코팅을 통해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충진층, 투명전극층(ITO),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광소자를 포함한 자동차 전장 부품의 제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교예 1.
발광소자 제조시, 그래핀 양자점에 스프레이 코팅을 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 전장 부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발광소자 제조시, 그래핀 양자점의 표면에만 스프레이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 전장 부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발광소자 제조시, 그래핀 양자점의 내부에만 스프레이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 전장 부품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그래핀 양자점의 크기 및 미세구조 분포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발광소자의 그래핀 양자점의 크기 및 미세구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그래핀 양자점 원자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 분석결과로서, 5~50 nm 크기를 갖는 양자점이 잘 만들어졌다. 도 2(b)는 그래핀 양자점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분석결과로서, 10 nm 크기를 갖는 균일한 구조가 만들어졌고, 삽입(inset) 도면에서 0.24 nm 격자 줄무늬(lattice fringe) 확인을 통해, 결함이 없는 단결정 구조의 양자점 형성을 확인하였다. 도 2(c)는 도 2(a)의 검정 점선 라인 프로파일(line profile) 확인결과로서, 균일한 크기의 양자점이 만들어졌다. 도 2(d)는 양자점의 크기분포 확인결과로서, 5~50 nm의 양자점이 만들어졌고, 10~30 nm 크기의 양자점이 다수 분포를 이루었다.
시험예 2. 그래핀 양자점의 구조 및 발광특성 분석
도 3은 그래핀 양자점의 구조 및 발광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그래핀 양자점 라만(raman) 분석결과로서, 그래핀 양자점의 크기변화에도 불구하고, D 피크(결함)가 커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3(b)는 포토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 PL) 분석결과로서, 그래핀 양자점 크기 변화에 따라 발광특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그래핀 양자점 적용유무에 따른 발광소자의 미세구조 및 발광특성 분석
도 4는 그래핀 양자점 적용유무에 따른 3차원 발광소자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GQD-LED(Light Emitting Diode)의 PL 분석결과로서, 그래핀 양자점의 유무 및 형성위치에 따라 PL 특성이 달라졌고, 광증폭 특성으로 인해 MQW(내부)와 p-GaN(표면) 양쪽 모두에 양자점이 채용된 구조(실시예)가 다른 3가지 경우(표면만 형성된 경우(비교예 3), 내부만 형성된 경우(비교예 2), 양쪽 모두 형성되지 않은 경우(비교예 1))에 비해 발광특성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도 4(b)는 GQD-LED의 전기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 EL) 분석결과로서, 마찬가지로 그래핀 양자점의 유무 및 형성위치에 따라 EL 특성이 달라졌고, 광증폭 특성으로 인해 MQW와 p-GaN 양쪽 모두에 양자점이 채용된 구조(실시예)가 발광특성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시험예 4. 그래핀 양자점 적용유무에 따른 발광소자의 광증폭 특성 분석
도 5는 그래핀 양자점 3차원 발광소자구조의 광증폭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GQD-LED의 전류-전압((I-V) 분석결과로서, 그래핀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I-V 특성이 달라졌고, MQW와 p-GaN 양쪽 모두에 양자점이 채용된 구조(실시예)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였다. 도 5(b)는 GQD-LED의 광출력(optical output power) 분석결과로서, 그래핀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광출력 특성이 달라졌고, 광증폭 특성으로 인해 MQW와 p-GaN 양쪽 모두에 양자점이 채용된 구조(실시예)가 광파워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였다.

Claims (8)

  1.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나노와이어, 및
    상기 나노와이어의 표면 및 내부 양쪽 모두에 배치되는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을 갖는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핀 양자점 코팅층은 나노와이어의 내부 중 다중 양자우물 구조(MQW)의 활성층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는 평균 크기가 70 nm 이하이고, 전체 그래핀 양자점 중 90% 이상이 균일한 입자 크기의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제 1 도전형 반도체 베이스층 및 제 1 도전형 반도체 코어로 n-GaN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으로 p-GaN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다중 양자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7. 삭제
  8.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전장 부품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또는 차량용 조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KR1020180122665A 2018-10-15 2018-10-15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KR10212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65A KR102128835B1 (ko) 2018-10-15 2018-10-15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65A KR102128835B1 (ko) 2018-10-15 2018-10-15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277A KR20200042277A (ko) 2020-04-23
KR102128835B1 true KR102128835B1 (ko) 2020-07-01

Family

ID=7047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665A KR102128835B1 (ko) 2018-10-15 2018-10-15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8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09B1 (ko) * 2011-08-24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1721B1 (ko) * 2013-07-09 2015-0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722B1 (ko) 2013-07-09 2015-0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37A (ko) * 2014-08-27 2016-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09B1 (ko) * 2011-08-24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1721B1 (ko) * 2013-07-09 2015-0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722B1 (ko) 2013-07-09 2015-0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277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6519B2 (ja) ナノワイヤサイズの光電構造及びその選択された部分を改質する方法
US9871164B2 (en) Nanostructur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06796B1 (ko) 질화물계 탑에미트형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611522B2 (ja) 伝導性ナノロッドを透明電極として含む発光素子
US8703512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23049B2 (en) Light-emitting diode with current-spreading region
TWI436424B (zh)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KR20120057298A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28104A (ko) Ⅲ족 질화물 나노로드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2131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112761B2 (ja) 化合物半導体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装置ならびに化合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TWI493747B (zh) 發光二極體及其形成方法
KR101731862B1 (ko) 반도체 광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0470B1 (ko)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887111B1 (ko)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1548420B1 (ko) 금속입자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소자
CN110838538B (zh) 一种发光二极管元件及其制备方法
KR100621918B1 (ko) 투명 전도성 나노막대를 전극으로 포함하는 발광소자
KR102128835B1 (ko) 그래핀 양자점 광증폭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장 부품
KR101622097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00783B1 (ko) 고효율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1824322B1 (ko) 질화갈륨계 고효율 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10458B1 (ko)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6396A (ko) 다공성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4840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