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00B1 -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00B1
KR102128300B1 KR1020130079101A KR20130079101A KR102128300B1 KR 102128300 B1 KR102128300 B1 KR 102128300B1 KR 1020130079101 A KR1020130079101 A KR 1020130079101A KR 20130079101 A KR20130079101 A KR 20130079101A KR 102128300 B1 KR102128300 B1 KR 10212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gasket
tub
doo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311A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00B1/ko
Priority to CN201310329821.5A priority patent/CN103572553B/zh
Priority to US13/955,595 priority patent/US9732459B2/en
Priority to EP13178755.8A priority patent/EP2692935B1/en
Publication of KR2015000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안정적으로 누수를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개선된 세탁기용 개스킷과 이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개구가 형성된 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개구를 개폐하도록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와,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 시에 터브의 진동이 전면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터브 및 전면프레임을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개스킷은 도어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중공부와 중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부를 가지는 몸체와, 둘레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레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도어와 접촉하여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립(Lip)과, 립(Lip)의 배면과 둘레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한다. 연결리브는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부분과,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GASKET USABLE WITH LAUNDRY MACHINE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스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는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 침구 등과 같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기계이다. 세탁기는 물, 세제 및 회전하는 드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으로 젖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물을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세탁물이 드럼 및 세제수와 마찰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된다.
캐비닛과 터브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고 드럼의 회전 시에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가 캐비닛의 개구를 닫으면, 개스킷의 일단은 도어와 접촉한다. 개스킷의 일단은 도어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도어가 개구를 닫는 방향으로 형상이 변형되는데, 이 때 도어와 접촉하는 개스킷의 일단의 반발력이 큰 경우, 개스킷과 도어 사이의 누수 방지 효과는 높으나 도어를 닫기 위한 힘이 크고, 반발력이 작은 경우, 도어를 닫기 위한 힘은 줄어드나, 개스킷과 도어 사이의 누수 방지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정적으로 누수를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개선된 세탁기용 개스킷과 이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가 형성된 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회전 시에 상기 터브의 진동이 상기 전면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터브 및 상기 전면프레임을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도어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둘레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둘레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접촉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도어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립(Lip);과, 상기 립(Lip)의 배면과 상기 둘레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부분과,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연결리브의 상부(upper portion)를 형성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연결리브의 하부(lower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부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용 개스킷은 세탁기의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를 연결하는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형성된 제1개구에 결합되는 캐비닛결합부;와, 상기 터브에 형성된 제2개구에 결합되는 터브결합부;와, 상기 캐비닛결합부와 상기 터브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립(Lip);과, 상기 립(Lip)의 배면과 상기 둘레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운드부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반경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라운드부의 상부(upper portion)를 형성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라운드부의 하부(lower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반경은 상기 제2부분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1mm 이상 9mm 이하일 수 있다.
도어와 접촉하는 개스킷의 립(Lip)이 개스킷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반발력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스킷과 도어 사이의 누수가 안정적으로 방지되고,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쉽게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여닫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도시한 후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후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전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연결리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의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구동하는 모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에는 개구(12)가 형성된다.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는 전면프레임(10a)에 설치된 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50)는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글라스(52)와 도어글라스(52)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54)를 구비한다.
터브(20)의 전면부와 드럼(3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에 대응하여 개구들(22)(32)이 형성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60)이 설치된다. 급수관(60)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6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62)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장치(62)는 연결관(6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6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72)와 배수관(74)이 설치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리프터(36)들이 설치된다.
모터(40)는 터브(20)의 후벽(24)에 장착된다. 모터(40)는 터브(20)에 고정되는 스테이터(42)와 스테이터(42)에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44)를 포함한다. 로터(44)는 스테이터(4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고, 구동축(46)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축(46)은 모터(40)의 회전력을 드럼(30)에 전달한다. 구동축(46)의 일단은 드럼(30)에 연결되고, 구동축(46)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2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로터(44)에 결합된다.
터브(20)의 후벽(24)에는 구동축(4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0)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24)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0)과 구동축(46) 사이에는 구동축(46)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82)이 설치된다.
터브(20)와 도어(50) 사이에는 개스킷(100)이 설치된다. 개스킷(100)은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와 터브(20)의 개구(22)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로부터 드럼(30)의 개구(32)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 시에 전면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한다. 또 개스킷(100)의 일부분은 도어(50)와 전면프레임(10a)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물이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0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개스킷은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개스킷(100)의 원료가 되는 조성물은 수첨형 스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수첨형 스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로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SEB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SEPS), 스틸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SEEPS)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 개스킷(100)을 위한 조성물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저경도화하기 위해 석유계 연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석유계 연화제로서는 나프텐 또는 파라핀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연화제의 함량은 스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70~99중량부일 수 있다. 연화제의 함량이 7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저경도화를 달성할 수 없고, 99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오일 브리딩(oil breeding)으로 끈적끈적 해져 오염이 쉽게 되고,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딱딱해진다.
또한 개스킷용 조성물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내열성 향상을 위하여 폴리올레핀이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폴리올레핀은 선형 및 비선형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내열성 향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의 함량은 스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5중량부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스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엘라스토머의 탄성 회복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개스킷용 조성물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고온 인장 강도 및 고온 신장 변형률(고온 후의 복원성) 향상을 위해 내열성 고분자가 첨가될 수 있다. 내열성 고분자로서 폴리페닐린옥사이드(PPO) 또는 폴리페닐린에테르(PPE) 또는 이들의 변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내열성 고분자의 함량은 스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5중량부일 수 있다. 고분자의 함량이 10~25중량부를 벗어난 경우 고온 인장 강도 및 고온 후의 복원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도 3은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00)은 세탁기(1)에 장착되었을 때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와 드럼(30)의 개구(32)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110)를 구비한다. 몸체(110)는 세탁물을 넣고 빼는 통로가 되는 중공부(112)와, 중공부(1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부(114)(116)를 포함한다. 도어(50)가 닫혔을 때 도어글라스(52)는 개스킷(100)의 중공부(112) 내에 수용된다.
몸체(110)는 원통형의 제1몸체부(110a)와 제2몸체부(1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110a)의 전단은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에 결합되고, 제1몸체부(110a)의 후단은 터브(20)의 개구(22)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제2몸체부(110b)는 제1몸체부(11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2몸체부(110b)의 후단은 터브(20)의 개구(22)에 결합되고, 제2몸체부(110b)의 전단은 제1몸체부(110a)의 후단보다 앞쪽에 위치된다. 이하에서 제1몸체부(110a)의 둘레부(114)는 제1둘레부라 하고, 제2몸체부(110b)의 둘레부(116)는 제2둘레부라 한다.
제1몸체부(110a)의 후단과 제2몸체부(110b)의 전단은 연결부(118)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118)는 복수 회 절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터브(20)에서 캐비닛(10)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킨다.
제1몸체부(110a)의 전단에는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과 결합되는 캐비닛결합부(120)가 마련된다. 캐비닛결합부(120)는 제1둘레부(114)의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캐비닛결합홈(122)과 캐비닛결합홈(122)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와이어홈(124)을 포함한다. 캐비닛결합홈(122)에는 개구(12)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a)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제1와이어홈(124)에는 개스킷(100)이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126)가 결합된다.
또 제1몸체부(110a)의 전단에는 립(140)(Lip)이 형성된다. 립(140)은 제1둘레부(114)의 내면(115)으로부터 중공부(112) 쪽으로 돌출되고, 제1둘레부(114)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립(140)의 전면(142)은 도어(50)를 향하고, 전면(142) 뒤의 배면(144)은 드럼(30) 쪽을 향한다. 세탁기(1)의 도어(50)가 닫혔을 때, 립(140)의 전면(142)은 도어글라스(52)에 접촉하여 실링함으로써 물이 도어(50)와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몸체부(110b)의 후단에는 터브결합부(130)가 마련된다. 터브결합부(130)는 제2둘레부(116)로부터 터브(20) 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131)와, 제2둘레부(116)로부터 드럼(30) 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132)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131)와 제2플랜지(132) 사이에는 터브결합홈(133)이 형성되고, 제1플랜지(131)의 외면에는 제2와이어홈(134)이 마련된다. 터브결합홈(133)에는 개구(22)를 형성하는 터브(20)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제2와이어홈(134)에는 개스킷(100)이 터브(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136)가 결합된다.
또 제2몸체부(110b)의 후단에는 경도측정편(150)이 형성된다. 경도측정편(150)은 제2플랜지(132)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넥(Neck)부(152)와, 넥부(152)와 연결되는 손잡이부(154)를 포함한다. 넥부(152)는 제2플랜지(132)의 단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가늘게 형성된다. 작업자는 손잡이부(154)를 잡고 일정 힘으로 잡아당겨 경도측정편(150)을 개스킷(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경도측정편(150)의 경도를 측정하여 개스킷(100)의 경도를 알아낼 수 있다. 경도측정편(150)은 제2플랜지(132)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 개의 경도측정편(150)을 개스킷(100)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복수 개의 경도측정편(150)을 그 축방향으로 겹친 상태로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더 정확한 개스킷(100)의 경도를 알아낼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성형된 개스킷(100)은 KS M 6518에 따른 경도가 30~50일 수 있다. 경도(hardness)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고, 경도가 5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후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측면에는 개스킷(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리브(180)가 형성된다.
강도보강리브(180)는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다.
강도보강리브(180)는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를 따라 사각의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181)이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외면(116a, 118a)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183)와, 외면(181)에 대응하는 배면(182)이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내면(116b, 118b)에 비해 더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84)를 포함한다. 볼록부(183)와 오목부(184)는 그 적어도 일 부분이 제2몸체부(116)를 따라 대략 몸체(110)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다른 일 부분이 연결부(118)를 따라 대략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볼록부(183)는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외면(116a, 118a)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w1)을 가지며,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외면(116a, 118a)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h)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오목부(184)는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내면(116b, 118b)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w2)을 가지며,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내면(116b, 118b)을 기준으로 소정의 깊이(d)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118)는 복수 회 절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연결부(118)는 자체 형상 변형을 통해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터브(20)의 진동에너지를 열에너지, 소리에너지 등으로 변환시켜 흡수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가 진동하면 연결부(118)는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굽어지면서 형상 변형을 하게 된다. 강도보강리브(180)는 그 적어도 일 부분이 연결부(118)를 따라 드럼(30)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부(118)가 굽어지는 방향으로 연결부(118)의 굽힘응력을 보강함으로써 연결부(118)가 굽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부(118)와 제1몸체부(110a)의 제1둘레부(114) 간의 간섭(Self-touch)을 미연에 방지하여 개스킷(100)이 마모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볼록부(183)의 높이(h), 즉 강도보강리브(180)의 외면(181)이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량(量)과 오목부(184)의 깊이(d), 즉 강도보강리브(180)의 배면(183)이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량 간의 관계는 개스킷(100)의 설계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100)의 강도 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저감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볼록부(183)의 높이(h)가 오목부(184)의 깊이(d)보다 작도록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강도보강리브(180)의 두께(t1)가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두께(t2)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도보강리브(180)의 두께(t1)가 얇을 수록 연결부(118)의 형상 변형량이 커지므로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 저감된다. 또한 오목부(184)가 형성된 부분 만큼 개스킷(100)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개스킷(100)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스킷(100)의 진동 저감 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볼록부(183)의 높이(h)가 오목부(184)의 깊이(d)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강도보강리브(180)의 두께(t1)가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두께(t2)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두께(t2)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도보강리브(180)의 두께(t1)가 두꺼울 수록 강도보강리브(180)의 굽힘응력이 보강되어 연결부(118)의 형상 변형량이 작아지고, 터브(20)에서 드럼(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개스킷(100)의 자체 형상 변형에 의해 연결부(118)가 굽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부(118)와 제1몸체부(110a)의 제1둘레부(114) 간의 간섭(Self-touch) 및 간섭(Self-touch)에 따른 소음이 저감된다.
이와 같이, 개스킷(100)이 연결부(118)와 제1몸체부(110a)의 제1둘레부(114) 간의 간섭(Self-touch)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강도를 가지면서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강도보강리브(180)의 두께(t1)와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의 두께(t2)는 각각 대략 1mm ~ 3mm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리브(180)는 드럼(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리브(180)의 볼록부(183)와 오목부(184)는 드럼(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개스킷(100)의 원주 방향(r)으로 신축되며, 볼록부(183)와 오목부(184)가 신축되는 형상 변형을 통해 드럼(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터브(20)의 원주 방향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쇠된다.
강도보강리브(180)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2몸체부(116) 및 연결부(118)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강도보강리브(180)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몸체부(114) 및 연결부(118)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몸체부(114)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2몸체부(116)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몸체부(114)와 연결부(118)와 제2몸체부(116)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전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연결리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의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140)과 제1둘레부(114) 사이에는 립(140)의 배면(144)과 제1둘레부(114)의 내면(115)을 연결하는 연결리브(190)가 마련된다.
연결리브(190)는 립(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단면적(S1)을 가지는 제1부분(191)과, 립(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단면적(S1) 보다 큰 제2단면적(S2)을 가지는 제2부분(192)과, 제1부분(191)과 제2부분(192)을 연결하며, 립(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제3부분(19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부분(191)은 연결리브(190)의 상부(upper portion)를 형성하고, 제2부분(192)은 연결리브(190)의 하부(lower portion)를 형성하며, 제3부분(193)은 제1부분(191)과 제2부분(192) 사이의 나머지를 형성한다. 립(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부분(191)의 양단이 형성하는 각도(α)는 대략 150ㅀ이상 210ㅀ이하이고, 제2부분(192)의 양단이 형성하는 각도(β)는 대략 30ㅀ이상 90ㅀ이하이다. 즉, 립(140)의 원주 방향으로 제1부분(191)의 길이는 제2부분(19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3부분(193)의 일단(193a)은 제1부분(191)과 연결되고, 그 타단(193b)은 제2부분(192)와 연결된다. 제3부분(193)의 일단(193a)의 단면적(S3)은 제1부분(191)의 제1단면적(S1)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제3부분(193)의 타단(193b) 단면적(S3)은 제2부분(192)의 제2단면적(S2)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제3부분(193)의 일단(193a)으로부터 제3부분(193)의 타단(193b)으로 갈수록 제3부분(193)의 단면적(S3)은 연속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50)를 닫을 때, 립(140)이 꺽이거나 접히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도어(50)가 닫히는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연결리브(190)의 단면적이 클수록 도어(50)가 닫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립(140)의 반발력은 커지게 되고, 반대로 연결리브(190)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도어(50)가 닫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립(140)의 반발력은 작아지게 된다. 립(140)의 반발력이 클수록 립(140)이 도어(50)의 도어글라스(52)의 표면에 가하는 힘은 커지므로 립(140)과 도어(5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확률은 낮아지고, 사용자가 도어(50)를 닫기 위해 필요한 힘은 커진다. 반대로, 립(140)의 반발력이 작을수록 립(140)이 도어(50)의 도어글라스(52)의 표면에 가하는 힘은 작아지므로 립(140)과 도어(5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확률은 커지고, 사용자가 도어(50)를 닫기 위해 필요한 힘은 작아진다.
세탁기(1)가 세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세탁수는 중력에 의해 터브(20)의 하부 및 개스킷(100)의 하부에 위치한다.(도 1 참조) 개스킷(100)의 상부와 도어(50) 사이 보다는 상대적으로 개스킷(100)의 하부와 도어(5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개스킷(100)의 하부의 위치하는 립(140)의 반발력을 개스킷(100)의 상부의 위치하는 립(140)의 반발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립(140)의 하부에 대응하는 연결리브(19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부분(192)은 제1부분(191)의 제1단면적(S1) 보다 큰 제2단면적(S2)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개스킷(100)의 하부와 도어(5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한다.
만약 립(140)의 원주 방향으로 연결리브(190) 전체의 단면적이 제2단면적(S2)으로 유지될 경우, 립(140)의 반발력에 의해 도어(50)를 닫기 위해 필요한 힘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된다. 이에 립(140)의 상부에 대응하는 연결리브(19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부분(191)은 제2부분(192)의 제2단면적(S2)보다 작은 제1단면적(S1)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작은 힘으로도 도어(50)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연결리브(190)는 라운드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부(195)는 사용자가 도어(50)를 닫을 때, 립(140)이 도어(5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접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도어글라스(52)와 접촉하면서 도어(50)가 닫히는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라운드부(195)의 반경(R)은 1mm 이상 9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드부(195)의 반경(R)이 1mm 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도어(50)를 닫을 때, 립(140)이 도어(5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접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립(140)의 반발력이 작아져 도어(50)와 개스킷(10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라운드부(195)의 반경(R)이 9mm 보다 크면, 도어(50)가 닫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립(140)의 반발력이 지나치게 커져 도어(50)를 닫기 위한 힘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도어(50)가 닫히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제1부분(191)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1)은 제2부분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2)보다 작다.
라운드부(195)의 반경(R)이 클수록 도어(50)가 닫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립(140)의 반발력은 커지게 되고, 라운드부(195)의 반경(R)이 작을수록 도어(50)가 닫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립(140)의 반발력은 작아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스킷(100)의 하부의 위치하는 립(140)의 반발력을 개스킷(100)의 상부의 위치하는 립(140)의 반발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립(140)의 하부에 대응하는 연결리브(19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부분(192)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2)은 제1부분(191)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개스킷(100)의 하부와 도어(5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한다.
만약 립(140)의 원주 방향으로 연결리브(190) 전체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이 제2부분(192)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2)과 동일하게 유지될 경우, 립(140)의 반발력에 의해 도어(50)를 닫기 위해 필요한 힘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된다. 이에 립(140)의 상부에 대응하는 연결리브(19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부분(191)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1)은 제2부분(192)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작은 힘으로도 도어(50)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제1부분(191)과 제2부분(19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부분(193)의 일단(193a)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3)은 제1부분(191)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1)과 동일하며, 제3부분(193)의 타단(193b)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3)은 제2부분(192)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2)과 동일하다. 제3부분(193)의 일단(193a)으로부터 제3부분(193)의 타단(193b)으로 갈수록 제3부분(193)의 라운드부(195)의 반경(R3)은 연속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50)를 닫을 때, 립(140)이 꺽이거나 접히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도어(50)가 닫히는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개스킷이 드럼 세탁기에 적용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의류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 세탁기 50 : 도어
100 : 개스킷 110 : 몸체
120 : 캐비닛결합부 130 : 터브결합부
140 : 립 150 : 경도측정편
180 : 강도보강리브 183 : 볼록부
184 : 오목부 190 : 연결리브
195 : 라운드부

Claims (9)

  1. 개구가 형성된 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회전 시에 상기 터브의 진동이 상기 전면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터브 및 상기 전면프레임을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도어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둘레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둘레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접촉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도어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립(Lip);과,
    상기 립(Lip)의 배면과 상기 둘레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연결리브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부분과,
    상기 연결리브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부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세탁기의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를 연결하는 개스킷에 있어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마련된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캐비닛에 형성된 제1개구에 결합되는 캐비닛결합부;와,
    상기 터브에 형성된 제2개구에 결합되는 터브결합부;와,
    상기 캐비닛결합부와 상기 터브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립(Lip);과,
    상기 립(Lip)의 배면과 상기 둘레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라운드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부분과,
    상기 라운드부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부분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립(Lip)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반경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1mm 이상 9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KR1020130079101A 2012-07-31 2013-07-05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12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01A KR102128300B1 (ko) 2013-07-05 2013-07-05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201310329821.5A CN103572553B (zh) 2012-07-31 2013-07-31 具有衬垫的洗衣机
US13/955,595 US9732459B2 (en) 2012-07-31 2013-07-31 Gasket usable with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13178755.8A EP2692935B1 (en) 2012-07-31 2013-07-31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gas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01A KR102128300B1 (ko) 2013-07-05 2013-07-05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11A KR20150005311A (ko) 2015-01-14
KR102128300B1 true KR102128300B1 (ko) 2020-06-30

Family

ID=5247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101A KR102128300B1 (ko) 2012-07-31 2013-07-05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24B1 (ko) * 2015-07-07 202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30175B1 (ko) * 2016-04-06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356A (ko) * 2011-09-05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용 개스킷, 이를 가지는 세탁물 처리장치, 세탁물 처리장치용 개스킷의 제조방법 및 사출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11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72553B (zh) 具有衬垫的洗衣机
AU201520294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198781B2 (ja) 衣類処理装置
US8033145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JP6117870B2 (ja) 衣類処理装置
CN110291244B (zh) 洗衣机
KR102128300B1 (ko)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942885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556150B1 (ko) 드럼세탁기
KR101660729B1 (ko) 세탁장치
KR101962453B1 (ko)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ES2463168A1 (es) Aparato doméstico con una cubeta para producto de lavado
KR20100129156A (ko) 세탁장치
KR102530175B1 (ko) 세탁기
JP6154577B2 (ja) 洗濯機
KR102557578B1 (ko) 세탁장치
US9546444B2 (en) Washing machine wherein the unbalanced load is balanced
JP6286181B2 (ja) 洗濯機
KR101898496B1 (ko) 세탁장치
US20240093418A1 (en) Air Bypass Seal With Backer For Improved Drying Performance In A Combination Washer/Dryer
WO2019129423A1 (en) A door for a washer/dryer
KR20100079554A (ko) 드럼세탁기
JP2017086286A (ja) 洗濯乾燥機
JP201703882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20105754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