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025B1 -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025B1
KR102128025B1 KR1020140052481A KR20140052481A KR102128025B1 KR 102128025 B1 KR102128025 B1 KR 102128025B1 KR 1020140052481 A KR1020140052481 A KR 1020140052481A KR 20140052481 A KR20140052481 A KR 20140052481A KR 102128025 B1 KR102128025 B1 KR 10212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navigation system
intention
occupan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320A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25B1/ko
Priority to PCT/KR2014/007069 priority patent/WO2015167076A1/ko
Publication of KR2015012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음성 데이터를 토대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수행하여야할 기능을 나타내는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VOICE RECOGNITION BASED ON NAVIGATION SYSTEM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용 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고,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방향 등의 주행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와 메뉴 등을 터치 방식 등으로 직접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와 메뉴 등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탑승자가 목적지 등을 입력하기 위해 다수의 키를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키를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2353호(2013.09.1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을 통해 별도의 키입력없이도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음성으로 탑승자의 발화 의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탑승자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은 음성 인식 모듈이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음성 데이터를 토대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수행하여야할 기능을 나타내는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식 결과 데이터는 목적지의 목적지 명칭, 탑승자의 발화 의도 및 대표 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는 상기 네비게이션의 기능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바로 안내 기능, 바로 탐색 기능, 통합 검색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안내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상기 대표 좌표를 토대로 상기 바로 안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안내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통합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탐색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상기 대표 좌표를 토대로 상기 바로 탐색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탐색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통합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통합 검색이거나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통합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검색 기능 수행시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바로 안내 기능 및 상기 바로 탐색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검색 기능 수행시 상기 목적지 명칭이 복수 개이면 상기 목적지 명칭을 모두 표시하여 탑승자에게 음성으로 상기 목적지 명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은 국도 및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상황 안내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음성으로 탑승자의 발화 의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등을 수행하여 탑승자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로 안내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로 탐색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 안내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주소 바로 안내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음성 인식 모듈(10), 제어부(20), 영상 출력부(30), 음성 출력부(40), 지도 데이터베이스부(5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을 포함한다.
음성 인식 모듈(10)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음성 데이터를 토대로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한다. 여기서, 인식 결과 데이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수행하여야 할 기능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써, 이 인식 결과 데이터에는 목적지 명칭, 탑승자의 발화 의도 및 대표 좌표가 포함되고,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는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가 포함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에는 후술된 교통상황 안내 기능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구비된 다양한 메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0)은 음성신호 처리부(11), 음성 인식 데이터부(12) 및 음성 인식부(13)를 포함한다.
음성신호 처리부(11)는 탑승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유음성 구간을 식별한다.
여기서, 탑승자는 목적지 명칭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모두 드러나도록 목적지가 포함된 문장형으로 발화할 수 있다. 탑승자의 발화 의도는 각각이 발화 의도 패턴으로 사전에 설정되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 기능에 일대일 대응된다. 일 예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에는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는데, 탑승자는 상기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 각각에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을 발화함으로써 해당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각각에는 서로 다른 발화 의도 패턴이 적어도 1개 이상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탑승자의 음성이 상기한 발화 의도 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이 발화 의도 패턴에 대응되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해당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음성 인식 데이터부(12)는 음성 인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음성 인식 데이터에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대응되는 발화 의도 패턴, 목적지 명칭, 대표 좌표가 포함된다. 여기서, 대표 좌표는 목적지를 대표하는 기 설정된 좌표로써, 목적지별로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가 '강남역'인 경우, 목적지 명칭에는 '강남역'을 포함한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목적지 명칭 각각에는 목적지 좌표가 설정된다. 이들 목적지 좌표 중에 '강남역'을 대표하는 대표 좌표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표 좌표는 각 목적지별로 모두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이 대표 좌표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합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음성 인식부(13)는 음성신호 처리부(11)에 의해 유음성 구간이 식별되면, 이 유음성 구간에서 음성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후 음성 인식부(13)는 검출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한 음성 인식 데이터부(12)에 저장된 음성 인식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성 인식 데이터 중에서 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음성 인식 데이터, 즉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13)는 1개의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할 수도 있으나, 그 후보의 개수에 따라서 N-best로도 검출할 수 있다. 참고로, 인식 결과 데이터가 음성 인식부(13)에 의해 1개만 검출될 경우에는 해당 인식 결과 데이터만이 출력되고, N개의 인식 결과 데이터가 검출될 경우에는 N-best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모듈(10)에 의해 인식 결과 데이터가 검출되면, 이 인식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한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제어부(20)는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이들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는 인식 결과 데이터에 대표 좌표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
제어부(20)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이고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해당 대표 좌표를 토대로 지도상에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표시하여 안내하는 반면에,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이지만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이고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해당 대표 좌표를 토대로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탐색된 주행경로를 바로 안내를 위한 후보로 표시한 후,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이들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바로 안내를 수행하는 반면에,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이지만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
더욱이, 제어부(20)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통합 검색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도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통합 검색을 수행한 결과 복수 개의 목적지가 검색되면, 제어부(20)는 해당 목적지 명칭을 각각 표시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바로 안내 및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목적지 및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20)는 선택된 목적지의 목적지 좌표를 토대로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한편, 부가 서비스에는 국도 및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상황 안내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잇다.
영상 출력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 출력부(3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40)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더욱이, 통합 검색 결과 복수 개의 목적지가 검색되면, 음성 출력부(40)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한 목적지 중 어느 하나, 및 선택된 목적지에 대한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부(50)는 주행 경로 안내를 위한 다양한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지도 정보에는 일반뷰 이미지, 항공뷰 이미지, 위성뷰 이미지 및 로드뷰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이들 일반뷰 이미지, 항공뷰 이미지, 위성뷰 이미지 및 로드뷰 이미지 중 2개 이상이 조합된 지도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지도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 자체의 지도 데이터베이스부(5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으나, 통신형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 서버(미도시)로부터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에, 통신형 네비게이션 시스템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50)가 생략될 수 있다.
GPS 모듈(60)은 차량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하여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검출하여 이를 토대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을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탑승자가 목적지 명칭 및 탑승자의 발화 의도를 문장형으로 발화한다.
이에 따라, 음성 인식 모듈(10)은 탑승자의 음성을 수신하고(S10), 이 탑승자의 음성에서 유음성 구간을 식별한 후, 식별된 유음성 구간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음성 데이터를 검출한다(S20). 이후 음성 인식 모듈(10)은 검출된 음성 데이터를 기 저장된 음성 인식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한다(S30).
이 경우, 음성 인식 모듈(10)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 데이터부(12)에 저장된 음성 인식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중에서 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음성 인식 데이터를 인식 결과 데이터로 검출한다. 이 경우, 음성 인식 모듈(10)은 1개의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할 수도 있으나, 그 후보의 개수에 따라서 N-best로도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탑승자의 발화 의도는 각각의 발화 의도 패턴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바, 탑승자는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을 발화한다. 이에, 음성 인식 모듈(10)은 해당 발화 의도 패턴을 통해 탑승자의 발화 의도, 즉 바로 안내, 바로 탐색, 통합 검색 및 부가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모듈(10)에 의해 인식 결과 데이터가 검출되면, 제어부(20)는 이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한다(S40). 이에 대해서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는 음성 인식 모듈(10)에 의해 검출된 인식 결과 데이터가 부가 서비스인지를 판단(S410)하고, 판단 결과 인식 결과 데이터가 부가 서비스이면,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른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S420). 이 경우, 부가 서비스에는 국도 및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상황 안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단계(410)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 결과 데이터가 부가 서비스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음성 인식 모듈(10)에 의해 검출된 인식 결과 데이터에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30).
단계(S430)에서의 판단 결과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0)는 통합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S480)를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면에, 단계(S430)에서의 판단 결과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제어부(20)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인지를 판단한다(S440).
단계(S440)에서의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이면, 제어부(20)는 바로 안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50)에서 읽어들인 지도상에 GPS 모듈(60)을 통해 검출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속도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영상 출력부(30) 및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안내한다(S450).
또한, 상기한 단계(S440)에서의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가 아니면, 제어부(20)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인지를 판단한다(S460).
단계(S460)에서의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이 아니면, 제어부(20)는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S480).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면에, 단계(S460)에서의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이면, 제어부(20)는 목적지의 대표 좌표를 토대로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탐색된 주행 경로 후보를 영상 출력부(30)를 통해 표시(S470)하고, 표시된 주행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인식되면, 인식된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S45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S430)에서의 판단 결과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S460)에서의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이 아니면(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부가 서비스, 바로 안내 및 바로 탐색이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S480). 이 경우, 제어부(20)는 통합 검색 결과 복수 개의 목적지가 존재하면, 영상 출력부(30)를 통해 목적지 명칭을 모두 나열하고,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이들 목적지 중 어느 하나, 및 선택된 목적지에 대한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해당 목적지 뿐만 아니라,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발화하고, 이때 음성 인식 모듈(10)은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음성 인식 모듈(10)의 음성 인식 결과를 토대로 탑승자의 발화 의도로 바로 안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90),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로 바로 안내가 선택되면 상기한 단계(S450)을 수행한다.
반면에, 단계(S490)에서의 판단 결과 탑승자의 발화 의도로 바로 탐색이 선택되었으면, 제어부(20)는 단계(S470) 및 단계(S450)을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로 안내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서울역'의 대표좌표가 존재하고 '안내해줘'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인 경우이다.
도 4 의 (a)와 같이 탑승자가 '서울역으로 안내해줘'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서울역'을 검색하고, '안내해줘'를 통해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임을 인식한다. 참고로, 바로 안내에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에는 '가자', '길안내', '고고싱'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도 4 의 (b)와 같이 '서울역으로 안내합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도 4 의 (c)와 같이 주행경로를 안내한다.
다음으로, '이마트'에 해당하는 대표좌표가 존재하지 않고 '안내해줘'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인 경우이다.
도 4 의 (d)와 같이 탑승자가 '이마트로 안내해줘'라고 발화할 경우, 제어부(20)는 '이마트'를 검색하고 이때, '이마트'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20)는 통합 검색을 수행한다. 이후, 도 4 의 (e)와 같이 제어부(20)는 영상 출력부(30)를 통해 복수 개의 목적지 명칭을 표시함과 더불어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몇번째 결과로 안내할까요'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이 경우, 탑승자가 '첫번째'라고 발화하면, 도 4 의 (f)와 같이 제어부(20)는 '첫번째'인 '이마트'의 목적지 좌표를 토대로 주행경로를 안내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로 탐색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경복궁'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고, '길찾아줘'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인 경우이다.
도 5 의 (a)와 같이 탑승자가 '경복궁으로 길찾아줘'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경복궁'을 탐색하고, '길찾아줘'를 통해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임을 인식한다. 참고로, 바로 탐색에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에는 '탐색해줘', '바로 탐색'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도 5 의 (b)와 같이 '경복궁으로 탐색합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도 5 의 (c)와 같이 탐색경로를 안내한다.
다음으로, '경복궁'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고, '길찾아줘'는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인 경우이다.
탑승자가 '현대엠엔소프트로 경로탐색해줘'라고 발화할 경우, 도 5 의 (d)와 같이 '현대엠엔소프트'를 검색하고 이때, '현대엠엔소프트'에 해당하는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20)는 통합 검색을 수행하여 도 5 의 (e)와 같이 영상 출력부(30)를 통해 복수 개의 목적지 명칭을 표시함과 더불어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몇번째 결과로 탐색할까요'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이 경우, 탑승자가 '네번째'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도 5 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번째'인 '현대엠엔소프트 연구소'의 목적지 좌표를 토대로 바로 탐색 기능을 수행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의 통합 검색은 발화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및 부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뿐만 아니라, 목적지의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6 의 (a)와 같이 탑승자가 '강남역 찾아줘'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강남역'을 검색하고 '찾아줘'를 통해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바로 탐색임을 인식한다. 이외에도 통합 검색에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에는 '알려줘', '보여줘' 및 '검색해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음성 출력부(40)를 통해 도 6 의 (b)와 같이 '강남역'에 대해 검색된 복수 개의 목적지 명칭을 영상 출력부(30)를 통해 표시하고, '첫번째, 다음페이지 등을 말하세요'와 같이 목적지 뿐만 아니라 바로 안내와 바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 경우, 탑승자가 도 6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안내'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첫번째'인 해당 목적지의 목적지 좌표에 대해 바로 안내 기능을 수행하고, 탑승자가 도 6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탐색'이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첫번째'인 해당 목적지의 목적지 좌표로 바로 탐색 기능을 수행하며, 탑승자가 도 6 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첫번째'인 해당 목적지의 목적지 좌표를 중심으로 지도를 표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 안내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탑승자가 '동해고속도로 교통상황 알려줘'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도 7 의 (a)와 같이 '동해고속도로 교통상황'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가 1개이면 그 검색 결과를 도 7 의 (b)와 같이 표시한다. 부가 서비스에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에는 '교통정보', '소통상황' 및 '소통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반면에, 도 7 의 (c)와 같이 탑승자가 '강변북로 교통상황 알려줘'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강변북로 교통상황'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가 2개이면 그 검색 결과를 도 7 의 (d)와 같이 표시함과 더불어 '몇번째 교통정보를 선택할까요?'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탑승자가 '첫번째'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첫번째'인 '강변북로(한경주변로)'의 교통정보를 도 7 의 (e)와 같이 표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주소 바로 안내 기능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 의 (a)와 같이 탑승자가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이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도 8 의 (b)와 같이 '76번지처럼 자리수와 함께 말하세요'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함과 더불어 아파트와 지번 등의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탑승자가 '아파트'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0)는 '아파트'를 포함하는 목적지 명칭을 도 8 의 (c)와 같이 표시하고, 이 후 탑승자가 '첫번째안내'라고 발화하면, 도 8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강남파라곤 아파트'로 바로 안내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음성으로 탑승자의 발화 의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바로 안내, 바로 탐색 및 통합 검색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탑승자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음성 인식 모듈 11: 음성신호 처리부
12: 음성 인식 데이터부 13: 음성 인식부
20: 제어부 30: 영상 출력부
40: 음성 출력부 50: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60: GPS 모듈

Claims (10)

  1. 음성 인식 모듈이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음성 데이터를 토대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수행하여야할 기능을 나타내는 인식 결과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식 결과 데이터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 결과 데이터는 목적지의 목적지 명칭, 탑승자의 발화 의도 및 대표 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바로 안내 기능, 바로 탐색 기능, 통합 검색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되, 상기 대표 좌표의 존재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바로 안내 기능, 상기 바로 탐색 기능 및 상기 통합 검색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는 상기 네비게이션의 기능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발화 의도 패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안내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상기 대표 좌표를 토대로 상기 바로 안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안내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통합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탐색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면, 상기 대표 좌표를 토대로 상기 바로 탐색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바로 탐색이고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통합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발화 의도가 상기 통합 검색이거나 상기 대표 좌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통합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검색 기능 수행시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바로 안내 기능 및 상기 바로 탐색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검색 기능 수행시 상기 목적지 명칭이 복수 개이면 상기 목적지 명칭을 모두 표시하여 탑승자에게 음성으로 상기 목적지 명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은 국도 및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상황 안내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40052481A 2014-04-30 2014-04-30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12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81A KR102128025B1 (ko) 2014-04-30 2014-04-30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PCT/KR2014/007069 WO2015167076A1 (ko) 2014-04-30 2014-07-31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81A KR102128025B1 (ko) 2014-04-30 2014-04-30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320A KR20150125320A (ko) 2015-11-09
KR102128025B1 true KR102128025B1 (ko) 2020-06-29

Family

ID=5435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481A KR102128025B1 (ko) 2014-04-30 2014-04-30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8025B1 (ko)
WO (1) WO201516707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94B1 (ko) * 2012-06-27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대화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42B1 (ko) * 2004-10-27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0819234B1 (ko) * 2006-05-25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919227B1 (ko) * 2006-12-05 2009-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JP2008309865A (ja) * 2007-06-12 2008-12-25 Fujitsu Ten Ltd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94B1 (ko) * 2012-06-27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대화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320A (ko) 2015-11-09
WO2015167076A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7129B1 (en) Computer-based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a driver of a vehicle
US6064323A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automotive vehicles
KR20070113665A (ko)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5222797B (zh) 利用口授和部分匹配搜索的导航系统的系统和方法
JP5533762B2 (ja)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66379B2 (ja) 車載音声認識装置
US20060253251A1 (en) Method for street name destination address entry using voice
US20160335051A1 (en) Speech recogni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1276585A (zh) 多语言非母语语音识别
JP5796378B2 (ja)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55355B2 (ja) 音声認識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28025B1 (ko) 음성인식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US8560226B2 (en)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JP200829852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WO2006028171A1 (ja) データ提示装置、データ提示方法、データ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91096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3029378A (ja)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5237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JP5741288B2 (ja)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86523B2 (ja)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337040A (zh) 行驶引导系统及计算机程序
JP2007233863A (ja) 検索装置及び検索プログラム
KR20140092667A (ko) 차량용 단말기 및 그것의 목적지 탐색 방법
JP2007164064A (ja) 移動体用音声認識装置および移動体用報知制御装置
JP201301573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用いた音声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