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833B1 - 물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물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833B1
KR102127833B1 KR1020130141237A KR20130141237A KR102127833B1 KR 102127833 B1 KR102127833 B1 KR 102127833B1 KR 1020130141237 A KR1020130141237 A KR 1020130141237A KR 20130141237 A KR20130141237 A KR 20130141237A KR 102127833 B1 KR102127833 B1 KR 10212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tank body
storage tank
steriliz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686A (ko
Inventor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8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물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살균된 후 상기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살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로부터 소정 거리 위에 위치하는 살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저장탱크{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살균된 후 저장되는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물저장탱크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에 의해서 배출되도록 저장된 물을 물배출부재에 공급하거나, 저장된 물을 다른 물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물저장탱크에 물이 장시간 저장되면, 물저장탱크에 물이 저장된 물에 미생물이 증식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서 물이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물저장탱크의 물이 살균부에 의해서 순환되면서 살균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살균부에 의해서 순환살균되지 못하고 물저장탱크에 정체된 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모든 물을 살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 전에 살균부를 두어 살균부를 거친 물만이 물저장탱크에 유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살균부에 구비되어 물을 살균하는 살균부재가 항상 물에 담겨있거나 물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살균부재를 이루는 살균물질이나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과다 용출되어서 이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살균부재에 미생물이 증식되어 오히려 미생물을 물에 포함시켜서 물저장탱크로 보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이 유입되면서 살균된 후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을 살균하도록 살균부에 포함되는 살균부재가 건조된 상태로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살균물질이나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과다 용출되거나 미생물이 살균부에 증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살균된 후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본체; 및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살균된 후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살균부; 를 포함하며, 살균부는 유입관으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되고 탱크본체의 만수위로부터 소정 거리 위에 위치되는 살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살균부재는 상부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재의 상면에는 유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부재는 물이 접촉되면 용출되는 살균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재는 물이 접촉되면 용해되며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부재는 전기적으로 대전(帶電)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는 탱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가 오목한 형상의 살균부재를 포함하고, 살균부재는 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소정량 받은 후 회전되어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살균된 후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물이 유입되면서 살균된 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부에 포함되는 살균부재가 유입관으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하고 탱크본체의 만수위로부터 소정 거리 위에 위치되어 물을 살균하는 살균부재가 건조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물질이나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과다 용출되거나 미생물이 살균부에 증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의 살균부재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다른 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살균된 후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의 살균부재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일실시예는 탱크본체(200) 및 살균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200)에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본체(200)에는 유입관(210)이 구비될 수 있다. 유입관(210)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관(210)의 개폐밸브(V)를 열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관(210)을 통해 탱크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210)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수도나,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며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관(210)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관(210)이 연결되며 유입관(2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입관(2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210)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탱크본체(2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에는 전술한 유입관(210) 이외에 배출관(220)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220)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나 다른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220)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220)의 개폐밸브(V)를 열면,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되어, 배출관(220)에 연결된 전술한 물배출부재나 다른 물저장탱크로 유동할 수 있다.
배출관(2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저장된 물부터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개방된 상부가 덮개(230)에 의해서 덮여짐으로써, 탱크본체(2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200)의 내부가 밀폐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부와 하부로 나뉜 탱크본체(200)가 서로 연결되어 탱크본체(200)의 내부가 밀폐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살균부(300)는 유입관(21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살균된 후 탱크본체(2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본체(200)에는 이미 살균된 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탱크본체(2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살균부(300)는 살균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으로부터 소정 거리(D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살균부(300)의 살균부재(310)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부재(310)에 낙하된 물은 살균부재(310)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살균부재(310)에 낙하된 물을 살균하기 위해서, 살균부재(310)는 물이 접촉되면 용출되는 살균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살균부재(310)에 낙하되어 살균부재(310)에 접촉되면 살균물질이 물에 용출되어 물이 살균될 수 있다.
물이 접촉되면 용출되는 살균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살균부재(310)는 물이 접촉되면 용해되며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살균부재(310)에 낙하되어 접촉되면 살균부재(310)로부터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용해되어 물이 살균될 수 있다.
물이 접촉되면 용해되는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물기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살균부재(310)는 전기적으로 대전(帶電)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살균부재(310)에 낙하되어 접촉되면 물에 포함된 미생물이 전기력에 의해서 살균부재(310)에 포집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살균부재(310)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재(310)가 전기적으로 대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살균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만수위(LM)로부터 소정 거리(D2)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부재(310)는 유입관(210)으로부터 물이 배출될 때에만 물에 접촉될 수 있고, 유입관(21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으면 물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살균부재(310)는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물질이나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과다하게 용출되거나 용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살균부재(310)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살균물질이나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과다하게 용출되거나 용해되어 발생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부재(310)가 물에 담기거나 물에 장시간 접촉되어서 미생물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부재(310)는 상부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재(310)의 상부는 원추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재(310)에 낙하된 물은 자중에 의해서 살균부재(310)를 따라 살균부재(31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탱크본체(200)에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재(310) 상부의 형상은 원추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살균부재(310)의 상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부재(310)에 낙하된 물은 유로홈(311)을 따라 자중에 의해서 살균부재(31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탱크본체(200)에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이 살균부재(310)의 상면을 비교적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으며, 물의 살균부재(310)의 가장자리로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살균부재(310)에 의한 물의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홈(311)은 살균부재(31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로홈(3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로홈(310)의 형상과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선형상이나 지그재그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나 개수라도 가능하다.
살균부재(310)는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210)으로부터 소정 거리(D1) 아래에 위치되고 탱크본체(200)의 만수위로부터 소정 거리(D2) 위에 위치되도록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재(310)가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관(210)에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살균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관(210)의 물배출측 단부는 살균부재(310)의 중앙으로부터 소정 거리(D1)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재(310)의 탱크본체(200)에서의 수평위치나, 유입관(210)의 물배출측 단부의 탱크본체(200)에서의 수평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다른 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한 물저장탱크(100)와는 살균부재(310)의 탱크본체(200)에서의 수평위치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다른 실시예에서 살균부재(3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이 구비된 탱크본체(200)의 벽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0) 내부로 연장된 유입관(210)의 길이도 짧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일실시예의 살균부재(310)보다 그 크기가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살균부재(310)가 차지하는 탱크본체(200)의 공간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살균부재(310)에서 살균된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이 탱크본체(2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한 물저장탱크(100)와는 살균부재(310)의 형상과 살균부재(310)의 탱크본체(200)에의 구비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다른 실시예에서 살균부재(310)는 도5와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탱크본체(200)에는 회전축(R)을 회전시키는 모터(M)가 구비되고, 회전축(R)은 살균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M)의 회전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재(31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재(310)가 탱크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터(M)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재(310)의 상부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살균부재(310)의 오목한 상부가 위로 위치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위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살균부재(310)의 오목한 상부에 담길 수 있다. 즉, 살균부재(310)는 유입관(21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오목한 상부에 소정량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부재(310)의 오목한 상부에 물이 소정량 담기면,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부재(310)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살균부재(310)에 의해서 살균된 물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재(310)의 회전에 의해서 살균부재(310)의 오목한 상부가 아래로 위치됨에 따라 살균부재(310)로부터 낙하되어 탱크본체(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사용하면, 물이 유입되면서 살균된 후 저장될 수 있으며, 물을 살균하도록 살균부에 포함되는 살균부재가 건조된 상태로 있도록 할 수 있고, 살균물질이나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물에 과다 용출되거나 미생물이 살균부에 증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저장탱크 200 : 탱크본체
210 : 유입관 220 : 배출관
230 : 덮개 300 : 살균부
310 : 살균부재 311 : 유로홈
D1, D2 : 거리 V : 개폐밸브
LM : 만수위 M : 모터
R : 회전축

Claims (7)

  1.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살균된 후 상기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살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로부터 소정 거리 위에 위치되는 살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재는 상부가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살균부재의 상면에는 유로홈이 형성된 물저장탱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물이 접촉되면 용출되는 살균물질로 이루어지는 물저장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물이 접촉되면 용해되며 살균력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물저장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재는 전기적으로 대전(帶電)된 물저장탱크.
  7.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살균된 후 상기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살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로부터 소정 거리 위에 위치되는 살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탱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가 오목한 형상의 살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재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소정량 받은 후 회전되어 상기 탱크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물저장탱크.
KR1020130141237A 2013-11-20 2013-11-20 물저장탱크 KR10212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37A KR102127833B1 (ko) 2013-11-20 2013-11-20 물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37A KR102127833B1 (ko) 2013-11-20 2013-11-20 물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86A KR20150058686A (ko) 2015-05-29
KR102127833B1 true KR102127833B1 (ko) 2020-06-29

Family

ID=5339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237A KR102127833B1 (ko) 2013-11-20 2013-11-20 물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8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783A (ja) * 2000-04-07 2001-10-19 Toto Ltd 洗浄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08B1 (ko) * 2008-05-07 2014-10-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KR20090091086A (ko) * 2009-06-11 2009-08-26 한상관 물탱크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깨끗한 물로 정수시켜주거나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 주면서 동시에 바닷물을 먹을 수 있는 물로 정수하는 종합적인 친환경 공법
KR20120008427U (ko) * 2011-05-31 2012-12-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 가능한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783A (ja) * 2000-04-07 2001-10-19 Toto Ltd 洗浄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86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7765B2 (ja) ペット用給水器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
CN103827384B (zh) 洗涤设备用的过滤装置
JP2011522756A5 (ko)
CN104665434A (zh) 循环过滤水杯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200483266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160011540A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JP2013081733A (ja) 洗浄機器用の濾過装置
KR102127833B1 (ko) 물저장탱크
CN109312519B (zh) 洗衣机的操作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洗衣机
ES2340099T3 (es) Equipo dosificador para medio de tratamiento pulveriforme para una maquina lavadora.
KR200473545Y1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WO2013047783A1 (ja) 洗浄機器用の濾過装置
US20150136680A1 (en) Internal Pod for Gauze Filter of Water Filter
KR102631556B1 (ko) 물저장탱크
CN206612715U (zh) 一种物料清洗装置及烹饪器具
JP6967799B2 (ja) ペット用給水器のフィルター
WO2020262230A1 (ja) 薬剤溶解装置
KR100884378B1 (ko) 증기발생기
KR101299406B1 (ko) 수도꼭지 연결용 급수 보조장치
JPH11347317A (ja) 浄化装置
KR101675744B1 (ko) 물배출콕크
KR102591184B1 (ko) 용기 수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US11076716B2 (en) Filter assembly for use in a fluid container of a domestic appliance
CN110510717A (zh) 一种投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