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76B1 - 가스 밸브 - Google Patents

가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76B1
KR102127176B1 KR1020180054787A KR20180054787A KR102127176B1 KR 102127176 B1 KR102127176 B1 KR 102127176B1 KR 1020180054787 A KR1020180054787 A KR 1020180054787A KR 20180054787 A KR20180054787 A KR 20180054787A KR 102127176 B1 KR102127176 B1 KR 10212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as
pilot
intermittent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309A (ko
Inventor
김응빈
Original Assignee
김응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빈 filed Critical 김응빈
Priority to KR102018005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스가 이동되는 제 1 내지 제 3 챔버; 상기 제 1 내지 제 3챔버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유도판; 실링부; 및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 또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챔버의 가스 연통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부를 포함하고, 가스밸브내로 유입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회전 유도판이 가압됨으로써 가스밸브내로 유입된 가스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밸브{GAS VALVE}
본 발명은 가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지는 사용처에 따라 가정용과 업소용으로 구분되며, 가정용 가스레인지는 가스봄베와 가스공급관을 연결하여 가스봄베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도시가스공사에서 공급하는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시가스공사의 가스공급관에 가스공급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가스안전공사에서 규정한 가스압력은 대략 280ps로 비교적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업소의 주방에서 사용하는 업소용 가스렌지는 한 번에 많은 양의 요리를 해야하고, 빠른 음식의 조리가 필요하므로 강한 화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업소용 가스레인지는 강한 화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가스연료의 소모량이 매우 크며, 가스레인지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기의 강도 또한 매우 강하다. 그 만큼 많은 가스량이 소요되므로, 주로 가스봄베와 가스공급관을 연결하여 가스봄베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으며, 가스 안전공사에서 규정한 가스압력이 대략 1,500~3,000ps로서 가정용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통상적인 업소용 가스레인지는 가스밸브의 레버를 조작하여 가스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가스공급관으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도록 한 후, 기다란 봉 형태의 점화봉을 이용하여 가스레인지의 점화버너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킴으로써 점화가 수행된다. 그러나 점화봉을 이용하여 점화하는 방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신속하지 못하며, 업소용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가스압이 매우 높아 미량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어렵고 순간적으로 확산되는 불꽃으로 인하여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한번 점화를 할 때마다 가스압의 조절을 위해 가스조절밸브를 천천히 움직이면서 별도의 점화용 토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 통상적으로 요식업소에서는 강한 화력을 필요로 하는 조리가 일단락된 후에도 다른 조리를 준비하는 도중 가스레인지의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도록 관리하게 되는데, 약하게 발생시킨 가스불꽃이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소화되는 경우에도 가스조절밸브는 열려 가스가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가스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스 누출 정도를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로, 계속해서 누출된 가스를 인지하지 못하고 토치 등의 점화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누출된 가스량에 따라 화재나 폭발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문제가 있었다.
가스레인지용 가스밸브는 통상적으로 가스레인지의 전면 패널로 노출되어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버너측으로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부품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의 가스레인지용 가스밸브는 샤프트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별도의 락부에 의해 샤프트의 회전이 방지되고, 샤프트를 가압하면 상기 락부가 해제되어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 샤프트의 회전이 끝나는 지점에서 스위치푸셔에 의해 스위치가 켜져 버너를 점화시키게 된다.
KR 100829079 B1 KR 101041713 B1
개시사항은 본체내로 유입된 가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 구조를 갖는 가스밸브를 제공한다.
개시사항은 본체내로 일 부재(작동축)의 이동 및 회전에 의하여 파일럿 및 메인 가스 각각의 유입이 이루어져, 하나의 부재의 다른 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일럿 가스 및 메인 가스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 유입부와 유체 연통되는 제 1 챔버; 점화용 파일럿 가스 유출부와 유체 연통되는 제 2 챔버;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와 유체 연통되는 제 3 챔버; 일측에 상기 제 1 챔버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챔버 및 상기 제3챔버가 위치되는 회전 유도판; 상기 회전 유도판과 상기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파일럿 실링부; 상기 회전 유도판과 상기 제 3 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메인 실링부; 상기 회전 유도판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 연통을 단속할 수 있는 파일럿 단속부; 상기 회전 유도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할 수 있는 메인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챔버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회전 유도판을 가압할 수 있는, 가스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밸브는 작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단속부는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하고, 상기 메인 단속부는 상기 작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하여, 상기 작동축의 상기 이동 및 상기 회전에 의해 파일럿 가스 유출 및 연소용 메인가스 유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밸브는 상기 파일럿 단속부와 탄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작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밸브는 상기 메인 단속부와 회전구속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외부로 돌출연장되는 작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럿 단속부는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고, 상기 파일럿 단속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단속부는 상기 회전 유도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 연통을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회전 유도판의 중심축 및 테두리부 사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도판이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 연통의 단속 및 가스연통을 위한 관통면적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축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가 유체연통되어 토치의 점화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가스밸브는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가스가 유출되는 유출로의 사이에 실링부가 마련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스 유입로 및 유출로 사이의 유체연통을 차단하여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가스밸브는 가스밸브 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치 않는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스레인지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가스밸브는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가스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체연통을 차단하는 단속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대되어, 상기 단속부에 의한 가스 유입로 및 유출로 사이의 유체연통 차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링 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가스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의 메인단속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의 메인단속부가 회전하여 단속이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것.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이'는, 유체, 예를 들어 가스가 지나가는 경로상에서의 사이, 예를 들어, 틈도 포함한다. 또한, '탄지'한다는 것은, 탄성 지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속'한다는 것은, 개폐를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는 가스를 이용하여 점화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스레인지 또는 가스버너 등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스레인지 또는 가스버너는 가정용 또는 업소용일 수 있다. 상기 가스레인지 또는 가스버너는 메인 불꽃의 점화를 위한 토치불꽃 점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밸브는 메인 불꽃의 점화 및 유지를 위한 메인 가스 유출로와는 별개로, 토치불꽃의 점화를 위한 파일럿 가스 유출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가스밸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는 제 1 내지 제 3 챔버(100, 200 및 300); 상기 제 1 내지 제 3챔버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유도판(400); 실링부(500, 510 및 520); 및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 또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챔버의 가스 연통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부(600,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챔버(100, 200, 300)는 상기 가스밸브(10) 내로 유입된 가스가 연통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유입된 가스는 후술할 회전 유도판(400) 또는 단속부(600, 4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스밸브(10)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챔버(100)는 가스밸브(10)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110)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챔버(200)는 토치불꽃의 점화를 위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밸브(10)로부터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파일럿 가스 유출부(210)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3 챔버(300)는 가스레인지의 메인 버너 불꽃의 점화 및 유지를 위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밸브(10)로부터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310)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챔버(100, 200 및 300)의 형상은 유체연통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내지 제 3챔버는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스밸브(10)를 포함하는 가스레인지의 점화는 상기 제 1챔버 내지 제3챔버(100,200 및 300)에 순차적으로 가스가 공급되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스 유입부(110)로부터 가스가 상기 가스밸브(10)내로 들어올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10) 내로 들어온 가스는 상기 제 1챔버(100) 내에 모일 수 있으며, 상기 2챔버 또는 상기 3챔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10) 내로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제 2챔버(200)를 통해 상기 파일럿 가스 유출부(210)로 가스를 공급하여 토치 불꽃을 점화시킬 수 있다. 토치 불꽃의 점화가 일어나면, 다음으로, 상기 제 3챔버(300)를 통해 상기 메인 가스 유출부(310)로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메인 가스 유출부(310)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하여 메인 불꽃을 점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의 가스연통,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3챔버의 가스연통은 후술할 회전 유도판(400) 및 단속부(600,41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도판(400)은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 및 상기 제 3챔버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은 일측에 상기 제 1챔버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 2챔버 및 상기 제 3챔버가 위치되도록 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인 상기 제 1챔버의 일 평면부의 일부에 상기 제 2챔버 및 상기 3챔버가 연결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상기 일 평면부에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일측이 접하며,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 3챔버로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에 후술할 파일럿 단속부(60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의 판 형태로, 상기 타측의 관통홀 주변부는 그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스 유입부(110)를 통해 상기 가스밸브(10)내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제 1챔버(100)에 모이게 되는데, 상기 제 1챔버(100) 내로 축적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타측방향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상기 회전 유도판(400)을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을 통해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일측과 상기 제 1챔버(100)의 내벽 사이가 보다 강하게 밀착되고, 상기 회전 유도판(400)에 의한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유체연통의 폐쇄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도판(400)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유도판(4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챔버 및 상기 제 3챔버의 유체연통이 단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챔버 및 상기 제 3챔버의 유체연통의 단속에 관하여는 후술할 단속부(410, 600)와 연계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2챔버(200)는, 제 1챔버(100)보다 작동축(700)의 가압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제 1챔버(100)의 축방향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인 파일럿 단속부(600)가 배치된 공간에서 작동축(7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3챔버(300)는, 제 1 챔버(100)보다 작동축(700)의 가압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제 1챔버(100)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제 1챔버(100)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유입부(110) 및 점화용 파일럿 가스 유출부(210)는 작동축(700)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310)는 작동축(700)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00, 510 및 520)는 틈을 실링하여 원치 않는 방향으로의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스밸브(10) 내에 형성되는 틈을 폐쇄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00, 510 및 520)는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합성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링부(500, 510 및 5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네모 형태의 단면을 포함하는 O자형의 고무링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링부(500, 510 및 520)는 상기 가스밸브(10)에 포함되는 구성들 또는 부품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00, 510 및 520)는 파일럿 실링부(510) 및 메인 실링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실링부(510)는,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2챔버(200) 사이의 유체연통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2챔버(200)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경유하지 않는 유체연통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 유도판(400)과 상기 제 2챔버(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챔버(100)에서 상기 제 2챔버(200)로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둘러싸도록 상기 파일럿 실링부(510)가 위치하고, 상기 파일럿 실링부(510)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 2챔버(200) 사이의 틈을 실링하여 유체연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메인 실링부(520)는,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200) 사이의 유체연통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경유하지 않는 유체연통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 유도판(400)과 상기 제 3챔버(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챔버(100)에서 상기 제 3챔버(300)로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둘러싸도록 상기 메인 실링부(520)가 위치하고, 상기 메인 실링부(520)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 3챔버(200) 사이의 틈을 실링하여 유체연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속부(600, 410)는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2챔버(200),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유체연통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파일럿 단속부(600) 및 메인 단속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중심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원통형상의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는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2 챔버(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2챔버(200) 사이의 연결통로의 개폐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 연통이 단속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단속부(410)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단속부(410)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에서 상기 회전 유도판(4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회전 유도판(400)은 중심부에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가 관통될 수 있는 파일럿 단속부 관통홀(4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중심축 및 테두리부 사이의 일부에 제 1 내지 제 3 관통홀(411, 412 및 4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상기 파일럿 단속부 관통홀(420) 및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통홀(411, 412 및 4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통홀(411, 412 및 413)은 상기 회전 유도판(40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관통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유도판(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본 가스밸브(10)를 통한 메인 불꽃의 점화가 수행 및 조절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관통홀(412)은 상기 제 1 관통홀(411) 보다 큰 관통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관통홀(413)은 상기 제 2 관통홀(412)보다 큰 관통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관통홀(411, 412 및 413)이 각각 단수의 홀인 것으로 설명하나, 각각 복수개의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관통홀(411)은 a의 면적을 갖는 관통홀을 n개 포함하는 관통홀의 집단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관통홀(412)은 a의 면적을 갖는 관통홀을 2n개 포함하는 관통홀의 집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단속부(410)는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3 챔버(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연결통로의 개폐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도 4 에 도시하였다. 도 4에서, (A)는 유체연통되지 않는 상태이고, (B)는 유체연통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회전 유도판(4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 단속부(4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연결통로와 겹쳐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3 챔버(300)의 가스 연통이 단속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단속부(410)가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연결통로와 겹쳐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가 폐쇄되어 있다가, 상기 회전 유도판(400)이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 단속부(4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연결통로와 겹쳐지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단속부(410)에 포함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유체 연통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 사이의 연결통로와 겹쳐지게 되는 관통홀의 크기가 커질수록 관통면적이 커지게 되어 한번에 통과할 수 있는 가스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상기 회전 유도판(4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커지게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회전 정도가 커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 3 챔버(300)로 이동하는 가스량이 커지게 되어 메인 불꽃의 화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3챔버(300)의 가스 연통의 단속 및 가스연통을 위한 관통면적의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10)는 작동축(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10)가 상기 작동축(700)을 더 포함하는 실시 형태를 상기 제 1 실시예와 구분하여 제 2 실시예로 하고, 상기 도 1 및 도 2에 기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작동축(700)은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와 탄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100)의 외부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지 연결은 탄성지지부(7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710)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작동축(70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밸브(10) 내로 삽입되는 일 말단부가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일 말단부와 맞물리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축(700)은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가 관통되는 관통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는 상기 작동축(7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기둥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작동축(700)의 일측 및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일측이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탄성지지부(710)는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외경을 둘러싸면서 일측 말단은 상기 작동축(700)에 인접하고 타측 말단은 상기 가스밸브(10) 내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축(700)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턱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탄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작동축(700)의 일단은 상기 파일럿 단속부 관통홀(420) 내에서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일단과 연결되어 파일럿 단속부의 외주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와 탄지 연결될 수 있다. 작동축(700)의 타단은 상기 제 1 챔버(100)의 외부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유입부(110) 및 상기 점화용 파일럿 가스 유출부(210)는 상기 작동축(7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310)는 상기 작동축(700)의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작동축(700)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축(700)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축방향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는 상기 작동축(700)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축방향 이동되고,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2 챔버(200)의 가스연통이 단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의 타측에 의하여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 2챔버(200) 사이의 유체연통이 폐쇄되어 있다가 상기 작동축(70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가 연동 이동되면 상기 파일럿 단속부(600)에 형성된 오목부의 위치가 상기 제 1챔버(100) 및 상기 제 2챔버(200) 사이로 이동되어 유체연통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작동축(700)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2 챔버(200)가 유체연통되어 토치의 점화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작동축(70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축(7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유도판(400)의 회전이 연동되어 메인 단속부(41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축(700)은 상기 메인 단속부(410)와 회전구속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작동축(7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3 챔버(300)의 가스연통이 단속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10)를 포함하는 가스레인지의 점화를 위하여, 상기 작동축(700)의 상기 축방향 이동 및 상기 회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점화 순서에 따라 토치 점화를 위한 파일럿 가스 유출 및 메인 불꽃 점화를 위한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작동축(700)을 이동시켜 상기 제 1 챔버(100)와 상기 제 2 챔버(200)가 유체연통되어 파일럿 가스의 유출이 일어나도록 하여 토치의 점화가 수행되도록 한 후에, 상기 작동축(700)을 회전시켜 상기 제 1챔버(100)와 상기 제 3 챔버(300)가 유체연통되어 연소용 메인 가스의 유출이 일어나도록 하여 메인 불꽃의 점화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가스밸브
100 : 제 1 챔버
110 : 가스 유입부
200 : 제 2 챔버
210 : 파일럿 가스 유출부
300 : 제 3 챔버
310 : 메인 가스 유출부
400 : 회전유도판
410 : 메인 단속부
411 : 제 1 관통홀
412 : 제 2 관통홀
413 : 제 3 관통홀
420 : 파일럿 단속부 관통홀
500 : 실링부
510 : 파일럿 실링부
520 : 메인 실링부
600 : 파일럿 단속부
700 : 작동축
710 : 탄성지지부

Claims (8)

  1. 가스 유입부와 유체 연통되는 제 1 챔버;
    점화용 파일럿 가스 유출부와 유체 연통되는 제 2 챔버;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와 유체 연통되는 제 3 챔버;
    일측에 상기 제 1 챔버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챔버 및 상기 제3챔버가 위치되는 회전 유도판;
    상기 회전 유도판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 연통을 단속할 수 있는 파일럿 단속부;
    상기 회전 유도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 연통을 단속할 수 있는 메인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챔버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제 1챔버 및 상기 제 3챔버의 유체연통이 폐쇄되도록 상기 회전 유도판을 가압할 수 있고,
    상기 회전 유도판의 중심부에는 파일럿 단속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럿 단속부는 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파일럿 단속부 관통홀 내에서 상기 파일럿 단속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파일럿 단속부의 외주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파일럿 단속부와 탄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챔버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작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입부 및 상기 점화용 파일럿 가스 유출부는 상기 작동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는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챔버는, 상기 제 1챔버보다 상기 작동축의 가압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축방향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인 상기 파일럿 단속부가 배치된 공간에서 상기 작동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3챔버는, 상기 제 1챔버보다 상기 작동축의 가압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 챔버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 유입부 및 상기 점화용 파일럿 가스 유출부는 상기 작동축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소용 메인 가스 유출부는 상기 작동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단속부는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하고,
    상기 메인 단속부는 상기 작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하여,
    상기 작동축의 상기 이동 및 상기 회전에 의해 파일럿 가스 유출 및 연소용 메인가스 유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스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판과 상기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파일럿 실링부와,
    상기 회전 유도판과 상기 제 3 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메인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밸브.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단속부는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고,
    상기 파일럿 단속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의 가스연통을 단속하는, 가스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속부는 상기 회전 유도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 연통을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가스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회전 유도판의 중심축 및 테두리부 사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도판이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3 챔버의 가스 연통의 단속 및 가스연통을 위한 관통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가스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가 유체연통되어 토치의 점화가 일어나는, 가스밸브.
KR1020180054787A 2018-05-14 2018-05-14 가스 밸브 KR10212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87A KR102127176B1 (ko) 2018-05-14 2018-05-14 가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87A KR102127176B1 (ko) 2018-05-14 2018-05-14 가스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09A KR20190130309A (ko) 2019-11-22
KR102127176B1 true KR102127176B1 (ko) 2020-06-26

Family

ID=6873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787A KR102127176B1 (ko) 2018-05-14 2018-05-14 가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9605A1 (en) * 2001-06-15 2002-12-19 Arabaolaza Juan Jose Thermostatic gas valve with standing pilot flow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79B1 (ko) 2007-08-10 2008-05-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가스밸브
KR101041713B1 (ko) 2008-09-11 2011-06-14 김원종 원터치 자동점화장치를 구비한 업소용 가스렌지
KR20130001846U (ko) * 2011-09-09 2013-03-19 진병숙 가스레인지용 가스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9605A1 (en) * 2001-06-15 2002-12-19 Arabaolaza Juan Jose Thermostatic gas valve with standing pilot 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09A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0200B1 (en) Improved gas burner for cooking appliances
RU2498156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US20130252183A1 (en) Gas burner with at least three rings
KR102127176B1 (ko) 가스 밸브
US20150198336A1 (en) Gas orifice holder
US20190346135A1 (en) Gas burner with silent cycling features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336420B1 (ko) 업소용 가스버너의 버너헤드
JP2008196785A (ja) コンロ用バーナ
EP2157372B1 (en) Pilot and burner assembly
JP2001012709A (ja) コンロ用バーナ
KR102150042B1 (ko) 이중 구조의 가스버너
WO2005064235A1 (en) Burner assembly for gas burners of radiant heating type
KR200391578Y1 (ko) 가스 버너용 가스 차단장치
KR20130030641A (ko) 버너
KR102132476B1 (ko) 조리기기
KR101118262B1 (ko) 가스레인지용 믹싱밸브
KR100799451B1 (ko) 가스버너 구조
KR20210013465A (ko) 이중가스버너
KR20130030957A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WO2023102853A1 (zh) 一种火盖结构及燃气灶
KR200472955Y1 (ko) 가스 조리기
KR20030008259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
KR200472953Y1 (ko) 가스 조리기
TW202138716A (zh) 瓦斯爐用爐心及瓦斯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