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68B1 - 와이어링 고정후크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고정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68B1
KR102127168B1 KR1020180173110A KR20180173110A KR102127168B1 KR 102127168 B1 KR102127168 B1 KR 102127168B1 KR 1020180173110 A KR1020180173110 A KR 1020180173110A KR 20180173110 A KR20180173110 A KR 20180173110A KR 102127168 B1 KR102127168 B1 KR 10212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astening hole
anchor portion
fixing hook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일
이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판넬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어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링 고정후크로서, 상기 차량 판넬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앵커부; 상기 앵커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되는 와이어링 결합부; 및 상기 앵커부와 상기 와이어링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부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홀의 크기에 맞춰 크기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다른 형상을 갖는 체결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단일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비용 및 관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고정후크 {FIXING STRUCTURE FOR WIRE}
본 발명은 와이어링 고정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판넬의 체결홀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한 와이어링 고정후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링이 설치된다. 이때, 와이어링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밴드 케이블, 후크, 클립 등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10)는, 차량 판넬(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11)와 차량 판넬(200)의 일면에 지지되는 걸림판(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판(12)의 이면에는 와이어링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와이어링이 결합된다. 와이어링 결합부(13)는, 와이어링과의 결합 방법에 따라 케이블, 클립 등이 사용된다.
이때, 앵커부(11)의 형상은, 차량 판넬(200)에 형성된 체결홀(21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체결홀(210)은, 그 용도에 따라 슬롯홀(211)과 정홀(212)로 형성되는데, 슬롯홀(211)은 장축과 단축이 형성되는 타원형의 홀로 형성되고, 정홀(212)은 원 형의 홀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홀(211)에 결합되는 앵커부(11)와 정홀(212)에 결합되는 앵커부(21)는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렇듯, 체결홀(210)의 형상에 따라 다른 종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10)를 필요로 함으로써 와이어링 고정후크(10)의 종류가 다양화 되어 관리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 과정에서 혼선이 발생되어 다른 종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10)가 적용된 경우, 이를 해체한 후 재결합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이로 인한 작업 시간 증가 및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판넬의 체결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 가능한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판넬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어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링 고정후크로서, 상기 차량 판넬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앵커부; 상기 앵커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되는 와이어링 결합부; 및 상기 앵커부와 상기 와이어링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부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홀의 크기에 맞춰 크기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부는, 일단이 상기 걸림판의 일면에 지지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중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걸림판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 사이의 간격은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걸림판에 접하는 단부가 인접한 상기 중심부재를 향해 특정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는, 특정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앵커부는,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수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축부재는, 단부가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에 각각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축부재의 중심부에서 상기 걸림판까지의 거리가, 상기 단부에서 상기 걸림판까지의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날개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때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상기 날개부재 간의 직선거리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기 중심부재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직선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부는, 상기 걸림판과 인접한 상기 날개부재의 일측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다른 형상을 갖는 체결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단일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비용 및 관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에 와이어링 고정후크가 오적용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후크의 종류에 따라 적용 가능한 차량 판넬 체결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후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중심부재가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차량 판넬의 슬롯형 체결홀에 삽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도 2의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차량 판넬의 정형 체결홀에 삽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후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중심부재가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차량 판넬의 슬롯형 체결홀에 삽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2의 와이어링 고정후크를 차량 판넬의 정형 체결홀에 삽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후크(100)(이하, '고정후크'라고 함.)는, 차량 판넬(200)에 형성된 체결홀(210)에 삽입되어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부(110), 걸림판(120) 및 와이어링 결합부(130)로 구성된다.
와이어링 결합부(130)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주면에 감겨 고정되는 밴드케이블,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클립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와이어링 결합부(130)는, 차량 판넬(200)의 일면에 지지됨으로써 와이어링을 고정시킨다.
걸림판(120)은, 와이어링 결합부(130)와 앵커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앵커부(11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걸림판(120)은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앵커부(110)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판(120)은,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이 차량 판넬(200)의 일면에 접하면서 지지된다.
차량 판넬(200)의 일면을 지지하는 걸림판(120)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링 결합부(130)가 체결홀(210)을 관통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앵커부(110)가 차량 판넬(200)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후크(100)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탄성력 범위 내에서 차량 판넬(200)의 두께 오차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앵커부(110)는, 걸림판(120)을 사이에 두고 와이어링 결합부(130)와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차량 판넬(200)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러한 앵커부(110)는, 중심부재(111), 날개부재(112), 수축부재(113) 및 걸림턱(114)이 형성된다.
중심부재(111)는, 일단이 걸림판(120)에 지지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중심부재(111)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중심부재(111)는 걸림판(120)에서 돌출되어 특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해당 길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특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부재(111)는, 걸림판(120)에 접하는 단부가 인접한 다른 중심부재(111)를 향해 특정 각도로 꺾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중심부재(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이도록 형성되는 단부가 맞닿도록 대칭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단부가 꺾어져 형성된 한 쌍의 중심부재(111)는 삽입되는 체결홀(210)의 형상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중심부재(111)는,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꺾어진 단부의 내각이 커지면서 가까워지도록 한다.
날개부재(112)는, 일단은 중심부재(111)의 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중심부재(111)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날개부재(112)의 타단은 걸림판(120)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었을 때,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타단이 중심부재(111)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될 때, 앵커부(110)의 단부 측이 먼저 삽입되고, 이때 날개부재(112)는 조금씩 가압되면서 삽입된다. 완전히 삽입되면, 날개부재(112)에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체결홀(210)의 내주면을 밀어내면서 결합된다. 또한, 날개부재(112)는 체결홀(210)의 내주면과 접하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차량 판넬(20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114)은, 걸림판(120)에 인접한 날개부재(112)의 일측에 단차로 형성된다. 걸림턱(114)은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며, 날개부재(112)가 체결홀(210)의 내주면에 접하는 측에 형성된다. 즉,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어 날개부재(112)가 체결홀(210)의 내주면을 밀어내면서 결합될 때, 걸림턱(114)이 체결홀(210)의 내주면과 차량 판넬(200)의 타면에 접하면서 고정된다. 정확하게는, 차량 판넬(200)이 걸림턱(114)에 안착되어 걸림으로써, 고정후크(110)가 차량 판넬(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날개부재(112)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114) 간의 거리가 체결홀(210)의 지름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수축부재(113)는, 한 쌍의 중심부재(111)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가 중심부재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중심부재(111) 사이에 배치된 수축부재(113)는, 중심부가 걸림판(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수축부재(113)의 중심부에서 걸림판(120)까지의 거리가, 중심부재(111)에 접하는 단부에서 걸림판(120)까지의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수축부재(113)는, 한 쌍의 중심부재(111)의 단부가 맞닿아 형성되는 형상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축부재(113)는, 중심부재(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축부재(113)는 한 쌍의 중심부재(111)를 서로 연결시켜주며, 특히 맞닿지 않은 중심부재(111)의 단부에도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러한 수축부재(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11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중심부의 내각이 작아지면서 함께 형상이 변형된다. 그리고, 변형된 수축부재(113)는 다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되어 한 쌍의 중심부재(111)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었을 때, 중심부재(111)를 체결홀(210)의 내주면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앵커부(110)는, 체결홀(210)에 삽입된 후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체결홀(210)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기 전, 도 4와 같이 중심부재(111)가 이동되지 않았을 때, 복수의 걸림턱(114) 사이의 거리는, 슬롯형 체결홀(211)의 장축의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단, 날개부재(112)가 모아지는 폭을 고려하여 여유길이를 갖는 정도로만 길어야한다. 그리고, 중심부재(111)의 폭의 길이는 슬롯형 체결홀(211)의 단축의 길이보다 짧아야 하고, 정형 체결홀(212)의 지름보다 짧아야 한다. 이는, 중심부재(111)의 폭은 변형되지 않음으로, 앵커부(11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앵커부(110)가 정형 체결홀(212)에 삽입되기 위해, 도 5와 같이 수축부재(113)가 수축되어 복수의 중심부재(11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의 복수의 걸림턱(114) 사이의 거리는, 정형 체결홀(212)의 지름보다 길되, 날개부재(112)가 모아지면서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부(110)가 정형 체결홀(212)에 삽입된 후에 복수의 걸림턱(114) 사이의 거리와, 중심부재(111)의 폭의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크기로 고정후크(100)가 형성되면, 다양한 형상의 체결홀(210)에 앵커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되, 삽입된 후에 날개부재(112)의 복원력을 통해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고정후크(1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슬롯형 체결홀(211)과 정형 체결홀(212)에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6과 같이, 슬롯형 체결홀(211)에 삽입될 때는, 앵커부(110)가 체결홀(211)에 삽입되고 걸림판(120)이 차량 판넬(200)의 일면을 지지하여 결합된다. 이때 앵커부(110)는, 날개부재(112)가 모아지면서 체결홀(211)에 삽입된다. 그리고, 날개부재(112)는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체결홀(211)의 지름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고, 걸림판(120) 및 걸림턱(114)이 차량 판넬(200)의 일면과 타면을 각각 지지하여 고정되면서 결합을 유지한다.
반면에, 도 7과 같이, 정형 체결홀(212)에 삽입될 때는, 날개부재(112)와 수축부재(113)가 함께 모아지면서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앵커부(110)를 체결홀(212)에 삽입하게 되면, 날개부재(112)가 도 7(b)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받는 힘은 슬롯형 체결홀(211)에 삽입될 때 받는 힘보다 큰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날개부재(112)는 물론이고 중심부재(111)까지 함께 힘을 받게되면서 중심으로 모이게 된다. 중심부재(11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수축부재(113)는 중심부가 이루는 각도가 더 작아지도록 접히게 되면서 앵커부(110)가 변형된다. 체결홀(212)에 삽입된 후에는 위의 설명과 같이, 날개부재(112)는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체결홀(211)의 지름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고, 걸림판(120) 및 걸림턱(114)이 차량 판넬(200)의 일면과 타면을 각각 지지하여 고정되면서 결합을 유지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을 기준으로 앵커부(110)의 가로 방향 길이가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정후크(100)를 슬롯형 체결홀(211)과 정형 체결홀(212)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고정후크(100)를 다른 형상을 갖는 체결홀(211, 212)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후크(100)를 단일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후크(100)의 종류가 단일화 됨으로써, 관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와이어링 하네스에 오적용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품질이 향상되며, 관리 비용 및 고정후크(100)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며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와이어링 고정후크 110 : 앵커부
111 : 중심부재 112 : 날개부재
113 : 수축부재 114 : 걸림턱
120 : 걸림판 130 : 와이어링 결합부
200 : 차량 판넬 210 : 체결홀
211 : 슬롯형 체결홀 212 : 정형 체결홀

Claims (8)

  1. 차량 판넬(200)에 형성된 체결홀(210)에 삽입되어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링 고정후크(100)로서,
    상기 차량 판넬(20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홀(210)에 결합되는 앵커부(110);
    상기 앵커부(110)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결합되는 와이어링 결합부(130); 및
    상기 앵커부(110)와 상기 와이어링 결합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부(11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판(120);
    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110)는,
    일단이 상기 걸림판(120)의 일면에 지지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중심부재(111); 및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의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수축부재(113);
    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재(111)는, 상기 걸림판(120)에 접하는 일단이 인접한 상기 중심부재(111)를 향해 특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110)는, 상기 체결홀(210)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홀(210)의 크기에 맞춰 크기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110)는,
    일단은 상기 중심부재(111)의 타단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중심부재(111)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걸림판(120)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부재(11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 사이의 간격은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는,
    특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상기 일단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재(113)는,
    단부가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에 각각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축부재(113)의 중심부에서 상기 걸림판(120)까지의 거리가, 상기 단부에서 상기 걸림판(120)까지의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7.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는, 상기 날개부재(11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110)가 상기 체결홀(210)에 삽입되어 복수의 상기 중심부재(11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체결홀(210)의 내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상기 날개부재(112) 간의 직선거리는, 상기 체결홀(210)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기 중심부재(1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직선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110)는,
    상기 걸림판(120)과 인접한 상기 날개부재(112)의 일측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후크.
KR1020180173110A 2018-12-28 2018-12-28 와이어링 고정후크 KR10212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10A KR102127168B1 (ko) 2018-12-28 2018-12-28 와이어링 고정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10A KR102127168B1 (ko) 2018-12-28 2018-12-28 와이어링 고정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68B1 true KR102127168B1 (ko) 2020-06-29

Family

ID=7140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110A KR102127168B1 (ko) 2018-12-28 2018-12-28 와이어링 고정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057A (ja) * 2006-01-10 2007-07-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057A (ja) * 2006-01-10 2007-07-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5414B2 (en) Hanger for mounting cables
US2895003A (en) Strain relief grommet
US2332855A (en) Wiring clip
US5004194A (en) Pipe/wire gripping and fixing clamp
JPH02567B2 (ko)
JPS58163884A (ja) ケ−ブルまたは導管用の合成樹脂から成るクリツプ
US5906465A (en) Low insertion force and high retention force Christmas tree-type clip
US3497923A (en) Cable clip
US5615852A (en) Cable clip
US3340352A (en) Sectional tap connector
US4114846A (en) Cable clamp
US6193217B1 (en) Cable puller
US5567186A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2577748A (en) Electrical connector
SK1522003A3 (en) Device for marking of wires and conduits
KR102127168B1 (ko) 와이어링 고정후크
US4201439A (en) Meter jaw and spring clip assembly
JP2015220919A (ja) 電線固定構造
JP2566920Y2 (ja) バンドクランプ
US2353732A (en) Wire connector
JP2017153186A (ja) バンドクリ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KR101902289B1 (ko) 밴드케이블 구조
JPH0673577U (ja) ハーネスクリップ
JP200123112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線経路規制部材および配線経路規制方法
NL2022976B1 (en) Saddle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