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47B1 -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 Google Patents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47B1
KR102127147B1 KR1020200003720A KR20200003720A KR102127147B1 KR 102127147 B1 KR102127147 B1 KR 102127147B1 KR 1020200003720 A KR1020200003720 A KR 1020200003720A KR 20200003720 A KR20200003720 A KR 20200003720A KR 102127147 B1 KR102127147 B1 KR 10212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layer
permeability
image acquisition
transmitt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훈
Original Assignee
이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백훈 filed Critical 이백훈
Priority to KR102020000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47B1/ko
Priority to CN202023058973.0U priority patent/CN214253233U/zh
Priority to JP2020215045A priority patent/JP7131853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46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6K9/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88Image or video recognition using optical means, e.g. reference filters, holographic masks, frequency domain filters or spatial domain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을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요철 패턴이 형성된 도장의 영상정보를 광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에 있어서, 광원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도장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전달되는 영상 전달면 및 반사된 빛을 영상 획득부로 출사하는 출사면을 포함하는 프리즘부; 상기 프리즘부의 영상 전달면 상에 접촉 구비되는 고투과성 탄성층; 및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 상부에 구비되어 도장의 요철 패턴이 직접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 보다 투과율이 낮은 저투과성 탄성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Stamp Image Acquisition Device with Excellent Clarity and Cushioning}
본 발명은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즘부의 영상 전달면 상에 순차적으로 접촉 구비되는 고투과성 탄성층과 저투과성 탄성층의 투과율 차이를 이용한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감은 흔히 도장이나 스탬프의 요철 패턴 상에 인주나 잉크을 묻히고, 종이와 같은 표면에 이를 압인함으로써 인주나 잉크를 매개로 패턴을 현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방식의 인감은 인주나 잉크에 의하여 도장이나 스탬프가 오염되어 유지 관리가 번거롭고, 종이에 현출된 인감을 전자문서화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스캔장비를 이용하여 인감을 스캔하는 비효율성이 동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는 개인의 의사결정을 증명하는 인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인감 스캐너가 개발되어 시중에 양산 중에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5346호 "요철형 패턴 영상 획득 장치"(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1)의 정보 입력면(1a)에 밀착되도록 탄성패드(2)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패드(2)는 순차적으로 제1 탄성층(2a), 광투과층(2b) 및 제2 탄성층(2c)을 구비함으로써 탄성패드(2)의 제2 탄성층(2c)에 의한 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광투과층(2b)에 의하여 압력이 분산되어 인감 영상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도장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제2 탄성층(2c)에 기존 도장의 인주나 잉크가 묻어있는 경우, 다음 도장의 인감 영상에 영향을 줌에 따라 선명도가 저하됨은 물론 인감 영상 자체에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제2 탄성층(2c)과 광투과층(2b)의 두께가 각각 0.12 mm 내외로 얇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도장을 압인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쿠션감이 거의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제1 탄성층(2a)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소재 사용량이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4114호 "이중 탄성구조를 구비한 패턴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 방법"(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1)의 정보 입력면(1a)에 밀착되도록 탄성패드(2)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패드(2)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4)가 마련되도록 탄성막(3)을 구비함으로써, 도장을 가압시 탄성막(3)을 매개로 탄성패드(2)가 압인되도록 하고, 이탈시 재차 공간부(4)가 마련됨으로써 탄성막(3)에만 인주나 잉크가 묻을 뿐, 탄성패드(2)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도록 하여 선명도가 우수한 인감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탄성막(3)의 표면이 도장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압인 과정에서 도장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에 의한 섬세한 압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인감 영상에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탄성막(3)이 얇은 막구조를 취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함에 따라 쉽게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장의 압인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부여하면서도 표면에 인주나 잉크가 묻더라도 선명도가 우수한 인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불필요한 탄성 소재의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 도장(S)의 영상정보를 광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에 있어서, 광원(L)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11)과 도장(S)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전달되는 영상 전달면(12) 및 반사된 빛을 영상 획득부(C)로 출사하는 출사면(13)을 포함하는 프리즘부(10);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탄성중합체로 제작되어 상기 프리즘부(10)의 영상 전달면(12) 상에 접촉 구비되며, 0.8 내지 1의 투과율을 지니고, 두께가 2.0 mm 이상인 고투과성 탄성층(20);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상에 접촉 구비되며, 0.8 내지 1의 투과율을 지니고, 두께가 0.045 내지 0.075 mm 이상인 고투과성 필름층(30); 및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탄성중합체로 제작되어 상기 고투과성 필름층(30) 상에 접촉 구비되어 도장(S)의 요철 패턴이 직접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보다 투과율이 낮도록 0.3 내지 0.5의 투과율을 지니고, 두께가 0.15 mm 이상인 저투과성 탄성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영상 획득부(C)에는 도장(S)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의 명암 대비를 증가시키는 선명도 보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에 따르면, 고투과성 탄성층 상에 일정 경도의 고투과성 필름층을 접촉 구비하여 도장의 압인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부여하면서도 필름층에 의하여 압인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과 고투과성 필름층 상에 저투과성 탄성층을 구비하여 표면에 인주나 잉크가 잔존하더라도 선명도가 우수한 인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저투과성 탄성층과 고투과성 필름층의 상대적인 두께 비율을 바탕으로 고투과성 탄성층의 소재의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충분한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빛 투과율이 낮아져 반사된 빛의 밝기가 저하되더라도 선명도 보정부가 영상 정보의 명암 대비(Contrast)를 증가시켜 선명한 인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감 영상 획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영상 획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인감 영상 획득장치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영상 획득장치를 도시한 단면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감 영상 획득장치를 도시한 단면 상세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 도장(S)의 영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부(10), 고투과성 탄성층(20) 및 저투과성 탄성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인감 영상 획득장치(D)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프리즘부(10), 고투과성 탄성층(20) 및 저투과성 탄성층(40) 이외에 필수적으로 빛을 출사하는 광원(L)과 반사된 빛을 바탕으로 인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C)가 구비되어야 하나, 이들 구성을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한 구성들은 별도로 분리하여 다른 장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리즘부(10)는 입사되는 빛을 반사, 투과 및 굴절시켜 출사시켜 도장(S)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의한 인감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입사면(11), 영상 전달면(12) 및 출사면(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사면(11)은 광원(L)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부분에 마련된 면이며, 상기 영상 전달면(12)은 도장(S)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전달되는 부분에 마련된 면이고, 상기 출사면(13)은 반사된 빛을 영상 획득부(C)로 출사하는 부분에 마련된 면이다.
한편, 상기 프리즘부(10)의 영상 전달면(12) 상에는 순차적으로 상술한 고투과성 탄성층(20) 및 저투과성 탄성층(40)이 적층 구비될 수 있다. 광원(L)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프리즘부(10)의 입사면(11)을 통하여 유입되고, 영상 전달면(12)을 거쳐 그 상부에 접촉 구비되는 고투과성 탄성층(20) 및 저투과성 탄성층(40)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도장(S)의 요철 패턴을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흡수 또는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다시 영상 전달면(12)을 거쳐 출사면(13)을 통하여 영상 획득부(C)로 출사되어 진다.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은 상기 프리즘부(10)의 영상 전달면(12) 상에 접촉 구비되는 것으로,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탄성중합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은 광원(L)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흡수 내지 반사됨이 최소화되어 대부분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율이 0.8 내지 1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은 사용자가 도장을 압인시 최종적으로 압력을 수용 흡수하여,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두께가 두꺼울수록 완충 효과가 증가될 수 있으나 자중이 증가되고, 소재 사용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상에는 고투과성 필름층(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투과성 필름층(30)은 고투과성 탄성층(20) 상에 적층되도록 접촉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과 마찬가지로 고투과성 필름층(30)도 광원(L)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흡수 내지 반사됨이 최소화되어 대부분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율이 0.8 내지 1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투과성 필름층(30)은 일정 경도를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장의 압인 과정에서 발생되는 국부적인 압인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하부에 구비되는 고투과성 탄성층(20)이 압력을 완전히 수용하여 완충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은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내지 고투과성 필름층(30) 상에 접촉 구비되어 도장(S)의 요철 패턴이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탄성중합체로 제작되어 충분한 마찰력과 쿠션감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도장(S)을 압인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됨이 없어 효과적인 압인이 가능하며, 더불어 사용감이 증진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달리함에 따라 인감 영상이 차등 현출됨이 없이 균질하고 안정적인 영상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감 영상 획득장치(D)는 광원(L)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저투과성 탄성층(40)의 외면의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입사되는 흡수식을 채택한 장치이므로, 도장(S)의 요철 패턴 중 저투과성 탄성층(40)과 접촉하는 철부에는 빛의 흡수가 이루어지고, 요부에는 반사가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저투과성 탄성층(40)의 투과율을 저하시켜 표면에 잔존하는 인주에 의하여 빛이 흡수되지 않도록 제안한 것으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이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보다 투과율이 낮게 형성되는 점에 기술적 차별성이 있다.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은 표면에 인주나 잉크가 잔존하여 오염된 상태라도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낮도록 형성됨에 따라 잔존 인주나 잉크로 인하여 흡수되는 빛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인감 영상에 불필요한 왜곡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선명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및/또는 고투과성 필름층(30)은 광원(L)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흡수 내지 반사됨이 최소화되어 대부분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율이 0.8 내지 1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과 고투과성 필름층(30)의 투과율 범위를 상기 수치범위로 한정한 상태(두께는 각각 2.0 mm, 0.05 mm)에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에 인주를 인위적으로 도포한 상태로 저투과성 탄성층(40)의 투과율(두께는 0.15 mm)에 따른 영상 정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상 정보의 결과는 잔존 인주에 의한 영상 왜곡 여부로 분류하였다.
(실시예 1) 투과율의 비율에 따른 영상 왜곡 및 밝기 저하 (고투과성 탄성층만 구비)
저투과성 탄성층
투과율
고투과성 탄성층
투과율 (0.8)
영상 왜곡
고투과성 탄성층
투과율 (0.9)
영상 왜곡
고투과성 탄성층
투과율 (1.0)
영상 왜곡
0.6 발생 발생 발생
0.55 일부 발생 일부 발생 발생
0.5 - - 일부 발생
0.45 - - -
0.4 - - -
0.35 - - -
0.3 밝기 저하 - -
0.25 밝기 저하 밝기 저하 밝기 저하
(실시예 2) 투과율의 비율에 따른 영상 왜곡 및 밝기 저하 (고투과성 탄성층 및 필름층 모두 구비)
저투과성 탄성층
투과율
고투과성 탄성층 및 필름층 투과율 (0.8)
영상 왜곡
고투과성 탄성층 및 필름층 투과율 (0.9)
영상 왜곡
고투과성 탄성층 및 필름층 투과율 (1.0)
영상 왜곡
0.6 발생 발생 발생
0.55 일부 발생 일부 발생 발생
0.5 - - 일부 발생
0.45 - - -
0.4 - - -
0.35 - - -
0.3 밝기 저하 - -
0.25 밝기 저하 밝기 저하 밝기 저하
상기한 실시예들은 모든 실험을 다 기재한 것은 아니며, 대표적인 실시예들만을 정리하여 기재한 것으로, 상기 표를 바탕으로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및 고투과성 필름층(30)은 투과율이 0.8 내지 1 이고,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은 투과율이 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잔존한 인주에 의하여 인감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나 투과율이 0.5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왜곡이 없이 본래의 압인 인감의 영상이 획득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저투과성 탄성층(40)의 투과율이 0.3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영상 정보의 밝기(명도)가 너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바, 0.3 내지 0.5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및 고투과성 필름층(30)은 투과율이 0.8 내지 1 인 것을 전제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의 투과율은 0.35 내지 0.45 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인감 영상 획득장치(D)를 제작함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투과성 필름층(30)과 저투과성 탄성층(40)의 상대적인 두께를 바탕으로 사용패턴을 달리하는 100명의 사용자를 바탕으로 미끄러짐이나, 특정 부분에 압입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최적의 두께 비율을 하기한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때,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의 두께는 충분한 여유를 두고 2.0 mm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3) 고투과성 필름층(30)의 두께가 0.10 mm인 경우
저투과성 탄성층
(mm)
미끄러짐
(명)
압입집중
(명)
필름층 복원상실
(발생여부)
0.05 34 54 -
0.10 22 25 -
0.15 16 1 -
0.20 0 5 -
0.25 0 4 -
(실시예 4) 고투과성 필름층(30)의 두께가 0.08 mm인 경우
저투과성 탄성층
(mm)
미끄러짐
(명)
압입집중
(명)
필름층 복원상실
(발생여부)
0.05 32 46 -
0.10 20 23 -
0.15 14 2 -
0.20 0 3 -
0.25 0 3 -
(실시예 5) 고투과성 필름층(30)의 두께가 0.05 mm인 경우
저투과성 탄성층
(mm)
미끄러짐
(명)
압입집중
(명)
필름층 복원상실
(발생여부)
0.05 34 49 발생
0.10 24 27 발생
0.15 4 5 -
0.20 0 3 -
0.25 0 3 -
(실시예 6) 고투과성 필름층(30)의 두께가 0.04 mm인 경우
저투과성 탄성층
(mm)
미끄러짐
(명)
압입집중
(명)
필름층 복원상실
(발생여부)
0.05 32 48 발생
0.10 22 24 발생
0.15 4 8 발생
0.20 0 3 -
0.25 0 4 -
상기한 실시예들은 모든 실험을 다 기재한 것은 아니며, 대표적인 실시예들만을 정리하여 기재한 것으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은 고투과성 필름층(30)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그 두께가 최소 0.15 m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짐 현상과 압입 집중 현상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이 최소 0.15 mm가 확보되더라도, 상기 고투과성 필름층(30)의 두께는 최소 0.08 mm 이상인 경우에는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였고, 도장의 압입에 따른 벤딩(휨)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복원이 이루어졌으나, 0.04 mm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미끄러짐은 덜하나 도장의 테두리를 따라 진하게 스캔되는 압입집중 현상이 발생되고, 비복원 변형이 일부 발생되어 기능성에 저하가 야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은 0.15 mm 이상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투과성 필름층(30)은 0.045 내지 0.075 mm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이 도출되었다.
한편,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과 고투과성 필름층(30)이 구조적으로 가장 불리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로서, 상기 저투과성 탄성층(40)이 0.15 mm이고, 고투과성 필름층(30)이 0.045 mm 인 경우에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의 두께는 2.0 mm 이상이면 압인 압력의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압력 해제 후 탄성 복원됨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저투과성 탄성층(40)에 의하여 일부 빛 투과율이 낮아져 반사된 빛의 밝기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감 영상 획득장치(D)는 상술한 영상 획득부(C)에 있어서, 도장(S)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의 명암 대비를 증가시키는 선명도 보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선명도 보정부(50)가 영상 정보의 명암 대비(Contrast)를 증가시켜 선명한 인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인감 영상 획득장치 S:도장
L:광원 C:영상 획득부
10:프리즘부 11:입사면
12:영상 전달면 13:출사면
20:고투과성 탄성층 30:고투과성 필름층
40:저투과성 탄성층 50:선명도 보정부

Claims (6)

  1. 삭제
  2. 요철 패턴이 형성된 도장(S)의 영상정보를 광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D)에 있어서,
    광원(L)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11)과 도장(S)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전달되는 영상 전달면(12) 및 반사된 빛을 영상 획득부(C)로 출사하는 출사면(13)을 포함하는 프리즘부(10);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탄성중합체로 제작되어 상기 프리즘부(10)의 영상 전달면(12) 상에 접촉 구비되며, 0.8 내지 1의 투과율을 지니고, 두께가 2.0 mm 이상인 고투과성 탄성층(20);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상에 접촉 구비되며, 0.8 내지 1의 투과율을 지니고, 두께가 0.045 내지 0.075 mm 이상인 고투과성 필름층(30); 및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계 탄성중합체로 제작되어 상기 고투과성 필름층(30) 상에 접촉 구비되어 도장(S)의 요철 패턴이 직접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고투과성 탄성층(20) 보다 투과율이 낮도록 0.3 내지 0.5의 투과율을 지니고, 두께가 0.15 mm 이상인 저투과성 탄성층(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영상 획득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C)에는 도장(S)의 요철 패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의 명암 대비를 증가시키는 선명도 보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영상 획득장치.
KR1020200003720A 2020-01-10 2020-01-10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KR10212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20A KR102127147B1 (ko) 2020-01-10 2020-01-10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CN202023058973.0U CN214253233U (zh) 2020-01-10 2020-12-18 清晰度以及弹性感优秀的印鉴影像获取装置
JP2020215045A JP7131853B2 (ja) 2020-01-10 2020-12-24 鮮明度とクッション感が優れた印鑑映像獲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20A KR102127147B1 (ko) 2020-01-10 2020-01-10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47B1 true KR102127147B1 (ko) 2020-06-26

Family

ID=7113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720A KR102127147B1 (ko) 2020-01-10 2020-01-10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31853B2 (ko)
KR (1) KR102127147B1 (ko)
CN (1) CN21425323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342A (ja) * 1997-03-27 1998-10-09 Nec Corp 指紋検知装置
KR20020015226A (ko) * 2000-08-21 2002-02-27 정문술 지문이미지의 보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411B2 (ja) * 1997-03-27 2001-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指紋検知装置
US6154285A (en) * 1998-12-21 2000-11-28 Secugen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for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KR101179423B1 (ko) * 2011-10-24 2012-09-04 주식회사 슈프리마 요철형 패턴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1515346B1 (ko) * 2013-12-23 2015-04-28 주식회사 슈프리마 요철형 패턴 영상 획득 장치
JP6391732B2 (ja) * 2017-02-22 2018-09-19 ユニオンコミュニティー シーオー エルティディUnioncommunity Co.,Ltd 二重弾性構造を備えた判子スキャナ及びその方法
JP2019036235A (ja) * 2017-08-21 2019-03-07 ウィッツェル株式会社 印面鮮明化装置
KR102000942B1 (ko) * 2018-04-20 2019-07-1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342A (ja) * 1997-03-27 1998-10-09 Nec Corp 指紋検知装置
KR20020015226A (ko) * 2000-08-21 2002-02-27 정문술 지문이미지의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11383A (ja) 2021-08-02
JP7131853B2 (ja) 2022-09-06
CN214253233U (zh)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455A1 (en) Printed matter
EP1275986A3 (en) Optical film
JP2010541130A (ja) 導光キーパッド及び導光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ー
ES2076702T3 (es) Procedimiento de serigrafia para imprimir una capa decorativa en cristales y dispositivo para la ejecucion del procedimiento.
EP1434081A3 (en) Electro-optical device encased in mounting case,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ounting case
KR102127147B1 (ko) 선명도와 쿠션감이 우수한 인감 영상 획득장치
JPH10160938A (ja) 導光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TW202218402A (zh) 執行平台式掃描的多模式掃描裝置
JP6391732B2 (ja) 二重弾性構造を備えた判子スキャナ及びその方法
EP0825460A3 (en) Lenticular lens sheet, display front plate and transmission type projection screen
KR101594114B1 (ko) 이중 탄성구조를 구비한 패턴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 방법
JP2012073289A (ja) 画像表示装置
KR102000942B1 (ko)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JP4707757B2 (ja) キーボード装置
JP2002022965A (ja) 導光板ユニット及びバックライト
TW200519524A (en) Photomask and method of producing a video device
KR101542818B1 (ko) 이중 탄성 입력구조를 구비한 패턴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 방법
KR101515346B1 (ko) 요철형 패턴 영상 획득 장치
TW200723949A (en) Flat-type image display device
RU2004103466A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ачества бумаги для растровой полутоновой печати
JP5646262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5536777A (ja) ステレオフレキソグラフィー
JP2019036235A (ja) 印面鮮明化装置
KR20190068795A (ko) 프레넬패턴 인쇄시트
KR20000063364A (ko) 엑스레이 그리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