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175B1 -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175B1
KR102126175B1 KR1020160137507A KR20160137507A KR102126175B1 KR 102126175 B1 KR102126175 B1 KR 102126175B1 KR 1020160137507 A KR1020160137507 A KR 1020160137507A KR 20160137507 A KR20160137507 A KR 20160137507A KR 102126175 B1 KR102126175 B1 KR 10212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list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277A (ko
Inventor
모리카즈 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H04M1/725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용이하게 페어링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검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한다. 표시 유닛은, 검색 유닛에 의한 검색의 결과로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한다. 특정 유닛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로부터, 휴대 단말이 근접하는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특정한다. 접속 유닛은 특정 유닛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 대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들에 관하여, 최근에는 더 많은 장치들이 무선 LAN, 블루투스(등록 상표)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무선 통신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예를 들어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와 휴대 단말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통해 인쇄와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서의 전파 강도는 통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쇠하는 특성을 갖고; 따라서, 휴대 단말과 화상 형성 장치의 거리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 강도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파 강도의 이러한 감쇠 특성을 사용하여, 일부 경우들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검출되는 전파 강도들로부터 추정되는 휴대 단말들의 거리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휴대 단말을 특정하고, 이러한 가장 가까운 휴대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3-146048호 참조).
또한, 휴대 단말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 공간에 복수의 전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서, 휴대 단말은,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들이 특정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뿐만 아니라 복수인 전파들을, 화상 형성 장치들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은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전파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의 리스트를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한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4-165594호).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고 정보는 적은 정보만을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명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디바이스명들의 리스트 중 어느 것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과 페어링하기를 실제로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지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결정하는 것이 곤란하고, 휴대 단말을 원하는 화상 장치와 페어링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용이하게 페어링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이러한 휴대 단말에 대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유닛, 검색 유닛에 의한 검색의 결과로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유닛,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로부터, 휴대 단말이 근접하는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특정하도록 구성되는 특정 유닛, 및 특정 유닛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용이하게 페어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및 화상 형성 장치들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전파 강도와, 휴대 단말과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거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휴대 단말 상에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결정 프로세스의 절차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휴대 단말의 조작 유닛 상에 양자 모두 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의 리스트 및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휴대 단말의 조작 유닛 상에 양자 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의 리스트 및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3의 휴대 단말 상에 수행되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 결정 프로세스의 절차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도 3의 휴대 단말 상에 수행되는 접속 확인 절차들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휴대 단말이 접속 후보로서 결정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전에 휴대 단말의 조작 유닛 상에 표시되는 접속 확인 메시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및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인쇄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 PC(110) 및 액세스 포인트(140)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은 네트워크(12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120)를 통해 PC(110) 및 휴대 단말(130)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은 무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 LAN이나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여 무선 시스템용 전파를 발신한다. PC(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130)은 액세스 포인트(140)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에 접속하고,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에 송신한다. 또한, 휴대 단말(130)은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로부터 발신되는 복수의 전파들을 수신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전파들의 내용들을 분석한다. 화상 형성 장치들(100, 101, 102)은 PC(110) 또는 휴대 단말(13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음으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설명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하여 주어질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복합기로서 가정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0)는 스캐너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프린터 등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CPU(201), ROM(202), RAM(203), HDD(204), 및 Wi-Fi 통신 유닛(205)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린터 I/F(206), 스캐너 I/F(208), 조작 유닛 I/F(210), 네트워크 I/F(212), 및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유닛(213)을 구비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버스(200)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린터(207), 스캐너(209), 및 조작 유닛(211)을 구비하고,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각각 프린터 I/F(206), 스캐너 I/F(208) 및 조작 유닛 I/F(210)를 통해 버스(200)에 접속된다. 네트워크 I/F(212)는 화상 형성 장치(100)와 네트워크(120)를 접속한다.
CPU(201)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총괄하여 제어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ROM(202)에 저장된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RAM(203)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CPU(201)의 메인 메모리 및 작업 영역 또는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일시적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204)는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CPU(201)에 의해 사용되는 인쇄 데이터나 스캔 화상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CPU(201)가 단독으로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지만, 복수의 CPU들이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협업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Wi-Fi 통신 유닛(205)은 무선 LAN을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 의해 휴대 단말(13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Wi-Fi 통신 유닛(205)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은,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40)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를 통과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00)와 휴대 단말(130) 사이에 직접 수행된다.
BLE 통신 유닛(213)은 BLE를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이하, "BLE 무선 통신"이라 함)에 의해 휴대 단말(13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BLE 통신 유닛(213)은 BLE 무선 통신 동안 휴대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30)까지의 거리를 추정한다. 스캐너(209)는 스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문서를 판독한다. 프린터(207)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 스캐너(209)에 의해 생성되는 스캔 화상 등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인쇄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프린터(207)에 의해 인쇄되는 스캔 화상은 HDD(204)에 저장된다. 조작 유닛(211)은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유닛 및 키보드를 구비하고, 다양한 조작 화면들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 유닛(211)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명령어들 및 정보를 입력한다. 네트워크 I/F(212)는 네트워크(12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120) 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I/F(212)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린터(207)는 이러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휴대 단말(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130)은 CPU(301), ROM(302), RAM(303), HDD(304), Wi-Fi 통신 유닛(305), 조작 유닛 I/F(306), 및 BLE 통신 유닛(308)을 구비하고,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버스(300)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휴대 단말(130)은 조작 유닛(307)을 더 구비하고, 조작 유닛(307)은 조작 유닛 I/F(306)를 통해 버스(300)에 접속된다.
CPU(301)는 ROM(302)에 저장된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휴대 단말(130)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RAM(303)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CPU(301)의 메인 메모리 및 작업 영역 또는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일시적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304)는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화상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Wi-Fi 통신 유닛(305)은 무선 LAN을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Wi-Fi 통신 유닛(305)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140)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를 통과하지 않고 휴대 단말(130)과 화상 형성 장치(100) 사이에 직접 수행된다. BLE 통신 유닛(308)은 화상 형성 장치(100)와 BLE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BLE 통신 유닛(308)은 BLE 무선 통신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강도를 측정하고, BLE 통신 유닛(308)은 측정된 강도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추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 강도는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130)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 강도가 더 높을 때 휴대 단말(130)과 화상 형성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더 근접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조작 유닛(307)은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유닛 및 키보드를 구비하고, 다양한 조작 화면들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 유닛(307)을 통해 휴대 단말(130)에 명령어들 및 정보를 입력한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130)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프트웨어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의 각각의 화살표는 기능 호출의 소스와 목적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프트웨어로서 로컬 UI(501), HTTP 서버(502), 원격 UI(503), SMB/CIFS 서버(504), 문서 관리 서비스(506), SNMP 서버(507), 및 MIB(509)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30)은 소프트웨어로서 로컬 UI(510), 웹 브라우저(511), 파일 관리 툴(513) 및 MFP 관리 툴(515)을 포함한다. 로컬 UI(510)는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130)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로컬 UI(510)에 의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BLE 통신 유닛(308)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51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HTTP 서버(502)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HTTP 클라이언트(512)를 구비한다. 파일 관리 툴(513)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SMB/CIFS 서버(504)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SMB/CIFS 클라이언트(514)를 구비한다. MFP 관리 툴(515)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SNMP 서버(507)를 통해 MIB(509)에 액세스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SNMP 클라이언트(516)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 상에서, 로컬 UI(5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 유닛(211) 상에 표시한다. HTTP 서버(502)는 휴대 단말(130)의 웹 브라우저(511)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원격 UI(503)를 호출한다. 원격 UI(503)는 휴대 단말(130)의 웹 브라우저(511)를 조작하는 사용자를 위해, HTML로 작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HTTP 서버(502)에 제공한다. 또한, HTTP 서버(502)는 휴대 단말(130)의 웹 브라우저(511)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원격 UI(503)로부터 취득된 HTML을 웹 브라우저(511)에 송신한다. SMB/CIFS 서버(504)는 NTLM(Windows NT LAN Manager) 인증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NTLM 인증 처리부(505)를 구비한다. SMB/CIFS 서버(504)는 휴대 단말(130)의 파일 관리 툴(513)로부터 파일들을 열람하거나 저장하는 요청 또는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신하면, 문서 관리 서비스(506)를 호출한다. 문서 관리 서비스(506)는 HDD(204)에 저장된 전자 문서들(PDF, JPEG, PNG, DOC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들)의 열람 및 업데이트, HDD(204)에 신규 파일의 저장, 및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SNMP 서버(507)는 SNMP version 3의 USM(User-based Security Model)으로 정의되는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USM 인증 처리부(508)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 단말(130)의 SNMP 클라이언트(516)로부터의 액세스를 수신하면, SNMP 서버(507)는 MIB(509)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고 설정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휴대 단말(130) 상에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결정 프로세스의 절차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의 프로세스는 RAM(3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CPU(301)에 의해 실현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CPU(301)는 접속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검색을 시작하기 위해 BLE 통신 유닛(308)으로 하여금 BLE 무선 통신을 시작하게 한다(단계 S601). BLE 통신 유닛(308)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CPU(301)는 수신 전파 강도를 RAM(303)에 기록한다(단계 S602). 다음으로, CPU(301)는 단계 S602에서 수신 전파 강도가 미리 설정된 미리 결정된 값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3). 미리 결정된 값은, 예를 들어 -60dBm이다. 단계 S6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수신 전파 강도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더 크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03: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602로 돌아간다. 한편, 단계 S6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수신 전파 강도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03: "예"), CPU(301)는 BLE 통신 유닛(308)에 의해 수신 전파들의 수가 하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4).
단계 S604에서의 판정 결과가, 수신 전파의 수가 하나라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04: "예"), CPU(301)는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접속 후보로서 결정하고(단계 S605), 프로세스를 이하 설명될 단계 S61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604에서의 판정 결과가, 수신 전파의 수가 하나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04: "아니오"), CPU(301)는 복수의 수신 전파들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을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한다(단계 S606).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은 리스트,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리스트(700)로서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CPU(301)는, 사용자에 대하여, 메시지(701)(도 7)를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한다(단계 S607). 메시지(701)는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리스트(700)로부터 선택하라고, 또는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휴대 단말(130)을 근접시키라고(휴대 단말(130)을 화상 형성 장치 쪽으로 이동시키라고)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한다.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 이동하고 화상 형성 장치 위에 휴대 단말(130)을 유지하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130)은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CPU(301)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130)의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되는 리스트(70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8). 이러한 판정은 리스트(700)에 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 중 임의의 하나를 탭하는 사용자의 액션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명들뿐만 아니라, 전파 강도들을 도 8의 리스트(800)에 도시되는 디바이스명들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선택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명을 상이한 폰트 또는 상이한 폰트 사이즈를 사용하여 강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608에서의 판정 결과가,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명이 리스트(700)로부터 선택된 것을 보여주면(단계 S608: "예"), CPU(301)는 이러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접속 후보로서 결정한다(단계 S609). 다음으로, CPU(310)는 프로세스를 단계 S61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608의 판정 결과가, 화상 형성 장치가 리스트(700)로부터 선택되지 않은 것을 보여주면(단계 S608: "아니오"), CPU(301)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130)이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10). 단계 S601 내지 단계 S609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130)을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시키기 전에 수행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602에서의 수신되는 전파 강도들의 기록, 및 단계 S607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의 리스트 표시는 양자 모두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휴대 단말(130)이 근접하기 전에 수행된다.
단계 S610에서의 판정 결과가, 휴대 단말(130)이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한다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10: "예"), CPU(301)는 BLE 통신 유닛(308)을 사용하여 접속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들로부터 다시 전파들을 수신한다. 또한, CPU(301)는 수신 전파 강도들을 RAM(303)에 기록한다(단계 S611). 구체적으로, CPU(301)는 휴대 단말(130)이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한 후(사용자가 이동한 후) 수신 전파 강도들을 기록한다. 한편, 휴대 단말(130)이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하지 않으면(단계 S610: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602로 복귀한다. 단계 S61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 강도가 변화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30)이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CPU(301)는 단계 S611에서 수신되는 전파 강도들 중 하나가 다른 전파 강도들보다 미리 결정된 양 이상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12). 미리 결정된 양은, 예를 들어, 20dBm이다.
단계 S612에서의 판정 결과가, 하나의 전파 강도가 다른 전파 강도들보다 미리 결정된 양 이상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12: "예"), CPU(301)는 이러한 하나의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접속 후보로서 결정한다(단계 S613). 계속해서, CPU(301)는 프로세스를 단계 S61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612에서의 판정 결과가, 강도가 다른 전파들보다 미리 결정된 양 만큼 더 큰 전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면(단계 S612: "아니오"), CPU(301)는 수신 전파들의 강도의 변화량들을 서로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CPU(301)는 단계 S602에서 기록된 전파 강도들과 단계 S611에서 기록된 전파 강도들 사이의 변화량들을 산출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변화량들을 서로 비교한다(단계 S614). 여기서, 변화량들은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때로부터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 이동할 때까지의 전파 강도의 변화량들에 대응한다.
또한, 단계 S614에서의 비교에 기초하여, CPU(301)는 산출된 강도의 변화량들 중 가장 큰 강도의 변화량을 갖는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접속 후보로서 결정하고(단계 S615), CPU(301)는 프로세스를 단계 S616으로 진행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S616에서, CPU(301)는 접속 후보로서 결정된 화상 형성 장치에 Wi-Fi를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 의해 접속을 행하고, 다음으로 본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 S611의 수행 후 단계 S612 및 S613이 생략되고 후속 단계들 S614 내지 S616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6a 및 도 6b의 위에 설명된 프로세스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로부터 전파들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S602 및 단계 S611에서 기록되는 강도의 변화량들에 기초하여,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스트(700)로부터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반드시 선택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디바이스명들의 리스트가 리스트(700)로서 표시될 때와 휴대 단말(130)이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할 때 사이(단계 S602로부터 단계 S611까지의 시기)에서 전파 강도의 변화량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강도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 후보로서 결정된다. 사용자는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강도의 변화량은 다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강도의 변화량들에 비해 가장 크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가 전파의 변화량에 반영되고, 그 결과, 사용자의 의도는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결정에 반영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파 강도의 변화량들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들과 휴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들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전파 강도의 변화량이 가장 큰 화상 형성 장치가 가장 근접한 화상 형성 장치라고 판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가장 근접한 화상 형성 장치를 판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메시지(701)의 표시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130)을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를 리스트(700)로부터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큰 강도를 갖는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700)에서, 강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가장 근접한 화상 형성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 실시예에서는, 강도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 후보로서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과 대조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가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들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강도의 변화량들 사이의 차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할당되고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위 제1 실시예에서의 것들과 상이한 점들만이 설명될 것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3의 휴대 단말(130) 상에 수행되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 결정 프로세스의 절차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CPU(301)는 단계 S614에서의 비교에서 전파 강도의 가장 큰 변화량과 다음 (두번째) 큰 변화량 사이의 차분이 미리 결정된 양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901). 미리 결정된 양은, 예를 들어, 10dBm이다. 단계 S901에서의 판정 결과가, 전파 강도의 가장 큰 변화량이 전파 강도의 두번째 큰 변화량보다 미리 결정된 양 이상 더 다는 것을 나타내면(단계 S901: "예"), CPU(301)는 프로세스를 단계 S902로 진행시킨다. 단계 S902에서, CPU(301)는 전파 강도의 가장 큰 변화량에 대응하는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접속 후보로서 결정한다. 다음으로, CPU(301)는 프로세스를 단계 S61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901에서의 판정 결과가, 전파 강도의 가장 큰 변화량과 전파 강도의 두번째 큰 변화량 사이의 차분이 미리 결정된 양보다 더 작다는 것을 나타내면(단계 S901: "아니오"), CPU(301)는 프로세스를 단계 S903으로 진행시킨다. 단계 S903에서, CPU(301)는, 조작 유닛(307) 상에,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CPU(301)는 프로세스를 단계 S602로 복귀시킨다.
도 9a 및 도 9b의 위에 설명된 프로세스에 따르면, 전파 강도의 가장 큰 변화량이 전파 강도의 두번째 큰 변화량보다 미리 결정된 양 이상 더 큰 경우에, 전파 강도의 가장 큰 변화량에 대응하는 전파를 발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 후보로서 결정된다. 따라서, 강도 변화량들이 유사한 복수의 전파들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들이 근접하게 배치되는 설치 환경에서도, 충분한 강도의 변화량의 존재하기만 하면 화상 형성 장치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접속을 원하지 않는데 접속을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인접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실수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는, 휴대 단말(130)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될 때, 사용자에게 접속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다. 그러한 구성과 대조적으로, 제3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할당되고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위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의 것들과 상이한 점들만이 설명될 것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0은 휴대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결정 프로세스에서 접속 확인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의 절차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CPU(301)는 먼저 도 6a 및 도 6b에서의 단계들 S601 내지 S615, 또는 도 9a 및 도 9b에서의 단계들 S601 내지 S614 및 S901 내지 S903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결정한다(단계 S1001). 다음으로, CPU(301)는 단계 S1001에서 결정된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접속 확인 메시지(1101)(도 11)를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할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02). 접속 확인 메시지(1101)가 표시될지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130) 상에 미리 설정된다. 단계 S1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접속 확인 메시지(1101)가 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면(단계 S1002: "예"), CPU(301)는 접속 확인 메시지(1101)를 조작 유닛(307) 상에 표시하고, 프로세스를 단계 S1003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접속 확인 메시지(1101)가 표시하지 않아야 하면(단계 S1002: "아니오"), 단계 S1001에서 결정된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접속이 이루어지고(단계 S1005), 본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03에서, CPU(301)는 사용자에 의해 접속 확인 메시지(1101) 상의 OK 버튼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03에서의 판정 결과, OK 버튼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면(단계 S1003: "예"), CPU(301)는 접속 후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접속을 행하고(단계 S1005), 다음으로 본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1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OK 버튼이 선택되지 않은(캔슬 버튼이 선택된) 것을 타나태면(단계 S1003: "아니오"), CPU(301)는 프로세스를 도 6a에서의 단계 S602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CPU(301)는 수신 전파 강도를 RAM(303)에 기록하고(단계 S1004), 다음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도 10의 위에 설명된 프로세스에 의하면, 접속 후보로서 미리 결정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로의 접속에 대한 확인을 위해 사용자에게 문의하기 위해, 조작 유닛(307) 상에, 접속 확인 메시지(1101)가 표시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접속을 원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에 실수로 접속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또한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저장 매체(더욱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도 지칭될 수 있음)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들 또는 개별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들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BDTM(Blu-ray Disc)),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이러한 수정물들 및 등가의 구조들과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 해석에 부합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15년 10월 30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14567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Claims (20)

  1. 휴대 단말로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전파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주위로 전송되는 전파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유닛;
    취득된 상기 전파에 기초하여, BLE 통신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리스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유닛; 및
    상기 휴대 단말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프롬프트 정보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근접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취득된 상기 전파 각각의 전파 강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휴대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강도의 변화량이 가장 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이 근접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특정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되는, 휴대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검색에 의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발견될 때,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발견될 때, 상기 발견된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되는 한편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지 않는, 휴대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의 전파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전파 강도보다 클 때,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리스트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면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무선 신호의 강도를 각각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명이 표시되는, 휴대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의 전파 강도가 표시되는, 휴대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임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추가로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나머지 모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추가로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보다 적어도 임계량만큼 큰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상기 임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특정하고 상기 임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임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추가로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나머지 모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추가로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보다 적어도 상기 임계량만큼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추가로 수신되는 전파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전파 강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특정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휴대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LE 통신 페어링을 확립한 화상 형성 장치와의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는, 휴대 단말.
  12.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전파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을 갖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주위로 전송되는 전파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취득하는 단계;
    취득된 상기 전파에 기초하여, BLE 통신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리스트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프롬프트 정보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전파 각각의 전파 강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근접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강도의 변화량이 가장 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휴대 단말이 근접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검색에 의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발견될 때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에 의해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발견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발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의 전파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전파 강도보다 클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리스트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면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무선 신호의 강도를 각각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명이 표시되는,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의 전파 강도가 표시되는, 제어 방법.
KR1020160137507A 2015-10-30 2016-10-2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102126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4567 2015-10-30
JP2015214567A JP7175584B2 (ja) 2015-10-30 2015-10-30 携帯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77A KR20170051277A (ko) 2017-05-11
KR102126175B1 true KR102126175B1 (ko) 2020-06-24

Family

ID=5863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507A KR102126175B1 (ko) 2015-10-30 2016-10-2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503449B2 (ko)
JP (1) JP7175584B2 (ko)
KR (1) KR102126175B1 (ko)
CN (1) CN1070409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0808B2 (ja) * 2017-05-23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42623B2 (ja) * 2018-01-05 202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7035619B2 (ja) * 2018-02-27 2022-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10381441B (zh) * 2019-07-19 2021-04-06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操作系统中终端的位置管理方法及装置
WO2021121649A1 (de) * 2019-12-20 2021-06-24 Sew-Eurodrive Gmbh & Co. Kg System mit einem mobilen kommunikationsgerät und insbesondere stationär angeordneten elektrogerä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ystems
JP7375593B2 (ja) 2020-02-12 2023-11-0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1162646A (ja) * 2020-03-31 2021-10-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用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013B1 (ko) * 2010-08-30 2013-10-14 주식회사 팬택 간편 전송 모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방법
JP2014072768A (ja) * 2012-09-28 2014-04-21 Brother Ind Ltd 特定のサーバ及び通信装置
WO2015156014A1 (ja) * 2014-04-07 2015-10-1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携帯端末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680A (ja) * 2004-11-30 2006-06-15 Canon Inc デバイス特定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744297B1 (ko) * 2006-02-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052303B2 (ja) * 2007-02-13 2012-10-17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端末装置の表示方法及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623217B2 (ja) * 2008-08-06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ポンプ
KR20100127416A (ko) * 2009-05-26 2010-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기기 검색 방법
JP5453371B2 (ja) * 2010-12-08 2014-03-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モバイル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KR20130025749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신호 세기에 기초한 보안 관리 방법
US9445305B2 (en) 2011-09-12 2016-09-13 Microsoft Corporation Low energy beacon encoding
CN103024131A (zh) * 2011-09-20 2013-04-03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的蓝牙功能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1872358B1 (ko) * 2011-11-22 2018-06-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US20130141746A1 (en) 2011-12-02 2013-06-06 Apple Inc. Ad-hoc discovery and selection of printers for print jobs
JP2013146048A (ja) 2011-12-15 2013-07-2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該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携帯情報端末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5958254B2 (ja) * 2012-09-28 2016-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特定のサーバ及び通信装置
JP6265607B2 (ja) 2013-02-22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045972A (ja) * 2013-08-28 2015-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制御方法
US20150065049A1 (en) * 2013-08-28 2015-03-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having bluetooth module and metho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thereof
JP6171787B2 (ja) * 2013-09-25 2017-08-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状態遷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9855B2 (ja) * 2013-10-11 2016-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750438A (zh) * 2013-12-27 2015-07-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实现打印的方法和装置
JP6546372B2 (ja) 2014-01-27 2019-07-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2201616B1 (ko) * 2014-02-23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간의 장치 검색 방법
EP2919482B1 (en) * 2014-03-13 2019-11-0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 piece
CN103986966B (zh) * 2014-05-28 2017-09-2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将智能电视图像推送到移动终端显示的系统及方法
US9635690B2 (en) * 2014-06-24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6044598B2 (ja) * 2014-07-02 2016-12-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362466B2 (en) * 2014-07-07 2019-07-23 Ascensia Diabetes Care Holdings Ag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low energy data communications
JP6265873B2 (ja) * 2014-09-24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バイル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44762B2 (en) * 2015-03-04 2017-01-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device for use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013B1 (ko) * 2010-08-30 2013-10-14 주식회사 팬택 간편 전송 모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방법
JP2014072768A (ja) * 2012-09-28 2014-04-21 Brother Ind Ltd 特定のサーバ及び通信装置
WO2015156014A1 (ja) * 2014-04-07 2015-10-1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携帯端末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5039A1 (en) 2020-02-27
US20170123740A1 (en) 2017-05-04
JP7175584B2 (ja) 2022-11-21
JP2017085485A (ja) 2017-05-18
KR20170051277A (ko) 2017-05-11
US10503449B2 (en) 2019-12-10
CN107040974A (zh) 2017-08-11
CN107040974B (zh) 2021-09-21
US11055040B2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175B1 (ko)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CN107251596B (zh) 信息处理装置、通信系统和通信方法
EP3065436B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method
JP6544584B2 (ja) 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03536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pecifying a position of a printer, measuring a distance range in plural communication modes
US9594532B2 (en) Electronic apparatus, management server,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source apparatus moved and selecting closest image forming apparatus by comparing received neighbor access points information with retrieved access points information
US10642559B2 (en) Image forming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additional information is necessary to execute a print job received from a terminal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and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EP316164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83632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requesting an external apparatus to transmit image data
US20140118778A1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wireless connection method,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6488057B (zh) 用于生成图像形成作业的工作流的方法和图像形成装置
US2016012758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509051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669025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
US2018033598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17017925A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US10942689B2 (en) Pull printing via additional security processes
US97693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19845B2 (en)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information storage method
CN105812348B (zh) 图像形成设备和图像形成设备的控制方法
JP6491550B2 (ja)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5480B1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20160080536A1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7059960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1061617A (ja) 携帯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