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019B1 - 물품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019B1
KR102126019B1 KR1020190098089A KR20190098089A KR102126019B1 KR 102126019 B1 KR102126019 B1 KR 102126019B1 KR 1020190098089 A KR1020190098089 A KR 1020190098089A KR 20190098089 A KR20190098089 A KR 20190098089A KR 102126019 B1 KR102126019 B1 KR 10212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orage member
storage
articl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태일
Original Assignee
염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태일 filed Critical 염태일
Priority to KR102019009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18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 A47F5/0025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having separate display containers or trays on shelves or on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5Partitions therefore
    • A47F5/0062Terraced platforms on shelv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68Shelf extensions, e.g. fixed on price rail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복이나 스포츠 의류 등을 포함하는 물품에 대한 정리와 함께 보관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물품에 대한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품 보관장치{STORAGE APPARATUS OF GOODS}
본 발명은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복이나 스포츠 의류 등을 포함하는 물품에 대한 정리와 함께 보관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물품에 대한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쇼핑몰, 아울렛은 물론, 상가 등에는 의류, 스포츠, 아웃도어 등의 각종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는 대리점이 입점해 있다.
이와 같은 대리점은 매장 내에 각종 물품을 진열하는 한편, 진열된 물품에 따라 사이즈나 색상 등이 다른 다수개의 물품을 별도 보관창고나 진열대 등에 보관하면서 진열된 물품을 찾는 구매 고객에게 판매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물품이 불규칙적으로 정리 및 보관되면서 쉽게 물품을 찾기 어려운 것은 물론, 물품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842호(2001.10.11.) '상품진열대의 조립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산복이나 스포츠 의류 등을 포함하는 물품에 대한 정리와 함께 보관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물품에 대한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물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층(A)을 이루는 선반(111)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10); 및 상기 선반(111)에 구비되며, 물품(10)이 수용되는 보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120)는, 하판(122) 및 양측판(123)이 구비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물품(10)이 안착되는 공간부(121a)를 형성하는 보관부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관부재(121)는, 상기 측판(12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판(124); 상기 공간부(121a)에 위치되면서 상기 확장판(124)을 상기 측판(123)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25); 및 펴진 상태의 상기 확장판(124)을 상기 측판(123)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수단(126)은, 자석(127)으로 이루어지며, 펴진 상태의 상기 확장판(124)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판(124)과 상기 측판(123)이 상호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111)으로부터 상기 보관부재(12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선반(111)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31); 상기 보관부재(121)에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132); 및 상기 가이드바(132)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퀴(134)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재(121)는 외력에 의한 가압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32)와 함께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프레임부(110)로 인입되면서 상기 보관부재(121)로의 물품(10)의 수용이나, 상기 보관부재(121)에 보관된 물품(10)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가이드바(132)가 상기 가이드레일(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은 전면이 개방되며,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132)가 인입 및 전후 진행하는 가이드공(131a)이 형성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홀(131b)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133)는, 타단부가 상기 이동홀(131b)을 통해 상기 가이드바(132)에 고정되되, 상기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홀(131b)을 이루는 전,후단부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132)가 상기 가이드레일(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1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136)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133)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131)에 밀착되면서 상기 가이드바(132)와 함께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31)과 밀착해제되면서 상기 가이드바(132)와 함께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보관부재(121)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35)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관부재(121)는 전단부 양측 하부에 돌기(128)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35)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부가 힌지축(129)에 의해 상기 돌기(12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산복이나 스포츠 의류 등을 포함하는 물품에 대한 정리와 함께 보관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물품에 대한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서 거치부재와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서 거치부재와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서 거치부재에 확장판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확장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가이드바가 전방으로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서 거치부재에 손잡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가이드부에 잠금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100)는 복수층(A)을 이루는 선반(111)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10) 및 각 층(A)에 구비되며, 물품(10)이 수용되는 보관부(120)를 포함한다.
물품(10)은 등산복이나 스포츠 의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이 또는 비닐이나, 박스 등에 포장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등산복이나 스포츠 의류는 티셔츠, 바지, 잠바, 패딩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선반(111)을 지지하는 지지바(112)를 더 포함한다.
선반(111)은 사각판 형태를 이루며, 복수로 이루어져 지지바(112)에 복수층(A)으로 설치된다.
지지바(112)는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선반(111)을 지지하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바(112)는 4개로 이루어져 선반(111)의 네 모서리부를 지지할 수 있다.
물품 보관장치(100)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지지바(112) 간에 선반이 설치될 수 있다.
보관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0)이 안착되는 공간부(121a)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관부재(121)를 포함하며, 각 층(A)을 이루는 선반(111)에 구비된다.
물품(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121)에 복수로 적층되면서 정리 및 보관될 수 있다.
보관부재(121)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2) 및 양측판(123)이 구비되면서 내측으로 공간부(121a)가 형성된다.
물품(10)은 보관부재(121)의 전방으로부터 공간부(121a)로 인입되면서 보관부재(121)로 수용되며, 보관부재(121)에 보관된 상태에서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보관부재(121)는 후판(미도시)이 구비되면서 후면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부재(121)는 전면부와 상부만이 개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보관부재(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11)에 선반(111)의 양측 방향 즉, 병렬로 복수 배치된다.
보관부재(121)는 이웃하는 보관부재(121) 간에 이격되면서 거치되는 물품(1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10) 간의 접촉에 따른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부재(121)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판(124)을 더 포함한다.
확장판(124)은 절첩부재(125)에 의해 측판(123)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공간부(121a)로 수용되는 물건(10)의 크기나, 개수 등에 따라 접이 또는 펴짐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절첩부재(125)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부(121a)에서 확장판(124)을 측판(123)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판(124)은 접이시, 공간부(121a)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측판(123)의 일측에 위치되고, 펴짐시, 공간부(121a)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측판(123)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보관부재(121)는 펴진 상태의 확장판(124)을 측판(123)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126)은 자석(127) 등으로 이루어지며, 펴진 상태의 확장판(124)을 기준으로 확장판(124)과 측판(123)이 상호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확장판(124)은 펴진 상태에서 자석(127)의 자력에 의해 측판(123)에 결속되면서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관부재(121)는 접이된 상태의 확장판(124)을 측판(123)에 고정하는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접이된 상태의 확장판(124)을 기준으로 측판(123)과 확장판(124)의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관부재(121)는 접이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인해 외력 등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측판(123)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나 소음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11)으로부터 보관부재(12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130)는 보관부재(121)로의 물품(10)의 수용이나, 보관부재(121)로부터 물품(10)의 인출시, 보관부재(121)가 프레임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30)는 선반(111)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31) 및 보관부재(121)에 구비되는 한편, 가이드레일(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132)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31)은 전면이 개방되는 한편, 상부에 가이드바(132)의 하부가 인입되는 가이드공(131a)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31)은 볼트,너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선반(111)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바(132)는 상부가 보관부재(121)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가이드공(131a)을 통해 가이드레일(131)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보관부재(121)는 외력에 의한 가압에 따라 가이드바(132)가 가이드레일(1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프레임부(110)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부(110)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30)는 보관부재(121)로의 물품(10)의 수용이나, 보관부재(121)에 보관된 물품(10)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132)가 가이드레일(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1)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홀(131b)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133)는 일단부가 가이드레일(131)의 일측에 위치되는 한편, 타단부가 이동홀(131b)을 통해 가이드바(132)에 고정된다.
가이드바(132)는 일측에 이탈방지부재(133)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132a)가 형성된다.
결합홈(132a)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이드바(1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홈(132a)을 이루는 둘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33)는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에 따라 이동홀(131b)을 이루는 전,후단부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가이드레일(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130)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132)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퀴(134)를 더 포함한다.
바퀴(134)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31)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보관부재(121)와 함께 가이드바(132)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선반(111)으로부터 보관부재(121)의 인출이나, 선반(111)으로의 상기 보관부재(121)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물품 보관장치(100)는 보관부재(121)에 대한 인입, 인출을 통해 물품(10)에 대한 거치와 함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121)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재(121)는 하판(122)의 전단부 양측 하부에 돌기(128)가 형성되며, 손잡이(135)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부가 힌지축(129)에 의해 돌기(12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손잡이(135)는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보관부재(121)에 대한 인입,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관부재(121)로의 물품(10)의 거치와 함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손잡이(135)는 평상시, 양단부가 상방향을 향하는 상태를 유지하다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회전되면서 양단부가 후방을 향한다.
가이드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재(13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레일(13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이탈방지부재(133)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재(136)는 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131)에 밀착되면서 가이드바(132)와 함께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한편, 가이드레일(131)과 밀착해제되면서 가이드바(132)와 함께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물품 보관장치(100)는 물품(10)을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품(10)에 대한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물품 보관장치 110 : 프레임부
111 : 선반 112 : 지지바
120 : 보관부 121 : 보관부재
124 : 확장판 126 : 결속수단
130 : 가이드부 131 : 가이드레일
132 : 가이드바 133 : 이탈방지부재
134 : 바퀴 135 : 손잡이
136 : 잠금부재

Claims (7)

  1. 복수층(A)을 이루는 선반(111)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10); 및
    상기 선반(111)에 구비되며, 물품(10)이 수용되는 보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120)는,
    하판(122) 및 양측판(123)이 구비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물품(10)이 안착되는 공간부(121a)를 형성하는 보관부재(121)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111)으로부터 상기 보관부재(12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선반(111)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31);
    상기 보관부재(121)에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132); 및
    상기 가이드바(132)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퀴(134)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재(121)는 외력에 의한 가압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32)와 함께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프레임부(110)로 인입되면서 상기 보관부재(121)로의 물품(10)의 수용이나, 상기 보관부재(121)에 보관된 물품(10)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가이드바(132)가 상기 가이드레일(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은 전면이 개방되며,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132)가 인입 및 전후 진행하는 가이드공(131a)이 형성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홀(131b)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133)는,
    타단부가 상기 이동홀(131b)을 통해 상기 가이드바(132)에 고정되되, 상기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홀(131b)을 이루는 전,후단부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132)가 상기 가이드레일(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재(121)는,
    상기 측판(12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판(124);
    상기 공간부(121a)에 위치되면서 상기 확장판(124)을 상기 측판(123)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25); 및
    펴진 상태의 상기 확장판(124)을 상기 측판(123)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126)은,
    자석(127)으로 이루어지며, 펴진 상태의 상기 확장판(124)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판(124)과 상기 측판(123)이 상호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1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136)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133)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131)에 밀착되면서 상기 가이드바(132)와 함께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을 잠금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31)과 밀착해제되면서 상기 가이드바(132)와 함께 보관부재(121)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보관부재(121)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35)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관부재(121)는 전단부 양측 하부에 돌기(128)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35)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부가 힌지축(129)에 의해 상기 돌기(12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장치.
KR1020190098089A 2019-08-12 2019-08-12 물품 보관장치 KR10212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089A KR102126019B1 (ko) 2019-08-12 2019-08-12 물품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089A KR102126019B1 (ko) 2019-08-12 2019-08-12 물품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019B1 true KR102126019B1 (ko) 2020-06-23

Family

ID=7113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089A KR102126019B1 (ko) 2019-08-12 2019-08-12 물품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1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292U (ko) * 1989-11-29 1991-08-13
JP2677527B2 (ja) * 1995-03-31 1997-11-17 望月 徹 スライドパネル等のストッパ機構
KR200237842Y1 (ko) 2001-04-06 2001-10-11 성도산업 주식회사 상품진열대의 조립구조
KR200330436Y1 (ko) * 2003-07-25 2003-10-17 구자정 절첩식 바둑판 겸용 장기판
KR200419186Y1 (ko) * 2006-03-23 2006-06-16 장재칠 붙박이장용 가이드레일 및 롤러의 구조
JP2007203405A (ja) * 2006-02-01 2007-08-16 Murata Mach Ltd セル生産用棚
KR200436565Y1 (ko) * 2006-12-06 2007-09-07 안미성 수납용 가구
KR100925313B1 (ko) * 2009-04-13 2009-11-04 정재필 주방용기용 절첩 연장식 손잡이
KR20100021248A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중량물 보관장치
KR101165568B1 (ko) * 2010-11-02 2012-07-12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292U (ko) * 1989-11-29 1991-08-13
JP2677527B2 (ja) * 1995-03-31 1997-11-17 望月 徹 スライドパネル等のストッパ機構
KR200237842Y1 (ko) 2001-04-06 2001-10-11 성도산업 주식회사 상품진열대의 조립구조
KR200330436Y1 (ko) * 2003-07-25 2003-10-17 구자정 절첩식 바둑판 겸용 장기판
JP2007203405A (ja) * 2006-02-01 2007-08-16 Murata Mach Ltd セル生産用棚
KR200419186Y1 (ko) * 2006-03-23 2006-06-16 장재칠 붙박이장용 가이드레일 및 롤러의 구조
KR200436565Y1 (ko) * 2006-12-06 2007-09-07 안미성 수납용 가구
KR20100021248A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중량물 보관장치
KR100925313B1 (ko) * 2009-04-13 2009-11-04 정재필 주방용기용 절첩 연장식 손잡이
KR101165568B1 (ko) * 2010-11-02 2012-07-12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9292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825B1 (en) Convertible multilevel shelving unit and display fixture
US8789899B2 (en) Merchandiser rack
US20110042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playing Media Products
KR200477212Y1 (ko) 우산을 효율적으로 진열하기 위한 우산 판매대
US6484890B1 (en) Dual display assembly
US9668592B1 (en) Multipurpose display fixture
US10479384B2 (en) Apparel cart
US3478893A (en) Theftproof merchandise display
CA2697199A1 (en) Display stand case table
JPS61137514A (ja) 盗難防止陳列ケ−ス
US3570676A (en) Theftproof merchandise display
CN107259890A (zh) 一种汽车零配件销售展示架
KR102126019B1 (ko) 물품 보관장치
US20180037245A1 (en) Folding shelf carriage
US20100164339A1 (en) Wardrobe Storage System
CN104172811B (zh) 一种便携式收缩货架
US20150034579A1 (en) Folding Shelf Carriage
JP5926967B2 (ja) 物品陳列什器
CN212591363U (zh) 一种便于分隔物品的超市货架
CN218683291U (zh) 摆放柜台
CN220571813U (zh) 五金产品放置架
CN209769645U (zh) 折叠式电视柜
KR200286876Y1 (ko) 절첩식 진열대
US1138353A (en) Cabinet.
KR20120004458U (ko) 절첩식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