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41B1 - 코마스크 - Google Patents

코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941B1
KR102125941B1 KR1020190015123A KR20190015123A KR102125941B1 KR 102125941 B1 KR102125941 B1 KR 102125941B1 KR 1020190015123 A KR1020190015123 A KR 1020190015123A KR 20190015123 A KR20190015123 A KR 20190015123A KR 102125941 B1 KR102125941 B1 KR 10212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resent
nose mask
nos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구
Original Assignee
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구 filed Critical 정진구
Priority to KR102019001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비강 내로 삽입하는 코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 속에 필터를 삽입하면서도, 외부에서 보이지 아니하게 하는 코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강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코마스크에 있어서, 몸체(100)와, 몸체(100) 상단에 설치되는 필터체결부(110)와, 상기 필터체결부(110)에 체결되는 필터(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정위치지지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마스크{A nose mask}
본 발명은 필터를 비강 내로 삽입하는 코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 속에 필터를 삽입하는 코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가 나날이 문제가 되고 있는 요즘, 방진마스크의 수요가 더욱 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진마스크로서, 본 발명자는, 코청(코 중간의 격벽)을 감싸는 집게부와; 집게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필터설치부 및 필터설치부에 설치된 필터 구성되며, 필터설치부가 비강내벽에 밀착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필터설치부의 최대 직경부에 필터를 설치시킨 기술(특허출원 제2005-73967호)을 제공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집게부를 코청에 끼워 넣게 되면 집게부의 양측에 형성된 필터설치부가 비강의 내부로 삽입되어 비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분진이 필터설치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류의 방진마스크로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자 제공 방진 마스크 외에, 집게부 단부에 필터를 설치하되 그 필터를 이중으로 설치하고 이중필터의 사이에 스폰지를 설치하여서 된 마스크가 공개특허 10-2005-0008729호로 알려진 바 있다. 그런데 이는 필터가 이중으로 구성되고 거의 평면으로 되어 공기의 유통이 곤란하여 숨쉬기가 불편한 결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집게부 단부에 필터를 설치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과다한 중대한 결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류의 마스크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에 게재된 특개평8-71170호 코마스크가 알려진 바 있는데, 이는 재채기 등 강한 압출력이 작용하여도 마스크가 일탈하지 아니하도록 집게부에 걸림턱을 형성시킨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필터가 비교적 직경이 작은 콧구멍 선단을 막을 뿐 아니라 필터의 형상이 평판형이어서 필터의 평면적이 좁아 숨쉬기가 불편한 결점이 있다. 그리고, 숨쉬기가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필터의 평면적을 확대시킨 코마스크로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에 게재된 특개평 11-137702호가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는 필터가 사발형으로 형성되어 그 몸체 중간부와 선단부의 직경이 동일하다. 그런데, 이러한 필터에 있어서는 그 주벽의 직경이 사람의 비강 내경과 일치될 수 없으니 호흡시 필터와 비강사이의 틈새로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결점이 있고, 또한 콧속에서 코마스크를 잡아주는 기술이 결여되어 있어 재채기등으로 코마스크가 빠져버릴 염려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본 발명자의 위 선출원 발명을 더욱 개량하여, 집게부 선단에 시두형 결합구를 형성시키고 이에 직접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콧구멍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게 하여 숨쉬기가 편리하게 하여서 된 방진마스크를 2005년 특허출원 제10-2005-0125179호로 제공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739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872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제11-13770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1251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61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26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26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1563호
본 발명은 제10-2005-0125179호
본 발명은 코속에 삽입하는 코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시의 미관을 개선하고, 착용을 용이하게 하며,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방진을 위한 코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종래의 삽입형 코마스크의 연결부가 비중격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비강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코마스크에 있어서, 몸체(100)와, 몸체(100) 상단에 설치되는 필터체결부(110)와, 상기 필터체결부(110)에 체결되는 필터(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정위치지지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속에 삽입하는 코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시의 미관을 개선하고, 착용을 용이하게 하며,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속에 필터를 착용하는 방진을 위한 코마스크의 경우, 착용감이 불편하거나 착용상태의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는 바, 본원발명은 필터를 교체형으로 하여 필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각 코마스크간의 연결구를 없앰으로써 보다 외부에서 관찰시 코마스크를 노출시키기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삽입된 코마스크의 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정위치지지구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용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종래의 코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제1실시예의 내려다본 시점에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제1실시예의 올려다본 시점에서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a)와 저면도(b)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코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코마스크는 삽입시 연결부재(1)가 비중격(2)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2 및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강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코마스크에 있어서, 몸체(100)와, 몸체(100) 상단에 설치되는 필터체결부(110)와, 상기 필터체결부(110)에 체결되는 필터(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정위치지지구(130)를 포함하는고, 상기 파지부(120)는 상기 곡선형태로 형성된 2-4개의 다리의 내측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곡선형태로 형성된 2-4개의 다리의 내측공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각 다리와 파지부(120) 사이에 간격을 갖는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200)는 코속에 이물감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비강내의 반구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구형의 필터(200)는 시두(矢頭)형의 필터체결부(110)에 의해 몸체(100)에 체결된다. 상기 반구형의 필터에 갈음하여 원통형, 구형, 평판형 등의 필터도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필터체결부(110)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사용자의 콧속구조에 따라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위치지지구(130)는 곡선형태로 형성된 2-4개의 다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위치지지구(130)는 비강속에 삽입된 코마스크를 정위치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위치지지구(130)와 필터(200)가 위아래에서 코마스크를 지지하게 되므로 코마스크가 비강내에서 편중되지 아니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정위치지지구(130)는 상기 필터(20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위치지지구(130)가 곡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코마스크가 빠지지 아니하도록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하며, 탄성을 갖게 되어 사용자의 콧구멍의 크기에 맞추어 착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정위치지지구(130)의 개수는 2~4개가 바람직하며, 정위치지지구(130)의 개수가 많아지면 착용감이 나빠지게 된다.
상시 파지부(120)는 코마스크를 착용하고 제거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상기 파지부(120)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구형이나 고리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a)와 저면도(b)이다. 도6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위치지지구(130)는 1개의 코일지지구로 형성된다. 상기 코일은 탄성을 가져서 사용자의 콧구멍의 크기에 맞게 조절되어 코마스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원통
110. 필터체결부
120. 파지부
130. 정위치지지구
200. 필터

Claims (2)

  1. 비강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코마스크에 있어서,
    몸체(100)와, 몸체(100) 상단에 설치되는 필터체결부(110)와, 상기 필터체결부(110)에 체결되는 필터(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상기 필터(20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정위치지지구(130)를 포함하며,
    상기 정위치지지구(130)는 곡선형태로 형성된 2-4개의 다리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20)는 상기 곡선형태로 형성된 2-4개의 다리의 내측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곡선형태로 형성된 2-4개의 다리의 내측공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각 다리와 파지부(120) 사이에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2. 삭제
KR1020190015123A 2019-02-08 2019-02-08 코마스크 KR10212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23A KR102125941B1 (ko) 2019-02-08 2019-02-08 코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23A KR102125941B1 (ko) 2019-02-08 2019-02-08 코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941B1 true KR102125941B1 (ko) 2020-06-24

Family

ID=7140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123A KR102125941B1 (ko) 2019-02-08 2019-02-08 코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94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2A (ja)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KR20050008729A (ko) 2002-05-22 2005-01-21 바이오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코 마스크
KR100726135B1 (ko) 2006-05-10 2007-06-13 정진구 방진마스크
KR100792646B1 (ko) 2005-08-11 2008-01-11 정진구 방진 마스크
KR100792647B1 (ko) 2005-12-19 2008-01-11 정진구 방진마스크
US20090093840A1 (en) * 2001-05-22 2009-04-09 Sanostec Corp. Nasal inserts
JP3153554U (ja) * 2009-06-26 2009-09-10 Sho−Bi株式会社 鼻マスク及びケース
JP2009297506A (ja) * 2009-05-21 2009-12-24 Bio International Kk 鼻栓
KR20110032725A (ko) * 2009-09-24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101701563B1 (ko) 2014-09-25 2017-02-01 이성민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KR101915122B1 (ko) * 2018-04-10 2018-11-07 정진구 코마스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2A (ja)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US20090093840A1 (en) * 2001-05-22 2009-04-09 Sanostec Corp. Nasal inserts
KR20050008729A (ko) 2002-05-22 2005-01-21 바이오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코 마스크
KR100792646B1 (ko) 2005-08-11 2008-01-11 정진구 방진 마스크
KR100792647B1 (ko) 2005-12-19 2008-01-11 정진구 방진마스크
KR100726135B1 (ko) 2006-05-10 2007-06-13 정진구 방진마스크
JP2009297506A (ja) * 2009-05-21 2009-12-24 Bio International Kk 鼻栓
JP3153554U (ja) * 2009-06-26 2009-09-10 Sho−Bi株式会社 鼻マスク及びケース
KR20110032725A (ko) * 2009-09-24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101701563B1 (ko) 2014-09-25 2017-02-01 이성민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KR101915122B1 (ko) * 2018-04-10 2018-11-07 정진구 코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1830B1 (en) Filtering face mask having one or two straps
US11273277B2 (en) Face mask assembly
KR101773856B1 (ko) 마스크
KR101855315B1 (ko) 방진마스크
JP6541649B2 (ja) 鼻支持拡張部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US20210345703A1 (en) Mask or Visor Attachment for Eyewear, Eyewear with Integrated Mask or Visor, And Eyewear With Clip On Lenses
KR20160108859A (ko) 방진용 코마스크
KR102125941B1 (ko) 코마스크
CN212938073U (zh) 松紧可调的医用口罩
KR102053051B1 (ko) 방진마스크
US6116903A (en) Method of masking and unmasking a dental face mask
US20130213413A1 (en) Mouth mask
CN205127194U (zh) 大眼窗防毒面罩
US20220030974A1 (en) Faceshield attachment for eyewear
KR101915122B1 (ko) 코마스크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KR200392707Y1 (ko) 방진 마스크
KR100928385B1 (ko) 비강 마스크
KR20130006070U (ko) 분리 조절형 구강 마스크
KR20090039204A (ko) 하우징을 장착한 방진마스크
WO2021106666A1 (ja) マスク装着具及びマスク
KR102440641B1 (ko) 마스크 이어링 연결 스트랩
JP7204239B2 (ja) マスク用クリップ
KR102460789B1 (ko) 마스크
KR102503127B1 (ko) 마스크용 귀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