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563B1 -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563B1
KR101701563B1 KR1020140128723A KR20140128723A KR101701563B1 KR 101701563 B1 KR101701563 B1 KR 101701563B1 KR 1020140128723 A KR1020140128723 A KR 1020140128723A KR 20140128723 A KR20140128723 A KR 20140128723A KR 101701563 B1 KR101701563 B1 KR 10170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lter
fixed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442A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2014012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563B1/ko
Priority to CN201520755231.3U priority patent/CN205108809U/zh
Priority to CN201510622896.1A priority patent/CN105457185A/zh
Publication of KR2016003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부에 구비되어 코가 안착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Nose Mask For Anti-Pollution}
본 발명은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콧구멍의 입구를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필터가 코의 하측면에 배치되고, 안면을 최대로 개방할 수 있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황사, 매연 및 방한용의 범용 마스크와 산업 현장에서 분진이나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산업용 방진 마스크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최근에는 야외 활동을 위한 레포츠 용도의 보호용 마스크 또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종래의 마스크는 대개 천이나 부직포로 입과 코 주위를 보이지 않게 덮어주는 마스크 본체와 본체 양측에 고정용 끈이나 걸 고리가 구비되어 귀나 머리에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한 범용 마스크는 부직포가 얼굴에 밀착되어 생길 수 있는 불쾌감이나 답답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안경 착용시에 김이 서리게하고 자신의 얼굴을 타인에게 알아볼 수 없게 함으로 인해 최근 다양한 범죄에 악용되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 착용을 기피하게 하는 원인이 되며, 타인에게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모터사이클, 조깅 등의 다양한 외부 활동 및 레포츠 활동이 많아지고 있으나 기존의 범용 마스크나 방진 마크로 착용하기에는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모양이나 사용의 편의성 등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14-003817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13-001526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전면부를 최소화한 투명 혹은 컬러의 실리콘이나 합성 수지재질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얼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얼굴을 보일 수 있게 최대한 개방 감을 주고 타인에게 거부감을 줄이는 동시에 범죄 예방 효과를 갖어 신뢰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에도 마스크 사용을 유도하여 유해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며 호흡에 필요한 부분만 필터링되게 하여 최대한 답답함을 줄여 줌과 동시에 착용감과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착용의 기피 현상을 막고 미세 먼지, 매연 등의 공해와 세균으로부터의 보호가능하며, 호흡기 질환 및 이로 기인한 여러 가지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모터사이클, 조깅 등의 다양한 외부 활동 및 레포츠 활동 그리고 장시간 공해에 노출되어 있는 교통경찰, 주유원 등에 모두 착용 가능하며, 특히, 야외 활동이 많은 어린아이 및 청소년들이 자전거를 이용한 통학이나 통근을 하는 일반인들에게 공해로부터 보호하여 질병의 유발을 막고 이로인해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부에 구비되어 코가 안착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필터의 하부를 지지하며, 양쪽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기유통공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이 연장돌출되되,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홈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홈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공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절곡된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덮개의 하측면과 상기 지지부 상측면 사이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측면에 내입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측을 향해 일측면이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측면에 코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볼록한 형상의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 끝단부에는,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끼워 사용자의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리;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전면부를 최소화한 투명 혹은 컬러의 실리콘이나 합성 수지재질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얼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얼굴을 보일 수 있게 최대한 개방 감을 주고 타인에게 거부감을 줄이는 동시에 범죄 예방 효과를 갖어 신뢰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에도 마스크 사용을 유도하여 유해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며 호흡에 필요한 부분만 필터링되게 하여 최대한 답답함을 줄여 줌과 동시에 착용감과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마스크 착용의 기피 현상을 막고 미세 먼지, 매연 등의 공해와 세균으로부터의 보호가능하며, 호흡기 질환 및 이로 기인한 여러 가지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모터사이클, 조깅 등의 다양한 외부 활동 및 레포츠 활동 그리고 장시간 공해에 노출되어 있는 교통경찰, 주유원 등에 모두 착용 가능하며, 특히, 야외 활동이 많은 어린아이 및 청소년들이 자전거를 이용한 통학이나 통근을 하는 일반인들에게 공해로부터 보호하여 질병의 유발을 막고 이로인해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는, 프레임(10), 홀더(30) 및 필터(4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양 끝단부에는, 관통된 관통공(11)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은 안면의 최소한의 부분만 가릴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프레임(10)은 실리콘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다양한 컬러로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10)은, 상부에 후술할 고정부(32)가 삽입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은, 안착홈(12)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고정공(13)이 형성되고, 고정공(13)에 후술할 고정돌기(34)가 삽입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는, 고리(20)를 더 포함한다.
고리(20)는 관통공(11)에 끼워 사용자의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리(20)를 이용하여 프레임(10)이 안면에 배치될 때, 코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코에 걸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홀더(30)는 프레임(10)에 결합되어, 후술할 필터(4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필터(40)에 안착되는 코의 하측면을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홀더(30)는, 지지부(31) 및 고정부(32)를 포함한다.
지지부(31)는, 필터(40)의 하부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31)는, 양쪽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기유통공(33)이 관통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필터(40)가 코의 하부에 배치될 때, 쉼쉬는 동작에 의한 공기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것이다.
이때, 공기유통공(33)은 사용자의 콧구멍의 크기와 대응되고, 콧구멍 사이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32)는, 지지부(31)의 일측면이 연장돌출되되,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다.
또한, 고정부(32)는, 고정공(13)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34)가 외측면에 형성된다.
즉, 고정부(32)가 안착홈(12)에 끼워짐과 동시에 고정공(13)에 고정돌기(34)가 삽입고정된다.
이는, 고정부(32)가 안착홈(12)에 끼워졌을 때, 안착홈(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고정부(32)는, 상측면에 내입된 삽입홈(35)이 형성되어 후술할 필터(40)의 고정부(32)가 끼움고정된다.
또한, 고정부(32)의 양측면은 삽입홈(35)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어 고정부(32)의 후측부가 탄성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31)와 고정부(32)는 '∧' 또는 'ㄱ'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31)는, 고정부(32)가 프레임(10)의 안착홈(12)에 삽입되었을 때, 하측방향으로 기울도록 형성되어, 코의 하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1)의 상측면은, 코의 하측면을 감싸듯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30)는, 고정덮개(36)를 더 포함한다.
고정덮개(36)는, 지지부(31)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절곡된다. 이때, 고정덮개(36)는 지지부(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즉, 고정덮개(36)의 하측면과 지지부(31) 상측면 사이에 고정홈(37)이 형성되며, 고정홈(37)에 후술할 필터(4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후술할 필터(40)가 지지부(31)의 상측면에 구비될 때, 지지부(31)의 상측면과 필터(40)의 하측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필터(40)가 끼움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37)이 형성되도록 고정덮개(36)가 지지부(3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더불어, 고정덮개(36)는 적어도 양쪽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필터(40)는, 홀더(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코가 안착된다.
이러한, 필터(40)는 향균, 항균 필터(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필터(40)는, 삽입홈(3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측을 향해 일측면이 돌출된 결합부(41)가 형성된다. 이 결합부(41)는, 상술한 고정부(32)의 삽입홈(35)에 삽입되고, 필터(40)가 지지부(31)에 안착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부(41)의 두께는, 삽입홈(35)의 폭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결합부(41)의 두께는, 삽입홈(35)의 폭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41)가 삽입홈(35)에 삽입되었을 때, 형성되는 빈틈에 삽입되어 필터(40)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32)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터(40)는, 상측면에 코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볼록한 형상의 밀착부(42)가 형성된다.
이때, 밀착부(42)는 볼록하되, 돔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밀착부(42)는 콧구멍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콧구멍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프레임 11: 관통공
12: 안착홈 13: 고정공
20: 고리 30: 홀더
31: 지지부 32: 고정부
33: 공기유통공 34: 고정돌기
35: 삽입홈 36: 고정덮개
37: 고정홈 40: 필터
41: 결합부 42: 밀착부

Claims (7)

  1. 삭제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부에 구비되어 코가 안착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필터의 하부를 지지하고, 양쪽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기유통공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이 연장돌출되되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홈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홈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공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절곡된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덮개의 하측면과 상기 지지부 상측면 사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측면에 내입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측을 향해 일측면이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6. 삭제
  7. 삭제
KR1020140128723A 2014-09-25 2014-09-25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KR10170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723A KR101701563B1 (ko) 2014-09-25 2014-09-25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CN201520755231.3U CN205108809U (zh) 2014-09-25 2015-09-25 用于防污染的鼻罩
CN201510622896.1A CN105457185A (zh) 2014-09-25 2015-09-25 用于防污染的鼻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723A KR101701563B1 (ko) 2014-09-25 2014-09-25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42A KR20160036442A (ko) 2016-04-04
KR101701563B1 true KR101701563B1 (ko) 2017-02-01

Family

ID=5556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723A KR101701563B1 (ko) 2014-09-25 2014-09-25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1563B1 (ko)
CN (2) CN1054571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315B1 (ko) 2017-05-31 2018-06-15 정진구 방진마스크
WO2019050095A1 (ko) * 2017-09-06 2019-03-14 이성민 마스크
KR102053051B1 (ko) 2018-06-25 2019-12-09 정진구 방진마스크
KR20200013883A (ko) * 2018-07-31 2020-02-10 조일근 교체형 콧구멍 마스크
KR102125941B1 (ko) 2019-02-08 2020-06-24 정진구 코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563B1 (ko) * 2014-09-25 2017-02-01 이성민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JP2023521184A (ja) * 2020-04-08 2023-05-23 チア ユアン リン,キャロル 鼻マスク及びそれに関連するフィルタ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724A (ja) * 2003-08-08 2005-03-10 Mariko Sato 風邪予防マスク
KR100887496B1 (ko) * 2007-06-20 2009-03-10 장기환 코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1A (ja) *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CN2460127Y (zh) * 2000-12-15 2001-11-21 常文华 一种通气鼻球的支撑架
US20020166556A1 (en) * 2001-05-09 2002-11-14 Joseph Jacob Nose airflow enhancer and filter for airborne solids and pathogens
US7004165B1 (en) * 2004-01-09 2006-02-28 Edward Salcido Nose filter
CN2887342Y (zh) * 2006-01-10 2007-04-11 郑士祥 用于塞入鼻腔内的过滤结构
KR100897161B1 (ko) * 2007-09-06 2009-05-14 이평환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101434255B1 (ko)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130015260A (ko) 2012-12-10 2013-02-13 구홍식 코 마스크
CN203264083U (zh) * 2013-04-13 2013-11-06 刘潇炜 一种新型的防尘鼻罩
KR101701563B1 (ko) * 2014-09-25 2017-02-01 이성민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724A (ja) * 2003-08-08 2005-03-10 Mariko Sato 風邪予防マスク
KR100887496B1 (ko) * 2007-06-20 2009-03-10 장기환 코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315B1 (ko) 2017-05-31 2018-06-15 정진구 방진마스크
WO2019050095A1 (ko) * 2017-09-06 2019-03-14 이성민 마스크
KR102053051B1 (ko) 2018-06-25 2019-12-09 정진구 방진마스크
KR20200013883A (ko) * 2018-07-31 2020-02-10 조일근 교체형 콧구멍 마스크
KR102102165B1 (ko) * 2018-07-31 2020-05-29 조일근 교체형 콧구멍 마스크
KR102125941B1 (ko) 2019-02-08 2020-06-24 정진구 코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7185A (zh) 2016-04-06
CN205108809U (zh) 2016-03-30
KR20160036442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563B1 (ko)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KR101643682B1 (ko) 휴대용 마스크
KR101619487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0920511B1 (ko) 기능성 마스크
US20090151734A1 (en) Goggle mask
KR20160111349A (ko) 습기배출밸브를 구비한 스포츠용 미세먼지 여과 마스크
KR101648577B1 (ko) 먼지 차단 및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1873120B1 (ko) 호흡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KR200488024Y1 (ko) 통기 구조의 비공 덮개를 갖는 안면 마스크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KR20170085627A (ko) 안면 마스크
KR101439123B1 (ko) 방진마스크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KR101863286B1 (ko) 안면 마스크
KR20160133634A (ko) 안경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797701B1 (ko) 마스크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GB2498753A (en) A diving mask with an integrated breathing tube
KR20200000536U (ko) 미세먼지 차단용 여과지를 수납하는 안경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배출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3중 구조의 마스크
KR101530869B1 (ko) 일상 생활용 마스크
KR200484799Y1 (ko) 안면 그늘막
JP3124550U (ja) お面形衛生マスク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200290424Y1 (ko) 방진용 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