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819B1 -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819B1
KR102125819B1 KR1020180126574A KR20180126574A KR102125819B1 KR 102125819 B1 KR102125819 B1 KR 102125819B1 KR 1020180126574 A KR1020180126574 A KR 1020180126574A KR 20180126574 A KR20180126574 A KR 20180126574A KR 102125819 B1 KR102125819 B1 KR 10212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panel
support
sound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710A (ko
Inventor
박애복
Original Assignee
박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애복 filed Critical 박애복
Priority to KR102018012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8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52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peripheral frame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흡음패널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 장방형(사각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 장방형(사각형)의 흡음패널을 팽창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패널을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되 흡음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지지봉삽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읍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형성된 각의 지지봉삽착부에는 지지봉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 형성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음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흡음패널과, 강선(철선) 또는 금속봉 또는 합성수지봉에 의해 제조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의 크기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제조하여 보급할 수 있고, 제조비용도 현저히 낮춰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흡음패널을 형성하는 흡음 직물을 다중으로 형성하거나 흡음패널의 일면에 보강천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줌으로써 흡음(방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탄발사각지지살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탄발사각지지살대의 생산과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흡음패널과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합하여 생산되는 실내장식흡음패널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A Sound Absorbing Pannel}
본 발명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흡음패널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 장방형(사각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 장방형(사각형)의 흡음패널을 팽창되게 형성하여서 된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패널을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되 흡음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지지봉삽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읍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형성된 각의 지지봉삽착부에는 지지봉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 형성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방음패널(방음커튼, 방음판 등)과 이에 유사한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특허 제10-2009-0121703호(실내마감재), 공개특허 제10-2013-0045711호(실내장식 커튼월 시공장치), 등록특허 제10-1779559호(방음커튼), 등록특허 제10-1786847호(액자형 흡음패널) 등이 알려져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121703호(실내마감재)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마감재 본체틀과 장식커버와의 사이에 완충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나, 이는 본체틀과 장식커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없으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고, 제조된 실내마감재는 단지 실내 벽면에 부착하여 장식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공개특허 제10-2013-0045711호(실내장식 커튼월 시공장치)는, 건물 내벽에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H형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상단연결프레임과 하단연결프레임을 설치하여 백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백프레임에는 상단과 하단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걸이홈이 형성된 석재패널을 격자형으로 설치하며, 각 석재패널은 H형 프레임에 장착되는 패널고정구로 고정 지지하여 석재패널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석재패널을 실내장식용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중량이 무겁고 부피도 큰 석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된 H형 프레임과 백프레임(상단연결프레임과 하단연결프레임)을 설치하여야 하고, 석재패널을 실내에 설치하더라도 방음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이 석재패널에 의해 반사되어 실내의 소음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779559호(방음커튼)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에는 연질소재로 다수의 차음막을 횡 방향으로 절첩 및 전개 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차음막의 전방에는 연질소재로 되고 주름판으로 된 흡음막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나, 이는 실외에 설치되어 건물 등의 건축물을 건설할 때에 건설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히려 외부의 소음이 건축공사중인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다.
등록특허 제10-1786847호(액자형 흡음패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틀 프레임의 내부에 흡읍부재를 설치하되, 흡음부재의 양면(전면과 배면)에는 방음시트와 표면시트를 접착제로 접착하여서 된 것이나, 이는 사각형의 틀 프레임과 흡음부재를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각형의 틀 프레임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흡음패널을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흡음패널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 장방형(사각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 장방형(사각형)의 흡음패널을 팽창되게 형성하여서 된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패널을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되 흡음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지지봉삽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읍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형성된 각의 지지봉삽착부에는 지지봉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 형성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음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흡음패널과, 강선(철선) 또는 금속봉 또는 합성수지봉에 의해 제조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의 크기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제조하여 보급할 수 있고, 제조비용도 현저히 낮춰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음패널을 형성하는 흡음 직물을 다중으로 형성하거나 흡음패널의 일면에 보강천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줌으로써 흡음(방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탄발사각지지살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탄발사각지지살대의 생산과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흡음패널과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합하여 생산되는 실내장식흡음패널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된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되고 각 모서리에 모서리장착구가 결합 된 흡음부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는 지지봉가로삽착부 및 지지봉세로삽착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발사각지지살대는 하나의 지지봉을 절곡시켜 절곡모서리에 의해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흡음부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형성된 각 지지봉가로삽착부 및 지지봉세로삽착부는 탄발사각지지살대를 형성하는 상하좌우의 지지봉을 감싸 봉착한 것에 있어서:
지지봉을 절곡시켜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의 각 절곡모서리는:
상기 각 절곡모서리를 사선으로 형성하여, 흡음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 된 모서리결속구가 사선으로 형성된 절곡모서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흡음패널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 장방형(사각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 장방형(사각형)의 흡음패널을 팽창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부를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고, 흡음부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지지봉삽착부를 형성한 흡음패널과; 상기 흡읍패널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형성된 각의 지지봉삽착부에 결속되어 흡음패널을 팽창하게 유지시키는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음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흡음패널과, 강선(철선) 또는 금속봉 또는 합성수지봉에 의해 제조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의 크기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제조하여 보급할 수 있고, 제조비용도 현저히 낮춰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흡음패널을 형성하는 흡음 직물을 다중으로 형성하거나 흡음패널의 일면에 보강천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줌으로써 흡음(방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탄발사각지지살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탄발사각지지살대의 생산과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흡음패널과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합하여 생산되는 실내장식흡음패널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및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에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및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및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에서 흡음패널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의 각기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 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및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에서 탄발사각지지살대(30)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 및 요부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및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에서 흡음패널(10)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각기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구성 및 조립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흡음패널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 장방형(사각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를 결속시켜 장방형(사각형)의 흡음패널을 팽창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은,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부(11)를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고, 흡음부(11)의 상단과 하단 및 좌ㆍ우측 양단에 지지봉삽착부(18)를 형성한 흡음패널(10)과;
상기 흡읍패널(10)의 상단과 하단 및 좌ㆍ우측 양단에 형성된 각의 지지봉삽착부(18)에 결속되어 흡음패널(10)을 팽창하게 유지시키는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30):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흡읍패널(10)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부(11)를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였고, 흡음부(11)의 상단과 하단 및 좌ㆍ우측 양단에는 한 쌍씩의 지지봉가로삽착부(18-1) 및 지지봉세로삽착부(18-2)를 형성하였다.
상기 흡음부(11)의 상단과 하단 및 좌ㆍ우측 양단에 형성되는 지지봉삽착부(18)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흡음부(11)의 상단과 하단 및 좌ㆍ우측 양단에 상단접착편(12)과 하단접착편(13) 및 측면접착편(15)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상단접착편(12)과 하단접착편(13) 및 측면접착편(15)은 접음선(12-1)(13-1)(15-1)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어 준 상태에서 각 상단접착편(12)과 하단접착편(13) 및 측면접착편(15)의 단부를 봉재선(16)에 의해 흡음부(11)에 봉착하여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상단접착편(12)과 하단접착편(13) 및 측면접착편(15)와 흡음부(11)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탄발사각지지살대(30)의 지지봉(31)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흡음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흡음부(11)는, 흡음부(11)의 각 모서리(20)에 모서리결속구(25)를 각각 형성하였으며, 모서리결속구(25)를 통해 고정수단(스크류볼트)을 실내의 벽체 등에 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실내 벽체 장착(고정)하여 장식 및 방음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복수 개의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모서리결속구(25)를 통해 연결링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흡음부(11)의 각 모서리(20)에 각각 형성되는 모서리결속구(25)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음부(11)의 각 모서리(20)에 장착공(21)을 뚫어 주고, 장착공(21)에는 중앙에 결속공(28)이 형성된 숫결속구(26)와 암결속구(27)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상기 숫결속구(26)와 암결속구(27)에 의해 형성된 결속공(28)을 통해 고정수단(스크류볼트)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연결링과 같은 연결수단을 연결(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형성하는 흡음패널(10: (10-1)(10-2))은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 또는 부직포 된 보강천(11-2)의 일면 또는 양면에 흡음천(11-1)을 일체로 접착하여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음천(11-1)은 일반적으로 직조하여 제조되는 천에 본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특허 제10-0840891호의 소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또는 등록특허 제10-096365호의 노이즈의 흡음 페인트 조성물을 함침하거나 또는 도포하여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읍패널(10)의 상단과 하단 및 좌ㆍ우측 양단에 형성된 각의 지지봉삽착부(18)에 결속되어 흡음패널(10)을 팽창하게 유지시키는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탄발사각지지살대(3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며,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탄발사각지지살대(30)의 지지봉(31)은, 강선(철선)ㆍ합성수지봉ㆍ금속봉 등으로 된 지지봉(31)을 절곡시켜 절곡모서리(33)에 의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양단부(32)가 인접하도록 하였고, 각 절곡모서리(33)는 사선형으로 형성하여 흡음부(11)의 각 모서리결속구(25)가 절곡모서리(3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강선(철선)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탄발사각지지살대(30)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제조할 때에,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단봉과 하단봉 및 양 측면봉을 흡음부(11)의 가장자리에 연접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단접착편(12)과 하단접착편(13) 및 측면접착편(15)은 접음선(12-1)(13-1)(15-1)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어 주며, 접어진 각 상단접착편(12)과 하단접착편(13) 및 측면접착편(15)의 단부를 봉재선(16)에 의해 흡음부(11)에 봉착하여 줌으로써, 흡음패널(10)과 탄발사각지지살대(30)가 일체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탄발사각지지살대(30)는 조립형으로 형성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며,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모서리연결구(40)를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였고, 상기 4개의 모서리연결구(40)를 사각형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각 모서리연결구(40)를 2쌍의 가로지지봉(31-1)과 세로지지봉(31-2)으로 접속하여 완성하였다.
상기 모서리연결구(40)는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부(41)의 양측 단부에 접속단부(42)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각 접속단부(42)에 가로지지봉(31-1)과 세로지지봉(31-2)의 단부를 삽탈(삽입 및 빼기)하여 결합(조립) 또는 분리(분해)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모서리연결구(40)와 가로지지봉(31-1) 및 세로지지봉(31-2)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형성하였다.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탄발사각지지살대(30)는 분해 조립식으로 형성한 것이 특징으로서,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흡음패널(10)의 각 모서리에 4개의 모서리연결구(40)로서 모서리연결봉(35-1)을 형성하였고, 흡음패널(10)의 상단과 하단 및 양 측단에 나란(평행)하게 각각 형성된 지지봉가로삽착부(18-1)과 지지봉세로삽착부(18-2)에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가로연결봉(50-1)과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세로연결봉(50-2)을 각각 삽입하였으며, 상기 각 모서리연결봉(35-1)을 가로연결봉(50-1)과 세로연결봉(50-2)으로 접 속하여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였다.
상기 모서리연결봉(35-1)은 모서리절곡부(36)의 양단에 접속봉(37)을 서로 직각이루도록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가로연결봉(50-1)과 세로연결봉(50-2)은 연결봉(51)의 양단에 접속공(52)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모서리연결봉(35-1)의 양측 접속봉(37)에는 가로연결봉(50-1) 또는 세로연결봉(50-2)의 접속공(52)을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모서리연결봉(35-1)과 가로연결봉(50-1) 및 세로연결봉(50-2)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제(경질 또는 연질)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30)는 제조가 완료된 흡음패널(10)에서 지지봉가로삽착부(18-1)과 지지봉세로삽착부(18-2)에는 가로연결봉(50-1)과 세로연결봉(50-2)을 각각 삽입시키고, 흡음패널(10)의 모서리에서 상기 가로연결봉(50-1)과 세로연결봉(50-2)의 각 접속공(52)에 모서리연결봉(35-1)을 결합(삽입)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탄발사각지지살대(30)의 모서리연결봉(35-1)(35-3)에는, 설치공(61)이 형성된 밴드(60)를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시켰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 되는 밴드(60)는 가죽 또는 천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설치공(21)을 통해 볼트스크루와 같은 고정수단을 결합시켜 줌으로써 실내의 벽면에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창문 등에 설치하게 되면,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등의 외기를 흡음하여 방음시키면서 실내장식용 패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은,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을 나란하게 설치하되, 서로 인접하는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1)의 설치공(21)을 걸이링(200)으로 연결하여 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병풍처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10: 흡음패널 11: 흡음부
12: 상단접착편 13: 하단접착편
14. 15: 측면접착편 18-1: 지지봉가로삽착부
18-2: 지지봉세로삽착부 20: 모서리
21: 설치공 25: 모서리결속구
28: 결속공 30: 탄발사각지지살대
31: 지지봉 31-1: 가로지지봉
31-2: 세로지지봉 33: 절곡모서리
40: 모서리연결구 41: 절곡부
42: 접속단부 50-1: 가로연결봉
50-2: 세로연결봉 51: 연결봉
52: 접속공 60: 밴드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직물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되고 각 모서리에 모서리장착구가 결합 된 흡음부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는 지지봉가로삽착부 및 지지봉세로삽착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발사각지지살대는 하나의 지지봉을 절곡시켜 절곡모서리에 의해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흡음부의 상단과 하단 및 좌우 양 측단에 형성된 각 지지봉가로삽착부 및 지지봉세로삽착부는 탄발사각지지살대를 형성하는 상하좌우의 지지봉을 감싸 봉착한 것에 있어서:
    지지봉을 절곡시켜 형성된 탄발사각지지살대의 각 절곡모서리는:
    상기 각 절곡모서리를 사선으로 형성하여, 흡음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 된 모서리결속구가 사선으로 형성된 절곡모서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80126574A 2018-10-23 2018-10-23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KR10212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74A KR102125819B1 (ko) 2018-10-23 2018-10-23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74A KR102125819B1 (ko) 2018-10-23 2018-10-23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10A KR20200045710A (ko) 2020-05-06
KR102125819B1 true KR102125819B1 (ko) 2020-06-23

Family

ID=7073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74A KR102125819B1 (ko) 2018-10-23 2018-10-23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8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91B1 (ko) * 2008-03-19 2008-06-24 주식회사 에스공사 소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KR200475196Y1 (ko) * 2013-09-09 2014-11-12 정건호 이동식 방음벽
KR101786847B1 (ko) * 2016-02-03 2017-10-18 (주)밴엔지니어링 액자형 흡음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55A (ja) * 1997-07-02 1999-01-26 Yokohama Bouon Syst Kk 吸音マットおよび天井の吸音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91B1 (ko) * 2008-03-19 2008-06-24 주식회사 에스공사 소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KR200475196Y1 (ko) * 2013-09-09 2014-11-12 정건호 이동식 방음벽
KR101786847B1 (ko) * 2016-02-03 2017-10-18 (주)밴엔지니어링 액자형 흡음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10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218B2 (en) Modular wall nesting system
US9850656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EP3808909B1 (en) An acoustic seal and a sound proof booth comprising the same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102125819B1 (ko) 흡음 직물을 이용한 실내장식겸용 방음패널
KR102137140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방음패널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JP6807213B2 (ja) 壁板の取付構造
JP6463321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800300B1 (ko) 우레탄패널
JP2013194475A (ja) 乾式界壁
KR20120071515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0874212B1 (ko) 벽체 마감용 및 천정용 처짐 방지 일체형 멜라민 흡음재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벽체 및 천정을 시공하는 방법
US8635814B2 (en) Wall for interior architecture
KR100429480B1 (ko) 조립식 방음 칸막이
RU29541U1 (ru) Комплект профилей для перегородок
RU21814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1180365B1 (ko) 복층 구조의 실내 칸막이용 칸막이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JP5979038B2 (ja) 固定金具及び壁面材の固定構造
JP7332154B2 (ja) 建物用多用途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遮光部材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102429974B1 (ko) 망형벽체가 구비된 조립식 전시용 부스
CN213709985U (zh) 一种减震复合墙体
JP2022055436A (ja) 天井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