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20B1 -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20B1
KR102125320B1 KR1020190157052A KR20190157052A KR102125320B1 KR 102125320 B1 KR102125320 B1 KR 102125320B1 KR 1020190157052 A KR1020190157052 A KR 1020190157052A KR 20190157052 A KR20190157052 A KR 20190157052A KR 102125320 B1 KR102125320 B1 KR 10212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stallation location
air quality
installation
quali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로
Priority to KR102019015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행정 기관 등에서 지역 내의 다수의 실내의 공기 질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에 있어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단계;데이터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및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외부 단말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본 발명은 실내의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질 저해 유발 물질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내에 설치된 공기 질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장소별로 공기 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관리하며, 관리되는 공기 질을 기준으로 실내의 공기 정화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 등을 제안하여 줌으로써 실내의 공기 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의 측정 및 공기 질을 정화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의 증가 및 이에 대한 대처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정부 단위로 이루어질 만큼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실외의 미세먼지의 측정이 지역 단위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정부 지자체부터 사용자 단까지,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 내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실제로 거주하는 건물 등의 실내에 대한 미세먼지 측정 및 공기 질 개선에 대한 주요 기술은, 공기 정화기, 먼지 집진기 등 미세먼지를 단순히 기기 단위에서 측정하고 이로부터 공기 정화기 등을 작동하여 공기 질을 개선하는 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실내의 미세먼지 측정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질 관리는 매우 산발적이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행정 기관 등 원격에서 각 실내마다의 공기 질에 대한 데이터 관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질 개선에 대한 정책 등을 마련하기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103661호 등에서는, 실내와 실외 데이터를 반영하여, 실내 미세먼지를 예측하는 기술을 제공하거나,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41122호 등에서는 실내의 미세먼지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 역시, 장소 단위에서만 개별적으로 공기 질을 측정하여 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관리 등에 대한 아주 국소적이고 개별적인 데이터만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즉, 통합적으로 실내의 공기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종합적인 실내의 공기 질 측정 및 관리를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클라우드 데이터 서버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내에 설치된 공기 질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각 장소별로 공기 질 데이터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장소의 용도, 면적, 형태 및 장소마다 설치된 문, 가구 등의 객체에 따른 공기 질 데이터 관리의 표준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행정 기관 등에서 지역 내의 다수의 실내의 공기 질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 질을 최대한 개선하기 위해서, 장소별로 수집된 공기 질 데이터와 공기 정화 기기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각 장소마다 최적의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제안하여,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의 효율성을 기관 및 사용자 단위에서 편리하게 재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에 있어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단계;상기 데이터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및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로드 단계의 수행 전,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상기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공간 정보에 대해서, 외부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의 식별 정보 및 각 센서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설치 위치 정보를 구획하는 센서 설치 정보 수신 단계;및 외부 단말로부터 설치 장소 확정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장 공간에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 공간 정보 내의 센서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각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데이터 구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치 장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 장소 내에 포함된 공간별 용도, 넓이, 형태,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1변수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기 저장된 설치 장소별 센서의 설치 위치를 제2변수로 하여,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센서들의 설치 위치를 예측하는 데이터를 함께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별로 기 저장된 실내 표준 공기 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상기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전 저장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와, 상기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후 저장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일 설치 장소와 용도, 넓이, 형태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기존 설치 장소에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상기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의 수행 결과 로드된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 및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별로 구획된 설치 위치에 대해서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및 상기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상기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기기 설치 정보 제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외부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 별 상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가시적 데이터로 가공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에 부착되며, 공기 정화 기기의 풍량, 풍압 및 공기 정화 기기의 필터에 흡착된 오염 물질의 농도 중 어느 하나를 센싱하는 필터 센서로부터, 필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필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터의 유지 보수에 대한 정보인 필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기기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골지 질 개선 데이터생성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장치에 있어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모듈;상기 데이터 로드 모듈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듈;및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신규 공간 정보 생성부;상기 신규 공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공간 정보에 대해서, 외부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의 식별 정보 및 각 센서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설치 위치 정보를 구획하는 센서 설치 정보 수신부;및 외부 단말로부터 설치 장소 확정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장 공간에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 공간 정보 내의 센서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각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데이터 구조 생성부;를 포함하는 신규 공간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별로 기 저장된 실내 표준 공기 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 모듈은, 일 설치 장소와 용도, 넓이, 형태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기존 설치 장소에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존 데이터 로드부;상기 기존 데이터 로드부의 기능 수행 결과 로드된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 및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별로 구획된 설치 위치에 대해서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기 설치 정보 생성부;및 상기 기기 설치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상기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기기 설치 정보 제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단계;상기 데이터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및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설치 장소마다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설치 장소 및 하위 개념인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센서가 측정한 다수개의 오염 물질 등을 기준으로 한 항목별로 수집된 공기 질에 대한 오염물질 농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수집하여,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별로 시간 등에 따라 수집 및 누적 저장하게 된다.
이후, 행정 기관 또는 개인 등의 단말인 외부 단말로부터 공기 질 데이터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개별 공기 질 데이터, 장소별 공기 질 변화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기존에 불가능했던 실내 공기 질 데이터의 통합적이고 편리한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와의 통신 기능에 더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기 또는 기존 기기의 제어 기판의 프로토콜에 적응 가능한 방식으로 모든 공기 정화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된 공기 질 데이터를 통한 통합적인 실내 공기 질 자동 제어 및 원격의 외부 단말의 제어를 바탕으로 한 실내 공기 질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다양한 실내의 공기 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적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새로운 공간이 마련되거나 기존의 실내 공간에 있어서의 공기 정화 기기 등의 설치 위치를 제안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위한사전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의 블록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데이터 구조, 처리 및 외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의 블록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데이터 구조, 처리 및 외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각 단계 및 서브 단계의 구체적인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의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단일 단말, 또는 서버 단말 등을 통칭하거나, 각 단계의 구체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복수의 단말로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참조하면, 먼저 컴퓨팅 장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센서들은, 센서의 설치 위치에서 주변의 공기에 대한 대기중 공기 투명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광센서, 아두이노(Arduino) 등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샘플링을 통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화학적인 성분을 측정하는 센서, 각 오염물질의 농도 및 종류를 구분 측정하는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의 센서가 동시에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해당 센서들을 결합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각 식별 정보에 따른 오염물질들의 농도값을 센서가 측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S10 단계에 있어서 공기 질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들로서, 오염물질들의 식별 정보 및 각 식별 정보에 따른 오염물질 등의 농도값에 대한 데이터, 측정 시간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공기 질 데이터를 측정한 센서의 식별 정보(시리얼 넘버, 할당되는 아이디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센서로부터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포함된 데이터들 중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후술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정보들로서,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치 장소는 실내를 구분하는 단위 정보에 매칭되는 개념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건물에서 각 임차인별 또는 소유자별로 구분 관리되는 실내를 구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특정 건물에 식당, 사무실 등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식당 및 사무실이 차지하는 실내 공간 등이 설치 장소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세부 설치 위치는, 설치 장소 내에서 각 공간의 용도, 넓이, 형태 등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구획되거나, 센서의 균등 분할 설치에 따른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질 데이터의 영역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획되는 장소 내의 세부적인 공간 구분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는 고객 테이블 위치 장소, 주방, 창고 등이 설치 위치로서 구획되어 센서가 각 설치 위치마다 설치되어 공기 질 데이터를 센싱하도록 구획되거나, 사무실의 경우 일괄적으로 격자 형태로 센서를 설치 시 해당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의 감지 가능 범위가 설치 위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기능 수행 및 센서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센서의 설치 위치는 가상의 맵(Map) 또는 Map을 구조화한 데이터 구조에 각각 매핑되어 저장될 것이며,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를 이용 시 해당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독출할 수 있다. S10 단계는 이러한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이미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 또는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센서의 식별 정보를 통해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로드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가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것은,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 정보들을 저장 시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새로운 설치 장소가 본 발명에 의하여 공기 질이 관리되도록 등록될 시의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S10 단계의 수행 전 해당 단계들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S10 내지 S30 단계의 수행 도중 S1 내지 S3 단계가 독립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먼저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S1)를 수행한다. 공간 정보를 생성함은, 예를 들어 설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 시, 이를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구조에 맞추어 데이터 저장 공간이생성됨을 의미한다.
즉 S1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벌크 형태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마련될 것이고, 이는 설치 장소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앞으로 형성될 설치 위치 및 설치 장소의 부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공간을 클라우드 서버에서 할당할 수 있도록 컴퓨팅 장치가 데이터 저장 공간에 대한 확보 및 할당을 클라우드 서버에 명령하는 것을 의미한다.
S1 단계에 있어서, 외부 단말로부터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함은,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을 실질적으로 요청하는 쿼리 신호이외에, 설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설치 장소에 대한 행정 구획 정보, 설치 장소의 소유자 및 임차인에 대한 정보, 설치 장소의 주 용도, 넓이, 형태, 설치 장소에 존재하는 내벽, 가구, 창문, 문 등의 객체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에서 촬영 또는 저장되어 있는 설치 장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I1, I2, I3), 외부 단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정보, 설치 장소에 대한 도면 정보(DR1) 등이 S1 단계에서 수신하는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과 함께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S1 단계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공간 정보에 대해서, 외부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의 식별 정보 및 각 센서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설치 위치 정보(A1~A4)를 구획하는 센서 설치 정보 수신 단계(S2)른 수행한다.
설치 위치 정보를 구획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각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 감지 범위에 따라서 자동으로 설치 장소 내의 복수의 설치 위치가 구획되거나, 외부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센서에 관계없이 용도, 넓이, 형태 및 각 공간에 설치된 상술한 바와 같은 객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영역이 구획되고 해당 영역마다 설치된 센서와 각 설치 위치를 매핑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S2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될 센서들의 식별 정보가 1차적으로 저장되며, 각 설치 위치와 센서들의 식별 정보가 매칭된다. 이를 통해, S10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공기 질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공기 질 데이터를 센싱한 센서를 식별함을 통해서 공기 질 데이터가 수집된 설치 장소 및 세부 설치 위치가 로드된다.
S2 단계가 완료된 후, 외부 단말로부터 최종적으로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을 위한 설치 장소 확정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컴퓨팅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에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장 공간에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 공간 정보 내의 센서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각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데이터 구조 생성 단계(S3)를 수행한다.
즉 S3 단계는 S1 단계에 의하여 확보된 저장 공간에, 각 센서의 식별 정보, 설치 장소, 설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설치 위치별로 공기 질 데이터를 누적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획하여 해당 설치 장소의 공기 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설치 장소(P1)의 하위 개념으로서 상술한 설치 위치(A1)가 구성되며, 각 P1, A1의 데이터 할당 공간에는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대한 상술한 기본 식별 정보 및 속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A1의 하위 개념으로는 센서(S1) 및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D1) 등에 대한 정보가 계층을 구성할 수 있고, 각각 공기 질 데이터(Ed1)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스펙(SD1) 및 제어 이력 데이터(CD1)가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S1 단계에 있어서, 외부 단말이 공기 질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경우, 센서를 설치 장소에 있어서 어느 설치 위치에 설치할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S1 단계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치 장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 장소 내에 포함된 공간별 용도, 넓이, 형태,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1변수로, 클라우드 서버에 기 저장된 설치 장소별 센서의 설치 위치를 제2변수로 하여,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센서들의 설치 위치를 예측하는 데이터를 함께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치 장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 입력에 포함될 수 있는 설치 장소에 대한 행정 구획 정보, 설치 장소의 소유자 및 임차인에 대한 정보, 설치 장소의 주 용도, 넓이, 형태, 설치 장소에 존재하는 내벽, 가구, 창문, 문 등의 객체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에서 촬영 또는 저장되어 있는 설치 장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 외부 단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정보, 설치 장소에 대한 도면 정보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된 정보들 중 상술한 제1변수가 되는 데이터들을 이용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장소별 센서의 설치 위치를 제2변수로 하여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설치 위치 구획 및 이를 위한 센서 들의 개략적인 설치 위치를 예측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컴퓨팅 장치는 S1 단계의 수행 시, 후술하는 공기 정화 기기들에 대한 설치 위치를 제안하는 것과 유사하게, 상술한 예측된 센서들의 개략적인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함께 출력하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질 데이터 획득을 위한 센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센서의 개략적인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 보유한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인력이 센서를 최적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각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의 저장 준비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술한 도 2에 포함된 기능의 수행에 의하여, 클라우드 서버에는 설치 장소 및 세부 설치 위치별로 공기 질 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가 확보되어 있다. 이때 S20 단계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공기 질 데이터가 그 센서가 설치된 정확한 위치에 할당된 공기 질 데이터의 저장 공간에 누적 저장된다. 누적 저장됨은, 시간대별로 공기 질 데이터를 확보 시, 시계열적으로 공기 질의 변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공기 질 데이터가 연속 저장되거나, 각 오염 물질의 식별 정보별로 농도의주기적(1일, 1주일, 1달 등)인 평균값, 최대치, 최소치 등이 자동 연산되어 저장됨을 의미한다.
S20 단계의 기능이 수행되면, 컴퓨팅 장치는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외부 단말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데이터 저장 단계(S20)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S30)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단말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실내 공간의 사용자(들), 실내를 포함하는 건물의 관리 자 등의 관리자, 일 지역의 건물들을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 일 지역의 건물들을 관리 감독하는 행정기관의 관리자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 등이 보유하여, 공기 질 데이터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외부 단말은 이에 따라서 컴퓨터 등의 고정 단말 및 휴대 단말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은, 실시간 공기 질 데이터, 주기별로 설치 장소의 공기 질의 변화 및 흐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주기별 복수의 공기 질 데이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등을 요청하는 입력을 포함한다. 즉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쿼리 입력, 요청된 정보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외부 단말에 대한 인증이라 함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 공인인증서, 생체 정보 등 공기 질 데이터의 요청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이를 완료 시에만 공기 질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컴퓨팅 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S20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가 상기의 요청에 따라서 전부 또는 일부가 가공되어 제공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장소, 즉 각 실내의 구획된 장소별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공기 질 데이터가 가공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공기 질 데이터, 주기별로 설치 장소의 공기 질의 변화 및 흐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주기별 복수의 공기 질 데이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등을 요청하는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에 따라서 공기 질 데이터가 선별되거나, 시각적으로 구현되는 등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장소에 따라서 공기 질 데이터가 제공될 것이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장소에 포함된 세부 위치인 설치 위치의 넓이, 용도, 형태 등에 따라서 각 설치 위치에 대한 공기 질 비교를 위해서 설치 위치별로 공기 질 데이터가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건물 또는 특정 지역의 건물들에 대해서 식당의 주방에 설치된 센서가 센싱한 공기 질 데이터만을 조회하기 원하는 경우 이를 상술한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에 반영할 수 있고, 이때 설치 장소별이 아닌 주방 등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S30 단계의 기능 수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인 공기 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S30 단계의 기능 수행 시, 컴퓨팅 장치는, 기설정된 주기별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생성하여 저장하고, 외부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 별 상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가시적 데이터로 가공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시적 데이터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외부 단말에서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데이터 리스트, 이미지 등으로 가공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화면(200)을 참조하면, 특정 설치 장소(P1)에서 설치 위치(A1, A2, A3)마다 현재의 공기 질 데이터로서 라돈 등의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 등의 농도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교하여, 도 9의 화면(210)을 참조하면, 특정 설치 장소(P1)에서의 시간에 따른 특정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또는 설치 위치(A1, A2)에서의 시간에 따른 특정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그래프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도 8 및 9의 실시예 이외에, 예를 들어 정부 기관 제출용 등 단말의 데이터의 가공 결과 특정한 형식의 리포트(Report) 등이 필요한 경우, 단말의 요청 입력에 따라서 다양한 형식으로 데이터가 리포트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공기 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공기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외부 단말, 컴퓨팅 장치 등의 서버 단말은, 설치 장소별로 설치 위치에 인접하거나 포함되어 설치된 공기 정화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는, 자동 또는 외부 단말로부터의 수동의 제어 입력을 통해,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단말로부터의 수동의 제어 입력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외부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입력에 따라서 공기 정화 기기가 직접 제어됨을 의미한다. 자동 제어는, 후술하는 프로세스 또는 외부 단말의 조건 입력에 따라서 시간, 공기 질 데이터 등을 기준으로 외부 단말로부터의 직접 제어 없이도 공기 정화 기기가 제어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공기 질 데이터 관리 기능과 연동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는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별로 기 저장된 실내 표준 공기 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 등의 경우 실내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에 대한 제한 농도가 클라우드 서버의 각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기준 데이터로서 별도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특정 설치 위치에서의 공기 질 데이터를 상술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 제공 업체와 연계된 공기 정화 기기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의 관리 서버,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컴퓨팅 장치와 공기 정화 기기가 설치 시 상술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컴퓨팅 장치의 별도의 연동 과정 없이 공기 정화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 정화 기기 등의 경우, 공기 정화 기기의 MCU 프로토콜이 컴퓨팅 장치에 적응 가능하도록 별도의 게이트웨이 등이 마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 정화 기기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S3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전 저장된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장소별 공기 질 데이터와,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후에 저장된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장소별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외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 기기의 공기 정화 효율을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통해 외부 단말에서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상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는, 공기 정화 기기에 대한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전 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주기적인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자체를 고려하여 공기 정화 기기의 공기 정화 효율을 도출할 수 있다.
즉, 공기 정화 기기가 동작되면, 예를 들어 오염 물질의 농도가 증가 추세에서 감소 추세로 변동될 것이기 때문에,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여부에 관계 없이 주기적인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 추세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 여부 및 동작 시의 공기 질 개선 효과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 제공 단계(S30)의 수행에 있어서 상술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의 제공이 가능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일 설치 장소와 용도, 넓이, 형태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80%)을 초과하는 기존 설치 장소에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S31)를 수행한다.
이때 유사도는, 주로 용도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의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장소의 용도(상업, 식당, 사무소 등)에 따라서 오염물질의 발생이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유사도 판단 시 고려되는 인자들에 대한 가중치가 상술한 예와 같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S31)에 의하여 다른 기존의 설치 장소별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이 도출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컴퓨팅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에 기 저장된 데이터들 중, 각 설치 장소별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로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 대해서 할당된 상술한 저장 공간에는, 각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별로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 및 스펙(제품명, 동작 파워, 스펙 상의 공기 정화량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S31 단계의 수행 결과 로드된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 및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기준으로, 일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별로 구획된 설치 위치에 대해서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S32)를 수행한다. S32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S1)의 수행 시 수행되어야 할 것이나, 기존의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변경 제안을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일 설치 장소는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S1)에 의하여 수신한 설치 장소 또는 기 저장된 설치 장소를 의미한다.
S31 단계의 수행 결과 로드된 데이터들은,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과, 해당 변동값의 원인이 되는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 여부, 설치 위치 및 스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설치 장소들의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 및 스펙에 따라서 일 설치 장소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기 정화 기기 및 이의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의 주방 설치 위치에서, 어떤 공기 정화 기기를 어디에 설치했을 때 유사한 주방에 있어서 가장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이 큰지, 즉 공기 질 개선 효과가 큰지 여부를 기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에서의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 여부에 따른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개략적인 주방에서의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S32 단계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기기 설치 정보 제안 단계(S33)를 수행한다.
S33 단계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는 일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에 공기 정화 기기가 이미 설치된 경우 S32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할 것을 제안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때 이미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에서의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과 S32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설치 위치에서의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의 비교값을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들이 결정된 설치 위치에서의 공기 질 개선 효과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에 공기 정화 기기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S32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설치 위치에 공기 정화 기기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때 S32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설치 위치에서의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함께 정송하여, 사용자들이 결정된 설치 위치에서의 공기 질 개선 효과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화면(220)을 참조하면, 상술한 일 설치 장소(P1)에 있어서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결정된 설치 위치(D1, D2, D3) 등에 공기 정화 기기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220)에 의하여 사용자들은 자신이 이용하는 실내 공간에서 어떤 위치에 공기 정화 기기를 설치할지 여부에 대한 제안을 받고, 이를 통해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각 설치 장소마다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설치 장소 및 하위 개념인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센서가 측정한 다수개의 오염 물질 등을 기준으로 한 항목별로 수집된 공기 질에 대한 오염물질 농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수집하여,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별로 시간 등에 따라 수집 및 누적 저장하게 된다.
이후, 행정 기관 또는 개인 등의 단말인 외부 단말로부터 공기 질 데이터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개별 공기 질 데이터, 장소별 공기 질 변화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기존에 불가능했던 실내 공기 질 데이터의 통합적이고 편리한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와의 통신 기능에 더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기 또는 기존 기기의 제어 기판의 프로토콜에 적응 가능한 방식으로 모든 공기 정화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된 공기 질 데이터를 통한 통합적인 실내 공기 질 자동 제어 및 원격의 외부 단말의 제어를 바탕으로 한 실내 공기 질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다양한 실내의 공기 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적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새로운 공간이 마련되거나 기존의 실내 공간에 있어서의 센서, 공기 정화 기기 등의 설치 위치를 제안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위한사전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공기 정화 기기에 대한 필터의 교체 주기 예측 및 이에 대한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통해,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컴퓨팅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S20)의 수행 후, 설치 장소에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에 부착되며, 공기 정화 기기의 풍량, 풍압 및 공기 정화 기기의 필터에 흡착된 오염 물질의 농도 중 어느 하나를 센싱하는 필터 센서로부터, 필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필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터의 유지 보수에 대한 정보인 필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기기 모니터링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는 메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등 다양한 필터가 부착되어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공기 질을 개선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일반적인 공기 정화 기기에 있어서 필터는 특정 주기(예를 들어 1년 등)마다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교체 주기는 공기 정화 기기가 설치된 설치 장소에서의 오염 물질의 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설치 장소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 시, 공기 정화 기기에 필터의 교체 주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모니터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필터 센서와 같이, 공기 정화 기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세기 및 양이 필터의 사용량에 따라서 변동된다. 즉 필터에 오염 물질의 흡착이 누적되면, 공기 정화 기기의 풍량 및 풍압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필터 센서는 공기 정화 기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일부에 설치되어 풍압 또는 풍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터에 직접 부착되어, 필터에 흡착된 오염 물질의 양을 센싱할 수 있는 화학적 센서 또는 광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센서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센서 모듈을 형성하여 필터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필터 센서로부터 필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필터 센싱 데이터는 풍량, 풍압, 오염 물질의 농도(양) 등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기 저장된 필터 센싱 데이터 및 필터 센서의 식별 정보를 통해 식별된 필터 센서가 설치된 필터에 대한 정보 및 필터의 스펙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의 유지 보수에 대한 정보인 필터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필터 관리 정보는, 상술한 필터 센싱 데이터와 필터의 스펙 정보에 따라서 도출되는 예상되는 필터의 교체 주기(시점)에 대한 정보 또는 교체 주기(시점)이 곧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필터에 대한 교체 알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장치(10, 이하 장치라 함)는, 데이터 로드 모듈(11), 데이터 저장 모듈(12) 및 데이터 제공 모듈(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으로 신규 공간 생성 모듈(14) 및 기기 제어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로드 모듈(11)은,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01)들로부터 오염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101)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101)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100) 내 세부 설치 위치(110)를 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 중 S10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모듈(12)은, 데이터 로드 모듈(11)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100) 및 설치 위치(110)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110)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20)에 누적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 중 S20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 모듈(13)은, 외부 단말(30)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100)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외부 단말(30)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데이터 저장 모듈(!2)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110)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100)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100)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 중 S30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5 등을 참조하면, 신규 공간 생성 모듈(14)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신규 공간 정보 생성부(141), 센서 설치 정보 수신부(142), 데이터 구조 생성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규 공간 정보 생성부(141)는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외부 단말(30)로부터 수신 시,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에 있어서 S1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센서 설치 정보 수신부(142)는, 신규 공간 정보 생성부(141)에 의하여 생성된 공간 정보에 대해서, 외부 단말(3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의 식별 정보및 각 센서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설치 위치 정보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에 있어서 S2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데이터 구조 생성부(143)는, 외부 단말(30)로부터 설치 장소 확정 입력을 수신 시, 클라우드 서버(20)에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장 공간에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 공간 정보 내의 센서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각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에 있어서 S3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데이터 제공 모듈(13)은, 기존 데이터 로드부(131), 기기 설치 정보 생성부(132) 및 기기 설치 정보 제안부(1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 데이터 로드부(131)는, 일 설치 장소와 용도, 넓이, 형태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기존 설치 장소에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로부터 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의 S31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기기 설치 정보 생성부(132)는, 기존 데이터 로드부(131)의 기능 수행 결과 로드된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 및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기준으로, 일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별로 구획된 설치 위치에 대해서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있어서 S32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기기 설치 정보 제안부(133)는, 기기 설치 정보 생성부(132)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를 외부 단말(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있어서 S33 단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2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2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2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에 있어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 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단계;
    상기 데이터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및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대하여 공기 질 데이터의 요청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별로 기 저장된 실내 표준 공기 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상기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전 저장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와, 상기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후 저장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일 설치 장소와 용도, 넓이, 형태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기존 설치 장소에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
    상기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의 수행 결과 로드된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 및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별로 구획된 설치 위치에 대해서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상기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기기 설치 정보 제안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사도는, 용도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하되, 각 장소의 용도에 따라 유사도 판단에 고려되는 인자들에 대한 가중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에 부착되며, 공기 정화 기기의 풍량, 풍압 및 공기 정화 기기의 필터에 흡착된 오염 물질의 농도 중 어느 하나를 센싱하는 필터 센서로부터, 필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필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터의 유지 보수에 대한 정보인 필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기기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드 단계의 수행 전,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을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공간 정보에 대해서, 외부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의 식별 정보및 각 센서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설치 위치 정보를 구획하는 센서 설치 정보 수신 단계; 및
    외부 단말로부터 설치 장소 확정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장 공간에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 공간 정보 내의 센서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각 센서의 공기 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데이터 구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공간 정보 생성 단계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치 장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 장소 내에 포함된 공간별 용도, 넓이, 형태,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1변수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기 저장된 설치 장소별 센서의 설치 위치를 제2변수로 하여, 새로운 설치 장소에 대한 센서들의 설치 위치를 예측하는 데이터를 함께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외부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 별 상기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가시적 데이터로 가공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오염 물질의 식별 정보 및 농도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질 데이터를 수신 시, 공기 질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의 식별 정보로부터 센서의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 내 세부 설치 위치를 로드하는 데이터 로드 단계;
    상기 데이터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기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에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및
    외부 단말로부터 특정 설치 장소에 대한 공기 질 데이터의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대하여 공기 질 데이터의 요청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누적된 설치 위치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를 기준으로 가공하여, 설치 장소 별 공기 질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를 설치 장소별로 기 저장된 실내 표준 공기 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상기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전 저장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와, 상기 기기 제어 단계의 수행 후 저장된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
    일 설치 장소와 용도, 넓이, 형태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기존 설치 장소에 저장된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
    상기 기존 데이터 로드 단계의 수행 결과 로드된 설치 장소의 설치 위치별 공기 질 데이터 및 공기 질 데이터의 변동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 설치 장소 및 설치 장소별로 구획된 설치 위치에 대해서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기기 설치 정보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정화 기기 및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를 상기 일 설치 장소에 기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의 설치 위치와 비교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기기 설치 정보 제안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사도는, 용도 및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하되, 각 장소의 용도에 따라 유사도 판단에 고려되는 인자들에 대한 가중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공기 정화 기기에 부착되며, 공기 정화 기기의 풍량, 풍압 및 공기 정화 기기의 필터에 흡착된 오염 물질의 농도 중 어느 하나를 센싱하는 필터 센서로부터, 필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필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터의 유지 보수에 대한 정보인 필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기기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157052A 2019-11-29 2019-11-29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2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052A KR102125320B1 (ko) 2019-11-29 2019-11-29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052A KR102125320B1 (ko) 2019-11-29 2019-11-29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320B1 true KR102125320B1 (ko) 2020-06-22

Family

ID=7114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052A KR102125320B1 (ko) 2019-11-29 2019-11-29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17B1 (ko) * 2020-08-04 2021-10-21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한 컴퓨터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23050229A1 (zh) * 2021-09-29 2023-04-06 西门子股份公司 工业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969A (ko) * 2014-04-24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장치
KR102040505B1 (ko) * 2018-09-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 청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969A (ko) * 2014-04-24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장치
KR102040505B1 (ko) * 2018-09-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 청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17B1 (ko) * 2020-08-04 2021-10-21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한 컴퓨터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23050229A1 (zh) * 2021-09-29 2023-04-06 西门子股份公司 工业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g et al. Modeling occupancy and behavior for better building design and operation—A critical review
US20210173969A1 (en) Multifactor analysis of building microenvironments
Fierro et al. Mortar: an open testbed for portable building analytics
CN107750323B (zh) 用于控制空调装置的启动的方法及其设备
KR102125320B1 (ko) 미세먼지 센싱을 통한 공기 질 개선 데이터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22520711A (ja) スマート・ワークスペース管理システム
Newsham et al. Testing the accuracy of low-cost data streams for determining single-person office occupancy and their use for energy reduction of building services
US10573168B1 (en) Automated alarm panel classification using Pareto optimization
EP3292454A1 (en) Multi-function home control system with control system hub and remote sensors
US20120150788A1 (en) Automat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KR20130035577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물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148576A (zh) 智能家居系统和方法
KR20150128163A (ko) 건물 에너지 소비정보 분석 시스템
CN106558916A (zh) 信息提示方法和信息提示装置
KR20140104284A (ko) 빌딩 에너지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6462122A (zh) 用于维持建筑物自动化系统性能的系统和方法
US119768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building air quality
Parker et al. A methodology for creating building energy model occupancy schedules using personal location metadata
US20150168926A1 (en) Optimizing facility space assignment
WO2015153786A1 (en) Disturbance detection, predictive analysis, and handling system
Balvís et al. A simple model for automatic analysis and diagnosis of environmental thermal comfort in energy efficient buildings
KR101655247B1 (ko) Bems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분석 시스템
KR20160052029A (ko)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938230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5739472A (zh) 一种监控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