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029A -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029A
KR20160052029A KR1020140150061A KR20140150061A KR20160052029A KR 20160052029 A KR20160052029 A KR 20160052029A KR 1020140150061 A KR1020140150061 A KR 1020140150061A KR 20140150061 A KR20140150061 A KR 20140150061A KR 20160052029 A KR20160052029 A KR 2016005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dex
energy management
state inform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787B1 (ko
Inventor
전정수
마영언
최태영
권훈주
권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에너지 측정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하는 과정과,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상에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NDENCY ANALISIS SERVICE BASED BUIDDING ENERGY MANAGEMENT INDEX MEASUREMENTS SYSTEM}
본 발명은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설비별, 영역별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화 및 지수화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빌딩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냉/난방 등 공조, 방재 및 방범 설비 등의 서브 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 시스템이 확산 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서브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빌딩관리 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빌딩 관리 시스템은 개개의 단일 건물에 대해서 사용되는 전기, 가스, 온도, 유량 등을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각각의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건물 전체적으로 소모되는 에너지에 대하여는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알 수 없고, 상기와 같은 자료가 단일 건물에 국한되기 때문에 지역 또는 구역의 건물 군을 통합관리하는 상황에서는 파악이 어렵다.
또한, 건물 내에 설치했던 센서나 각종 기기들은 에너지 관리가 목적이 아닌 설비의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한 것들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량에 있어서 데이터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과거 자료에 대한 분석 및 향후 에너지 소비에 대한 예측 및 관리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빌딩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별로 센서를 설치하기 때문에 센서의 수량과 종류가 많아 다수의 영역별로 분산되어 설치된 설비별 센서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빌딩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되는 화면상에서 여러 번의 동작 화면 변환이 일일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에 대한 통합된 관리 및 이력을 단일화면 내에서 지원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 내 분산되어 위치하는 에너지 재생 기기별 에너지 소비 경향분석을 위해 에너지 소요 관련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경향분석 서비스 화면을 통해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값에 부합하는 에너지 소비값으로 지수화하여 에너지 소비 지수와 이를 기반으로 건물 내 통합된 에너지 지수 경향을 간단하게 단일화면 내에서 확인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에너지 측정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하는 과정과,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상에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고, 에너지 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와, 상기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통합 관리하고, 각 에너지 재생 기기별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을 통해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향후 에너지 소비에 대해 예측 및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과소비 정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위반 시 에너지 재생 기기 관련 관리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냉난방 관리 기기의 고장 혹은 오류를 조기에 탐지하여 신속하게 대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관련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 분산되어 위치하는 에너지 재생 기기(예컨대, 냉난방 기기)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너지 소비 경향분석을 위해 에너지 재생 기기별 에너지 소요 관련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경향분석 서비스 화면을 통해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값에 부합하는 에너지 소비값으로 지수화하여 에너지 재생 기기별 에너지 소비 지수와 이를 기반으로 건물 내 통합된 에너지 지수 경향을 간단하게 단일화면 내에서 확인하여 기기별 가동량을 조절함으로써 향후 에너지 소비에 대해 예측 및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과소비 정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위반 시 에너지 재생 기기 관련 관리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냉난방 관리 기기의 고장 혹은 오류를 조기에 탐지하여 신속하게 대처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가스 혹은 전기와 같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에너지 재생 기기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를 에너지 측정센서를 통해 센싱하고, 112 과정에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상기 에너지 측정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에너지 재생 기기별 소요되는 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에너지 측정센서는 소요되는 에너지 용도별로 센싱되어 출력되는 데이터가 상이하다. 예컨대, 온도 센서로부터는 온도 관련 상태 정보를 획득 가능하며, 해당 에너지 재생 기기는 난방 기기를 포함하고, 수도 관련 에너지 재생 기기의 사용량 등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유량 측정 센서가 소요되는 유량을 센싱하여 출력한다. 이 밖에 본 발명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조명, 기계설비, 전자설비 및 냉/난방 등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용도별로 측정하여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를 에너지 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한다.
이러한 에너지 측정센서는 전용선 라인 혹은 전력선 라인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센싱 데이터를 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로 전송한다.
계속해서, 114 과정에서는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상에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고, 116 과정에서는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브젝트 즉, 출력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각 에너지 재생 기기별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서버 내 제어부를 통해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에너지 관리 대상 건물의 에너지 재생 기기별 에너지 경향을 지수화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해 서비스한다.
이후, 118 과정에서는 상기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상에 표시된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관련 동작의 흐름을 보인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 과정에서는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는 단말로 제공하는 경향분석 서비스 화면을 통해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지원되는 서브 모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모드는, 지수 현황 표시 모드와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를 포함한다.
210 과정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를 확인하여, 지수 현황 표시 모드가 선택된 경우 212 과정으로 이동하여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경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에너지 재생 기기별 절대 지수, 경향 지수 및 잠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절대 지수는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상시 에너지 관측 이력에 기반한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통합적 수준의 지수이다.
또한, 상기 경향 지수는 실시간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평균적 수준의 지수이고, 상기 잠재 지수는 상기 절대 지수와 경향 지수에 기반한 지수 변동율에 의한 지수이다.
그리고, 상기 잠재 지수는 산출된 상기 절대 지수 및 경향 지수 각각이 전력계통에 설정된 기준값과 총전력 사용량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부여된 기여 가중치를 반영하고,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절대 지수 및 경향 지수를 평균하여 산출된다.
214 과정에서는 산출된 지수 타입별 상기 지수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 216 과정에서 분석된 결과를 개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체 타입별로 분류한다.
상기 개체 인터페이스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산출된 타입별 지수가 입력 필드 및 입력값 상하 제어 버튼과 함께 리스팅(listing)되는 텍스트 개체 및 그래프 개체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개체 인터페이스는 에너지 재생 기기별 에너지 소비 관련 지수화를 위해 지원되는 것으로,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 내 제어부를 통해 파싱된 에너지 재생 기기별 에너지 측정 결과를 기설정된 항목(예컨대, 기간, 구역, 설비, 지수 포함)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기간-> 연, 월, 일, 구역-> 존(zone), 계통, 설비, 설비-> 전체, 난방, 냉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지수현황 혹은 표시설비)에 따라 통합되게 경향분석 서비스 화면의 실행 모드에 따라 표시한다.
이어서, 218 과정에서는 타입별로 지수화된 각 영역별 그룹핑된 에너지 재생 기기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220 과정에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별 항목에 체킹되어 표시된다.
한편, 210 과정에서 서브 모드 체크 결과, 지수 현황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 222 과정으로 이동하여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를 실행한다.
224 과정에서는 시간대별 기설정된 기준치를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총전력 사용량을 비교하고, 226 과정에서는 비교결과에 따라 정상 혹은 이상이 마킹된 영역에서 해당 항목에 체킹이 되고, 228 과정에서는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활성화된 영역에 따라 상기 영역과 이웃되는 영역에 에너지 재생 기기별 기간별 전력 소비량 추이를 그래프화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300)은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 타입에 따라 지수 현황(310) 관련 지수 현황 표시 모드와 표시설비(312) 관련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 각각이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분할된 영역은 지수 현황(310) 관련 지수 현황 표시 모드에서는 건물 전체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표시되는 영역(314), 기설정된 항목(기간, 구역, 설비, 지수)이 표시되는 영역(316, 322),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이 표시되는 영역(318, 326, 324, 328) 및 건물 층별 산정된 지수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표시되는 영역(330, 332, 334)으로 분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전체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표시되는 영역(314)은 상기 건물 층별 산정된 지수에 대응하는 그래프 및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별 항목이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이웃되는 영역이며, 상기 건물 층별 산정된 지수에 대응하는 그래프와 체킹된 개별 항목 관련 데이터가 특정 기간을 기준으로 반영된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통합 그래프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건물 층별 산정된 지수에 대응하는 330 영역의 그래프는 기설정된 기간별로 선행하는 기간 대비 후행하는 기간에서의 산출 지수 및 해당 지수의 변동율이 백분율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322 영역의 지수는 326 영역에 표시된 절대, 경향, 잠재 지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체킹된 어느 하나의 지수 타입의 상세 개별 항목 예컨대, 지수 타입별 지수 속성값 및 직전월 편차 각각을 324 영역 및 328 영역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320 영역에서는 월별, 층별, 설비 타입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부합되는 지수 측정 표시가 가능하다.
이어서, 표시설비(312) 관련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에서는 지수 측정을 실시하고자 하는 표시설비 관련 모두, 정상, 이상 여부를 340 영역에서 체킹하고, 340 영역에서 체킹된 개별 항목에 따라 336 및 338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영역의 항목을 기반으로 342, 344 및 346 영역의 그래프가 생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동작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은 건물에 포함된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410),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412) 및 다수의 단말(414, 416, 418)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41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고, 에너지 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한다.
상기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412)는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4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통합 관리하고, 각 에너지 재생 기기별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412)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을 통해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를 통해 건물에서의 에너지의 소비량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단말(414, 416, 418)을 통해 서비스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지수 현황 표시 모드와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타입별로 지수화된 각 영역별 그룹핑된 에너지 재생 기기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별 항목에 체킹되어 표시되는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지수 알고리즘을 통해 상시 에너지 관측 이력에 기반한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통합적 수준의 절대 지수, 실시간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평균적 수준의 경향 지수 및 상기 절대 지수와 경향 지수에 기반한 지수 변동율에 의한 잠재 지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타입별 상기 지수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개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체 타입별로 분류되어 표시되어 수행되는 모드이다.
더하여,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는, 시간대별 기설정된 기준치를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총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상 혹은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개별 항목이 체킹되어 표시되고, 상기 정상 및 이상이 마킹된 영역에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활성화된 영역에 따라 상기 영역과 이웃되는 영역에 에너지 재생 기기별 기간별 전력 소비량 추이를 그래프화되어 표시되는 모드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10: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 412: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
414, 416, 418: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에너지 측정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하는 과정과,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상에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드에서,
    지수 현황 표시 모드와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타입별로 지수화된 각 영역별 그룹핑된 에너지 재생 기기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별 항목에 체킹되어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지수 알고리즘을 통해 상시 에너지 관측 이력에 기반한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통합적 수준의 절대 지수, 실시간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평균적 수준의 경향 지수 및 상기 절대 지수와 경향 지수에 기반한 지수 변동율에 의한 잠재 지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타입별 상기 지수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개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체 타입별로 분류되어 표시되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 지수는,
    산출된 상기 절대 지수 및 경향 지수 각각이 전력계통에 설정된 기준값과 총전력 사용량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부여된 기여 가중치를 반영하고,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절대 지수 및 경향 지수를 평균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는,
    시간대별 기설정된 기준치를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총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상 혹은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개별 항목이 체킹되어 표시되고, 상기 정상 및 이상이 마킹된 영역에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활성화된 영역에 따라 상기 영역과 이웃되는 영역에 에너지 재생 기기별 기간별 전력 소비량 추이를 그래프화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상기 그래프 및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별 항목이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이웃되는 영역에 상기 그래프와 체킹된 개별 항목 관련 데이터가 특정 기간을 기준으로 반영된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통합 그래프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기설정된 기간별로 선행하는 기간 대비 후행하는 기간에서의 산출 지수 및 해당 지수의변동율이 백분율로 환산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인터페이스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산출된 타입별 지수가 입력 필드 및 입력값 상하 제어 버튼과 함께 리스팅(listing)되는 텍스트 개체 및 그래프 개체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설정된 영역별로 위치하고, 에너지 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건물 내 분산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와,
    상기 데이터 수집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통합 관리하고, 각 에너지 재생 기기별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 서버는,
    경향 분석 서비스 화면을 통해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정보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별 개별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경향분석 테마에 따라 통합되게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수 현황 표시 모드와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타입별로 지수화된 각 영역별 그룹핑된 에너지 재생 기기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별 항목에 체킹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현황 표시 모드는,
    수집된 에너지 재생 기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지수 알고리즘을 통해 상시 에너지 관측 이력에 기반한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통합적 수준의 절대 지수, 실시간 전력계통 상황에 대한 평균적 수준의 경향 지수 및 상기 절대 지수와 경향 지수에 기반한 지수 변동율에 의한 잠재 지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타입별 상기 지수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개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체 타입별 분류되어 표시되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재생 기기별 상태 표시 모드는,
    시간대별 기설정된 기준치를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총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상 혹은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 개별 항목이 체킹되어 표시되고, 상기 정상 및 이상이 마킹된 영역에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활성화된 영역에 따라 상기 영역과 이웃되는 영역에 에너지 재생 기기별 기간별 전력 소비량 추이를 그래프화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0150061A 2014-10-31 2014-10-31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9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61A KR101691787B1 (ko) 2014-10-31 2014-10-31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61A KR101691787B1 (ko) 2014-10-31 2014-10-31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029A true KR20160052029A (ko) 2016-05-12
KR101691787B1 KR101691787B1 (ko) 2017-01-02

Family

ID=5602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061A KR101691787B1 (ko) 2014-10-31 2014-10-31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9593A (zh) * 2020-05-20 2020-09-18 青岛黄海学院 一种基于计算机大数据的建筑能耗主要影响因素分析系统
KR20210109290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케이티 대상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감지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7217497A (zh) * 2023-11-07 2023-12-12 国能日新科技股份有限公司 综合能源管理平台及综合能源管理方法
CN117610972A (zh) * 2024-01-24 2024-02-27 荣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绿色建筑数字化管理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68B1 (ko) 2019-06-10 2019-12-13 (주)케이디티콘트롤 통합 에너지 사용량 계측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1795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물놀이 시설물의 물공급관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811A (ja) * 2010-11-08 2012-05-31 Energy Conservation Center Japan ビル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ビルエネルギー管理方法
KR20130031515A (ko) * 2011-09-21 2013-03-29 주식회사 케이티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한 에너지 균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1549A (ko) * 2012-09-04 2014-03-13 삼성물산 주식회사 산업시설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811A (ja) * 2010-11-08 2012-05-31 Energy Conservation Center Japan ビル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ビルエネルギー管理方法
KR20130031515A (ko) * 2011-09-21 2013-03-29 주식회사 케이티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한 에너지 균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1549A (ko) * 2012-09-04 2014-03-13 삼성물산 주식회사 산업시설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90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케이티 대상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감지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679593A (zh) * 2020-05-20 2020-09-18 青岛黄海学院 一种基于计算机大数据的建筑能耗主要影响因素分析系统
CN117217497A (zh) * 2023-11-07 2023-12-12 国能日新科技股份有限公司 综合能源管理平台及综合能源管理方法
CN117217497B (zh) * 2023-11-07 2024-03-15 国能日新科技股份有限公司 综合能源管理平台及综合能源管理方法
CN117610972A (zh) * 2024-01-24 2024-02-27 荣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绿色建筑数字化管理系统及方法
CN117610972B (zh) * 2024-01-24 2024-05-07 荣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绿色建筑数字化管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87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787B1 (ko)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288279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equipment management
US10295439B2 (en) Enclosure diagnostic and control systems
JP6687913B2 (ja) 漏水状態推定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3586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01981522A (zh) 图形用户界面装置
CN107077135B (zh) 用于识别设备中的干扰的方法和辅助系统
KR1022344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간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US20170082986A1 (en) Building management device, wide area management system, data acquiring method, and program
CN101414186A (zh) 要因估计支持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919327A (zh) 用于照明系统中的故障管理的系统和方法
KR2020003124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935837B1 (ko)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34573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temperature sensors
KR101178063B1 (ko) 방재모듈을 탑재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2589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JP2002297669A (ja) 点検支援システム
JP2009009538A (ja) 運転状況分析方法および運転状況分析システム
KR20130065844A (ko) 지능형 빌딩 에너지 설비 효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41612B2 (ja) プラント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機器管理方法
JP5204075B2 (ja) 運転状況分析方法および運転状況分析システム
CN115393142A (zh) 智慧园区管理方法及管理平台
KR101641259B1 (ko) 중앙 제어 장치, 중앙 제어 시스템 및 중앙 제어 방법
JP6903089B2 (ja) 機器制御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支援方法
US11568336B2 (en) Information-technology-utilization evaluation device, information-technology-utilization evaluation system, and information-technology-utilization evalu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