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37B1 -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837B1
KR101935837B1 KR1020180085768A KR20180085768A KR101935837B1 KR 101935837 B1 KR101935837 B1 KR 101935837B1 KR 1020180085768 A KR1020180085768 A KR 1020180085768A KR 20180085768 A KR20180085768 A KR 20180085768A KR 101935837 B1 KR101935837 B1 KR 10193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information
water treatment
treatment system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국
Original Assignee
김봉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국 filed Critical 김봉국
Priority to KR102018008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방법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자재 정보, 설치 정보,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 부품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비 부품마다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위험 레벨 설정 단계;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고 예측 정보 제공 단계; 및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에 판단 결과에 따른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제공하는 대응 전략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감지 단계에서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EDICTING ACCIDENT AND TRACING THE FLOWING INTO FOREIGN MATERIAL PATH THROUGH MONITORING OF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해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설비 부품에 대한 위험도 및 사고 예측을 수행하고, 수처리 시스템의 유로 관리를 통해 이상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 및 관리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처리 혹은 폐수 처리를 포함한 원수의 처리를 수처리로 정의하고 있다. 물의 처리에는 목적에 따라 용수 처리와 폐수 처리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음료수, 공업용수를 대상으로 하고, 후자는 도시하수, 공장 폐수 등을 대상으로 한다.
수처리는 어떠한 용도로 처리를 하느냐에 따라 그 프로세스가 달라지지만 보통 현탁 물질, 조류,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제거, 탈기, 탈색, 탈철, pH조절, 탈알칼리, 연화, 탈규소, 탈염 등을 제거하며, 처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처리법이 개발되어 있으며, 수처리의 주요 매커니즘으로서 침강, 화학응집, 여과, 흡착, 생물화학적 처리, 염산 처리와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써, 한국 등록 특허 10-0686191호(화학적 수처리 장치)에서는 반응조, 가스 분리부 및 화학적 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가스의 분자량 차이로 인한 농도 구배를 형성하고 촉매 반응에 의한 가스 농도의 증가로 산화 반응을 활성시켜 촉매층의 촉매 반응을 활성화함으로써 오폐수와 접촉 시 화학적 반응에 의해 수처리를 수행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예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종래 수처리 기술들은, 정수 및 폐수를 처리하는 기술에 중점적인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설비 부품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수처리 설비 부품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거나 수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는 등의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으며, 이에 한국 등록 특허 10-1522864호(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는 지진파를 검출하여 오폐수 및 하수 처리 시스템의 밸브류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하여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특허의 경우, 단순히 지진 발생에 의해서 수처리 시스템의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였으며, 이에 많은 사람들은 지진 발생 사고 외에도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화재, 이상물질 유입 사고 등이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해왔다.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처리 시스템의 취약 부분으로부터 사고 위험도를 예측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사고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여 유입 경로의 관리를 통해 수질 제어 및 설비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방법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자재 정보, 설치 정보,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 부품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비 부품마다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위험 레벨 설정 단계;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고 예측 정보 제공 단계; 및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에 판단 결과에 따른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제공하는 대응 전략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위험 레벨 설정 단계의 수행 후,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시점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 제공하는 점검 시점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점검 시점 출력 단계는, 설비 부품의 점검 시점에 도달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임계 시점에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점검 알림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점검 시점 출력 단계의 수행 후,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교체된 설비 부품에 대한 점검 시점을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사고 예측 정보 제공 단계는, 설비 부품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고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시뮬레이션 이미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대응 전략 제공 단계는, 발생된 사고가 화재 사고일 경우, 화재 발생 지점에 존재하는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예측되는 화재 확산 범위를 추정하고, 추정된 화재 확산 범위에 대응되는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장치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자재 정보, 설치 정보,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 부품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비 부품마다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위험 레벨 설정부;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고 예측 정보부; 및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에 판단 결과에 따른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제공하는 대응 전략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감지 단계에서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추적 단계의 수행 후,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감지 단계의 수행 결과,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적어도 밸브를 포함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추적 단계의 수행 후,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에 대한 정보를 행정기관 단말에 송신하여 이상 물질 유입 경로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장치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취약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사고 발생 우려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로의 점검 이력 및 모니터링에 의하여 이상 물질 유입에 의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원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동작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단말에 이상 물질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이상 물질 유입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유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질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위험 레벨이 설정되어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점검이 필요한 설비 부품을 가시적으로 표시한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 물질 유입이 감지될 시 관리자 단말에 이상 물질 감지 안내와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 추적 결과를 출력하는 일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해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설비 부품에 대한 위험도 및 사고 예측을 수행하고, 수처리 시스템의 유로 관리를 통해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 및 관리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화재, 이상물질 유입 사고 등이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처리 시스템의 취약 부분으로부터 사고 위험도를 예측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사고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제1 목적이, 수처리 시스템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여 유입 경로의 관리를 통해 수질 제어 및 설비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방법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자재 정보, 설치 정보,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 부품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비 부품마다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위험 레벨 설정 단계(S1)가 수행된다.
한편 상술한 설비 부품은 예를 들어 유로,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유량 밸브, 환풍기, 여과기 및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에 외에도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설비 부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비 부품은 설치된 위치에 따라 동종의 부품인 경우에도 설비 부품마다의 고유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구분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설비 부품의 상태 정보로서, 설비 부품의 재료정보인 자재 정보, 적어도 설치 시기를 포함하는 설치 정보, 수리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로부터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위험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한 예로써, 위험 레벨의 숫자가 클수록 위험도가 큰 것으로 가정했을 때, 설비 부품은 설치 시점에 가장 안전한 상태인 위험 레벨 1 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후 수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면서 시간에 따른 낙후 정도, 보수 이력 및 사고 이력에 따라 위험도가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로써, 상술한 위험 레벨은, 구간별 점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80점은 1등급, 80-60점은 2등급, 60-40점은 3등급, 40-20점은 4등급, 20-0점은 5등급으로 점수 구간을 마련하여 각각의 등급을 분류 및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수 횟수가 1회인 경우 -5점, 2회인 경우 -10점 등으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최초 설치되었을 시점에 설비 부품이 갖는 100점 만점에서 차감되도록 함으로써 설비 부품마다의 위험 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 부품의 개별적인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수행되는 베이스 자료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 설비 부품마다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시점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 제공하는 점검 시점 출력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이는 동일하게 설치된 설비 부품이라고 하더라도, 설비 부품의 자재의 특성 및 사용 빈도 수에 따라 마모도 및 충격에 의한 손상도 등이 서로 다른 점을 반영하는 구성인 것으로서,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설비 부품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여 설비 부품의 점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술한 점검 시점 출력 단계는 설비 부품의 점검 시점에 도달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임계 시점(예를 들어 2일 전)에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점검 알림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에서는 점검 알림이 팝업 메시지, 소리 및 진동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점검을 잊지 않고 수행하게 되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점검 시점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관리자에 의해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점검 시점이 지났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가 설비 부품의 점검 시기를 잊거나 점검 일정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설비 부품의 점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점검 시점 출력 단계의 수행 후, 관리자가 설비 부품의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교체된 설비 부품에 대한 점검 시점을 갱신하여 다음 점검일을 생성함으로써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S1 단계의 수행 후,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여 사고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사고 예측 정보 제공 단계(S2)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는 상술한 S1 단계에서 분류된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위험 레벨 4등급 이상인 설비 부품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레벨을 갖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2 단계에서는 설비 부품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고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시뮬레이션 이미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써,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 중 여과기의 위험 레벨이 4등급이고, 여과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정보로서 유로가 파손되는 사고가 예측된 경우, 관리자 단말에 해당 유로가 파손되어 유체가 외부로 흐르는 사진 및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신속한 점검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S2 단계의 수행 후,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에 판단 결과에 따른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제공하는 대응 전략 제공 단계(S3)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발생된 사고가 화재 사고일 경우, 화재 발생 지점에 존재하는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예측되는 화재 확산 범위를 추정하고, 추정된 화재 확산 범위에 대응되는 사고 전략을 수립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화재 확산 범위의 추정은, 바람직하게는 화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현재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FDS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FDS 모델은 CFD에 기반하여 화재로 인한 열적 유체 흐름과 제어 방식을 해석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개발되어 많은 실험과 비교 검증을 거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즉, 본 발명에서는 FDS에서 화재 현장에서 발생한 열과 연기의 이동을 예측하여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유체의 흐름에 따른 화재 확산 경로 및 규모를 예측하여 예측된 결과를 관리자 단말에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발생된 화재 사고에 대한 예측 분석 및 해석이 가능해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사고 대응 전략은, 통신망을 통하여 사고 유형별 대응 전략이 저장되어 있는 외부 혹은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사고 대응 전략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사고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취약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사고 발생 우려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장치(10)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장치(10)는 위험 레벨 설정부(11), 사고 예측 정보 제공부(12) 및 대응 전략 제공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위험 레벨 설정부(11)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자재 정보, 설치 정보,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설비 부품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설비 부품마다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도 1의 S1 단계에서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상술한 위험 레벨 설정부(11)에 의하여,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해지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설비 부품의 위험 레벨이 변경되는 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에 따라서 만일의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사고 예측 정보 제공부(12)는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3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곧 도 1의 S2 단계에서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사고 예측 정보 제공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관리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위험 레벨이 설정된 설비 부품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정보를 시뮬레이션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받음으로써, 해당 설비 부품의 신속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대응 전략 제공부(13)는,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30)에 판단 결과에 따른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도 1의 S3 단계에서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대응 전략 제공부(13)에 의하면 사고 발생 시, 사고 유형별 대응 전략이 저장되어 있는 외부 혹은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사고 대응 전략을 관리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대응에 의하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장치(10)에는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시점을 관리자 단말(30)에 출력 제공하는 점검 시점 출력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점검 시점 출력부에 의하여, 동일하게 설치된 설비 부품이라고 하더라도, 설비 부품의 자재의 특성 및 사용 빈도 수에 따라 마모도 및 충격에 의한 손상도 등이 서로 다른 점을 반영하여 더욱 명확하고 체계적인 수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며,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설비 부품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에 제공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 부품의 점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상술한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장치(10)의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취약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사고 발생 우려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30)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적어도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위험 레벨이 설정되어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의 110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에는 수처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술한 인터페이스 상에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설비 부품의 상태 정보로부터 설정된 위험 레벨 정보가 설비 부품의 식별 명칭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110에 도시된 유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유로의 자재 정보, 설치일 정보, 보수 이력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가 포함되는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정량적으로 점수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레벨을 설정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위험 레벨은, 구간별 점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80점은 1등급, 80-60점은 2등급, 60-40점은 3등급, 40-20점은 4등급, 20-0점은 5등급으로 점수 구간을 마련하여 각각의 등급을 분류 및 정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수 횟수가 1회인 경우 -5점, 2회인 경우 -10점 등으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최초 설치되었을 시점에 설비 부품이 갖는 100점 만점에서 차감되도록 함으로써 설비 부품마다의 위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 설정된 위험 레벨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취약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수처리 시스템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사고 발생 우려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점검이 필요한 설비 부품을 가시적으로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4의 1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수처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는 고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위험 레벨이 설정된 설비 부품에 대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위험 레벨이 1 내지 5로 분류되고, 위험 레벨의 숫자가 클수록 위험도가 큰 것으로 가정했을 때 4 및 5의 위험 레벨을 갖는 것을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로서 도 4의 1001 및 1002로 해당 설비 부품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10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 위험군에 속하는 위험 레벨 중 상대적으로 더 높은 레벨을 갖는 설비 부품과 상대적으로 그보다 덜한 위험도를 갖는 설비 부품의 표식을 음영 및 색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하여 관리자는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의 위험도를 보기 쉬운 형태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1100에서는,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수처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 위험도가 상당히 높은 위험 레벨이 설정된 설비 부품(1001)에 대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출력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높은 위험 레벨이 설정된 설비 부품(100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시뮬레이션 이미지(1101)로서 제공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시뮬레이션 이미지(1101)은 사진 및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로서 제공되거나 시뮬레이션 이미지(1101)를 포함하는 웹 링크 정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위험 레벨로부터 예측되는 사고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관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여 해당 설비 부품의 신속한 점검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대응에 의하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설비 부품의 위험 레벨에 따라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시점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즉 1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리자 단말에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명칭, 위험 레벨, 마지막 점검일 및 점검 예정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술한 점검 예정일의 경우, 같은 부품이라고 하더라도 설비 부품의 자재의 특성 및 사용 빈도 수에 따라 마모도 및 충격에 의한 손상도 등에 의해 수집된 상태 정보에 의해 설정된 위험 등급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으며, 고 위험군에 속하는 위험 레벨이 설정된 설비 부품일수록 신속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점검 예정일이 정해질 수 있다.
한편, 관리자에 의하여 점검이 이루어져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교체된 부품의 상태 정보를 재수집하여 점검 시점을 갱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설비 부품에 대해 더욱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 일정이 관리자 단말에 점검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설비 부품의 예정된 점검 시점에 도달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임계 시점(2일 전)에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점검 알림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관리자의 단말에서는 상술한 점검 알림이 팝업 메시지, 소리 및 진동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점검을 잊지 않고 수행하게 되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은,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센서는, 유로 상에 설치되는 수질 센서, 전도도 센서, 온도 센서, 독성 물질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상술한 센서 외에도 유해 물질의 검출 및 유로에 유입 물질의 검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센서라면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10 단계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센서를 통해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때 센서는 각각의 유로마다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기 설정된 설치 간격을 갖도록 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S10 단계의 수행 결과,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적어도 밸브를 포함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설비 동작은, 기 설정된 대응 지침에 따라 자동으로 밸브가 제어되거나,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수처리 시스템에 이상 물질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S10 단계에서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함으로써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S20 단계의 수행을 위하여 각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에는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GPS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에서는 이상 물질이 최초로 감지된 유로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최초 감지된 유로를 포함하여 이상 물질이 검지된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유로의 정의는 유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기 설정된 범위(500m) 반경에 포함되는 유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 예로써, A003유로에서 이상 물질이 감지되고, A003 유로와 인접한 유로가 A001, A002, A004 및 A005라고 가정할 때, A001, A002, A004 및 A005의 손상 이력 정보를 조회하여, 손상된 적이 있거나 손상된 것으로 파악된 유로가 존재할 경우, 해당 유로를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유입 경로로 선별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입 경로로 선별되는 유로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능성이 높은 순으로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20 단계의 수행 후, 추적된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상 물질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 정보를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유입 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로 선별된 유로 정보를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유입 경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질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상 물질 유입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유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질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20 단계의 수행 후,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상 물질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에 대하여, 해당 유로에서 이상 물질이 유입된 원인을 파악하여, 관리자 단말에 유지 보수에 필요한 장치 혹은 설비 부품의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 예로써, 예를 들어 유로의 파손에 의하여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파악되었을 경우, 파손에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 유로 설비 정보 혹은 기존 수처리 시스템에 이용되었던 유로 자재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해줄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이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의 유지 보수에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필요한 설비 부품의 정보를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수한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 정보 외에도 유로의 변경과 같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대응 지침 정보로서 설치 가이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로의 점검 이력 및 모니터링에 의하여 이상 물질 유입에 의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원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수처리 시스템의 설비 동작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단말에 이상 물질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이상 물질 유입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유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질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장치(100)의 구성도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처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장치(100)는 감지부(110), 추적부(120) 및 송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감지부(110)는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200)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감지부(110)는 한 예로써, 유로 상에 설치되는 수질 센서, 전도도 센서, 온도 센서, 독성 물질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200)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는, 도 7의 S10 단계에서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추적부(120)는 감지부(110)에서 상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상기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감지부(110)의 수행에 의하여, 최초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반경 내에 포함되는 유로의 손상 이력을 파악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로의 점검 이력 및 모니터링에 의하여 이상 물질 유입에 의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원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곧, 도 7의 S20 단계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송신부(130)는,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에 대한 정보를 행정기관 관리자 단말(30)에 송신하여 상기 이상 물질 유입 경로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곧 도 7에서 언급한 송신 단계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상술한 송신부(130)의 수행에 의하여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관리자 단말(30)에 이상 물질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져 체계적인 수처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질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30)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적어도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 물질 유입이 감지될 시 관리자 단말에 이상 물질 감지 안내와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 추적 결과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7 및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의 2000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 혹은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단말에서 출력되는 유로의 이상 물질 감지에 대한 안내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2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로부터 수신된 유체의 이상 물질 감지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 단말 혹은 관할 지역의 행정 기관 단말에 실시간 팝업 메시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를 포함하는 담당자는 이상 물질 유입 사고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에 대한 추적 결과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 예를 2100에 도시하였다.
즉, 상술한 2100의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결과는, 최초 이상 물질이 감지되었던 유로를 포함하여, 해당 유로와 인접한 유로의 손상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추적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처리 시스템 중 유입 경로로 추적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로서 출력하여 관리자가 해당 유로에 대해 식별력이 높도록 하여 제공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에 대한 추적 결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추적될 수 있고, 또한, 유입 경로인 유로에서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던 원인을 파악한 후, 해당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설치 장치 및 설치 부품 등의 정보를 추가로 더 제공함에 따라 관리자가 해당 유로의 유지 보수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관리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장치에 있어서,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 부품의 자재 정보, 설치 정보, 보수 정보 및 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설비 부품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설비 부품마다 기 설정된 등급으로 분류된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위험 레벨 설정부;
    상기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각각의 설비 부품마다의 점검 시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시점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 제공하는 점검 시점 출력부;
    상기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비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고 예측 정보 제공부;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 판단 결과에 따른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제공하는 대응 전략 제공부;
    상기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상기 이상 물질이 감지된 유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유로의 위치에 인접한 유로들의 손상 이력 정보를 기초로 이상 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유로를 선별하여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부; 및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에 대한 정보를 행정기관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이상 물질 유입 경로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시점 출력부는,
    상기 설비 부품의 점검 시점에 도달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임계 시점에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점검 알림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설비 부품의 점검 시점이 경과되었음에도 상기 설비 부품의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점검 시점이 지났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 대상이 되는 설비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교체된 상기 설비 부품에 대한 점검 시점을 갱신하고,
    상기 사고 예측 정보 제공부는,
    상기 설비 부품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고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시뮬레이션 이미지로 제공하고, 발생된 사고가 화재 사고일 경우, 화재 발생 지점에 존재하는 설비 부품에 설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예측되는 화재 확산 범위를 추정하고, 추정된 화재 확산 범위에 대응되는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송신부는,
    이상 물질의 유입 경로로 추적된 유로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유체에 이상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될 시, 적어도 밸브를 포함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이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물질 유입 경로 추적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85768A 2018-07-24 2018-07-24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93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68A KR101935837B1 (ko) 2018-07-24 2018-07-24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68A KR101935837B1 (ko) 2018-07-24 2018-07-24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837B1 true KR101935837B1 (ko) 2019-01-07

Family

ID=6501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768A KR101935837B1 (ko) 2018-07-24 2018-07-24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75B1 (ko) 2019-03-06 2019-07-03 (주)와이제이솔루션 기능 확장이 용이한 이상 예측 수처리 제어시스템
KR102315864B1 (ko) * 2021-03-18 2021-10-21 주식회사 에스티엔인포텍 빅 데이터 처리를 통한 이종 설비의 모니터링 및 환경 정보 관제 시스템
KR102522766B1 (ko) * 2022-07-26 2023-04-18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981B1 (ko) * 2012-04-18 2013-01-28 장원미 하수 월류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674999B1 (ko) * 2015-02-26 2016-11-10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981B1 (ko) * 2012-04-18 2013-01-28 장원미 하수 월류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674999B1 (ko) * 2015-02-26 2016-11-10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75B1 (ko) 2019-03-06 2019-07-03 (주)와이제이솔루션 기능 확장이 용이한 이상 예측 수처리 제어시스템
KR102315864B1 (ko) * 2021-03-18 2021-10-21 주식회사 에스티엔인포텍 빅 데이터 처리를 통한 이종 설비의 모니터링 및 환경 정보 관제 시스템
KR102522766B1 (ko) * 2022-07-26 2023-04-18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837B1 (ko)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9661627B (zh) 用于建模、分析、检测并监测流体网络的系统和方法
CN103969066B (zh) 监控运行的过程的系统和方法
CN109643432B (zh) 用于建模、分析、检测并监测流体网络的系统和方法
Tinelli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nitoring system of water quality parameters for early detection of non-specific bio-contamin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20130304680A1 (en) Predictive corrosion coupons from data mining
CN109643335B (zh) 用于建模、分析、检测和监测流体网络的系统和方法
KR101563511B1 (ko) 시계열 기반 서포트 벡터의 추세분석기법을 이용한 보안사고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1787B1 (ko)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urray et al.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ssessment of multisensor data using Bayesian belief networks
Cantos et al. Machine-learning–based risk assessment method for leak detection and geolocation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CN104919327A (zh) 用于照明系统中的故障管理的系统和方法
CN117150934B (zh) 变压器套管状态综合监测系统及其在线数据处理方法
Uber et al. Greedy heuristic methods for locating water quality sensors in distribution systems
Mustafa et al. A review on effective alarm management systems f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Barriers and opportunities
WO2013169241A1 (en) Predictive corrosion coupons from data mining
RU2536657C1 (ru)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проектных решений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безопасности опас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кта
Hu et al. Multi-objective model for optimal sensor placement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considering contamination probability variation-based contaminant impact
Trachtman A''Strawman''Common Sense Approach for Water Quality Sensor Site Selection.
Masud Rana et al. Contaminant spread forecasting and confirmatory sampl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 a water-distribution system
CN115914267A (zh) 一种流域水生态安全监控预警系统
Dabagh et al. Self-adaptive risk-based inspection planning in petrochemical industry by evolutionary algorithms
Eliades et al. Contamination event diagnosis in drinking water networks: A review
CN113673600B (zh) 一种工业信号异常预警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设备
CN115393142A (zh) 智慧园区管理方法及管理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