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766B1 -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766B1
KR102522766B1 KR1020220092599A KR20220092599A KR102522766B1 KR 102522766 B1 KR102522766 B1 KR 102522766B1 KR 1020220092599 A KR1020220092599 A KR 1020220092599A KR 20220092599 A KR20220092599 A KR 20220092599A KR 102522766 B1 KR102522766 B1 KR 10252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hazardous chemical
location
chemical handling
handl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재학
Original Assignee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 및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를 생성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HAZARDOUS CHEMICALS HANDL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SPECTION USING IO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제어기가 구비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주기적인 현장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해화학물질 취급 및 제조시설은 화학사고시 환경오염 및 인명피해를 초래하고 있어 취급시설은 누출, 유해, 화재등에 대한 방호 시설기준과 사전에 감지 및 경보설비를 설치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또한 취급시설 및 장비 등에 대해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5년간 기록, 비치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정기 점검의 중요성에 비하여 현행 환경시설의 점검은 설비 점검 시 도면 및 자료가 필요하며, 점검시 상세한 연계설비의 동작을 알수 없고, 설비 점검표에 의한 수기작성시 근무자의 실제 점검이 이루졌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설비운영 및 제조가 우선인 관계로 정기적인 점검이 소홀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감시 및 경보장치에 의한 의존적인 운영이 지속되어 왔으며 감시 및 경보장치의 오동작시 현장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상기 점검방법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해화학시설물에 위치기반 제어기를 개시하고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해당 시설물에 접근시 점검항목과 시설물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정기점검일 도래시 경광등으로 점검 대상 유해화학 시설물을 공표하여 주기적인 현장점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 및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를 생성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 현장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현장확인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누출경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누출경보부 및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한 점검일정 경과에 따른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장치의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비콘, WiFi, CDMA, Bluetooth, Zigbee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정상'으로 점등하고,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되면,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점검필요'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현장을 점검하기 전 안전장구류 구비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화면에 출력된 안전장구류 정보는 점검하고자 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점검정보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위치,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 점검방법, 매뉴얼, 설비점검 도면, 취급시설 위치기반 주요공정정보 계측값, 주기적인 점검유무를 표시하는 점검상태표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서 송신된 고유식별정보(ID)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일지정보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 시 점검해야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가 실외인 경우, 상기 점검일지정보는 유해화학물 MSDS 정보, 사용시설의 계측값(온도,압력,액위 및 가스농도) 및 폐수처리 시설의 계측값(유입, 유출 유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가 실내인 경우, 유해화학물 MSDS 정보, 온도, 가스누출 여부 정보 및 환기시설 동작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 신호를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현장확인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출력된 경광등의 점등을 '점검필요'에서 '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누출경보부를 통해 누출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표시부의 경광등 점등을 '누출경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대응하는 취급시설(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용시스템을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시스템은,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설정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점검일정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를 생성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정상'으로 점등하고,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되면,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점검필요'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서 송신된 고유식별정보(ID)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용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 신호를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현장확인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경광등의 점등을 '점검필요'에서 '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된 위치기반 제어기,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는 관리용시스템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에 있어서, 관리용시스템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생성하여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점검일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일지를 관리용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기 경광등을 '정상'으로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되면, 상기 경광등의 '점검필요'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 신호를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현장확인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출력된 경광등의 점등을 '점검필요'에서 '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누출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광등 점등을 '누출경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시설물에 위치기반 제어기를 개시하고 스마트기기(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해당 시설물에 접근시 점검항목과 시설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기기(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점검일지 작성시 점검자, 점검일시가 포함된 점검일지를 자동생성하고, 인쇄 비치된 점검일지의 진위여부는 제어기 내에 저장된 점검이력정보와 대조하여 판별 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정기점검일 도래시 경광등으로 점검 대상 유해화학 시설물을 공표하여 주기적인 현장점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를 점검업무에 우선적으로 배정하도록 하여 주기적인 점검을 수행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시스템(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위치기반 제어기가 구비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2)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제어기기 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로직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소규모 설비용 점검 Data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과 연동시 Data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 나타난 각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 및 상기 위치기반제어기와 통신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관련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점검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점검결과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시스템(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주기적인 현장 점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취급시설(100)은 유해화학물 취급 및 제조시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인접한 거리 이내에 취급시설(100)과 대응하는 위치기반 제어기(30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에 부착되거나 취부될 수 있으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으로부터 인접한 거리 이내에 설치되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의 점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정보에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위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 점검방법, 매뉴얼, 설비점검 도면, 취급시설 위치기반 주요공정정보 계측값, 주기적인 점검유무를 표시하는 점검상태표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설치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IoT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IoT Gateway(120)는 취급시설의 주요 공정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시스템과 통신하고,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의 누액 및 누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최종적으로 관리용시스템(200)에 전송됨으로써 관리용시스템(200)과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정보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의 점검일정정보 및 점검일지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용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용시스템(200)은 IoT Gateway(120)가 전송하는 실시간 공정정보와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대응하는 취급시설(100)에 포함된 화학물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점검일정정보, 점검일지정보, 양식 및 점검요령, 해당 개인안전장구류, 특수장구류(측정장비포함)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관리용시스템(200)은 클라우드(Cloud) 구성이 바람직하나 전용의 서버로도 구축할 수 있다. 전체의 시스템망은 스마트기기의 활용도를 위하여 와이파이 (Wifi)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활용하여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관리용시스템(200)을 원격관리하거나 상기 관리용시스템(200)에 포함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에게 누액 및 누출 경보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용 단말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용 단말기(220)는 PC,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모바일기기 등 다양한 제품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용시스템(200)에 접근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1)은, 위치기반 제어기(300)와 통신하여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의 점검일정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점검결과정보를 획득하여 점검일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스마트 기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차량 등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400)는 점검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구비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위치 기반 제어기(300)의 유효 무선서비스 커버리지 범위 내에서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고유식별정보(ID)를 중계하고, 관리용시스템(200) 점검에 필요한 정보를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관리용시스템(200)에서 전송받은 점검일정정보를 기초로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이 수행된 결과가 기록된 점검일지정보를 관리용시스템(20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의 점검완료 신호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에도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해당 실시예가 구체화될 수 있다.
먼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설치되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IoT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콘(Beacon)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특정 위치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를 찾아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고유식별정보(ID)에 기초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정보를 관리시스템(서버)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점검정보에 기초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온도, 압력, 액위 등 중요 공정정보를 제공하고 점검자, 점검자 동선, 점검시간을 자동 기록하여 점검일지를 생성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점검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점검 유무를 시설 내의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경광등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관리자 및 운영자에게 주기적인 점검의 중요성 환기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서버)은 실시간 누액 및 누출 경보 서비스를 하도록 하여 유해화학물질 사고에 초등 대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위치기반 제어기(300)가 구비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2)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위치기반 제어기(300) 각각은 복수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기반 제어기는 제1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위치기반 제어기는 제2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위치기반 제어기 각각은 대응되는 유해화학물질에 부착 또는 취부되거나 인접한 거리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타 구성과 관련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2)은 도 1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현장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현장확인부(310), 누출경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누출경보부(311), 경광등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점검유무를 표시하고, 점검일정정보를 제공하는 상태표시부(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장확인부, 누출경보부 및 상태표시부는 입출력장치(303)와 연결되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00)에 포함된 구성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특정 명령 및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304), 점검일정 및 경고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301) 및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 등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기반제어기(300)의 중앙처리장치(304)는 기억장치(301)에 점검일정관리, 경고이력을 저장하도록 하고 점검일이 경과하면 경광등에 황색등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무선망을 통하여 관리시스템으로 부터 점검일정을 수신하고, 점검일이 경과 하였는지를 연산할 수 있으며, 점검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입출력장치를 통하여 황색등을 점등, 누출경보가 있는 경우 적색등 점등, 이상이 없을 경우는 녹색등이 점등하도록 상태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의 상태는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입출력장치에 연결되는 경광등, 현장확인부의 스위치(Switch)는 종류를 명기하지 않으나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경광등은 디스플레이패널로 대체되어 특정이미지 또는 문자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장확인부의 스위치(Switch)는 해당 담당자가 소지한 열쇠가 있어야 해제 할 수 있도록 Key Switch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태표시부의 경광등의 해제 조건은 점검일 경과에 따른 황색등 점등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현장 점검이 완료 되었다는 신호 및 현장확인부의 스위치를 눌러야 소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누출경보 해제는 현장확인부의 스위치를 눌러야 해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모든 경보는 현장에서 확인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하여 현장 정기점검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신부(302)는 스마트기기(4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부가장치를 더하여 구성하고 위치기반 제어기의 고유식별정보(ID)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화학물질 취급시설(100)의 점검관련정보 및 점검결과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네트워킹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WiFi, CDMA, Bluetooth, Zigbee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와의 식별을 위한 고유식별자(ID)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고유식별자 정보의 송신은 유효 무선서비스 커버리지 내 사용자 단말기(400)의 요청에 의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다만, 유효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하여, 무선서비스 구간을 반경 5M 이내가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의하여 기억장치(301)의 점검일정정보, 점검일지정보가 관리되도록 한다.
이때, 점검일정정보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검일지정보는 점검자, 점검일자, 누액 및 누출경보 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저장된 점검일정정보 및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현장에서 인쇄 후 비치 되어 있는 점검일지의 신뢰성 검증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포함된 점검일정정보는 특정 기간(예를 들어, 30일 등) 순환 저장될 수 있으며, 점검일정정보는 사용자 단말기(400) 또는 관리용시스템(20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점검일정정보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상태표시부(312)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상태표시부(312)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광등과 같은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보, 점검중, 정상"등의 문자로도 표기되거나 특정 소리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위치기반 제어기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시스템으로 부터 해당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 및 점검정보를 서비스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기반 제어기(300)와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장치(WiFi, CDMA, Bluetooth, Zigbee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앞에서 위치기반제어기(300)의 무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40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독출하고, 화면을 자동으로 구성하며 구성된 화면을 이용하여 점검정보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점검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점검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제어기기 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로직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누출경보부(311)는 제1 SR 래치(또는 플리플롭을 포함한다)의 셋(set)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현장확인부(310)는 제1 SR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현장확인부와 점검완료신호수신부는 AND 게이트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SR래치의 출력은 NOT 게이트와 연결되고, 점검일 경과를 판단하는 점검일 경과부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제2 SR래치의 셋(set)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SR 래치와 제1 SR 래치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태표시부(312)의 점등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중앙처리장치는 내부 동작으로 누출경보부(311)로부터 누출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상태표시부(312)를 제어하여 경광등이 적색등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중앙처리장치는 내부 Logic(L300)의 점검일이 경과 되고, 누출경보부(311)로부터 누출경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누출경보가 없는 경우로 판단하고 상태표시부(312)를 제어하여 황색등이 점등되도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로 부터 점검완료(L306) 신호가 수신되고 현장확인부(310)를 통해 점검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태표시부(312)를 제어하여 경광등의 황색등이 해제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녹색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경광등의 점등 해제와 관련하여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경광등의 적색 및 황색등 해제는 현장확인부(310)에 구비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현장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점검자가 직접 현장 상황을 확인 후에 경광등을 해제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내부 로직에 의한 입력 출력 상태천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를 표 1에서 나타내었다.
입력 신호 출력 신호 (312)
점검일 경과 누출경보(311) 현장확인(310) 점검완료(L306) 적색 황색 녹색
x 1 0 x 1 0 0
0 0 1 x 0 0 1
1 0 0 0 0 1 0
0 0 1 1 0 0 1
0 0 0 0 0 0 1
표 1을 참조하면,  각 논리 회로에서 출력 단자의 High 상태는 '1', Low 상태는 '0' 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출경보 입력신호의 '1'은 누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0'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출력신호의 적색 '1'은 상태표시부(312)의 경광등에 적색조명 출력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0'은 적색조명 출력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 1을 통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논리회로의 실시예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동작의 상세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기(300) 와 스마트기기(400)를 이용한 소규모 설비용 점검 Data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이 존재하고, 상기 취급시설에 대응되는 제어기가 사용되는 경우, 위치기반 제어기와 사용자 단말기로만 운영이 가능한 독립형 관리 시스템의 Data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을 위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일정 거리이내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와 사용자 단말기(400)가 상호 통신가능한 거리 이내로 인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위치기반 제어기기(300)의 서비스 범위 안에서 제어기(300)의 점검일정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점검일정관리 앱 또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점검일정관리 앱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점검일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1).
이때, 점검일정정보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점검날짜, 시간, 장소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점검일정정보를 위치기반 제어기(300)로 송신하고,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송신된 점검일정정보를 수신하여, 점검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S301).
한편,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중앙처리장치(304)는 점검일정정보를 기억장치(301)에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장치(303)를 제어하여 상태표시부(3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태표시부(312)에 포함된 경광등을 녹색으로 점등할 수 있다. 이후,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S302)되면, 상태표시부(312)에 포함된 경광등을 황색으로 점등할 수 있다.
이후, 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점검일정과 점검전준비 상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하고, 점검전 준비상황은 기본 개인안전장구를 포함하여 점검시설에 맞는 특수장구류가 법 규정에 준수하여 관리가 잘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현장을 점검하기 전 안전장구류 구비 여부(S402)를 확인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402).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400)는 개인안전장구류의 경우 안전모, 방진마스크, 안전화,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를 복기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출력된 안전장구류 정보는 점검하고자 하는 유해화학시설에 알맞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점검하고자 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점검정보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위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 점검방법, 매뉴얼, 설비점검 도면, 취급시설 위치기반 주요공정정보 계측값, 주기적인 점검유무를 표시하는 점검상태표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기반 제어기(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2는 점검일 경과(S302)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점검일이 경과하여 실제 점검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한 점검 전 안전장구류 확인(S402)이 끝나고, 사용자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제어기 고유식별정보(ID)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S303).
사용자 단말기(400)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에서 송신된 위치기반 제어기 고유식별정보(ID)를 수신하고(S403),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4).
이때, 점검일지정보는 점검자 및 점검일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 고유식별정보(ID)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따라 점검사항 및 점검방법이 다르므로, 고유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400) 내에 저장된 점검일지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지 양식의 검색 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이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실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유해화학물 MSDS 정보, 사용시설의 계측값(온도,압력,액위, 가스농도) 및 폐수처리 시설의 계측값(유입, 유출 유량 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점검대상 시설이 실내 화학물 보관시설인 경우, 유해화학물 MSDS 정보, 온도, 가스누출 여부 정보 및 환기시설 동작여부에 대한 정보를 위치기반 제어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따라 점검사항 및 점검방법이 다르므로 연결되는 위치기반 제어기의 고유식별정보가 필요하다.
다시말해, S404 에서 생성되는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와 대응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점검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점검일지 양식에 기초한 점검수순에 따라 점검일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작성한 점검일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405).
사용자 단말기는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L306) 신호를 위치기반 제어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점검자)는 위치기반 제어기 사용 매뉴얼에 따라 위치기반 제어기의 현장확인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사용자의 현장확인부(310)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태표시부(312)를 제어하여 출력된 경광등의 점등색을 '황색'에서 '녹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S310).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저장된 점검일지를 인쇄 또는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점검일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S406). 또한, 점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쇄 비치된 점검일지의 진위여부는 제어기기의 경보이력(점검이력 포함)과 상호 대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중앙처리장치는 언제든지 누출경보부(311)를 통해 누출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태표시부(312)의 경광등 점등 색을 '적색'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6에서 관리시스템이 구비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과 연동시 Data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도 5의 중복된 설명은 간략하게 기재 또는 생략하도록 하며, 도 6의 관리용시스템(200)이 수행하는 동작은 도 5의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100)의 점검일정정보 및 점검일지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용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용시스템(200)은 IoT Gateway(120)가 전송하는 실시간 공정정보와 위치기반제어기(300)에 대응하는 취급시설(100)에 포함된 화학물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대상설비 연동 공정 실시간 정보(누액 및 누출), 점검일정, 점검일지 양식, 점검요령, 점검이력, 해당 개인안전장구류, 특수장구류(측정장비포함)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은 관리용시스템(200)에서 점검일정정보를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송신할 수 있다(S201).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수신한 점검일정정보를 기초로 점검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S30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기초한 점검일정을 조회(S401-a)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점검전 개인안전장구류 확인을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4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기반 제어기(400)의 상태표시부는 점검일 경과 이전이면 경광등을 '녹색'으로, 경과일 이후면(S302) '황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점검일정에 기초하여 경과일 이전, 이후 모두 점검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 수행 시, 사용자 단말기와 위치기반 제어기(300)가 정보 송수신 가능한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고유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S303). 위치기반 제어기(300)의 고유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의하여 수집될 수 있다(S403-a).
사용자 단말기는 수집된 고유식별정보는 관리용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용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400)에 의하여 수신된, 고유식별정보(ID)에 기초하여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S404-a). 이때, 점검일지정보는 점검대상설비 점검양식 및 기타 부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용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받은 점검일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점검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S405-a).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점검일지를 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점검일지를 관리용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S203).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위치기반 제어기(300)에 점검완료(L306)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기반 제어기(3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점검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현장확인부(310)에 현장확인과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태표시부(312)를 제어하여 황색등을 녹색등으로 변경하여 점등할 수 있다.
이때, 현장확인부에 수신되는 현장확인과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스위치를 누르는 입력신호, 터치패널 입력신호, NFC 입력신호 등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표시부(312)의 제어를 통해 출력되는 경광등의 색은 '녹색'이 '정상'에 대응되고, 황색은 '점검필요'에 대응하며, 적색은 '누출경보'에 대응되는 색을 의미하는 것이며 색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생성된 점검일지에는 점검자 및 점검일시가 포함되며, 이후 점검자는 인쇄 비치된 점검일지의 진위여부는 제어기(300)의 경보이력(점검이력 포함)과 상호 대조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동작을 통하여 본 발명은 IoT 관리 시스템은 화학물질 취급 시설에 위치기반 IoT 기기를 설치함으로써 설비 점검자(운영자)가 스마트기기를 가지고 접근시 위치기반 IoT 기기는 점검해야 할 항목과 관련된 계측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육안검사항목은 점검자의 의견과 현장 사진을 찍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도록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점검절차 이외의 설비운영메뉴얼/안전지침/누수누출등 주요경보는 장소에 구분없이 경보 수신과 조회가 가능하므로 효과적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Claims (19)

  1.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 및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 현장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현장확인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누출경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누출경보부, 점검일 경과를 판단하는 점검일경과부 및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한 점검일정 경과에 따른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경보부는 제1 SR 래치의 셋(set)에 연결되고,
    상기 현장확인부는 상기 제1 SR 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되고,
    상기 현장확인부와 점검완료신호수신부는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제2 SR 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되고,
    상기 제1 SR 래치의 출력은 NOT 게이트 및 상기 상태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NOT 게이트는 상기 점검일경과부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상기 제2 SR 래치의 셋(set)과 연결되고,
    상기 제2 SR 래치의 출력은 상기 상태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제2 SR 래치와 상기 제1 SR 래치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점등색이 결정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의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비콘, WiFi, CDMA, Bluetooth, Zigbee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생성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정상'으로 점등하고,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되면,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점검필요'으로 점등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현장을 점검하기 전 안전장구류 구비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화면에 출력된 안전장구류 정보는 점검하고자 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정보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위치,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 점검방법, 매뉴얼, 설비점검 도면, 취급시설 위치기반 주요공정정보 계측값, 주기적인 점검유무를 표시하는 점검상태표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서 송신된 고유식별정보(ID)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일지정보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 시 점검해야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가 실외인 경우,
    상기 점검일지정보는 유해화학물 MSDS 정보, 사용시설의 계측값(온도,압력,액위 및 가스농도) 및 폐수처리 시설의 계측값(유입, 유출 유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종류가 실내인 경우, 유해화학물 MSDS 정보, 온도, 가스누출 여부 정보 및 환기시설 동작여부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 신호를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현장확인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출력된 경광등의 점등을 '점검필요'에서 '정상'으로 변경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누출경보부를 통해 누출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표시부의 경광등 점등을 '누출경보'으로 변경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12.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제어기,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 대응하는 취급시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용시스템을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시스템은,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설정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점검일정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 현장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현장확인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누출경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누출경보부, 점검일 경과를 판단하는 점검일경과부 및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한 점검일정 경과에 따른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경보부는 제1 SR 래치의 셋(set)에 연결되고,
    상기 현장확인부는 상기 제1 SR 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되고,
    상기 현장확인부와 점검완료신호수신부는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제2 SR 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되고,
    상기 제1 SR 래치의 출력은 NOT 게이트 및 상기 상태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NOT 게이트는 상기 점검일경과부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상기 제2 SR 래치의 셋(set)과 연결되고,
    상기 제2 SR 래치의 출력은 상기 상태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제2 SR 래치와 상기 제1 SR 래치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점등색이 결정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정상'으로 점등하고,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되면, 상기 상태표시부에 포함된 경광등을 '점검필요'으로 점등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서 송신된 고유식별정보(ID)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용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점검일지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에 대응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 신호를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현장확인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경광등의 점등을 '점검필요'에서 '정상'으로 변경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16.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응하게 설치된 위치기반 제어기,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와 통신하는 관리용시스템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에 있어서,
    관리용시스템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일정정보를 생성하여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된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점검일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일지를 관리용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 현장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현장확인부;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누출경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누출경보부, 점검일 경과를 판단하는 점검일경과부 및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한 점검일정 경과에 따른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점검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경보부는 제1 SR 래치의 셋(set)에 연결되고,
    상기 현장확인부는 상기 제1 SR 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되고,
    상기 현장확인부와 점검완료신호수신부는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제2 SR 래치의 리셋(reset)에 연결되고,
    상기 제1 SR 래치의 출력은 NOT 게이트 및 상기 상태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NOT 게이트는 상기 점검일경과부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상기 제2 SR 래치의 셋(set)과 연결되고,
    상기 제2 SR 래치의 출력은 상기 상태표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제2 SR 래치와 상기 제1 SR 래치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점등색이 결정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도달하기 전, 상기 경광등을 '정상'으로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포함된 점검일이 경과되면, 상기 경광등의 '점검필요'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점검일지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점검완료 신호를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현장확인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점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출력된 경광등의 점등을 '점검필요'에서 '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제어기가 상기 점검일정정보에 기초하여 경광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누출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광등 점등을 '누출경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방법.
KR1020220092599A 2022-07-26 2022-07-26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252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99A KR102522766B1 (ko) 2022-07-26 2022-07-26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99A KR102522766B1 (ko) 2022-07-26 2022-07-26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766B1 true KR102522766B1 (ko) 2023-04-18

Family

ID=8610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599A KR102522766B1 (ko) 2022-07-26 2022-07-26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7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053A (ko) * 2015-09-01 2017-03-09 (주)야긴스텍 가스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812999B1 (ko) * 2017-05-15 2017-12-28 동방전기공업(주) 모바일 점검자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설비 점검시스템
KR101830295B1 (ko) * 2017-06-23 2018-03-29 주식회사 주빅스 IoT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사업장의 지능형 사고대비 훈련선정 의사결정시스템
KR101935837B1 (ko) * 2018-07-24 2019-01-07 김봉국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10104503A (ko) * 2020-02-17 2021-08-25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053A (ko) * 2015-09-01 2017-03-09 (주)야긴스텍 가스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812999B1 (ko) * 2017-05-15 2017-12-28 동방전기공업(주) 모바일 점검자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설비 점검시스템
KR101830295B1 (ko) * 2017-06-23 2018-03-29 주식회사 주빅스 IoT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사업장의 지능형 사고대비 훈련선정 의사결정시스템
KR101935837B1 (ko) * 2018-07-24 2019-01-07 김봉국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10104503A (ko) * 2020-02-17 2021-08-25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6998B1 (en) Safety device inspection
US98195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control of equipment and facility resources
KR102290850B1 (ko) 다중 센서 데이터 수집 전파 장치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EP3518056B1 (en) Location dependent control acces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20170236397A1 (en) Safety control room
US20080148816A1 (en) Ai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P2124206A1 (en) Server based distributed security system
US10916110B2 (en) Emergency lighting, evacuation, and rescue routing with power over-ethernet
JP6005380B2 (ja) 点検支援装置および点検支援システム
WO2008041391A1 (fr) Système de surveillance de la position d'un objet mobile
EP3987479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KR102522766B1 (ko) IoT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시스템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3198A (ko) 무선메쉬와 AI를 이용한 휴대가능한 지능형 화재예측 IoT센서 키트
CN106354105A (zh) 用于基于位置来控制设备和设施资源的系统和方法
US7397383B2 (en) Remote monitoring method with event-triggered warning capability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AU2018278971A1 (en) Gas-measuring device
CN109359953A (zh) 一种消防服务系统
JP7253937B2 (ja) 感知器の保守点検支援方法
TWI584233B (zh) 保全勤務系統
JP2021152918A (ja) 保守支援装置及び保守支援方法
KR20190106835A (ko)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KR20200103206A (ko) 무선메쉬와 AI를 이용한 휴대가능한 지능형 화재예측 IoT센서 키트
US11295595B2 (en) Emergency alert system
KR102354546B1 (ko) 관제 계층 심도 가변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