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999B1 -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999B1
KR101674999B1 KR1020150026891A KR20150026891A KR101674999B1 KR 101674999 B1 KR101674999 B1 KR 101674999B1 KR 1020150026891 A KR1020150026891 A KR 1020150026891A KR 20150026891 A KR20150026891 A KR 20150026891A KR 101674999 B1 KR101674999 B1 KR 10167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industrial facility
disaster prevention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205A (ko
Inventor
김학기
이석현
김원일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인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인테크
Priority to KR102015002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9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9/00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사고상황 발생시에도 신속한 초기 대응력 강화를 안내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산업시설 주변지역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와;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들과;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통보하는 재난대응서버(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is based on the machine to machine}
본 발명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사고상황 발생시에도 신속한 초기 대응력 강화를 안내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유독가스 유출, 오일 유출, 붕괴, 폭발, 산불, 화생방사고 또는 환경오염사고 등의 인위재난에 대한 완벽한 방어는 불가능하지만, 사전에 재해 및 재난의 예방, 응급대책 및 복구 등에 관한 방재기술의 연구개발과 효율적인 방재절차를 수립함으로써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경제수준과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방재(防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고도의 산업화에 따라 재난의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고, 그 인적·물적 피해규모 또한 증가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른 대안으로, 재난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문메시지서비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재난경보시스템(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4859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경보시스템의 경우 재난위험 가능성의 판단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방재담당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안내하는 극히 주관적인 판단이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현재 국내에는 인재의 위험요소에 속하는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위험설비나 재난취약 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실태와 이들 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체계적으로 전산화되어 있지 않아 해당 방재담당 부처에서 위험요인의 상태현황을 지속적으로 체크 및 관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위험물질에 따른 사고 발발 시 이의 확산 현상을 파악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들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개선 또는 이들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이의 확산방지 및 피해 극소화를 위한 활동을 전개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 연이어 발생하는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사고상황 발생시에도 신속한 초기 대응력 강화를 안내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사고상황 발생시에도 신속한 초기 대응력 강화를 안내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은, 산업시설 주변지역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와;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들과;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들로 통보하는 재난대응서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화재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날씨 및 풍향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기상관측센서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지표면 진동을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지진감지센서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유독가스 또는 유증기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유독물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는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재난대응서버에는, DB부; 및 재난분석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DB부에는,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를 통해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가 지역별로 구분되어 수집 저장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와;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을 보유한 자들의 정보로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속자들의 유선 전화번호, 모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 이메일 계정 및 인스턴트 메신저(IM)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락처정보가 저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에 따른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에 저장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가 야기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B부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 상황에 대해 그 이상징후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검색엔진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상기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B부에는, 다양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기록저장되되, 그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사고가 발생 전 최초 징후부터 사고 발생하기 직전까지의 징후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가 저장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검색엔진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동일 종류의 방재에 해당하는 사고상황이 상기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도 함께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B부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이상징후 이후 그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방재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방재사고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에 저장된 정보 중 이상징후에 따른 방재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참조하여 방재사고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에 저장된 정보 중 이상징후에 따른 방재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상기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인재별 재난상황 대응메뉴얼 정보를 가공하고 이를,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사고상황 발생시에도 신속한 초기 대응력 강화를 안내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재난대응서버를 나타낸 세부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은 크게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 재난대응서버(300) 및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는 산업시설 주변지역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후술되는 재난대응서버(300)와 사물지능통신을 수행한다.
이처럼,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와 재난대응서버(300)간에 적용되는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모바일오피스, 홈서비스, 헬스서비스, 차량 서비스, 결제, 물류관리, 보안 등이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은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스마트워크(Smart Work) 등과 함께 각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이다. 즉, 세계 주요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와 서비스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특히, 사물지능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그린IT, 텔레매틱스, 위치기반서비스, 원격검침, 물류관리 분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일부 제공되고 있는 사물지능 통신 서비스로는 카드결제기, 교통 시스템, 원격검침, 스마트 그리드 및 기상관제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자동차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 기반의 융합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객체(장치)와 객체(장치) 간의 M2M 통신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사물지능통신을 본 발명의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에 적용시킨 주된 이유는 산업시설에 설치된 각종 산업시설장비가 매우 위험한 장비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산업시설장비가 설치된 주변지역의 상황을 수시로 감지하되, 그 감지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극대화시켜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의 구성에는 카메라(110), 화재감지센서(120), 기상관측센서(130), 지진감지센서(140), 유독물감지센서(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카메라(1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부재로서, 해상도가 3메가픽셀(Mega Pixels) 정도의 고해상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2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화재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온도 감지의 경우 레이저에서 방출하는 적외선들을 각각 감지하여 비접촉식으로 표적위치와 발화점 주변 실내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적외선(IR) 온도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상관측센서(13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날씨 및 풍향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진감지센서(14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지표면 진동을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원통형 케이스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진동추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내삽됨으로써 이를 통해,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유독물감지센서(15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유독가스 또는 유증기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유독가스 또는 유증기 등을 감지하는데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질소, 이산화탄소, 산소,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알데이드류의 등에서 하나 이상의 유량 및 농도 정보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재난대응서버(300)로 전송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 중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특성상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은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소속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소속자들이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재난대응서버(300)는 웹 3.0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통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재난대응서버(300)에는 DB부(310) 및 재난분석엔진(320)이 탑재되어진다.
먼저, DB부(310)에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통해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가 지역별로 구분되어 수집 저장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을 보유한 자들의 정보로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속자들의 유선 전화번호, 모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 이메일 계정 및 인스턴트 메신저(IM)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락처정보가 저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에 따른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3)가 저장되어진다.
이를 통해, 재난분석엔진(320)은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가 야기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로 가공하여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3)로 저장함과 아울러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서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같은 정형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상징후에 관련된 소속자 간의 통신대화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사고 전 이상징후 발생 시 함께 분석하여 조가 정확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B부(310)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 상황에 대해 그 이상징후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4) 및 다양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기록저장되되, 그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사고가 발생 전 최초 징후부터 사고 발생하기 직전까지의 징후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가 저장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를 포함하고,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해당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 및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동일 종류의 방재에 해당하는 사고상황이 상기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도 함께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수집은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에 문자메시지, 인스턴트 메신저(일예로, 카카오톡)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통신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주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그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재난대응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서는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이상징후에 따라 인재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이 신속하게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으로 실시간 인재사고 대응예측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DB부(310)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이상징후 이후 그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방재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방재사고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6),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정보 중 이상징후에 따른 방재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참조하여 방재사고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7)가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재난분석엔진(320)은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정보 중 이상징후에 따른 방재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인재별 재난상황 대응메뉴얼 정보를 가공하고 이를,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7)에 저장함과 아울러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별에 위치되는 것으로, 재난사고를 수습하는 재난대응업체측이 운영하는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가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에는 소방서 단말(410)과 유류 또는 유독가스를 제거하는 유독물질 제거업체단말(420) 등이 포함되어진다.
이를 통해, 재난분석엔진(320)은 인재별 재난상황 대응메뉴얼 정보를 참조하여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재난상황을 통보하여 재난상황이 수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00 : 사물지능 방재센서부 110 : 카메라
120 : 화재감지센서 130 : 기상관측센서
140 : 지진감지센서 150 : 유독물감지센서
200 :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 300 : 재난대응서버
310 : DB부 311 :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
312 :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
313 :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
314 :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
315 :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
316 : 지역별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
317 :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
320 : 재난분석엔진 400 :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
410 : 소방서 단말 420 : 유독물질 제거업체단말

Claims (7)

  1. 산업시설 주변지역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와;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들과;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통보하는 재난대응서버(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110)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화재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날씨 및 풍향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기상관측센서(130)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지표면 진동을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지진감지센서(140)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유독가스 또는 유증기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유독물감지센서(150);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는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는, DB부(310); 및 재난분석엔진(320);을 포함하고, 상기 DB부(310)에는,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통해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가 지역별로 구분되어 수집 저장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와; 상기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을 보유한 자들의 정보로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속자들의 유선 전화번호, 모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 이메일 계정 및 인스턴트 메신저(IM)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락처정보가 저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에 따른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3);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가 야기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3)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DB부(310)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 상황에 대해 그 이상징후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4);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상기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DB부(310)에는, 다양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기록저장되되, 그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사고가 발생 전 최초 징후부터 사고 발생하기 직전까지의 징후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가 저장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동일 종류의 방재에 해당하는 사고상황이 상기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도 함께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DB부(310)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이상징후 이후 그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방재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방재사고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지역별 소속자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6)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정보 중 이상징후에 따른 방재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참조하여 방재사고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7);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정보 중 이상징후에 따른 방재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상기 사고발생 후 주변상황관련 쌍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인재별 재난상황 대응메뉴얼 정보를 가공하고 이를, 인재별 재난사고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7)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산업시설 주변지역별에 위치되는 것으로, 재난사고를 수습하는 재난대응업체측이 운영하는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인재별 재난상황 대응메뉴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재난상황을 통보하여 재난상황이 수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26891A 2015-02-26 2015-02-26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KR10167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91A KR101674999B1 (ko) 2015-02-26 2015-02-26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91A KR101674999B1 (ko) 2015-02-26 2015-02-26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05A KR20160104205A (ko) 2016-09-05
KR101674999B1 true KR101674999B1 (ko) 2016-11-10

Family

ID=5693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891A KR101674999B1 (ko) 2015-02-26 2015-02-26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356A (ko)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935837B1 (ko) * 2018-07-24 2019-01-07 김봉국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51B1 (ko) * 2018-12-13 2020-10-12 유재경 산업용 가스공급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240737B1 (ko) * 2018-12-18 2021-04-15 대한민국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취약성 평가 방법
KR102411255B1 (ko) * 2018-12-21 2022-06-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Ict 기반 사회재난에 대한 스마트 서비스 운영 방법
KR102208906B1 (ko) * 2019-02-11 2021-01-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상 대책 네트워크 구조 역학의 평가를 통한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48907B1 (ko) * 2019-09-19 2021-05-06 대한민국 화학사고 대응 시스템
KR102138711B1 (ko) * 2020-01-07 2020-07-28 (주)오에이전자 재난 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69568B1 (ko) * 2021-01-19 2022-03-03 애스디플러스 주식회사 재난 감지 및 진단 장치
KR102464333B1 (ko) 2022-03-16 2022-11-0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능 재난 대응 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04B1 (ko) * 2010-04-02 2010-10-06 주식회사 포드림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0989332B1 (ko)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KR101025550B1 (ko) * 2010-04-28 2011-04-13 (주)위니텍 재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04B1 (ko) * 2010-04-02 2010-10-06 주식회사 포드림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1025550B1 (ko) * 2010-04-28 2011-04-13 (주)위니텍 재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9332B1 (ko)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356A (ko)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935837B1 (ko) * 2018-07-24 2019-01-07 김봉국 수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측 및 이상 물질 유입 경로 추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05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99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KR101627981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KR101957382B1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692926B1 (ko)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1675733B1 (ko)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CN110692092B (zh) 物质泄漏检测及通知系统
KR102204982B1 (ko) 자가통신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현장제어 및 안내시스템
Botti et al. A framework for preventing and managing risks in confined spaces through IOT technologies
KR102198142B1 (ko) 복합 재난 긴급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743138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및 방법
US201000136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frastructure
KR101699322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Bragatto et al. Potential and limits of IoT for hazardous job in process industries
Kostyuk et al. Improving Emergency Response System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To Reduce Environmental Damage
KR101973728B1 (ko) 통합 보안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CN212259013U (zh) 一种油气管道安全风险数据库系统
Marino et al. Smart approach to integrated natural risks management for industry 4.0
Crimaldi et al. High Level Reference Architecture an Approach to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Resilience
KR102467350B1 (ko)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KR102541868B1 (ko) 재난재해시 환경기초시설의 피해를 조기에 복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42849B1 (ko)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26571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Sabet et al. Solving Community Protection for Inhabited Areas on an Peninsula Close to an Offshore Drilling Site
Daher From Lone Workers to Connected Workers–How Technology is Transforming Safety
Cheng et al. Intelligent Management of Chemical Industry Parks Based on Bi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