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981B1 -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981B1
KR101627981B1 KR1020150160948A KR20150160948A KR101627981B1 KR 101627981 B1 KR101627981 B1 KR 101627981B1 KR 1020150160948 A KR1020150160948 A KR 1020150160948A KR 20150160948 A KR20150160948 A KR 20150160948A KR 101627981 B1 KR101627981 B1 KR 10162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afe
information
radius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이석현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인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인테크
Priority to KR102015016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전부터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대응 및 대처할 수 있게 안내하여 야기될 수 있는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실제로 재난사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지역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최단경로로 이동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재난사고 발생후에도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생성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재난분석엔진(320)을 운영하여,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S110)와;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 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을 운영하여, 그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인지하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전송받고,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 목록정보 DB(316)에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중심으로 사고위험반경(r1)을 설정하는 단계(S120)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나타내는 안전지역(SZ)을 선정한 후 상기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을 인지하며, 그 인지된 해당 소속자들의 위치에서 상기 안전지역(SZ)까지 최단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단계(S130)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검색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표시하고 이를, 상기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의 생성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을 소유한 소속자 위치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하는 단계(S1301)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S1302)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SD)를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단계(S1303)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04)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05)와; 상기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S1307)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08)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단계(S1309);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S1305단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된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해당 소속자가 보유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SZ)까지 검색된 모든 이동가능한 경로 중 다음번째로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S1306); 이후,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SD)를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S1303단계로 순환되며,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S1308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10)와;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1)와;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SD)에서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S1312)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3)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S1309단계로 진입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14)와;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5)와;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S1316)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7)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S1309단계로 진입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S1314단계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Disaster response method that is based on the machine to machine}
본 발명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전부터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대응 및 대처할 수 있게 안내하여 야기될 수 있는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실제로 재난사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지역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최단경로로 이동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재난사고 발생후에도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 유독가스 유출, 오일 유출, 붕괴, 폭발, 산불, 화생방사고 또는 환경오염사고 등의 인위재난에 대한 완벽한 방어는 불가능하지만, 사전에 재해 및 재난의 예방, 응급대책 및 복구 등에 관한 방재기술의 연구개발과 효율적인 방재절차를 수립함으로써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경제수준과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방재(防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고도의 산업화에 따라 재난의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고, 그 인적·물적 피해규모 또한 증가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른 대안으로, 재난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문메시지서비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재난경보시스템(특허문헌 1)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경보시스템의 경우 재난위험 가능성의 판단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방재담당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안내하는 극히 주관적인 판단이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물질에 따른 사고 발발 시 이의 확산 현상을 파악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들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개선 또는 이들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이의 확산방지 및 피해 극소화를 위한 활동을 전개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출원(특허출원번호:10-2015-0026891호)하였다.
즉, 종래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의 요지는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최소화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 화재감지센서, 기상관측센서, 지진감지센서 및 유독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 제공하고, 그 주기별로 제공되는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해당 지역에 속하는 거주자들에게 통보여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은 재난사고가 발생하기 전의 예비적인 상황에서는 대응 및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실제로 재난사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지역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이동가능하게 안내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명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4859호(공개일자:2003년11월01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사고가 발생하기 전의 예비적인 상황에서는 해당 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이 신속하게 대응 및 대처할 수 있게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재난사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지역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최단경로로 이동하게 안내하여주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은, 재난대응서버에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로부터 생성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에서 재난분석엔진을 운영하여,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 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에서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을 운영하여, 그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를 인지하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들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전송받고,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 목록정보 DB에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를 중심으로 사고위험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나타내는 안전지역을 선정한 후 상기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을 인지하며, 그 인지된 해당 소속자들의 위치에서 상기 안전지역까지 최단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생성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를 표시하고 이를, 상기 사고위험반경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 재난대응서버에서 재난분석엔진을 운영하여,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에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로부터 생성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순환된다.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의 생성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의 외(外)에 위치하는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을 소유한 소속자 위치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를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지 않은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된 해당 안전이동거리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된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해당 소속자가 보유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까지 검색된 모든 이동가능한 경로 중 다음번째로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를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단계로 순환된다.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에서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을 표시하는 단계로 순환된다.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이 상기 사고위험반경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 중 안전하다고 판단된 마지막 안전이동거리에서 상기 안전지역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재난대응서버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로 진입한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가스 확산, 원유유출, 플랜트폭발, 방사능누출사고 등의 다양한 인재사고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범위의 광역화와 누적적 장기화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주민과 생물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적재난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상황 발생 전부터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고확산, 고위험이 수반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립 및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안내하여 사고발생 전부터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대응 및 대처할 수 있게 안내하여 야기될 수 있는 위험성을 극소화시킴과 더불어 실제로 재난사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지역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최단경로로 이동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재난사고 발생후에도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재난대응서버를 나타낸 세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용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생성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사고발생 또는 사고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에 따라 각각 대응 및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재난대응서버를 이용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생성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사고발생 또는 사고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에 따라 각각 대응 및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의 생성과정을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재난대응서버에서 제공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재난대응서버에서 제공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은 크게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 재난대응서버(300) 및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는 산업시설 주변지역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후술되는 재난대응서버(300)와 사물지능통신을 수행한다.
이처럼,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와 재난대응서버(300)간에 적용되는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모바일오피스, 홈서비스, 헬스서비스, 차량 서비스, 결제, 물류관리, 보안 등이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은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스마트워크(Smart Work) 등과 함께 각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이다. 즉, 세계 주요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와 서비스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특히, 사물지능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그린IT, 텔레매틱스, 위치기반서비스, 원격검침, 물류관리 분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일부 제공되고 있는 사물지능 통신 서비스로는 카드결제기, 교통 시스템, 원격검침, 스마트 그리드 및 기상관제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자동차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 기반의 융합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객체(장치)와 객체(장치) 간의 M2M 통신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사물지능통신을 본 발명의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에 적용시킨 주된 이유는 산업시설에 설치된 각종 산업시설장비가 매우 위험한 장비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산업시설장비가 설치된 주변지역의 상황을 수시로 감지하되, 그 감지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극대화시켜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의 구성에는 카메라(110), 화재감지센서(120), 기상관측센서(130), 지진감지센서(140), 유독물감지센서(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카메라(1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부재로서, 해상도가 3메가픽셀(Mega Pixels) 정도의 고해상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2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화재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온도 감지의 경우 레이저에서 방출하는 적외선들을 각각 감지하여 비접촉식으로 표적위치와 발화점 주변 실내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적외선(IR) 온도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상관측센서(13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날씨 및 풍향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진감지센서(14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지표면 진동을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원통형 케이스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진동추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내삽됨으로써 이를 통해,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유독물감지센서(150)는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유독가스 또는 유증기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유독가스 또는 유증기 등을 감지하는데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질소, 이산화탄소, 산소,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알데이드류의 등에서 하나 이상의 유량 및 농도 정보를 감지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재난대응서버(300)로 전송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 중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특성상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은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소속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서, 해당 소속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를 송신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제공모듈(210)이 탑재되어진다.
이처럼, 탑재되는 위치정보 제공모듈(210)의 경우 GPS모듈, 와이파이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에는 후술되는 재난대응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게 정보출력부(210)도 탑재되어지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이 운영되기 위해 정보입력부, 정보저장부 및 제어부 등도 포함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종류에는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소속자들이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재난대응서버(300)는 웹 3.0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통보하거나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의 분석값이 사고로 감지된 경우 그 재난사고가 발생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최단경로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재난대응서버(300)에는 DB부(310), 재난분석엔진(320) 및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이 탑재되어진다.
먼저, DB부(310)에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통해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영상정보, 산업시설 주변지역 화재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기상감지신호, 산업시설 주변지역 진동감지신호 및 산업시설 주변지역 유독물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가 지역별로 구분되어 수집 저장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을 보유한 자들의 정보로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속자들의 유선 전화번호, 모바일 전화번호, 팩스번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 이메일 계정 및 인스턴트 메신저(IM)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락처정보가 저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에 따른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저장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3)가 저장되어진다.
이를 통해, 재난분석엔진(320)은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311)에 저장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가 야기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로 가공하여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313)로 저장함과 아울러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서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같은 정형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상징후에 관련된 소속자 간의 통신대화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사고 전 이상징후 발생 시 함께 분석하여 조가 정확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B부(310)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 상황에 대해 그 이상징후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4) 및 다양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기록저장되되, 그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사고가 발생 전 최초 징후부터 사고 발생하기 직전까지의 징후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가 저장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해당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 및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동일 종류의 방재에 해당하는 사고상황이 상기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도 함께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수집은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에 문자메시지, 인스턴트 메신저(일예로, 카카오톡)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통신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주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그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재난대응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상기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의 분석값이 사고로 감지된 경우 그 재난사고가 발생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이 그 재난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인지하고, 그 재난사고가 전파되는 지역을 회피하면서 안전한 지역까지 최단경로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산업시설 주변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상에 상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들의 위치가 표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가 저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 목록정보 DB(316)를 필요로 한다.
이를 통해,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수집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의 분석값이 사고로 감지된 경우 그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인지하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전송받고,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 목록정보 DB(316)에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중심으로 사고위험반경(r1)을 설정하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나타내는 안전지역(SZ)을 선정한 후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참조하여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을 인지하며, 그 인지된 해당 소속자들의 위치에서 상기 안전지역(SZ)까지 최단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검색하여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표시하고 이를,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의 이동거리가 동일한 이동거리를 갖는 복수의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로 검색된 경우, 그 검색된 복수의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 중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와 거리가 먼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가 선택되어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통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에는 산업시설 주변지역별에 위치되는 것으로, 재난사고를 수습하는 재난대응업체측이 운영하는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가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에는 소방서 단말(410)과 유류 또는 유독가스를 제거하는 유독물질 제거업체단말(420) 등이 포함되어진다.
이를 통해, 재난분석엔진(320)은 전송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들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으로 감지된 경우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재난상황을 통보하여 재난상황이 수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을 이용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생성되는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사고발생 또는 사고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에 따라 각각 대응 및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들은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주기마다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한다.
재난대응서버(300)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S100)한다.
재난대응서버(300)는 재난분석엔진(320)을 운영하여,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S110)한다.
먼저,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은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S110)이 이상 없음인 경우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S100)하여 지속적으로 사고발생 예측 및 사고발생 등을 감시한다.
그리고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은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S110)이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인 경우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라 분석된 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생성하고,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 중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라 분석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갖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그 생성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S111)한다.
이때,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은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4)에 저장된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를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은 그 사고발생 예측상황이라 감지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동일 종류의 방재에 해당하는 사고상황이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도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추가로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은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S110)이 사고발생 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는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을 운영하여, 그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인지한 상태에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 중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라 분석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의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그 추출된 소속자들의 연착처정보를 토대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전송받고,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 목록정보 DB(316)에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도 6을 주로 이용하여 설명하면, 카메라(110a), 화재감지센서(120a), 기상관측센서(130a), 지진감지센서(140a) 및 유독물감지센서(150a)를 포함하는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a,100b…,100x,100y)가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도로(거리 포함)마다 설치되어 있어,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야기될 수 있는 사고발생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그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중심으로 사고위험반경(r1)을 설정(S120)하고, 그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나타내는 안전지역(SZ)을 선정한 후 상기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을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참조하여 인지하며, 그 인지된 해당 소속자들의 위치에서 상기 안전지역(SZ)까지 최단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S130)한다.
여기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의 세부적인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을 소유한 소속자 위치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S1301)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S1302)한다.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SD)를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S1303)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S1304)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S1305)한다.
이때,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된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해당 소속자가 보유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SZ)까지 검색된 모든 이동가능한 경로 중 다음번째로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S1306)한 후, 그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그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SD)를 그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과정(S1303)으로 순환하여, 안전지역(SZ)까지 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회피하면서 최단거리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S1307)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S1308)한다.
만약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안전지역(SZ)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S1309)한다.
한편,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S1308)에서,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S1310)한 후 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S1311)한다.
만약,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하다고 판단된 마지막 안전이동거리(SD)에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S1318)한 후,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과정(S1302)부터 다시 시작함으로써, 소속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새로운 안전이동거리(SD)를 확인하면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가 생성될 수 있게 제공한다.
한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S1311)하는 과정에서,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SD)에서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S1312)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S1313)하여,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안전지역(SZ)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S1309)한다.
한편,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S1313)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14)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S1315)하여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 경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하다고 판단된 마지막 안전이동거리(SD)에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S1319)한 후,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과정(S1302)부터 다시 시작함으로써, 소속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새로운 안전이동거리(SD)를 확인하면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가 생성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S1315)하는 과정에서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S1316)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마지막까지 확인(S1317)하여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S1309)한다.
그리고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S1317)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S1314)하는 과정부터 반복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생성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표시한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은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가 표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갖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200a,200b)들로 전송(S140)함으로써,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열람하면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200a,200b)들의 정보출력부(210a,210b) 상에 표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도 7을 주로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a)의 정보출력부(210a) 상에 출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보면,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가 직진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첫 번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a)이 위치하는 지역에서 안전지역(SZ) 까지의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에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사고위험반경(r1)을 우회할 필요 없이 직진으로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최단경로로 소속자를 안전지역(SZ)까지 이동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두 번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b)의 정보출력부(210b) 상에 출력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보면,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가 시계방향으로 우회해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두 번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b)이 위치하는 지역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안전지역까지 이동할 경우 이동거리는 더 단축되나 이동예정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b)을 중심으로 표시되는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사고위험반경(r1)에 중첩되기 때문에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b)을 보유한 소속자가 사고위험 영역에 포함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우회하면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하게 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은 분석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들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인 것으로 인지되면, 신속하게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재난상황을 통보하여 재난상황이 수습(S150)되도록 제어한다.
100,100a…,100y : 사물지능 방재센서부 110,110a : 카메라
120,120a : 화재감지센서 130,130a : 기상관측센서
140,140a : 지진감지센서 150,150a : 유독물감지센서
200,200a,200b :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
210,210a,210b : 정보출력부 300 : 재난대응서버
310 : DB부 311 :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 목록정보 DB
312 :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
313 :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목록정보 DB
314 :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
315 :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
316 : 산업시설 주변지역별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안내용 지도록목정보 DB
320 : 재난분석엔진 330 : 재난사고대응 안전경로 생성엔진
400 :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
410 : 소방서 단말 420 : 유독물질 제거업체단말

Claims (20)

  1.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생성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재난분석엔진(320)을 운영하여,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S110)와;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 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을 운영하여, 그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인지하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부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전송받고,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 목록정보 DB(316)에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를 중심으로 사고위험반경(r1)을 설정하는 단계(S120)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사고가 감지된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나타내는 안전지역(SZ)을 선정한 후 상기 전송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을 인지하며, 그 인지된 해당 소속자들의 위치에서 상기 안전지역(SZ)까지 최단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단계(S130)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추출된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생성된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표시하고 이를, 상기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소속자들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의 생성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사물지능 방재센서 위치 안내용 지도정보 상의 사고위험반경(r1)의 외(外)에 위치하는 상기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을 소유한 소속자 위치인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하는 단계(S1301)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S1302)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SD)를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단계(S1303)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04)와;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05)와; 상기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S1307)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08)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단계(S1309);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S1305단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된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해당 소속자가 보유한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안전지역(SZ)까지 검색된 모든 이동가능한 경로 중 다음번째로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단계(S1306); 이후,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 중 해당 소속자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의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 위치좌표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안전이동거리(SD)를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표시하는 S1303단계로 순환되며,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S1308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10)와;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1)와;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첫 번째 안전이동거리(SD)에서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S1312)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3)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S1309단계로 진입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단계(S1314)와;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5)와;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그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첫 번째 이동경로 중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까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단계(S1316)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317)와;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소속자가 위치하는 좌표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된 해당 안전이동거리(SD)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지역까지 연결하여 이루어진 경로인 상기 위험전파 회피기반 최단경로(MR)를 생성하는 S1309단계로 진입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안전이동거리(S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표시되지 않은 그 다음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을 표시하는 S1314단계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재난분석엔진(320)을 운영하여,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는 S110단계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에서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리 분석된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생성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 중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리 분석된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갖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에서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리 분석된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생성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 중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리 분석된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갖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S111단계에 있어서,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이상징후 상황에 대해 그 이상징후가 발생된 해당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되었던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4);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목록정보 DB(314)에 저장된 사고발생 전 이상징후 관련 쌍방향 정보를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에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에서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리 분석된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토대로 그 예측된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생성하여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별 연락처 목록정보 DB(312)에 저장된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 중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리 분석된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가 설치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 속하는 소속자들의 연락처정보를 갖는 산업시설 주변지역 소속자용 단말(200)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S111단계에 있어서,
    다양한 산업시설 주변지역에서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기록저장되되, 그 발생된 사고상황 케이스가 사고가 발생 전 최초 징후부터 사고 발생하기 직전까지의 징후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가 저장된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분석엔진(320)은 상기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와 동일 종류의 방재에 해당하는 사고상황이 상기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목록정보 DB(315)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별 사고상황 이상징후내역 정보도 함께 취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인재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가 가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재난분석엔진(320)을 운영하여,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 사고발생 예측상황감지 및 사고발생 감지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는 S110단계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의 분석된 값이 이상 없음인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에서 사물지능 방재센서부(100)로부터 생성되는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인 지역별 방재용 주변상황정보를 수집하는 S100단계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S1311단계에 있어서,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하다고 판단된 마지막 안전이동거리(SD)에서 상기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하는 단계(S1318); 이후,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S1302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지 확인하는 S1315단계에 있어서,
    그 다음 번째 안전이동거리(SD)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된 안전여부 확인반경(r2)이 상기 사고위험반경(r1)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경로에 분할표시된 안전이동거리(SD) 중 안전하다고 판단된 마지막 안전이동거리(SD)에서 상기 안전지역(SZ)까지 이동가능한 경로를 모두 검색하는 단계(S1319); 이후,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사고대응 안전이동경로 생성엔진(330)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이동경로 중 제일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S1302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대응서버(300)의 재난분석엔진(320)에서, 상기 전송된 방재용 주변황상정보들의 분석된 값이 사고발생으로 감지된 경우 재난대응업체측 단말부(400)로 재난상황을 통보하여 재난상황이 수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60948A 2015-11-17 2015-11-17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KR10162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48A KR101627981B1 (ko) 2015-11-17 2015-11-17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48A KR101627981B1 (ko) 2015-11-17 2015-11-17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981B1 true KR101627981B1 (ko) 2016-06-08

Family

ID=5619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948A KR101627981B1 (ko) 2015-11-17 2015-11-17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9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38B1 (ko) 2017-01-20 2017-06-16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및 방법
WO2018012855A1 (ko) * 2016-07-11 2018-01-18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계층적 그래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경로 탐색 방법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20180117026A (ko) 2017-04-18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산업단지 내 위험확산 방지 방법
KR20180117036A (ko) 2018-03-26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피해지역 현장정보 분석을 위한 센서 적정위치 선정 및 위험확산에 따른 피해 산정 방법
KR20180117024A (ko) 2017-04-18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위험물질 확산 시뮬레이션에 의한 피해 방지방법
CN113315917A (zh) * 2021-07-28 2021-08-27 山东北工大产业园管理有限公司 一种产业园智能安保监控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859A (ko) 2003-10-13 2003-11-01 선진테크 주식회사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개별 재난경보시스템
KR100989332B1 (ko)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KR20110094582A (ko) * 2010-02-17 2011-08-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JP2014203256A (ja) * 2013-04-04 2014-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および監視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859A (ko) 2003-10-13 2003-11-01 선진테크 주식회사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개별 재난경보시스템
KR20110094582A (ko) * 2010-02-17 2011-08-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KR100989332B1 (ko)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JP2014203256A (ja) * 2013-04-04 2014-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および監視制御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55A1 (ko) * 2016-07-11 2018-01-18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계층적 그래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경로 탐색 방법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957382B1 (ko) * 2016-11-25 2019-03-12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743138B1 (ko) 2017-01-20 2017-06-16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7026A (ko) 2017-04-18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산업단지 내 위험확산 방지 방법
KR20180117024A (ko) 2017-04-18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위험물질 확산 시뮬레이션에 의한 피해 방지방법
KR20180117036A (ko) 2018-03-26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피해지역 현장정보 분석을 위한 센서 적정위치 선정 및 위험확산에 따른 피해 산정 방법
CN113315917A (zh) * 2021-07-28 2021-08-27 山东北工大产业园管理有限公司 一种产业园智能安保监控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981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KR101674999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Zhou et al.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IIoT) applications in underground coal mines
KR101692926B1 (ko)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1099745B1 (ko)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38766B (zh) 基于图像的监视系统
US10921417B2 (en) Using bluetooth beacons to automatically update the location within a portable gas detector's logs
CN108885820B (zh) 气体检测器设备及更新其上的位置信息的方法
KR101743138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및 방법
CN105243627A (zh) 基于无人机的消防监控系统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25146B1 (ko) 광산 안전관리를 위한 갱내 차량 v2x 시스템 및 광산 안전 관리 방법
CN111679675B (zh) 一种用于无人车的燃气巡检方法和无人车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024975A (ko)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KR101699322B1 (ko)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Adjiski et al. Prototype model for fire safety system in underground mining
KR101166075B1 (ko)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2204982B1 (ko) 자가통신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현장제어 및 안내시스템
KR101600594B1 (ko) 위험물 사고 초동대응시스템
KR20170122443A (ko) 공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CN106297181A (zh) 在安全面板中实现基于gps的扩展铃声和特殊护卫模式的方法
KR20150067923A (ko) 안전관리 대상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36590B1 (ko)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N115146933A (zh) 危险源爆炸事故的处理方法、系统、设备与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