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202B1 -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 Google Patents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202B1
KR102125202B1 KR1020180135635A KR20180135635A KR102125202B1 KR 102125202 B1 KR102125202 B1 KR 102125202B1 KR 1020180135635 A KR1020180135635 A KR 1020180135635A KR 20180135635 A KR20180135635 A KR 20180135635A KR 102125202 B1 KR102125202 B1 KR 10212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compression
opening
closing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567A (ko
Inventor
이윤철
Original Assignee
이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철 filed Critical 이윤철
Priority to KR102018013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2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07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4E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57Fluid-driven p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물 투입 자동감지, 자동압축, 자동배출을 수행하여 작업효율 증대, 작업 인원 최소화, 작업시간 단축, 관리 편의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의 수평통로가 구동구간, 유입구간, 압축밴딩구간으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평형 몸체프레임; 상기 유입구간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압축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로 연통되어 압축물 유입을 감지하며 상기 유입구간과 연통되는 유입 감지케이스가 구비되는 수직형 몸체프레임; 초기상태에서 상기 구동구간에 배치되는 가압판이 유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압축물의 압축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유압기기; 상기 압축밴딩구간의 외벽에 밴딩구멍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외부에서 수동으로 밴딩되며 타측에 배치되는 자동개폐문이 개폐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구동하면서 압축집합체의 형성과 배출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기기; 및 상기 유압기기와 상기 개폐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압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Semi-automatic compression system and compress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물 투입 자동감지, 자동압축, 자동배출을 수행하여 작업효율 증대, 작업 인원 최소화, 작업시간 단축, 관리 편의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 및 가정 등에서 버려지는 소정의 물품은 재활용의 가능 여부에 따라 각각 종류별로 분리 수거되고 있으며, 또한 수거된 재활용 물품은 이송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압축기를 통해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종래에 알려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8354호 "재활용물용 압축기"는 압축실을 갖는 바디, 왕복 이동 작동하는 푸셔, 푸셔의 전측에 구비되어 압축실로 공급된 재활용물을 압축시키는 밀판, 및 푸셔의 작동시 바디에 대해 밀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압축실에 쌓인 재활용물을 압축시 밀판의 뒤쪽이 들림에 따른 푸셔에 발생되는 변형응력을 방지하고, 밀판으로 재활용물을 압축시 호퍼를 통해 재활용물을 타공 또는 절단하도록 커터를 구비함에 따라 압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압축기기의 구동을 작업자가 직접 제어해야 하며 배출시 개폐문을 개방하여 작업자가 직접 꺼내 옮겨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재활용물 배출을 위해 개폐문 개방시 압축구간의 내부압력에 의해 압축된 물품이 갑자기 튀어나와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83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축물 투입 자동감지, 자동압축, 자동배출을 수행하여 작업효율 증대, 작업 인원 최소화, 작업시간 단축, 인건비 감소, 관리 편의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압축물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압축공정 완료 후 반동방지 최소거리로 후진한 뒤 자동개폐문을 통해 압축집합체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압축집합체의 배출을 위해 자동개폐문 개방시 압축집합체가 내부압력에 의해 갑자기 튀어나오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의 수평통로가 구동구간, 유입구간, 압축밴딩구간으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평형 몸체프레임; 상기 유입구간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압축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로 연통되어 압축물 유입을 감지하며 상기 유입구간과 연통되는 유입 감지케이스가 구비되는 수직형 몸체프레임; 초기상태에서 상기 구동구간에 배치되는 가압판이 유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압축물의 압축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유압기기; 상기 압축밴딩구간의 외벽에 밴딩구멍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외부에서 수동으로 밴딩되며 타측에 배치되는 자동개폐문이 개폐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구동하면서 압축집합체의 형성과 배출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기기; 및 상기 유압기기와 상기 개폐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압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입 감지케이스에 설치되어 압축물 유입을 감지하는 압축물 감지센서; 자동압축 동작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의 구동을 유도하는 자동모드와, 작업자의 벤딩작업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의 정지상태 유지를 유도하는 수동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수자동스위치; 압축물의 유입과 압축 반복에 의한 압축집합체 형성 완료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신호 출력기; 온(ON)동작시 자동배출 동작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와 개폐기기의 구동을 유도하는 자동배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수자동스위치 자동모드 선택시 상기 압축물 감지센서에 의해 압축물 유입을 감지에 따라 상기 유압기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압축 동작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압축구동모듈; 상기 입력모듈로 입력된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압판의 왕복을 카운팅하며 현재 가압판 왕복횟수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에 도달할 시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신호 출력기로 전달하는 알람신호 생성모듈; 및 상기 자동배출스위치의 온동작시 상기 유압기기와 상기 개폐기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배출 동작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배출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은 반자동압축장치의 상기 수자동스위치가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 상기 가압판의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가 입력되는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 상기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 완료 후 압축물 감지센서에 의해 압축물의 상기 유입구간 유입이 감지되면 자동압축 동작모드를 시작하는 압축물 유입감지단계; 상기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에 따라 상기 가압판 전진과 후진을 반복 수행하여 압축집합체를 형성하는 자동압축 동작모드를 실행하는 압축집합체 형성단계; 상기 압축집합체 형성단계 완료 후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자동스위치가 수동모드로 설정되는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 상기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 완료 후 상기 압축밴딩구간에서 압축집합체가 수동으로 밴딩되는 압축집합체 밴딩단계; 상기 압축집합체 밴딩단계 완료 후 자동배출스위치가 온(ON)으로 설정되며, 상기 수자동스위치가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 상기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 완료 후, 상기 자동개폐문을 상기 개폐액츄에이터로 상승시켜 개방한 다음 압축집합체를 상기 가압판으로 밀어 상기 자동개폐문을 통해 배출하는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에는, 상기 가압판이 설정된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로 후진하는 가압판 후진단계; 상기 개폐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자동개폐문이 상승하는 자동개폐문 개방단계; 상기 가압판이 전진하여 압축집합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축집합체 배출단계; 상기 압축집합체 배출단계에서 전진된 상기 가압판이 다시 후진하고, 상기 자동개폐문이 하강하는 자동개폐문 폐쇄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물 투입 자동감지, 자동압축, 자동배출을 수행하므로,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작업 인원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관리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도 있다. 이를 통해 작업비용을 절감하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집합체의 배출을 위해 자동개폐문 개방시 압축집합체가 내부압력에 의해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의 순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의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의 순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가압판 구동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수직프레임을 통해 압축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b)는 가압판이 자동개폐문 방향으로 전진하여 유입된 압축물을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c)는 수직프레임을 통해 압축물이 추가로 유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d)는 가압판이 자동개폐문 방향으로 전진하여 추가로 유입된 압축물을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e)는 압축물이 압축집합체로 형성되어 밴딩된 과정을 나타낸다.
도 7-(f)는 가압판이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d)로 후진하여 내부압력을 낮추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g)는 자동개폐문이 상승하여 가압판이 전진하여 압축집합체를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는 수평형 몸체프레임(100), 수직형 몸체프레임(200), 유압기기(300), 개폐기기(400), 컨트롤러(50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형 몸체프레임(100)은 내부의 수평통로가 구동구간(110), 유입구간(120), 압축밴딩구간(130)으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구동구간(110)은 이후 설명될 유압기기(300)가 구비되는 구간으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압판(310)이 유압펌프에 의해 작동유를 공급받아 왕복구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형 몸체프레임(100)의 구동구간(110) 상부에 유압펌프와 유압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압탱크에 저장된 작동유가 유압펌프에 의해 실린더로드로의 공급이 제어되면서 가압판(310)이 왕복구동하게 된다.
유입구간(120)은 이후 설명될 수직형 몸체프레임(200)과 연통되는 구조로 수직형 몸체프레임(200)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물(1)이 모이는 구간이다.
압축밴딩구간(130)은 외벽을 이루는 전후면에 밴딩구멍(131)이 형성되며 타측에 자동개폐문(410)이 구비되는 구간이다. 이러한 압축밴딩구간(130)에서는 유압기기(300)에 의해 압축물(1)이 가압되어 압축집합체(2)가 형성된다. 또한, 압축밴딩구간(130)에서 밴딩구멍(131)을 통해 삽입된 밴드의 양끝을 작업자가 결합하여 압축집합체(2)가 밴딩된다.
수직형 몸체프레임(200)은 호퍼(210)와 유입 감지케이스(220)로 이루어지며, 유입구간(12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다.
호퍼(210)는 수직형 몸체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압축물(1)이 투입된다. 이때, 압축물(1)이 호퍼(210)로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호퍼(210)의 상부에 이송컨베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압축물(1)은 장비나 작업자에 의해 호퍼(210)로 투입될 수도 있다.
유입 감지케이스(220)는 호퍼(210)의 하부로 연통되어 압축물(1) 유입을 감지하며 유입구간(120)과 연통된다. 이러한 유입 감지케이스(220)의 내벽에는 압축물 감지센서(510)가 설치되어 호퍼(210)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물(1)이 감지된다. 또한, 유입 감지케이스(220)에는 점검창(221)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점검창(221)을 통해 육안 모니터링과 점검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기기(300)의 비정상 작동이나 고장에 의해 압축물(1)이 수직형 몸체프레임(200)에 계속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물 감지센서(510)는 호퍼(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유압기기(300)는 가압판(310)과 유압액츄에이터(3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압기기(300)는 초기상태에 가압판(310)이 구동구간(110)에 배치되어 유입구간으로 유입되는 압축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유압액츄에이터(320)에 의해 가압판(310)이 전후진하여 압축물(1)이 압축된다. 이때, 유압액츄에이터(320)는 유압펌프, 유압탱크,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며 실린더로드의 끝단에 가압판(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유압펌프와 유압탱크는 수평형 몸체프레임(100)의 구동구간(110) 상부에 구비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실린더로드로 공급하여 가압판(310)을 왕복구동 시킬 수 있다.
개폐기기(400)는 자동개폐문(410)과 개폐액츄에이터(420)로 이루어지며, 압축집합체(2)의 형성과 배출을 유도한다. 이러한 개폐기기(400)는 초기상태에 자동개폐문(410)이 하강된 상태로 배치되며 구동구간(110)에 배치된 가압판(310)이 자동개폐문(410)을 향해 전진하여 압축물(1)이 압축된다. 그리고 개폐액츄에이터(420)에 의해 자동개폐문(410)이 상승한 다음, 가압판(310)의 구동에 의해 배출된다. 이때, 개폐액츄에이터(420)는 유압펌프로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하구동하는 유압실린더(4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유압기기(300)와 개폐기기(4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컨트롤러(500)는 압축물 감지센서(510), 수자동스위치(520), 알람신호 출력기(530), 자동배출스위치(540), 입력모듈(550), 압축구동모듈(560), 알람신호 생성모듈(570) 및 배출구동모듈(580)을 포함한다.
압축물 감지센서(510)는 유입 감지케이스(220)의 내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축물 감지센서(510)로는 비접촉방식으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광전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마주보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물체가 통과할 때 빛이 차단되는 현상을 통해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방식으로 물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위치,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수자동스위치(520)는 수직형 몸체프레임(200)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람의 평균신장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자동스위치(520)는 작업자에 의해 자동모드와 수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자동모드는 자동압축 동작모드의 실행을 위하여 유압기기(300)의 구동을 유도하는 모드이고, 수동모드는 작업자의 벤딩작업을 위하여 유압기기(300)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모드이다.
알람신호 출력기(530)는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작업자의 시각 또는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람신호 출력기(530)로는 점멸등이나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알람신호 출력기(530)는 압축물(1)의 유입과 압축 반복에 의한 압축집합체(2) 형성 완료시 이후 설명될 알람신호 생성모듈(570)과 연동되어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알람신호 출력을 통해 작업자는 벤딩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자동배출스위치(540)는 수자동스위치(520)의 설치위치 부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동배출스위치(540)는 작업자에 의해 온(ON)과 오프(OFF)가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배출스위치(540)는 초기상태에 오프(OFF)로 설정된다. 작업자는 알람신호 출력기(530)에서 발생하는 알람신호를 인식하여 압축밴딩구간(130)에서 압축집합체(2)를 밴딩한 뒤 자동배출스위치(540)를 온(ON)으로 설정하게 된다. 자동배출스위치(540)의 온(ON) 설정시 배출구동모듈(580)에 의해 유압기기(300)와 개폐기기(400)가 구동하게 된다.
입력모듈(550)은 유입 감지케이스(220)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모듈(550)은 컨트롤패널의 컨트롤 입력키를 통해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작업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압축구동모듈(560)은 작업자가 수자동스위치(520)를 자동모드로 선택할 시 유압기기를 제어하여 자동압축 동작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압축구동모듈(560)은 입력모듈(550)의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때, 압축구동모듈(560)은 압축물 감지센서(510)에 의해 압축물(1)의 유입이 감지되는 시점에 유압기기(300)의 가압판(310)을 전후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압축구동모듈(560)은 가압판(310)이 입력모듈(550)에서 전달받은 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물(1)을 가압하도록 한다. 또한, 압축구동모듈(560)은 가압판(310)이 입력모듈(550)에서 전달받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만큼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자동압축 동작모드는 압축물 유입, 가압판 전진, 가압판 후진 순서로 수행되며 최종 왕복 후 가압판(310)이 전진된 상태로 유지된다.
알람신호 생성모듈(570)은 입력모듈(550)로 입력된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알람신호 생성모듈(570)은 가압판(310)의 왕복을 카운팅하며 현재 가압판 왕복횟수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에 도달할 시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알람신호 출력기(530)로 전달한다.
배출구동모듈(580)은 작업자가 자동배출스위치(540)를 온(ON) 선택시 수행된다. 그리고 배출구동모듈(580)은 유압기기(300)와 개폐기기(4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배출 동작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자동배출 동작모드는 가압판 반동방지 최소거리 후진, 자동개폐문 상승, 가압판 전진, 자동개폐문 하강 순서로 수행되며 수행 완료 후 가압판(310)은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가압판 반동방지 최소거리는 도 7의 (f)에 도시된 d를 가리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의 순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의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의 순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의 가압판 구동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은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S100),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S200), 압축물 유입감지단계(S300), 압축집합체 형성단계(S400),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S500), 압축집합체 밴딩단계(S600),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S700),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S80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S100)는 초기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반자동압축장치의 수자동스위치(520)가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수자동스위치(520)의 자동모드 선택에 따라 유압기기(300)가 구동하는 자동압축 동작모드가 실행된다.
한편,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S200)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판(310)의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가 입력모듈(550)로 입력되는 단계이다. 이때,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는 컨트롤패널의 입력키로 입력되거나 컨트롤패널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된다.
압축물 유입감지단계(S300)는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S100)와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S200) 완료 후 유입 감지케이스(220)의 내벽에 구비되는 압축물 감지센서(510)에 의해 압축물(1)의 유입이 감지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압축물 감지센서(510)로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광전센서,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집합체 형성단계(S400)는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S200)에서 입력받은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에 따라 자동압축 동작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가압판(310) 또는 자동개폐문(410)에 구비되는 압력센서(551)로 가압판(310)이 압축물(1)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며 입력받은 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물(1)이 가압된다. 그리고 가압판(310)이 입력받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만큼 전진과 후진을 반복 수행하여 압축집합체(2)가 형성된다. 이러한 자동압축 동작모드는 도 7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물 유입, 가압판 전진, 가압판 후진 순서로 반복 수행되며 최종 왕복 후 가압판(310)이 전진된 상태로 유지된다.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S500)는 알람신호 출력기(530)의 알람신호시 작업자에 의해 수자동스위치(520)가 수동모드로 설정되는 단계이다. 압축집합체 형성단계(S400) 완료 후 알람신호 생성모듈(570)에서 알람신호를 전달받아 알람신호 출력기(530)에서 알람신호가 출력되는 알람신호 출력단계(미도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알람신호를 인식한 후 수자동스위치(520)를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유압기기(300)의 구동이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집합체 밴딩단계(S600)는 작업자가 압축밴딩구간(130)의 밴딩구멍(131)에 삽입된 밴드를 결합하여 압축집합체(2)를 밴딩하는 단계이다.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S500) 완료 후 압축밴딩구간(130)에서 밴딩구멍(131)에 삽입된 밴드의 양끝을 외부에서 결합하여 압축집합체(2)가 수동으로 밴딩된다. 이러한 밴딩작업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6144호에 관련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S700)는 압축집합체 밴딩단계(S600) 완료 후 작업자가 자동배출스위치(540)를 온(ON)으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자동배출스위치(540)의 온(ON)과 함께 수자동스위치(520)가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자동배출 동작모드가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S800)는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S700) 완료 후, 자동개폐문(410)을 개폐액츄에이터(420)로 상승시켜 개방한 다음 압축집합체를 가압판(310)으로 밀어 자동개폐문(410)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이다. 즉, 배출구동모듈(580)에 의해 유압기기(300)와 개폐기기(400)가 구동되는 단계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S800)는 가압판 후진단계(S810), 자동개폐문 개방단계(S820), 압축집합체 배출단계(S830), 자동개폐문 폐쇄단계(S840)로 이루어진다.
도 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 후진단계(S810)는 가압판(310)이 설정된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d)로 후진되는 단계이다. 이때,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d)는 250mm 내지 350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d)만큼 가압판(310)이 후진되어 압축집합체(2)에 부여되고 있는 가압력이 소멸됨에 따라, 자동개폐문(410) 개방시 압축집합체(2)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자동개폐문 개방단계(S820)는 개폐액츄에이터(420)에 의해 자동개폐문(410)이 상승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개폐액츄에이터(420)는 유압실린더(421)로 이루어져 유압실린더(421)의 동작에 따라 유압실린더(421)와 자동개폐문(410)을 상승시키게 된다.
도 7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집합체 배출단계(S830)는 자동개폐문 개방단계(S820)에서 개방된 자동개폐문(410) 방향으로 가압판(310)이 전진하여 압축집합체(2)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이다. 이때, 가압판(310)은 수평형 몸체프레임(100)의 끝단까지 전진하여 압축집합체(2)를 자동 배출하게 된다.
자동개폐문 폐쇄단계(S840)는 압축집합체 배출단계(S830)에서 전진된 가압판(310)이 다시 초기상태로 후진되며 자동개폐문(410)을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압축물 투입 자동감지, 자동압축, 자동배출을 수행하여 작업효율 증대, 작업 인원 최소화, 작업시간 단축, 관리 편의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 :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
1 : 압축물 2 : 압축집합체
100 : 수평형 몸체프레임 110 : 구동구간
120 : 유입구간 130 : 압축밴딩구간
131 : 밴딩구멍 200 : 수직형 몸체프레임
210 : 호퍼 220 : 유입 감지케이스
221 : 점검창 300 : 유압기기
310 : 가압판 320 : 유압액츄에이터
400 : 개폐기기 410 : 자동개폐문
420 : 개폐액츄에이터 421 : 유압실린더
500 : 컨트롤러 510 : 압축물 감지센서
520 : 수자동스위치 530 : 알람신호 출력기
540 : 자동배출스위치 550 : 입력모듈
551 : 압력센서 560 : 압축구동모듈
570 : 알람신호 생성모듈 580 : 배출구동모듈
S100 :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 S200 :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
S300 : 압축물 유입감지단계 S400 : 압축집합체 형성단계
S500 :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 S600 : 압축집합체 밴딩단계
S700 :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 S800 :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
S810 : 가압판 후진단계 S820 : 자동개폐문 개방단계
S830 : 압축집합체 배출단계 S840 : 자동개폐문 폐쇄단계

Claims (5)

  1. 내부의 수평통로가 구동구간, 유입구간, 압축밴딩구간으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평형 몸체프레임;
    상기 유입구간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압축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로 연통되어 압축물 유입을 감지하며 상기 유입구간과 연통되는 유입 감지케이스가 구비되고 작업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이 형성된 수직형 몸체프레임;
    초기상태에서 상기 구동구간에 배치되는 가압판이 유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압축물의 압축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유압기기;
    상기 압축밴딩구간의 외벽에 밴딩구멍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외부에서 수동으로 밴딩되며 타측에 배치되는 자동개폐문이 개폐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구동하면서 압축집합체의 형성과 배출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기기; 및
    상기 유압기기와 상기 개폐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입 감지케이스에 설치되어 압축물 유입을 감지하는 압축물 감지센서;
    자동압축 동작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의 구동을 유도하는 자동모드와, 작업자의 벤딩작업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의 정지상태 유지를 유도하는 수동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수자동스위치;
    압축물의 유입과 압축 반복에 의한 압축집합체 형성 완료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신호 출력기;
    온(ON)동작시 자동배출 동작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와 개폐기기의 구동을 유도하는 자동배출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수자동스위치 자동모드 선택시 상기 압축물 감지센서에 의해 압축물 유입을 감지에 따라 상기 유압기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압축 동작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압축구동모듈;
    상기 입력모듈로 입력된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압판의 왕복을 카운팅하며 현재 가압판 왕복횟수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에 도달할 시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신호 출력기로 전달하는 알람신호 생성모듈; 및
    상기 자동배출스위치의 온동작시 상기 유압기기와 상기 개폐기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배출 동작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배출구동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압축장치.
  2. 삭제
  3. 삭제
  4. 내부의 수평통로가 구동구간, 유입구간, 압축밴딩구간으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평형 몸체프레임;과 상기 내부의 수평통로가 구동구간, 유입구간, 압축밴딩구간으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평형 몸체프레임;과 상기 유입구간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압축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로 연통되어 압축물의 유입을 감지하며 상기 유입구간과 연통되는 유입 감지케이스가 구비되는 수직형 몸체프레임;과 초기상태에서 상기 구동구간에 배치되는 가압판이 유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압축물의 압축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유압기기;와 상기 압축밴딩구간의 외벽에 밴딩구멍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외부에서 수동으로 밴딩되며 타측에 배치되는 자동개폐문이 개폐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구동하면서 압축집합체의 형성과 배출이 유도되도록 구비되는 개폐기기; 및 상기 유압기기와 상기 개폐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에 있어서,
    반자동압축장치의 자동압축 동작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의 구동을 유도하는 자동모드와, 작업자의 벤딩작업을 위한 상기 유압기기의 정지상태 유지를 유도하는 수동모드의 선택에서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
    상기 가압판의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가 입력되는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
    상기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 수자동스위치 자동설정단계 완료 후 압축물 감지센서에 의해 압축물의 상기 유입구간 유입이 감지되면 자동압축 동작모드를 시작하는 압축물 유입감지단계;
    상기 가압판 구동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가압력 정보와 가압판 최종 왕복횟수 정보에 따라 상기 가압판 전진과 후진을 반복 수행하여 압축집합체를 형성하는 자동압축 동작모드를 실행하는 압축집합체 형성단계;
    상기 압축집합체 형성단계 완료 후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자동스위치가 수동모드로 설정되는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
    상기 수자동스위치 수동모드 설정단계 완료 후 상기 압축밴딩구간에서 압축집합체가 수동으로 밴딩되는 압축집합체 밴딩단계;
    상기 압축집합체 밴딩단계 완료 후 자동배출스위치가 온(ON)으로 설정되며, 상기 수자동스위치가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
    상기 자동배출스위치 설정단계 완료 후, 상기 자동개폐문을 상기 개폐액츄에이터로 상승시켜 개방한 다음 압축집합체를 상기 가압판으로 밀어 상기 자동개폐문을 통해 배출하는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집합체 자동배출단계에는,
    상기 가압판이 설정된 압축집합체 반동방지 최소거리로 후진하는 가압판 후진단계;
    상기 개폐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자동개폐문이 상승하는 자동개폐문 개방단계;
    상기 가압판이 전진하여 압축집합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축집합체 배출단계;
    상기 압축집합체 배출단계에서 전진된 상기 가압판이 다시 후진하고, 상기 자동개폐문이 하강하는 자동개폐문 폐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압축장치를 이용한 압축방법.
  5. 삭제
KR1020180135635A 2018-11-07 2018-11-07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KR10212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35A KR102125202B1 (ko) 2018-11-07 2018-11-07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35A KR102125202B1 (ko) 2018-11-07 2018-11-07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67A KR20200052567A (ko) 2020-05-15
KR102125202B1 true KR102125202B1 (ko) 2020-06-22

Family

ID=7067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35A KR102125202B1 (ko) 2018-11-07 2018-11-07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2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582B1 (ko) * 2005-10-14 2006-04-10 (주)아이앤씨 수직형 폐캔 자동 압축기
JP2008302429A (ja) * 2007-05-09 2008-12-18 Nishino Seisakusho:Kk 微細金属屑の圧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963B2 (ja) * 1991-12-27 1996-09-04 日立機装株式会社 プレス装置
KR101738354B1 (ko) 2016-11-10 2017-05-22 방성기 재활용물용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582B1 (ko) * 2005-10-14 2006-04-10 (주)아이앤씨 수직형 폐캔 자동 압축기
JP2008302429A (ja) * 2007-05-09 2008-12-18 Nishino Seisakusho:Kk 微細金属屑の圧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67A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3556A (en) Apparatus for horizontal baling
JP6228234B2 (ja) 可変容積蓄圧器
US7421946B1 (en) Two stage oil filter press
JP4484961B2 (ja) スクラップ剪断機
US11958177B2 (en) Hydraulic piston pump for a hydraulic tool
KR20010040679A (ko) 전단 포장 프레스의 작동 방법 및 전단 포장 프레스
CN109642413B (zh) 液压冲击装置和具有其的施工设备
KR200417645Y1 (ko) 재활용품 압축장치
KR102125202B1 (ko) 반자동압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압축방법
CN108883523B (zh) 运行工作设备的方法和工作设备
US3851577A (en) Vertical baler
KR20150036848A (ko) 자동 3단 유압 브레이커
US3518869A (en) Hydraulic press,more particularly for treating metals by shaping
KR200447204Y1 (ko) 재활용 비닐 압축기
KR101066258B1 (ko) 가스 스프링의 가스충전장치
EP0051554B1 (en) Pipe press
JP5245667B2 (ja) 打込機
US763833A (en) Hydraulic intensifier.
US20110271667A1 (en) Hydraulic drive device having two pressure chambers and method for operating a hydraulic drive device having two pressure chambers
KR101934681B1 (ko) 분기관 제조방법 및 분기관 제조장치
JP2006346700A (ja) 液圧プレス
US3762309A (en) Method of compressing paper products
KR101996473B1 (ko)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
US10967596B2 (en) Baler with platen bypass prevention features
KR102205132B1 (ko) 파쇄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