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26B1 -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26B1
KR102124826B1 KR1020190127045A KR20190127045A KR102124826B1 KR 102124826 B1 KR102124826 B1 KR 102124826B1 KR 1020190127045 A KR1020190127045 A KR 1020190127045A KR 20190127045 A KR20190127045 A KR 20190127045A KR 102124826 B1 KR102124826 B1 KR 10212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sync
frame
iden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윤
강효운
배문화
김진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타
Priority to KR102019012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컨트롤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상기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장치가, 상기 소정 식별 장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영상의 싱크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SYNC OF IMAG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컨트롤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상기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장치가, 상기 소정 식별 장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영상의 싱크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시간대 촬영하는 경우, 영상들끼리의 싱크를 맞추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또한, 이미지 영상물과 녹음된 음성파일의 싱크를 매칭시키는 작업을 통해 하나의 완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영상 화면을 교차되게 편집하여 화면 구성을 풍성하게 구현하는 교차편집 방식이 동시간대 촬영한 영상파일들의 싱크를 맞추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영상 싱크 작업의 기준점은 주로 소리 파형을 보며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슬레이트나 박수 한번 치는 것으로 싱크 작업 기준점을 만들어 내며, 이는 도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영상에 녹음된 음성파형을 영상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맞춰주는 작업이 소리기반 싱크 작업에 해당한다.
그러나, 소리기반의 싱크 작업에도 문제점이 존재하며, 구체적으로 음성이 없는 영상일 경우 싱크 작업의 기준점이 되는 소리파형이 없어 싱크작업이 어렵다.
또한,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녹음되는 음성의 크기 차이가 많이 나며, 먼 거리에 있는 카메라의 경우 주변 잡음까지 녹음되어 명료한 싱크작업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이 없는 영상인 경우에도 싱크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들의 자동 싱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컨트롤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상기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장치가, 상기 소정 식별 장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영상의 싱크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상기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소정 식별 장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영상의 싱크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컨트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성이 없는 영상인 경우에도 싱크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들의 자동 싱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소리기반 싱크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싱크를 매칭하기까지의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기간 동안의 프레임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트롤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도 1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컨트롤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는 싱크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물들을 저장할 수 있고, 컨트롤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작업물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2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싱크를 매칭하기까지의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복수의 카메라가 존재하며, 상기 카메라들은 제1 카메라(200-1), 제2 카메라(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200-1)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제2 카메라(200-2)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S310)할 수 있다.
다른 복수의 카메라가 존재하며 소정 식별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식별 장치(300)는 소정 램프, 강의 자료가 디스플레이되는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소정 식별 장치(300)는 상기 소정 램프, 태블릿 PC 외 다른 물품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제1 카메라(200-1)와 제2 카메라(200-2)는 각각 다른 위치에서 촬영을 할 뿐 상기 소정 식별 장치(300)를 모두 포함하여 촬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태블릿 PC(또는 소정 램프 등)를 들고 있는 강의자를 대상으로 제1 카메라(200-1)는 왼쪽에서 촬영을 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제2 카메라(200-2)는 오른쪽에서 촬영을 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카메라(200-1)는 태블릿 PC를 들고 있는 강의자를 촬영하고, 제2 카메라(200-2)는 태블릿 PC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강의자료 PPT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소정 식별 장치(300)를 기초로 제1 카메라(200-1)로부터 획득한 제1 영상의 싱크 및 제2 카메라(200-2)로부터 획득한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S320)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식별 장치(300)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기간 동안의 프레임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설정기간을 1초로 설정하고, 1초 동안 30개의 프레임 이미지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다.
영상은 프레임이라는 개념을 포함하며, 30 프레임은 1초에 30장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24 프레임은 1초에 24장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영상에 포함된 제p 프레임 이미지에 소정 식별 장치(300)의 특정 신호 메시지가 포함되고, 제2 영상에 포함된 제q 프레임 이미지에 소정 식별 장치(300)의 특정 신호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특정 신호 메시지는 소정 식별 장치(300)에 나타나는 특별 신호로서, 가령, 소정 식별 장치(300)가 소정 램프인 경우의 특정 신호 메시지는 i) 빨간색 램프가 켜진 경우, ii) 노란색 램프가 켜진 경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식별 장치(300)가 태블릿 PC인 경우의 특정 신호 메시지는 태블릿 PC가 디스플레이하는 강의자료 등에서 "특별 표시(ex 초록색 페이지 등)가 된 페이지가 나타나는 경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초록색 페이지는 상기 소정 식별 장치(300)가 태블릿 PC일때의 특정 신호 메시지에 해당할 것이다.
결국, 제1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제p 프레임 이미지에 초록색 페이지가 나타난 태블릿 PC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제q 프레임 이미지에 초록색 페이지가 나타난 태블릿 PC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영상에서 특정 신호 메시지(ex 초록색 페이지)가 나타나는 제p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영상에서 특정 신호 메시지(ex 초록색 페이지)가 나타나는 제q 프레임 이미지가 매칭되도록 상기 제1 영상의 싱크와 상기 제2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볼 때, 제1 카메라(200-1)는 강사화면(제1 영상)을 촬영하고 있고, 제2 카메라(200-2)는 강의화면(제2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카메라의 영상 촬영 시작 시점은 상관없이 전체 영상 중 특정한 화면이 찍힌 프레임이 있다.
이때, 프레임별로 비교를 하면, 제1 영상의 제k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영상의 제k 프레임 이미지(k는 1, 2, 3 등)가 서로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현재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타임라인 싱크가 서로 맞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준을 잡을 수 있는 프레임 이미지로는 특정 신호 메시지가 나타나는 제1 영상의 2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영상의 3 프레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기준을 잡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플랫폼에서는 강의 자료 중간 중간에 특정 신호 메시지(ex 초록색 페이지 등)를 포함시킬 수 있다.
소정 식별 장치(300)가 소정 램프인 경우에는 영상 중간 중간에 특정 신호 메시지(ex 빨간색 램프, 노란색 램프 등)를 포함시킬 수 있다.
컨트롤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영상의 2 프레임 이미지의 타임라인과 제2 영상의 3 프레임 이미지의 타임라인을 매칭시켜 제1 영상의 싱크와 제2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제1 영상의 싱크와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각 프레임에 나타난 소정 식별 장치(300)의 강의자료는 동일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특정 신호 메시지가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가 하나이지만, 도 5 및 도 6과 달리, 특정 신호 메시지가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가 복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가령, 소정 식별 장치(300)에서 빨간색 램프를 프레임 이미지의 단위 시간(ex 30 프레임이라면 1/30초) 이상으로 on 상태로 둘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특정 신호 메시지가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가 복수 개 존재할 것이다. 다만, 제1 영상 및 제2 영상 모두 프레임 이미지의 단위 시간은 동일하므로, 특정 신호 메시지가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의 개수는 제1 영상, 제2 영상 모두 동일할 것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특정 신호 메시지가 나타나는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와 마지막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매칭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빨간색 램프, 노란색 램프 등 서로 다른 특정 신호 메시지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빨간색 램프가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와 노란색 램프가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매칭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하나의 설정 기간(ex 1초)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 개의 설정 기간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 소정 개수의 프레임 이미지가 존재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설정 기간 및 제2 설정 기간 각각에 소정 개수의 프레임 이미지가 존재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제1 특정 신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특정 프레임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제1 설정 기간 동안의 제1 영상의 싱크와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20)는 제2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제2 특정 신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특정 프레임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제2 설정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영상의 싱크와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설정 기간이 1초, 제2 설정 기간이 그 다음 1초라면, 각각의 싱크 매칭을 위한 기초 프레임 이미지가 상이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 특정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소정 개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특정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소정 개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영상을 기간별로 구분하고 각각에 포함된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복수의 영상을 서로 매칭시킨다는 것이다.
다만, 복수의 영상 각각의 첫번째 이미지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제1 영상의 첫번째 이미지를 기준으로 복수의 영상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1 영상을 강사화면을 찍는 영상으로 전술하였지만, 설정에 따라 강의화면을 제1 영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는 영상을 기간별로 구분하고 각각에 포함된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복수의 영상을 매칭시켰으나, 설정에 따라서는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가 아닌 k번째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매칭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설정 기간별로 특정 기간에서는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 다른 기간에서는 k번째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매칭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설정 기간, 제2 설정 기간뿐만 아니라 제3 설정 기간 등 복수의 설정 기간이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단위 시간 역시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카메라(200-1)는 강사 및 소정 식별 장치(300)를 촬영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제2 카메라(200-2)는 소정 식별 장치(300)를 촬영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프로세스를 통해 강사의 강의 장면과 강의자료의 싱크가 서로 매칭되어 원활한 영상 강의가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컨트롤 장치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200: 카메라
300: 소정 식별 장치

Claims (8)

  1.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a) 컨트롤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상기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b) 상기 컨트롤 장치가, 상기 소정 식별 장치의 특정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싱크와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1 영상이 포함하는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제p 프레임 이미지에만 상기 특정 신호 메시지가 포함되고,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영상이 포함하는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제q 프레임 이미지에만 상기 특정 신호 메시지가 포함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제q 프레임 이미지가 상기 제1 영상의 상기 제p 프레임 이미지와 동일한 타임라인을 가지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제1 설정 기간 및 제2 설정 기간 각각에 상기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컨트롤 장치는,
    i) 상기 제1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제1 특정 신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특정 프레임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설정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영상의 싱크와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이동하고,
    ii) 상기 제2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제2 특정 신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특정 프레임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설정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영상의 싱크와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매칭되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정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제1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상기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특정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제2 설정 기간 동안에 포함된 상기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첫번째 프레임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식별 장치는 소정 램프, 강의 자료가 디스플레이되는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강사 및 상기 소정 식별 장치를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소정 식별 장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상기 소정 식별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소정 식별 장치의 특정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싱크와 상기 제2 영상의 싱크가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이동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1 영상이 포함하는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제p 프레임 이미지에만 상기 특정 신호 메시지가 포함되고,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영상이 포함하는 소정 개수의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제q 프레임 이미지에만 상기 특정 신호 메시지가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의 상기 제q 프레임 이미지가 상기 제1 영상의 상기 제p 프레임 이미지와 동일한 타임라인을 가지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타임라인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된 영상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장치.


KR1020190127045A 2019-10-14 2019-10-14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10212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45A KR102124826B1 (ko) 2019-10-14 2019-10-14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45A KR102124826B1 (ko) 2019-10-14 2019-10-14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26B1 true KR102124826B1 (ko) 2020-06-19

Family

ID=7113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45A KR102124826B1 (ko) 2019-10-14 2019-10-14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692A (ja) * 2004-12-02 2006-06-22 Hosei Univ 講義コンテンツ自動作成システム
KR20100024229A (ko) * 2008-08-25 2010-03-05 주식회사 엑스쿨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6953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과학기술원 강의 동영상과 강의노트 동기화를 통해 동영상 프레임을 슬라이드 주요 제목으로 색인하는 방법
KR20150000595A (ko) * 2013-06-25 2015-01-05 (주)유파콤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강의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692A (ja) * 2004-12-02 2006-06-22 Hosei Univ 講義コンテンツ自動作成システム
KR20100024229A (ko) * 2008-08-25 2010-03-05 주식회사 엑스쿨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6953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과학기술원 강의 동영상과 강의노트 동기화를 통해 동영상 프레임을 슬라이드 주요 제목으로 색인하는 방법
KR20150000595A (ko) * 2013-06-25 2015-01-05 (주)유파콤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강의 저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756B1 (ko) 복수의 영상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US9609299B2 (en) Creating time lapse video in real-time
EP3151548B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EP3457295A3 (en) Method for recording, editing and reproduction of computer session
US9667773B2 (en) Audio file management for automated synchronization of an audio track with external video playback
WO2021012081A1 (zh) 云台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426385B2 (en) Image processing based on scene recognition
US9280034B2 (en) Dynamic lighting
JP6413018B2 (ja) ビデオキャプチャの処理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JP2016213832A (ja) 動く写真生成方法および動く写真生成装置、並びに、動く写真生成を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88614B2 (ja) 撮像装置、映像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117681A1 (en) Live scene recognition allowing scene dependent image modification before image recording or display
KR102124826B1 (ko) 복수의 영상들의 싱크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CN108093166A (zh) 一种显示方法、装置和终端
KR20150030889A (ko)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581942B (zh) 舞台剧视频录制的方法及系统
JPWO2013140456A1 (ja) コントラスト強調画像投影システム
KR101879168B1 (ko)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퀀스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511868B1 (ko) 다중 카메라 디바이스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촬영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175003A1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6092647A1 (ja) 動画編集装置、動画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7423A (ja) 映像処理装置
KR102361811B1 (ko)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KR102166331B1 (ko) 촬영 후 빠른 재생을 구현하는 단말기 및 방법
DE102015115050B4 (de) Verfahren zur Beleuchtungsgestal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