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638B1 -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638B1
KR102124638B1 KR1020180095163A KR20180095163A KR102124638B1 KR 102124638 B1 KR102124638 B1 KR 102124638B1 KR 1020180095163 A KR1020180095163 A KR 1020180095163A KR 20180095163 A KR20180095163 A KR 20180095163A KR 102124638 B1 KR102124638 B1 KR 10212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eal
pipe
door frame
insertion spac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530A (ko
Inventor
신미연
김진택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filed Critical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몰탈부에 설치되는 각 파이프; 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금속문이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부터 연장되며, 가스켓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파이프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씰;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씰은 상기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Door frame with detachable lower seal}
본 발명은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씰과 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하부씰을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도어 프레임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중 도어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현관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의 전달을 방지할 목적으로 철판으로 구성된 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방화문은 벽체 또는 바닥체 등에 설치되는 방화문용 도어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건물의 시공이 진행되는 시점에 도어 프레임을 설치하고, 건물이 준공되는 시점에 방화문을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0253호(2011.08.10 공개)는 종래의 방화문과, 방화문 장착에 사용되는 도어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방화문과 도어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문(1)은 도어 프레임(2)에 장착되며, 방화문(1)이 도어 프레임(2)에 장착되었을 때 방화문(1)과 도어 프레임(2)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기 위해 가스켓(3)이 사용된다. 종래의 도어 프레임(2)은 벽체 또는 바닥체(4) 내부에 매립되고, 내부에 모르타르가 충진 되면서 벽체 또는 바닥체(4)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프레임(2)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 프레임(2)은 벽체 또는 바닥체(4)에 매립되는 부분과 벽체 또는 바닥체(4)에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방화문(1)은 건물의 준공 시점에 설치되지만, 도어 프레임(2)은 건물의 시공 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 과정 중에 도어 프레임(2)은 문턱과 같이 벽체 또는 바닥체(4)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는 건물의 시공에 필요한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들이 지나다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들이 벽체 또는 바닥체(4)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2) 위를 이동하게 된다. 도어 프레임(2)은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스틸로 이루어진 도어 프레임(2) 위를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가 이동할 때,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도어 프레임(2)의 찌그러짐, 파손 등의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어 프레임(2)에 하자가 발생하면 이를 교체해야 하는 데, 벽체 또는 바닥체(4)에 매립되어 있으며, 내부가 모르타르로 충진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2)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벽체 또는 바닥체(4) 주변을 드러내고 도어 프레임(2)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건물의 준공 이후에도 입주자들의 이사 과정 등에 의해서도 도어 프레임(2)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벽체 또는 바닥체(4)를 드러내고 도어 프레임(2)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벽체 또는 바닥체(4) 주변을 드러내고 도어 프레임(2)을 교체하는 공사는 공사의 규모가 커질 뿐만 아니라, 공사 비용이 상당히 발생하며 공사 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씰과 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하부씰을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도어 프레임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중 도어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몰탈부에 설치되는 각 파이프; 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금속문이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부터 연장되며, 가스켓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파이프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씰;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씰은 상기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하부씰과 상기 각 파이프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씰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씰과 상기 각 파이프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의 상기 하부씰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파이프 상부에는, 상기 각 파이프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각 파이프가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씰의 상부에서 상기 제1볼트공과 상기 제2볼트공에 동시에 끼워지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의 너비는 상기 개구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제2볼트공에 상기 볼트가 끼워졌을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의 상기 하부씰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장착부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의 상기 각 파이프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파이프는 상기 몰탈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의 상기 장착부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장착부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파이프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이 끼워진 후, 상기 고정핀은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씰과 상기 각 파이프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덮을 수 있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실란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밀봉부에서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삽입공간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각 파이프의 상기 삽입홈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기 전에,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보호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씰과 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하부씰을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는 각 파이프만 설치하고, 준공 시점에 하부씰을 각 파이프에 결합 설치함에 따라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하부씰에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에 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각 파이프는 교체하지 않고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부씰만 교체함에 따라 하자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하부씰만 교체함에 따라 각 파이프를 제거할 때 발생하는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는 각 파이프만 먼저 설치하고, 준공 시점에 하부씰을 각 파이프에 결합 설치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하부씰과 각 파이프를 별도로 시공함에 따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문과 도어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문과 도어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 파이프와 하부씰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파이프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볼트를 통해 하부씰과 각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하부씰의 장착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각 파이프의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삽입공간에 캡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삽입공간에 실란트가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삽입공간에 가스켓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삽입홈에 보호재가 끼워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하부씰과 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하부씰을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도어 프레임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중 도어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은 금속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금속문은 방화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면 다양한 문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문은 철제문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금속을 사용하는 문일 수도 있다. 후술할 설명에서는 금속문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각 파이프(110), 하부씰(12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씰(120)은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씰(120)이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상기 하부씰(120)에 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몰탈부(20)를 드러내지 않고 상기 하부씰(120)만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몰탈부(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몰탈부(20)는 벽체 또는 바닥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각 파이프(110)는 상기 몰탈부(20) 내부에 매립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몰탈부(20)를 형성할 때, 상기 각 파이프(110)가 위치할 수 있는 곳에 상기 각 파이프(110)를 먼저 배치하고, 상기 몰탈부(20)를 굳히면 상기 각 파이프(110)가 상기 몰탈부(20) 내부에 매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파이프(110) 상부는 상기 몰탈부(20)로 덮혀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각 파이프(110) 상부는 상기 하부씰(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열려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파이프(110)는 상기 몰탈부(2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각 파이프(110)의 높이는 상기 몰탈부(20)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몰탈부(20)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파이프(110)가 상기 몰탈부(20)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면(상기 각 파이프(110)의 높이가 상기 몰탈부(20)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보다 높으면),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지게차 등의 장비로 인해 상기 각 파이프(110)에 하자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파이프(110)는 상기 몰탈부(2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틸 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파이프(110)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금속문(10)의 가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파이프(110)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은, 전체적인 상기 각 파이프(110) 형상이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즉, 네 귀퉁이에 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 반드시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사각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파이프(110)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곡부(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파이프(110)의 하부에도 개구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파이프(110)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각 파이프(110)의 재료를 절감시켜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상기 몰탈부(20)에 매립되면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각 파이프(110)의 하부에 개구되는 부분을 형성시켜도 상기 몰탈부(20)를 통해 강도가 발현될 수 있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상기 몰탈부(20)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하부씰(120)은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사용되는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상기 하부씰(120)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씰(120)은 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금속문(10)이 장착되는 장착부(121)와 상기 장착부(121)에서부터 연장되며, 가스켓(130)이 삽입될 수 있는 홈(122a)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부(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각 파이프(1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씰(120)의 상기 장착부(121)는 판 형상을 이루어지면서 금속문(10)의 가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121)에 금속문(10)이 장착될 수 있다. 금속문(10)에는 금속문(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U 형태의 보강부재(1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11)가 삽입된 이후에 상기 장착부(121)에 금속문(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122)는 상기 장착부(121)의 일측에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켓(130)이 삽입될 수 있는 홈(1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금속문(10)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금속문(10)과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가스켓(13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0)을 끼워넣기 위해서는 홈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밀봉부(122)는 상기 가스켓(130)을 끼워넣기 위해 홈(122a)이 마련되어 있는 곳이다. 상기 가스켓(130)을 끼워넣을 수 있는 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면, 상기 밀봉부(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밀봉부(122)는 상기 장착부(121)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시 상향 사선으로 연장된 이후, 수평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홈(122a)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122)는 상기 장착부(121)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22b)와 상기 수직부(122b)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2c)를 포함하면서, 상기 홈(12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봉부(122)는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하부씰(120)의 제작을 위해 상기 밀봉부(122)는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씰(12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판부재를 절곡하면서 상기 하부씰(120)을 제작하면, 제작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벽체 또는 바닥체(4)에 매립되는 도어 프레임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판부재를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이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씰(120)이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각 파이프(110)를 별도로 제작하며, 상기 하부씰(120)만 판부재를 통해 절곡하여 별도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판부재를 절곡하여 상기 하부씰(120)을 제작할 때, 판부재의 일측을 절곡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밀봉부(122)가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이루어져야 제작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씰(120)은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핀(14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하부씰(120)의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가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고정핀(140)을 제거하면, 상기 하부씰(120)은 상기 각 파이프(110)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씰(120)이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등 상기 하부씰(120)에 하자가 발생하면,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서부터 분리시켜 교체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140)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140)은 하나만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핀(1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하부씰(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140)은 볼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볼트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핀(140)을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하여,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고정핀(140)을 통해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를 결합시키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씰(120)의 상기 장착부(121)에는 상기 장착부(121)를 관통하는 제1볼트공(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파이프(110)에는 체결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 파이프(110) 상면에는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개구부(1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50)의 양측은 상기 각 파이프(110)의 상기 개구부(111) 양측면에서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 공간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각 파이프(1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150)의 상면에는 볼트(16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볼트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씰(120)의 상기 장착부(121)에 상기 제1볼트공(12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50)에 제2볼트공(151)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121)의 상기 제1볼트공(123)과 상기 체결부(150)의 상기 제2볼트공(151)이 나란하도록 배치고, 상기 볼트(160)를 상기 하부씰(120)의 상부에서 상기 제1볼트공(123)과 상기 제2볼트공(151)에 동시에 끼우면,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씰(120)에 하자가 발생하거나, 상기 하부씰(1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볼트(160)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볼트(160)를 제거하면 상기 하부씰(120)은 상기 각 파이프(11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150)는 복수 개가 사용되면서 상기 각 파이프(1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상기 체결부(150)에 복수 개의 상기 제2볼트공(15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각 파이프(1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각 파이프(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50)의 너비는 상기 개구부(111)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부(150)를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에 배치할 때는 다른 열려 있는 공간을 통해 배치 시키거나, 상기 체결부(150)를 돌려서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150)의 너비가 상기 개구부(111)의 너비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150)의 상기 제2볼트공(151)에 상기 볼트(160)가 끼워졌을 때, 상기 체결부(150)가 상기 개구부(11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 공간에 상기 체결부(150)를 배치하고 상기 볼트(160)를 끼우면서 조이면,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각 파이프(110)의 상면까지 올라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50)의 너비가 상기 개구부(111)의 너비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각 파이프(110)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걸리게 되면서, 상기 체결부(150)가 상기 각 파이프(110)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볼트(160)가 상기 제1볼트공(123)과 상기 제2볼트공(151)에 동시에 끼워질 때, 너트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150)를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시키지 않으면, 제작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체결부(150)를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시키는 것은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50)를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시키지 않으면, 상기 체결부(150)를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생략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50)를 별도로 관리함에 따라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상기 하부씰(120)의 상기 장착부(121)에 돌출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파이프(110)의 상부에 삽입홈(113)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씰(120)을 상기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121)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장착부(121)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핀(14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21b)을 형성하는 돌출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1a)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장착부(121)의 중간 부분에서 하부로 절곡되고, 수평으로 절곡된 이후에 다시 상부로 절곡되면서, 삽입공간(121b)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공간(121b)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부(121a)를 형성하면, 상기 고정핀(140)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0)을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하부씰(12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하부씰(12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상기 금속문(10)의 설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1a)와 상기 삽입공간(121b)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삽입공간(121b)에 상기 고정핀(14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부씰(120)의 외부로 상기 고정핀(140)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삽입공간(121b)에는 캡(171), 실란트(172)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130)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되는 핀일 수도 있으며, 볼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각 파이프(110)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12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21a)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홈(113)은 상기 돌출부(12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각 파이프(110) 상부에서부터 내부공간으로 일부 들어간 홈으로, 상기 삽입홈(113)에 상기 돌출부(121a)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121a)가 상기 삽입홈(113)에 끼워지면,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삽입공간(121b)을 통해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삽입공간(121b)에서부터 상기 돌출부(121a)와 상기 삽입홈(113)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하부씰(120)과 상기 각 파이프(110)에 동시에 삽입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삽입공간(121b)에서부터 상기 돌출부(121a)와 상기 삽입홈(113)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공간(121b)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121b)을 덮을 수 있는 캡(1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1a)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121b)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핀(140)을 끼워넣으면, 상기 하부씰(120)의 외부로 상기 고정핀(140)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삽입공간(121b)을 그대로 두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이물질 등이 쌓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간(121b)에는 상기 캡(171)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캡(171)은 상기 삽입공간(121b)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공간(121b)은 각진 U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캡(171)은 각진 역 U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삽입공간(121b)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캡(171)은 스틸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씰(120)의 중량을 줄이면서, 상기 삽입공간(121b)을 밀폐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171)은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캡(171)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121b)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캡(171)이 상기 삽입공간(121b)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장착부(121)를 평평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상기 캡(171)의 높이가 상기 삽입공간(121b)의 높이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장착부(121)는 평평하게 되지 않게 된다. 이는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금속문(10) 설치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캡(171)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121b)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캡(171) 대신에 실란트(172)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트(172)는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삽입공간(121b)에서부터 상기 돌출부(121a)와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공간(121b)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실란트는 부재 사이의 접합부나 이음매를 메우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실란트(172)를 상기 삽입공간(121b)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121b)을 메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캡(171) 대신 상기 가스켓(1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스켓(13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가스켓(130)이 상기 밀봉부(122)에 형성되어 있는 홈(122a)과 상기 삽입공간(121b)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스켓(130)은 상기 고정핀(140)이 상기 삽입공간(121b)에서부터 상기 돌출부(121a)와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가스켓(130)은 상기 홈(122a)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간(121b)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홈(122a)과 상기 삽입공간(121b)을 동시에 메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켓(130)을 통해 상기 홈(122a)과 상기 삽입공간(121b)을 동시에 메우면, 금속문(10)과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훨씬 더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각 파이프(110)의 상기 삽입홈(113)에는 보호재(17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몰탈부(20)에 먼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씰(120)은 건물의 준공 과정 중에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파이프(110)가 설치되는 시점과, 상기 하부씰(120)이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는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각 파이프(110)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홈(113)에 이물질이 존재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113)에는 상기 돌출부(121a)가 끼워지기 전에 상기 보호재(173)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재(173)는 상기 삽입홈(113)을 임시로 메울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13)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삽입홈(113)을 메울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13)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재(173)는 상기 하부씰(120)이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기 이전, 즉, 상기 삽입홈(113)에 상기 돌출부(121a)가 끼워지기 전까지 상기 삽입홈(113)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하부씰(120)이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는 시점, 즉, 상기 삽입홈(113)에 상기 돌출부(121a)가 끼워지는 시점에는 상기 삽입홈(113)에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건물의 시공 과정 중 몰탈부(20)를 형성할 때, 상기 각 파이프(110)를 몰탈부(20) 내부에 위치시키고, 몰탈부(20)를 굳혀 상기 각 파이프(110)가 몰탈부(20)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파이프(110)는 몰탈부(2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파이프(110)의 높이는 몰탈부(20)의 형성 높이보다 조금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몰탈부(20)로부터 돌출되지 않아야,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상기 각 파이프(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씰(120)은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설치되지 않고, 건물의 준공 시점에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씰(120)이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면, 몰탈부(20)로부터 상기 하부씰(120)이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씰(120)이 몰탈부(20)로부터 돌출되면,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씰(120)은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가 사용된 이후에 상기 각 파이프(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면서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로부터 도어 프레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에 도어 프레임을 다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종래의 도어 프레임 교체를 위해서는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를 드러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하부씰(120)을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하부씰(120)을 결합시키지 않아도 되며, 이에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득이하게 하부씰(120)이 손상되는 경우, 하부씰(120)을 각 파이프(110)에서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부씰(120)은 각 파이프(110)에 고정핀(140), 볼트(160)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각 파이프(110)에 하부씰(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파이프(110)를 몰탈부(20)에 설치한 이후에,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질 수도 있다.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를 충진재로 채움으로써, 상기 각 파이프(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파이프(110)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는 모르타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각 파이프(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충진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효과가 있다.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면서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로부터 도어 프레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이에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하부씰(120)을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는 각 파이프(110)만 설치할 수 있고, 하부씰(120)은 준공 시점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하부씰(120)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을 교체하기 위해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를 드러내야 했다.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를 드러내는 것은 공사 규모가 커질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며, 공사 비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도어 프레임에 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각 파이프(110)는 교체하지 않고, 각 파이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부씰(120)만 교체함에 따라 하자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벽체 또는 바닥체(몰탈부)를 드러내야 도어 프레임 교체가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몰탈부(20)를 드러내지 않고도 하부씰(12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하부씰(120)과 각 파이프(110)를 고정핀(140) 또는 볼트(160)로 결합시키는 경우, 고정핀(140) 또는 볼트(160)를 제거하면 하부씰(120)은 각 파이프(110)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하부씰(120)이 분리되면, 하자가 발생한 하부씰(120)을 새로운 하부씰(120)로 교체하고, 다시 각 파이프(11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파이프(110)는 교체하지 않고, 하부씰(120)만 교체하여 도어 프레임의 하자를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하부씰(120)을 각 파이프(1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방법으로 설치함에 따라, 몰탈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씰(120)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관상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은,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는 각 파이프(110)만 먼저 설치하고, 준공 시점에 하부씰(120)을 각 파이프(110)에 결합 설치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금속문 20...몰탈부
110...각 파이프 111...개구부
112...절곡부 113...삽입홈
120...하부씰 121...장착부
121a...돌출부 121b...삽입공간
122...밀봉부 122a...홈
122b...수직부 122c...수평부
123...제1볼트공 130...가스켓
140...고정핀 150...체결부
151...제2볼트공 160...볼트
171...캡 172...실란트
173...보호재

Claims (13)

  1. 금속문을 설치하기 위해 금속문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몰탈부에 설치되는 각 파이프;
    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금속문이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부터 연장되며, 가스켓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파이프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씰;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씰은 상기 각 파이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씰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파이프 상부에는, 상기 각 파이프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각 파이프가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씰의 상부에서 상기 제1볼트공과 상기 제2볼트공에 동시에 끼워지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씰과 상기 각 파이프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씰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씰과 상기 각 파이프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너비는 상기 개구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제2볼트공에 상기 볼트가 끼워졌을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씰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장착부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이프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이프는 상기 몰탈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장착부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파이프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이 끼워진 후, 상기 고정핀은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씰과 상기 각 파이프에 동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덮을 수 있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실란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밀봉부에서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삽입공간에 동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이프의 상기 삽입홈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기 전에,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보호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KR1020180095163A 2018-08-14 2018-08-14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KR10212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63A KR102124638B1 (ko) 2018-08-14 2018-08-14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63A KR102124638B1 (ko) 2018-08-14 2018-08-14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30A KR20200019530A (ko) 2020-02-24
KR102124638B1 true KR102124638B1 (ko) 2020-06-18

Family

ID=6963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163A KR102124638B1 (ko) 2018-08-14 2018-08-14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804A (ja) * 2003-10-17 2005-05-12 Tokyo Metal Center Kk 錆や腐食を防止するドア用被せ工法と熱や音が伝達しない結露防止真空扉。
KR100945212B1 (ko) * 2009-07-21 2010-03-05 한국목재 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목재 문틀 또는 창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010U (ko) * 1993-04-14 1994-11-17 홍종훈 문의 완충용 패킹
JP3623285B2 (ja) * 1994-08-18 2005-02-23 大建工業株式会社 ドア構造
KR960027346U (ko) * 1995-01-10 1996-08-17 소광민 문틀의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804A (ja) * 2003-10-17 2005-05-12 Tokyo Metal Center Kk 錆や腐食を防止するドア用被せ工法と熱や音が伝達しない結露防止真空扉。
KR100945212B1 (ko) * 2009-07-21 2010-03-05 한국목재 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목재 문틀 또는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30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828A (en) Method for constructing one-step grout fixed window frames in a concrete-structured building
US8302354B2 (en) Window or door frame receptor buck and receptor buck system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24639B1 (ko)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KR102124638B1 (ko) 하부씰이 탈부착 가능한 도어 프레임
US20060156654A1 (en) Clad window frame with improved sealing
KR101310406B1 (ko) 수직 및 수평 배수수단을 구비한 건식 커튼월유닛
KR101296429B1 (ko) 알루미늄 일체형 커튼 월 유닛
CN210195027U (zh) 防开裂条板内隔墙门洞结构及内隔墙
KR102019912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의 방파구조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CN217420102U (zh) 一种装配式集成墙体
KR101136574B1 (ko)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CN215213012U (zh) 一种待固定框与墙体之间的安装结构
KR102546636B1 (ko) 창호용 공틀
JP7032990B2 (ja) ルーバー用パネル
JP4248596B1 (ja) 外装構造
JP7154075B2 (ja) 壁構造、窓枠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窓枠施工方法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KR102605830B1 (ko) 누수 방지용 차수판을 포함하는 창호의 시공방법
KR102300510B1 (ko) 방수 패널 조립체
JP7084952B2 (ja) ルーバー用パネル
KR102634525B1 (ko) 배선박스용 가이드 유닛
KR102187755B1 (ko) 층간조인트 크랙 방지 방법
KR20180057370A (ko) 맨홀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