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334B1 - 장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334B1
KR102124334B1 KR1020180082457A KR20180082457A KR102124334B1 KR 102124334 B1 KR102124334 B1 KR 102124334B1 KR 1020180082457 A KR1020180082457 A KR 1020180082457A KR 20180082457 A KR20180082457 A KR 20180082457A KR 102124334 B1 KR102124334 B1 KR 102124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eeder
gas
processing chamber
r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391A (ko
Inventor
허만호
변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3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10B41/08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for the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10B41/005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for charging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실에 처리물을 장입하는 피더, 처리실에 연통하는 상승관 및 피더와 상승관을 연결시킬 수 있고, 피더로 유입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부를 포함하는 장입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장입 방법으로서, 처리실로의 처리물 장입 중에 처리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통하여 처리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장입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장입 장치 및 방법{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장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실로의 처리물 장입 중에 처리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통하여 처리실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장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는 고로 설비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에너지원으로서, 코크스 오븐 설비에서 제조된다. 코크스 오븐 설비는 오븐 본체를 구비하고, 오븐 본체는 내부에 탄화실이 형성된다. 원료탄은 탄화실의 내부에서 고온 건류되어 코크스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탄화실의 내부는 약 1000℃ 정도의 고온으로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탄화실에 원료탄을 장입하는 중에 원료탄이 고온의 열기에 반응하여 부생가스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이하, 가스라고 한다)를 다량 발생시킨다.
가스는 탄화실에 연결된 상승관을 통하여 탄화실로부터 원활하게 회수되어야 하는데, 이때, 탄화실에 장입 중인 원료탄에 의하여 탄화실 상부의 가스 흐름이 불안정해지거나 정체되면, 탄화실의 장입구에 접속하고 있는 장입차의 피더측으로 가스가 역류하거나 장입구와 피더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가스가 누출된다.
이에, 대기 환경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가스가 발화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KR 10-2016-0018219 A KR 10-2015-0019048 A
본 발명은 처리물의 장입 중에 처리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통하여 처리실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장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입 장치는, 설비 내의 처리실에 처리물을 장입하도록 제공되는 장입 장치로서, 상기 처리실에 처리물을 장입하는 피더; 상기 처리실에 연통하는 상승관; 및 상기 피더와 상기 상승관을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처리실에서 상기 피더로 유입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더는 상기 처리실의 상부에 구비된 장입구를 향하여 신축 가능하고,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와 상기 장입구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피더와 상기 상승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실은 일 방향으로의 복수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승관은 상기 처리실들에 각각 연통하도록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에 연결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상승관들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의 위치에 따라 제1파트와 복수의 제2파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비의 상측에 상기 처리실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더 및 상기 제1파트를 지지하는 차체; 상기 차체에 지지되고, 상기 피더가 연결되는 처리물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트는 상기 차체 및 상기 피더와 함께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처리실 상부에는 처리물을 장입받는 장입구와 이와 이격되고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관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며,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와 상기 장입구를 통하여 상기 처리실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의 하부에 장착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상기 상승관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배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장착되는 분진 포집기; 상기 분진 포집기를 상기 피더와 연결된 처리물 호퍼에 연결시키는 분진 회송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압력 발신기; 상기 유입관, 상기 이송관, 상기 분진 포집기 및 상기 배출기에 장착되는 밸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더는 일 처리실의 장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이송관은 상기 배출기에 의해, 일 처리실 이외 처리실에 장착된 상승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승관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직관부, 및 상기 직관부와 연결되고, 인젝터가 설치되는 곡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기는 상기 곡관부와 상기 이송관을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기는 상호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 분관들과 상기 배출 분관들의 분리 및 결합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기는,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제1분관; 상기 상승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분관과 분리 결합 가능한 제2분관; 상기 제1분관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분관과 상기 제2분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기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2분관의 결합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제2분관에 연결되는 퍼지 가스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입 방법은, 처리물을 호퍼 내에 마련하는 과정; 복수의 처리실 중 일 처리실에 상기 호퍼와 연결된 피더를 접속시키는 과정; 상기 일 처리실에 상기 처리물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피더에 연결된 가스 포집부를 이용하여 가스를 포집하는 과정; 복수의 처리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승관을 통하여 포집된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더를 접속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물을 장입하는 과정 사이에, 상기 일 처리실 이외의 처리실과 연통하는 상승관에 상기 가스 포집부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를 상기 일 처리실과 이웃하는 옆 처리실의 상승관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분진을 포집하여 상기 호퍼로 회송시키고, 분진이 제거된 가스를 상기 상승관을 통하여 정제 설비에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물은 원료탄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실은 코크스 오븐 설비의 탄화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비('처리 설비'라고도 한다) 내의 처리실에 처리물을 장입하는 중에 처리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통하여 처리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다. 즉, 처리실 내부의 가스 흐름이 불안정하여 처리실과 연결된 상승관으로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경우, 처리실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기 전에 처리실의 장입구에 접속된 피더를 통하여 처리실 내의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처리실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입구와 피더 사이의 틈새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원천 방지하고, 대기 중으로 가스가 누출되어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누출된 가스의 발화에 의한 장입 장치 및 처리 설비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코크스 오븐 설비에 적용되면, 장입차에 가스 포집기를 설치하고, 가스 포집기를 피더에 연통시킬 수 있다. 이후, 피더를 통하여 탄화실에 원료탄을 장입하는 동안, 가스 포집기를 작동시켜 피더 내로 유입되는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이때, 가스 포집기에 포집되는 가스로부터 분진을 분리시켜 분진 포집기 내에 저장할 수 있고, 분진의 저장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장입차의 호퍼로 회송시킬 수 있다. 또한, 분진을 제거한 가스는 탄화실에 연결된 상승관으로 배출하는데, 원료탄의 장입이 완료된 탄화실에 연결된 상승관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로부터 대기 중으로 가스가 누출되는 현상을 원천 방지할 수 있고, 장입차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 및 처리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포집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관 및 피더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 포집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기 및 상승관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는 처리실로의 처리물 장입 중에 처리물의 통로를 통하여 처리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를 가스 포집부가 구비된 장입차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 제철소의 코크스 오븐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설비에 처리물을 장입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입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 및 처리 설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의 가스 포집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의 유입관 및 처리 설비의 피더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포집부의 분진 포집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포집부의 배출기 및 처리 설비의 상승관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 설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 설비는 코크스 오븐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설비는, 설비 본체(10), 설비 본체(10)의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처리실(11)들, 처리실(11)들과 전후방향으로 번갈아서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설비 본체(10)의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소실(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실(11)들에는 처리물(C)이 장입되어 처리될 수 있다. 연소실(12)들은 처리실(11)들에 각각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설비 본체(10)는 복수개의 처리실(11)이 내부에 구비되나, 이 외에도, 하나의 처리실(11)이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설비 본체(10)는 코크스 오븐을 포함하고, 처리물(C)은 원료탄을 포함하고, 처리실(11)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물(C)은 처리실(11)의 내부에서 고온으로 건류될 수 있다. 이에, 처리물(C)이 코크스로 제조될 수 있다.
처리실(11)들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복수개의 장입구(13)와 배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중 장입구(13)들은 설비 본체(10)의 상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처리실(11)들에 연통될 수 있다. 처리실(11)마다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장입구(13)와 연통할 수 있다.
장입구(13)들은 리드(15)들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고, 후술하는 피더(430)들로부터 처리물(C)을 장입받을 수 있다. 리드(15)들은 장입구(13)들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장입구(13)에 장입구 프레임(13a)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14)들은 장입구(13)들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설비 본체(10)의 상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처리실(11)들에 연통된다. 배출구(14)들은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후술하는 상승관(16)들이 설치된다. 배출구(14)들을 통하여 처리실(11) 내의 가스(g)가 상승관(16)들로 배출될 수 있다.
처리실(11) 내의 처리물(C)의 상면 형상이 고르지 못하면 가스(g)가 배출구(14)쪽으로 원활히 빠져나가지 못하나, 이때, 후술하는 가스 포집부(440)가 처리실(11) 내의 가스(g)를 장입구(13)들과 접속한 피더(430)를 통해 포집할 수 있다.
처리 설비는, 처리실(11)들의 좌우?향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도어, 처리실(11)들의 좌우방향 일단부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압출카(20), 및 처리실(11)들의 좌우방향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버킷카(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카(20)는 람(미도시)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처리가 종료된 처리물 예컨대 코크스를 처리실(11)의 외부로 압출하고, 버킷카(30)는 처리실(11)에서 압출되는 코크스를 내부에 장입받을 수 있다.
처리 설비는 장입구(13)들을 통해 처리실(11)들에 처리물(C)을 장입할 수 있도록 설비 본체(10)에 제공되는 장입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좌우방향은 압출카(20)와 버킷카(30)가 상호 이격된 방향이고, 상하방향은 장입 장치(400)와 설비 본체(10)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이다. 도 2를 보면, 전후방향은 일 처리실(11a)과 옆 처리실(11b)이 배열된 방향이다. 이러한 방향의 정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들 방향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장치(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입 장치(400)는 설비 본체(10) 내의 처리실(11)에 처리물(C)을 장입하도록 제공되는 장입 장치(400)로서, 처리실(11)에 처리물(C)을 장입하는 피더(430), 처리실(11)에 연통하는 상승관(16), 및 피더(430)와 상승관(16)을 연결시킬 수 있고, 처리실(11)에서 피더(430)로 유입되는 가스(g)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 포집부(440)는 상승관(16)을 이용하여 가스(g)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장입 장치(400)는, 설비 본체(10)의 상측에 처리실(11)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더(430) 및 가스 포집부(440)의 후술하는 제1파트를 지지하는 차체(410), 차체(410)에 지지되고, 피더(430)가 연결되는 처리물 호퍼(4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410)는 설비 본체(1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미도시)상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처리물 호퍼(420)는 차체(410)의 상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처리물 호퍼(420)는 내부에 처리물(C)을 저장할 수 있고, 피더(430)에 처리물(C)을 공급해줄 수 있다.
피터(430)는 처리실(11)의 상부에 구비된 장입구(13)를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피더(430)는 내부에 처리물(C)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피더(430)는 상부가 자체(410) 또는 처리물 호퍼(420)에 지지될 수 있다. 피더(430)는 하부가 하방으로 하강하여 장입구(13)에 접속할 수 있고, 하부가 상방으로 상승하여 장입구(13)에서 이격될 수 있다. 피더(430)가 하강하기 전 장입구(13)에서 리드(15)가 탈착될 수 있다. 피더(430)는 장입구(13)를 통해 처리실(11)에 처리물(C)을 장입할 수 있다. 피더(430)는 복수개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처리물 호퍼(420)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승관(16)은 배출구(14)에 장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출구(14)를 통하여 처리실(11)에 연통할 수 있다. 상승관(16)은, 배출구(14)와 연결되는 직관부(16a), 직관부(16a)와 연결되는 곡관부(16b), 곡관부(16b)를 집합 본관(17)에 연결시키며 이들의 연통을 제어하는 댐퍼(16d), 곡관부(16b)에 설치되는 인젝터(16c)를 포함할 수 있다. 직관부(16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관으로서 배출구(14)에 장착될 수 있다. 곡관부(16b)는 입구와 출구 사이가 소정의 각도로 굽혀진 중공의 관으로서 입구가 직관부(16a)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인젝터(16c)는 곡관부(16b)의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안수 배관에 연결되어 곡관부(16b)의 하부에 안수를 고압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부압이 곡관부(16b)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관부(16a)에서 곡관부(16b)로의 가스(g)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댐퍼(16d)는 곡관부(16b)의 출구에 장착되어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댐퍼(16d)는 곡관부(16b)와 집합본관(17)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승관(16)은 설비 본체(10)의 상측에 복수개 구비되고, 처리실(11)마다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집합본관(17)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댐퍼(16d)들과 연결될 수 있다. 집합 본관(17)은 상승관(16)들로부터 가스(g)를 회수하고, 이를 정제 설비(미도시)로 이송할 수 있다. 정제 설비에서 정제된 가스는 에너지원으로서 제철소의 여러 개소에 공급될 수 있다.
가스 포집부(440)는 피더(430)와 상승관(16)을 연결시킬 수 있고, 피더(430)와 장입구(13)를 통하여 처리실(11)에 연통된다. 이로부터, 가스 포집부(440)는 처리실(11)에서 피더(430)로 유입되는 가스(g)를 포집할 수 있고, 상승관(16)을 이용하여 가스(g)를 배출할 수 있다. 이를테면 가스 포집부(440)는 피더(4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g)를 포집하고, 이를 상승관(16)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가스 포집부(440)는 피더(430)와 장입구(13)의 접속 여부에 따라 피더(430)와 상승관(16)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분할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가스 포집부(440)는 여러 부분의 파트 예컨대 하나의 제1파트 및 복수의 제2파트로 구성되고, 각 파트가 연결됨에 따라 피더(430)와 상승관(16)을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실(11)은 일 방향 예컨대 전후방향으로의 복수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승관(16)은 처리실(11)들에 각각 연통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가스 포집부(440)는 피더(430)에 연결되는 제1파트 및 상승관(16)들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파트는 피더(430)에 장착되고, 차체(410)의 주행에 의하여 피더(430)와 함께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파트는 상승관(16)들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에, 피더(430)의 일 방향 위치에 따라, 예컨대 하나의 제1파트는 복수의 제2파트 중 하나와 결합되고, 복수의 제2파트 중 나머지와는 분리될 수 있다. 즉, 피더(430)의 일 방향 위치에 따라, 가스 포집부(440)의 제1파트와 복수의 제2파트가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파트는 후술하는 유입관(441), 이송관(442), 및 제1분관(443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파트는 후술하는 제2분관(44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분관(443a)을 이송관측 분관이라 하고, 제2분관(443b)을 상승관측 분관이라 하며, 이송관측 분관과 상승관측 분관을 통칭하여 배출 분관들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 가스 포집부(440)를 설명한다. 가스 포집부(440)는, 피더(4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유입관(441), 유입관(441)에 연결되는 이송관(442), 이송관(442)과 상승관(16)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배출기(443), 이송관(442)의 일측에 장착되는 분진 포집기(444), 분진 포집기(444)를 처리물 호퍼(420)에 연결시키는 분진 회송기(445), 이송관(442)에 장착되는 압력 발신기(446), 그리고 유입관(441)과 이송관(442)과 분진 포집기(444)와 배출기(443)에 장착되는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포집부(440)는 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더(430)는 일 처리실(11a)의 장입구(13)에 접속하고, 도 2의 B 부분을 보면, 이송관(442)은 일 처리실(11a) 이외의 처리실에 연결된 상승관(16-2)에 배출기(44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 부분과 같이, 일 처리실(11a)에 연결된 상승관(16-1)은 이송관(442)과 분리될 수 있다. 일 처리실(11a)은 처리물(C)의 처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처리실일 수 있다. 이외의 처리실은 일 처리실(11a)와 이웃하는 옆 처리실(11b)일 수 있고, 처리물(C)의 장입이 완료된 처리실일 수 있다. 특히, 처리물(C)의 처리 예컨대 고온 건류가 진행 중인 처리실일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유입관(441)을 매개로 피더(430)에 연결된 이송관(442)은 배출기(443)에 의해, 일 처리실(11a)의 상승관(16-1)이 아닌 옆 처리실(11b)의 상승관(16-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처리물(C)이 장입중인 일 처리실(11a)은 아래와 같이 두 개의 가스 배출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첫번째 경로는 일 처리실(11a)에서 일 처리실(11a)의 상승관(16-1)으로 연결된 주 배출 경로이다. 또한, 두 번째 경로는 일 처리실(11a)에서 피더(430)와 유입관(441)을 거쳐 이공관(442)과 배출기(443)를 통해 옆 처리실(11b)의 상승관(16-2)으로 이어지는 백업 경로이다. 즉, 배출기(443)에 의하여 일 처리실(11a)의 상승관(16-1)에 대하여 독립된 하나의 가스 배출 경로가 일 처리실(11a)에 더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처리실(11a)의 상승관(16-1)을 일 상승관이라 하고, 옆 처리실(11b)의 상승관(16-2)을 옆 상승관 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 처리실(11a)은 일 상승관과 직접 연결되고, 옆 상승관과 가스 포집부(440)를 매개로 연결되며, 일 상승관과 옆 상승관 모두에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가스 포집부(440)는 처리물(C)이 장입중인 일 처리실(11a)에 연결된 상승관(16-1)의 가스 배출 흐름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특히, 처리물(C)이 건류되는 옆 처리실(11b)과 연결된 상승관(16-2)의 부압을 이용하여, 일 처리실(11a)에 접속한 피더(430)내의 가스(g)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포집부(440)가 옆 상승관을 이를테면 부압의 생성원과 가스의 배출 탱크로 다각도로 이용함에 따라, 장입 장치(400)가 별도의 펌프 및 컴프레셔 등을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특히, 포집된 가스를 처리할 때, 처리 설비에 구비된 집합본관(17)을 활용할 수 있어 장입 장치(400)의 구조나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관(441)은 피더(430)의 외측을 둘러감아 예컨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유입관(441a), 제1유입관(441a)의 외주면에서 피더(430)측으로 돌출되고, 제1유입관(441a)과 피더(430)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유입관(441b),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제1유입관(441a)에 연결되는 제3유입관((441c),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유입관(441c)의 상부와 연결된 유입본관(44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유입관(441b)는 피더(4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고, 방사상으로 장착되며, 하나의 피더(430)마다 복수개 예컨대 네 개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이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1유입관(441a), 제2유입관(441b) 및 제3유입관(441c)은 피더(430)마다 각각 구비되고, 유입본관(441d)는 제3유입관(441c)들을 연결시키도록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3유입관(441c)들에는 각각 제1밸브(447a)가 장착되는데, 제1밸브(447a)는 핀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447a)에 의하여 피더(430)에서 유입본관(441d)으로 가스(g)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가스(g)는 일 처리실(11a)에서 피더(430)로 유입되고, 제1유입관(441a), 제2유입관(441b), 및 제3유입관(441c)을 거쳐 유입본관(441d)으로 흐를 수 있다. 유입본관(441d)에는 이송관(44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송관(442)은 유입본관(441d)과 연결된 일측이 상하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배출기(443)와 연결된 타측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송관(442)의 형상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송관(442)은 유입본관(441d)으로 유입된 가스(g)를 배출기(44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관(442)의 일측에 분진 포집기(444)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진 포집기(444)는 가스(g)에 혼입된 분진(c')을 가스(g)로부터 분리시켜 분진(c')만 따로 포집할 수 있다. 분진(c')은 분진 포집기(444)에 소정량 누적된 후 분진 회송기(445)를 통하여 처리물 호퍼(420)로 회송될 수 있다.
분진 포집기(444)의 포집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자연 낙하를 이용한 포집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분진 포집기(444)는, 이송관(442)의 일측에 장착되는 확장관(444a), 확장관(444a)의 하측에서 확장관(444a)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낙하관(444b), 낙하관(444b)에 연결되는 포집 탱크(444c), 포집 탱크(444c)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분진 배출관(444d)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관(444a)은 이송관(442)에 직렬 연결되며, 내경은 이송관(44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g)는 이송관(442)를 지나며 확장관(444a)을 경유할 수 있다. 가스(g)는 확장관(444a)을 지나면서 팽창할 수 있고, 이에, 가스(g)의 유속이 느려져 분진(c')이 운동성을 잃고 낙하관(444b)으로 자연 낙하될 수 있다. 이후, 가스(g)는 이송관(442)으로 빠져나가고 분진(c')낙하관(444b)를 거쳐 포집 탱크(444c)에 저장될 수 있다. 포집 탱크(444c)의 저장 용량에 분진(c')의 포집량이 도달하면, 분진 배출관(444d)으로 분진(c')을 배출한다. 이때, 분진 배출관(444d)에 장착된 제2밸브(447b)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제2밸브(447b)는 예컨대 핀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분진 배출관(444d)의 출구 단부에는 분진 회송기(445)가 마련된다. 분진 회송기(445)는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처리물 호퍼(42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분진(c')은 분진 회송기(445)에 적재되어 처리물 호퍼(420)로 회송될 수 있다. 물론, 분진 회송기(445)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압력 발신기(446)는 이송관(442)의 타측에 장착되고, 이송관(442)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기(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이송관(442)의 압력은 제어기의 제어에 활용되고, 일 처리실(11a)의 내부 분위기와 처리물(C) 장입 상태의 판단에도 활용될 수 있다. 압력 발신기(446)는 다양한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기(443)는 곡관부(16b)와 이송관(442)을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출기(4430는 상호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 분관들(443a, 443b)과, 배출 분관들(443a, 443b)의 분리 및 결합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기(443c)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기(443)는, 이송관(442)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제1분관(443a), 곡관부(16b)의 하부에 장착되고, 제1분관(443a)과 분리 결합이 가능한 제2분관(443b), 및 제1분관(443a)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구동기(44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관(443a)은 이송관(442)의 타측에 연결될 수있다. 제1분관(443a)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중심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분관(443a)은 양단부가 강체관이고 중심부가 연성관 혹은 탄성관일 수 있다. 여기서, 연성관은 주름관과 같이 표면 형상과 구조에 의해 굽힘 및 신축이 가능한 관을 의미하고, 또한, 탄성관은 고무 호스와 같이 재질에 의해 굽힘과 신축이 자유로운 관을 의미한다. 제1분관(443a)은 일단부가 이송관(442)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분관(443b)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분관(443b)은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곡관부(16b)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분관(443b)의 타측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분관(443a)의 타단부를 마주볼 수 있다. 제2분관(443b)의 타측의 단부에 제1분관(443a)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분관(443b)의 타측의 단부는 제1분관(443a)의 타단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디퓨저의 형상일 수 있다.
구동기(443c)는 예컨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443c)는 일측이 제1분관(443a)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제1분관(443a)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되며, 제1분관(443a)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분관(443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기(443c)가 신전되어 제1분관(443a)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간격을 좌우방향으로 늘리면, 제1분관(443a)의 타단부가 제2분관(443b)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고,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부터, 배출기(443)가 이송관(442)과 곡관부(16b)을 연통시킬 수 있다.
구동기(443c)가 수축되어 제1분관(443a)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간격을 좌우방향으로 좁히면 제1분관(443a)의 중심부가 굽혀지고, 제1분관(443a)의 타단부가 제2분관(443b)의 타측 단부에서 멀어지면 이들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배출기(443)가 이송관(442)과 곡관부(16b)을 분리시킬 수 있다.
구동기(443c)는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는 장입 장치(400)의 전체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동하며 피더(430)의 작동에 따라 구동기(443c)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는 피더(430)와 장입구(13)가 접속하면 배출 분관들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동기(443c)를 신전시키고, 피더(430)가 장입구(13)에서 이격되면, 배출 분관들을 상호 분리시키도록 구동기(443c)를 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기(443)는 배출 분관들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감지기(443d), 및 제2분관(443b)에 연결되는 퍼지 가스 배관(443e)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443d)는 배출 분관들의 결합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기(443d)는 감지바 및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바는 제1분관(443a)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감지 센서는 감지바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분관(443b)의 타측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결합되면, 감지바와 감지 센서가 접촉될 수 있고, 이로부터, 감지 센서가 배출 분관들의 결합을 감지하여 제어부기 송출할 수 있다. 제어기는 감지 센서가 배출 분관들의 결합을 감지하면 구동기(443c)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제1밸브(447a) 내지 제4밸브(447d)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감지 센서는 리미트 스위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제1분관(443a)은 일단부에 제3밸브(447c)가 설치될 수 있다. 제3밸브(447c)는 이송관(442)에서 제1분관(443a)으로의 가스(g)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3밸브(447c)는 핀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분관(443b)은 타측에 제4밸브(447d)가 설치될 수 있다. 제4밸브(447c)는 다양한 역할을 가진다. 제4밸브(447c)는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결합하였을 때, 제1분관(443a)에서 곡관부(16b)로의 가스(g)의 흐름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4밸브(447c)는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분리되면, 곡관부(16b)의 가스(g)가 제2분관(443b)을 통하여 외기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퍼지 가스 배관(443e)은 퍼지 가스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고, 필요 시 제2분관(443b) 내에 퍼지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을 분리시키기 전에, 제2분관(443b) 내에 퍼지 가스를 주입하여, 제2분관과 이에 연결된 제1분관의 내부를 퍼지 가스로 세정해줄 수 있다. 퍼지 가스는 질소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3밸브(447c)와 제4밸브(447d)가 차단되고,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분리되면 제1분관(443a)의 타단부와 제2분관(443b)의 타측 단부가 외기에 노출되나, 이들 내부에는 앞서 퍼지 가스가 주입되었으므로, 가스(g)의 외기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퍼지 가스 배관(443e)에는 제5밸브(447e)가 장착될 수 있다. 제5밸브(447e)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밸브(447a) 내지 제5밸브(447e)의 작동은 제어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는 일 처리실(11a)로 처리물(C)을 장입하는 동안 밸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분관(443b)을 통과하여 곡관부(16b)의 하부로 가스(g)가 유입되고, 이후, 인젝터(16c)에서 분사되는 고압 안수와 함께 집합본관(17)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댐퍼(16d)가 곡관부(16b)의 하부와 집합본관(17)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 방법은, 처리물(C)을 처리물 호퍼(420) 내에 마련하는 과정, 복수의 처리실(11) 중 일 처리실(11a)에 처리물 호퍼(420)와 연결된 피더(430)를 접속시키는 과정, 일 처리실(11a)에 처리물(C)을 장입하는 과정, 피더(430)에 연결된 가스 포집부(440)를 이용하여 가스(g)를 포집하는 과정, 및 복수의 처리실(1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승관(16)을 통하여 포집된 가스(g)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장입 방법은 피더(430)를 접속시키는 과정과 일 처리실(11a)에 처리물(C)을 장입하는 과정 사이에, 일 처리실(11a) 이외의 처리실과 연통하는 상승관에 가스 포집부(440)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처리실(11a) 이외의 처리실과 연통하는 상승관에 가스 포집부(440)를 연결시키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가스 포집부(440)를 일 처리실(11a)과 이웃하는 옆 처리실(11b)의 상승관에 연결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우선, 처리물(C)을 처리물 호퍼(420) 내에 마련한다. 차체(410)를 주행시켜, 일 처리실(11a)의 상측에 피더(430)들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일 처리실(11a)은 처리물(C)을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된 처리실일 수 있다. 여기서, 준비된 처리실(11)이라고 함은 예컨대 코크스가 압출된 후, 도어가 장착된 상태의 처리실(11)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차체(410)가 주행하여 일 처리실(11a)의 상측에 피더(430)들을 위치시키면, 제1분관(443a)과 제2분관(443b)이 좌우방향으로 정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피더(430)를 매개로 하여 일 처리실(11a)과 연결되는 제1분관(443a)이 옆 상승관(16-2)에 연결된 제2분관(443b)에 대하여 정위치가 될 수 있다.
이후, 피더(430)의 하부를 하강시켜 장입구(13)에 피더(430)를 접속시킨다.
이후, 가스 포집부(440)를 옆 상승관(16-2)에 연결시킨다. 예컨대 배출 분관들을 결합시켜, 이송관(442)과 옆 상승관(16-2)의 곡관부(16b)를 연결시켜서, 가스 포집부(440)를 옆 상승관(16-2)에 연결시킨다. 이로부터, 피더(430)와 가스 포집부(440)를 매개로 일 처리실(11a)과 옆 상승관(16-2)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를 이용하여 제1밸브(447a) 내지 제4밸브(447d)를 개방한다. 그리고 인젝터(16c)를 작동시켜 옆 상승관(16)의 곡관부(16b)에 고압 안수를 분사하여 부압을 형성시킨다. 이때, 댐퍼(16d)가 개방된다.
이후, 피더(430)를 이용하여 일 처리실(11a)에 처리물(C)을 장입한다. 이와 함께 가스 포집부(440)를 이용하여 가스(g)를 포집하고, 포집된 가스(g)를 옆 상승관(16-2)을 통하여 배출한다. 가스(g)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분진 포집기(444)를 이용하여 가스(g)로부터 분진(c')을 포집하여 포집 탱크(444c)에 수용하고, 소정량의 분진(c')이 누적되면 이를 처리물 호퍼(420)로 회송시킨다. 이후, 분진(c')은 재활용될 수 있다. 분진이 제거된 가스는 옆 상승관(16-2)을 통하여 정제 설비에 방출한다. 이에, 일 처리실(11a)에서 일 상승관(16-1)으로의 가스(g) 배출에 이상이 있어도, 옆 상승관(16-2)을 통하여 일 처리실(11a) 내의 가스(g)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대기 중으로 가스(g)가 누출되는 현상을 원천 방지할 수 있고, 장입 장치(400)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물(C)의 장입이 완료되면, 제5밸브(447e)를 개방하여 배출 분관들의 내부를 퍼지 가스로 퍼지시키고, 제1밸브(447a) 내지 제5밸브(447e)를 차단한 후, 배출 분관들을 분리시킨다. 이때, 옆 상승관(16-2)의 곡관부(16b)로의 고압 안수 분사가 종료되고, 옆 상승관(16-2)과 연통하는 옆 처리실(11b)은 정상 압력인 플러스 압력의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 같은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오븐 본체 11: 처리실
11a: 일 처리실 11b: 옆 처리실
13: 장입구 14: 가스 배출구
16: 상승관 400: 장입 장치
410: 차체 420: 호퍼
430: 피더 440: 가스 포집부
441: 유입관 442: 이송관
443: 배출기 444: 분진 포집기
445: 분진 회송기 446: 압력 발신기

Claims (18)

  1. 설비 내의 처리실에 처리물을 장입하도록 제공되는 장입 장치로서,
    상기 처리실에 처리물을 장입하는 피더;
    상기 처리실에 연통하는 상승관; 및
    상기 피더와 상기 상승관을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처리실에서 상기 피더로 유입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는 상기 처리실의 상부에 구비된 장입구를 향하여 신축 가능하고,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와 상기 장입구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피더와 상기 상승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장입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실은 일 방향으로의 복수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승관은 상기 처리실들에 각각 연통하도록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에 연결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상승관들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의 위치에 따라 제1파트와 복수의 제2파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장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상측에 상기 처리실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더 및 상기 제1파트를 지지하는 차체;
    상기 차체에 지지되고, 상기 피더가 연결되는 처리물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트는 상기 차체 및 상기 피더와 함께 주행하는 장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처리실 상부에는 처리물을 장입받는 장입구와 이와 이격되고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관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며,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와 상기 장입구를 통하여 상기 처리실에 연통하는 장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피더의 하부에 장착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상기 상승관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배출기;를 포함하는 장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장착되는 분진 포집기;
    상기 분진 포집기를 상기 피더와 연결된 처리물 호퍼에 연결시키는 분진 회송기;를 더 포함하는 장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압력 발신기;
    상기 유입관, 상기 이송관, 상기 분진 포집기 및 상기 배출기에 장착되는 밸브들;을 더 포함하는 장입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일 처리실의 장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이송관은 상기 배출기에 의해, 일 처리실 이외 처리실에 장착된 상승관과 연결되는 장입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승관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직관부, 및 상기 직관부와 연결되고, 인젝터가 설치되는 곡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기는 상기 곡관부와 상기 이송관을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설치되는 장입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상호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 분관들과 상기 배출 분관들의 분리 및 결합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기를 구비하는 장입 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제1분관;
    상기 상승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분관과 분리 결합 가능한 제2분관;
    상기 제1분관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분관과 상기 제2분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장입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2분관의 결합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제2분관에 연결되는 퍼지 가스 배관;을 더 포함하는 장입 장치.
  14. 처리물을 호퍼 내에 마련하는 과정;
    복수의 처리실 중 일 처리실에 상기 호퍼와 연결된 피더를 접속시키는 과정;
    상기 일 처리실에 상기 처리물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피더에 연결된 가스 포집부를 이용하여 가스를 포집하는 과정;
    복수의 처리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승관을 통하여 포집된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더를 접속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물을 장입하는 과정 사이에,
    상기 일 처리실 이외의 처리실과 연통하는 상승관에 상기 가스 포집부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를 상기 일 처리실과 이웃하는 옆 처리실의 상승관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분진을 포집하여 상기 호퍼로 회송시키고, 분진이 제거된 가스를 상기 상승관을 통하여 정제 설비에 방출하는 장입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은 원료탄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실은 코크스 오븐 설비의 탄화실을 포함하는 장입 방법.
KR1020180082457A 2018-07-16 2018-07-16 장입 장치 및 방법 KR102124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57A KR102124334B1 (ko) 2018-07-16 2018-07-16 장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57A KR102124334B1 (ko) 2018-07-16 2018-07-16 장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91A KR20200008391A (ko) 2020-01-28
KR102124334B1 true KR102124334B1 (ko) 2020-06-19

Family

ID=6937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457A KR102124334B1 (ko) 2018-07-16 2018-07-16 장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3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278B2 (ja) 1997-11-13 2008-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上昇管口から飛散するソフトカーボン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31B1 (ko) * 2001-10-22 2007-10-04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차의 탄화실 배기장치
KR100928781B1 (ko) * 2002-12-23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방산 가스 포집 장치
KR101159744B1 (ko) * 2009-10-29 2012-06-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용 장입장치
KR101309725B1 (ko) * 2011-11-29 2013-09-17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차용 드롭 슬리브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523648B1 (ko) 2013-08-12 2015-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101597261B1 (ko) 2014-08-08 2016-02-2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의 장입 레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278B2 (ja) 1997-11-13 2008-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上昇管口から飛散するソフトカーボン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91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310A (ko) 충방전 공정 중에 코크스 오븐 챔버에 부압을 형성하는 방법
CN103743234B (zh) 多管隧道窑车烧结散料负压吸送卸料装置
KR102124334B1 (ko) 장입 장치 및 방법
CN103213844A (zh) 高炉煤气除尘装置的输排灰方法及设备
KR101442919B1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압력 제어 장치
CN203173501U (zh) 浓相气力输排灰系统及双套管气力输送装置
KR20160070534A (ko) 매립가스의 안정적 균등 포집을 위한 유량 조절 제어실을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장치
CN1120531C (zh) 用于蓄电池的盖及与该盖配用的充电装置
AU696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charging gases that form during coal charging of coke oven batteries
KR101522097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시스템
CN203173499U (zh) 除尘装置均压卸料结构及高炉煤气除尘装置均压卸料结构
KR101742080B1 (ko) 원료 장입장치 및 원료 장입방법
CN212369755U (zh) 混合设备的粉尘净化装置及混合设备
CN210176883U (zh) 一种高炉料罐均压放散煤气综合净化回收系统
CN206831481U (zh) 高温高压固体残渣冷却排放装置
CN103459557B (zh) 在以压实煤饼装载炼焦炉组的炉室时用于减少填充气体排放的方法和设备
KR101453655B1 (ko) 코크스 오븐
CN210527401U (zh) 一种用于煤粉仓的供应装置及具有该供应装置的煤粉仓
CN111729417B (zh) 混合设备的粉尘净化方法及装置、混合设备
SU9985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равнивани давлени в межконус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засыпного аппарата доменной печи
KR101309725B1 (ko) 장입차용 드롭 슬리브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891199B1 (ko)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EP0011673B1 (en) Coke oven loading apparatus
KR101735363B1 (ko) 가스 예열 장치
KR101320084B1 (ko) 코크스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