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80B1 - 선박용 실링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280B1
KR102124280B1 KR1020190131919A KR20190131919A KR102124280B1 KR 102124280 B1 KR102124280 B1 KR 102124280B1 KR 1020190131919 A KR1020190131919 A KR 1020190131919A KR 20190131919 A KR20190131919 A KR 20190131919A KR 102124280 B1 KR102124280 B1 KR 10212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haft
elastic
sealing devi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진
Original Assignee
서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4056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242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진 filed Critical 서효진
Priority to KR102019013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4Other sealings for rotating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or stern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실링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선박용 실링 장치는,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샤프트와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회전하지 않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소재로 제공되는 제1 면을 이루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소재로 제공되는 제2 면을 이루고, 제1 면과 제2 면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하게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실링 장치{SEAL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선박의 엔진실을 도시한다. 샤프트(1)는 선박 외부의 프로펠러(2)에 연결되며, 엔진(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프로펠러(2)를 회전시킨다. 샤프트(1)는 선박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며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1)가 관통하는 틈새로 해수가 유입되어 선박이 침수되거나, 선박 내부의 오일이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어 해양 오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해수 유입 또는 오일 유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박의 샤프트(1)에 실링 장치(4)를 결합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7-156887호(공개일: 1995.06.20.)
본 발명은 실링 능력이 향상된 선박용 실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가 감소되며 설치가 간편한 선박용 실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용 실링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선박용 실링 장치는,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샤프트와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회전하지 않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소재로 제공되는 제1 면을 이루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소재로 제공되는 제2 면을 이루고, 제1 면과 제2 면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텅스텐면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도금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부재는, 일면이 제1 부재와 맞닿게 제공되는 제1 실링 부재와; 일측은 제1 실링 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은 선미관에 고정되고, 제1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바디는 수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바디는 MC나일론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바디는 냉각수가 통과될 수 있는 냉각홀이 형성되며, 제1 바디의 내경을 따라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는 유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부재의 선미측 일단에 제공되어, 제1 부재를 지지하고, 제1 실링 부재를 커버하도록 제공되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부재와 제2 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실링 부재는 실리콘 고무 소재 또는 니트릴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실링 부재는, 일측이 제1 부재와 접촉하는 실링 링과; 실링 링을 탄성 가압하여 제1 부재와의 접촉력을 강화하는 탄성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실링 부재는, 카본 소재의 제2 면을 갖는 링 형상의 실링부를 금형에 인서트하여, 실링부가 인서트된 금형에 탄성 소재의 재료를 넣고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선박용 실링 장치는,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샤프트와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회전하지 않도록 제공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일면이 제1 부재와 맞닿게 제공되는 제1 실링 부재와; 제1 실링 부재의 타면에서 제1 실링 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설정된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실링 부재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탄성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제1 실링 부재의 타면과 맞닿아 면접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코일 스프링의 내경으로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탄성부와 플랜지부는 용접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실링 부재와 제1 부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투영되는 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부재는, 일측은 제1 실링 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은 선미관에 고정되고, 제1 바디를 더 포함하고, 탄성부의 타단은 제1 바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실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 단가가 감소되며 설치가 간편하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선박의 엔진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실링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링 부재와 탄성 부재의 결합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실링 장치(10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실링 장치(100)를 설명한다. 선박용 실링 장치(100)는 선박의 샤프트(1, 도 1 참조) 등에 삽입되어서 유체(해수 또는 오일 등)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선박용 실링 장치(100)로 인해 샤프트(1, 도 1 참조)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선박 내부의 오일이 선박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해수가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실링 장치(100)는 선미관(미도시)에 대해서 고정되어서 회전하지 않는 고정 부재로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그리고 샤프트(1, 도 1 참조)의 둘레에 밀착되어서 샤프트(1, 도 1 참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 제3 바디(13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10)은 선미관(미도시) 등에 결합되며, 회전하지 않는 고정 부재에 해당한다. 제1 바디(110)은 선미관에 직접 결합될 수 있지만, 다른 부재에 의해서 선미관에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10)은 선미관 이외에 선박의 다른 부분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바디(110)는 수지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바디(110)는 MC나일론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은 원통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샤프트(1)에 비해서 큰 직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일예로 제1 바디(110)가 수지재로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바디(110)가 금속재로 제공되는 것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제1 바디(110)는 선수 방향의 둘레에는 플랜지부(11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11)는 제2 바디(120)와 결합면을 제공한다. 플랜지부(111)에는 결합공(111a)이 형성된다. 결합공(111a)은 플랜지부(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체결 부재에 의해 제2 바디(120)와 결합된다. 체결 부재는 예컨대, 볼트(171)와, 와셔(172)와, 너트(173)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너트(173)는 플랜지 너트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선미 방향에는 결합부(112)가 형성된다. 결합부(112)는 관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쐐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바디(110)에는 선미관(미도시)과 결합하기 위한 추가의 구성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에는 냉각홀(118)이 제1 바디(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냉각홀(118)에는 결합 노즐(미도시)이 삽입된다. 결합 노즐(미도시)를 통해서 제1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해수는 냉각수로서 역할한다. 유입된 해수는 제1 바디(110)의 내경에 형성된 유로홈(도면부호 미표기)을 따라 유통되며 주요하게는 제1 바디(110)을 냉각한다. 또한 유입된 해수는 열전도에 따라 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냉각홀(118)를 통해서 유입된 해수는 실링 장치(100)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냉각홀(118)을 통해 공급된 해수는 제1 바디(110)를 직접 냉각한다. 이로서 제1 바디(110)는 열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내부공간(도면부호 미표기)에는 탄성 부재(140)가 위치한다. 탄성 부재(140)는 회전하지 않는 고정 부재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140)는 탄성부(141)와 플랜지부(142)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탄성부(141)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41)를 이루는 코일 스프링의 직경은 샤프트보다 크게 제공되어, 코일 스프링의 내부로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다. 탄성 부재(140)의 탄성부(141)의 일단은 제1 바디(11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 부재(140)의 탄성부(141)의 타단에 플랜지부(142)가 결합되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41)와 플랜지부(142)의 결합은 용접에 의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플랜지부(142)는 샤프트(1)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41)와 플랜지부(142)의 접촉면에는 용접부(143)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42)는 후술하는 제1 실링 부재(150)를 탄성 가압한다. 플랜지부(142)는 후술하는 제1 실링 부재(150)와 면접촉한다. 플랜지부(142)가 제공됨에 따라, 샤프트의 진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이 샤프트와 마찰되면서 샤프트를 손상시키거나, 심할 경우 코일 스프링이 파손되어 후술하는 제1 실링 부재(150)를 찢어버리는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제1 실링 부재(150)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될 제1 실링 부재(150)의 실링부(155)를 고르게 가압함에 따라, 실링부(155)와 후술될 제3 바디(130)의 단부면(131c)의 면접촉이 고르게 제공되도록 한다.
제1 실링 부재(150)는 후술하는 제3 바디(130)와 상호 접촉에 의해 실링 효과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제1 실링 부재(150)는 탄성부(151)와 실링부(155)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51)는 실링부(155)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51)는 실링부(155)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51)는 실링부(155)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부(151)는 고무 소재로 제공된다. 실링부(155)는 회전하는 제3 바디(130)와 접촉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탄성부(151)는 이러한 진동을 상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부(151)는 외경에서부터 내경으로 고정부(152), 아치부(153), 실링결합부(154)를 포함한다. 고정부(152)는 제1 바디(110)와의 고정면을 제공한다. 즉, 고정부(152)는 제1 바디(110)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이룬다. 고정부(152)에는 그 둘레를 따라 결합공(152a)이 형성된다. 아치부(153)은 고정부(152)의 내경측에 형성되며 아치 형상을 이룬다. 아치부(153)은 탄성부(151)의 탄성력을 강화한다. 즉, 아치부(153)에 의해 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한 탄성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아치부(153)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실링 결합부(154)는 아치부(153)의 내경측에 형성된다. 실링결합부(154)는 실링부(155)와 결합면을 제공한다. 실링결합부(154)는 선수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정 높이는 아치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을 수 있다. 실링결합부(154)의 선미측 방향에는 단턱(154a)과 지지면(154b)이 형성된다. 단턱(154a)은 탄성 부재(140)의 플랜지부(142)의 걸림 단턱으로 기능한다. 도 5를 통해 참조되듯, 단턱(154a)은 제1 실링 부재(150)의 저면은 내경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단턱(154a)은 탄성 부재(140)의 축과 수직한 방향에 따른 위치를 고정함에 따라, 샤프트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탄성 부재(140)가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지지면(154b)는 플랜지부(142)의 지지면으로 기능한다. 지지면(154b)과 플랜지부(142)는 면접촉한다. 탄성 부재(140)의 탄성부(141)와 지지부(142)가 용접결합되어 제공되고, 지지면(154b)과 플랜지부(142)가 면접촉함에 따라, 탄성 부재(140)가 제1 실링 부재(150)의 실링부(155)를 안정적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실링부(155)는 실결합부(154)의 선수측 상면을 이룬다. 실링부(155)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155)는 실리콘 카바이드, 텅스텐 카바이드, 텅스텐, 세라믹, 스테라이트, 카본, 구리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링부(155)는 카본 소재로 제공된다. 실링부(155)는 제3 바디(130)와 면접촉하는 접촉면을 이룬다. 즉, 실링부(155)는 상술한 어느 소재로 제공되는 면을 이룬다. 실링부(155)는 탄성 부재(140)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실링부(155)와 제3 바디(130)가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투영되는 면과 겹쳐 플랜지부(142)가 위치되고, 탄성 부재(140)에 의해 실링부(155)가 가압됨에 따라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링 부재(150)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 실링 부재(150)의 실링부재(150)의 성형시 실링부(155)는 인서트 성형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제1 실링 부재(150)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1 실링 부재(150)를 성형할 금형(미도시)을 준비하고, 금형(미도시)에 카본 소재로 제공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155)를 인서트하고, 카본 소재로 제공되는 링 형상의 실링부(155)가 인서트된 금형에 제1 실링 부재를 이루는 탄성 소재의 재료를 넣고 성형하여 제조된다. 실링부(155)가 제1 실링 부재(150)의 제조시에 인서트 성형됨에 따라, 본드 접착과 비교하여 부품 탈루의 위험성이 최소화된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는 제1 실링 부재(150)를 커버하면서, 제3 바디(130)의 측면을 지지한다. 제2 바디(120)는 회전하지 않는 고정 부재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바디(120)는 금속 소재로 제공된다. 제2 바디(120)는 플랜지부(121)와 지지부(122)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21)에는 결합공(121a)이 형성된다. 결합공(121a)는 플랜지부(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플랜지부(121)의 결합공(121a)과 제1 실링 부재(150)의 결합공(152a)과 제1 바디(110)의 결합공(111a)은 서로 연통하도록 제공되며, 이들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지지부(122)는 제3 바디(130)를 지지한다. 지지부(122)의 내경에 제3 바디(130)가 삽입된다. 지지부(122)와 제3 바디(130)의 사이에는 제2 실링 부재(160)가 제공된다. 또한, 제2 바디(120)에는 결합부(123)가 제공된다. 결합부(123)에는 결합홀(123a)이 형성된다. 결합홀(123a)은 후술하는 체결부재(181)가 체결되는 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와 제3 바디(130)의 사이에는 제2 실링 부재(16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120)의 지지면(122)과 제3 바디(130)의 측면 사이에는 제2 실링 부재(160)가 제공된다. 제2 실링 부재(160)는 실링 링(161)와 탄성링(162)을 포함한다. 실링 링(161)은 실리콘 소재로 제공된다. 실링 링(161)은 후술하는 제3 바디(130)와 접촉한다. 탄성링(162)은 실링 링(161)을 탄성 가압하여 제3 바디(130)와의 접촉을 강화한다. 탄성링(162)은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의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탄성링(162)이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가지며 직경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고, 그 중심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이면 충분하다. 제2 실링 부재(160)와 제2 바디(120)는 본드에 의해 결합된다. 제2 실링 부재(160)는 2차적인 실링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제1 실링 부재(150)과 후술하는 제3 바디(130)의 접촉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3 바디(130)는 샤프트(1)의 둘레에 밀착 고정된다. 제3 바디(130)는 샤프트(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이다. 제3 바디(130)의 중앙에는 샤프트(1)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바디(130)는 실링 바디(131)와 테이퍼링(132)과 링플랜지(133)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3 바디(130)는 금속 소재로 제공된다.
실링 바디(131)의 선미측 단부면(131c)은 텅스텐, 텅스텐 카바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세라믹, 카본, 스테라이트, 구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코팅된다. 바람직하게는 텅스텐으로 코팅된다. 실링 바디(131)의 선미측 단부면(131c)는 제1 실링 부재(150)의 실링부(151)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한다. 상술한 어느 소재의 소재의 단부면(131c)과 카본 소재의 실링부(151)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함에 따라, 선미관으로부터의 해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실링 바디(131)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면(131a)이 형성된다. 테이퍼면(131a)은 테이퍼링(132)에 형성된 테이퍼면(132a)과 동일한 경사각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실링 바디(131)의 내주면에는 실링 부재(134)가 제공되어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 실링 부재(134)는 오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34)은 제1 오링(134a)과 제2 오링(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실링 부재(134)로서 2개의 오링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실링 바디(131)의 둘레면에는 체결부(131b)가 형성된다. 체결부(131b)는 홈 또는 홀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체결부(131b)에는 체결부재(180)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180)는, 실링 장치(100)를 샤프트(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실링바디(131)를 제2 바디(120)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압하고 그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실링바디(131)의 둘레에 결합된 체결부재(180)는 가압볼트(181)가 제2 바디(1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2 바디(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실링바디(131)도 함께 제2 바디(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체결부(131b)는 실링바디(131)의 둘레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로서 3개를 도시한다.
테이퍼링(132)은 링 형상을 갖고 그 둘레면에는 경사면에 해당하는 테이퍼면(1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링(132)은 절개부(132b)를 구비한다. 테이퍼링(132)의 직경은 샤프트(1)에 비해서 다소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테이퍼링(132)은 실링바디(131)의 테이퍼면(131a)과 접촉하면서 링플랜지(133)에 의해서 선미 방향으로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테이퍼링(132)은 절개부(132b)에 의해서 그 직경이 점차 축소되면서 샤프트(1)와 실링바디(131) 사이를 파고 들어서 쐐기효과(wedge effect)를 유발한다. 이로 인해, 테이퍼링(132)은 샤프트(1)의 둘레에 밀착 고정되고 실링바디(131)도 선미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샤프트(1)의 둘레에 밀착 고정된다.
링플랜지(133)는 체결볼트(190)에 의해서 실링 바디(131)의 일 측에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링 장치(100)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선미관(미도시)에 제1 바디(130)를 결합한다. 그리고 탄성 부재(140)와 제1 실링 부재(150)를 순서대로 겹친다. 제2 바디(120)는 제2 실링 부재(160)와 본딩 결합되어 준비된다. 이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2 바디(120)와 제1 바디(110)를 결합한다. 그리고 제3 바디(130)를 제2 바디(120)에 관통시켜 결합한다. 이때, 제3 바디(130)의 단부면(131c)과 제1 실링 부재(151)의 실링부(155)가 잘 맞닿아 면접촉되도록 한다. 제3 바디(130)의 결합에는 채결부재(180)가 이용된다. 실링바디(131)의 둘레에 체결부재(180)를 결합하고, 체결부재(180)와 결합된 가압볼트(181)를 조임으로써, 제1 바디(130)를 제2 바디(1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바디(130)를 결합한 뒤 체결부재(180)를 제거한다. 샤프트(1)를 실링 장치(100)에 관통시키고, 체결볼트(190)를 체결하여 테이퍼링(132)이 샤프트(1)와 밀착되도록 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회전하지 않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소재의 제1 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소재의 제2 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부재와 맞닿게 제공되는 제1 실링 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은 선미관에 고정되며 수지 재질로 제공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는 선박용 실링 장치.
  2.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되, 회전하지 않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소재의 제1 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소재의 제2 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부재와 맞닿게 제공되는 제1 실링 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은 선미관에 고정되며 MC나일론 소재로 제공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는 선박용 실링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도금되어 제공되는 선박용 실링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냉각수가 통과될 수 있는 냉각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내경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는 유로홈이 형성된 선박용 실링 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선미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를 커버하도록 제공되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실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실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실리콘 고무 소재 또는 니트릴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선박용 실링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일측이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실링 링과;
    상기 실링 링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제1 부재와의 접촉력을 강화하는 탄성링을 포함하는 선박용 실링 장치.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소재의 제2 면을 갖는 링 형상의 실링부를 금형에 인서트하여, 상기 실링부가 인서트된 금형에 탄성 소재의 재료를 넣고 성형된 것인 선박용 실링 장치.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텅스텐, 텅스텐 카바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세라믹, 카본, 스테라이트 및 구리 소재 중 어느 두 소재의 면접촉에 의해 실링이 일어나는 것으로 각각 선택되는 선박용 실링 장치.
  11.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실링 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실링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설정된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실링 부재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실링 부재의 상기 타면과 맞닿아 면접촉하게 제공되는 선박용 실링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경으로 상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는 선박용 실링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플랜지부는 용접 결합된 것인 선박용 실링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제1 부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투영되는 면에 위치되는 선박용 실링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상기 제1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선박용 실링 장치.

  17. 삭제
  18. 삭제
KR1020190131919A 2019-10-23 2019-10-23 선박용 실링 장치 KR10212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19A KR102124280B1 (ko) 2019-10-23 2019-10-23 선박용 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19A KR102124280B1 (ko) 2019-10-23 2019-10-23 선박용 실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22A Division KR102246486B1 (ko) 2020-06-04 2020-06-04 선박용 실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280B1 true KR102124280B1 (ko) 2020-06-17

Family

ID=7140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919A KR102124280B1 (ko) 2019-10-23 2019-10-23 선박용 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940B1 (ko) 2021-06-28 2021-11-22 박영섭 선미관 해수유입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887A (ja) 1993-12-09 1995-06-20 Yamaha Motor Co Ltd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のシール構造
JPH11118043A (ja) * 1997-10-17 1999-04-30 Nippon Marine Techno Kk 船尾管シール装置
KR101654270B1 (ko) * 2016-04-12 2016-09-05 박영섭 선박용 실링장치
KR200489797Y1 (ko) * 2019-01-18 2019-08-08 조영효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887A (ja) 1993-12-09 1995-06-20 Yamaha Motor Co Ltd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のシール構造
JPH11118043A (ja) * 1997-10-17 1999-04-30 Nippon Marine Techno Kk 船尾管シール装置
KR101654270B1 (ko) * 2016-04-12 2016-09-05 박영섭 선박용 실링장치
KR200489797Y1 (ko) * 2019-01-18 2019-08-08 조영효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940B1 (ko) 2021-06-28 2021-11-22 박영섭 선미관 해수유입 방지장치
KR20230001486A (ko) 2021-06-28 2023-01-04 박영섭 선미관 해수유입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030B1 (ko) 고압연료 매니폴드의 분기관 연결 구조물
US6932348B2 (en) Mechanical sealing device
KR101654270B1 (ko) 선박용 실링장치
KR102124280B1 (ko) 선박용 실링 장치
EP1288542B1 (en) Mechanical sealing device
KR102246486B1 (ko) 선박용 실링 장치
JP2019210984A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及びガスケット
JP6479831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US6241254B1 (en) Detachable stationary sealing device
KR100888391B1 (ko) 선박용 일체형 선미관의 경화재 밀봉용 분리식 실링장치
JPWO2017094597A1 (ja) 密封装置
JP2005207593A (ja) 滑りリング固定装置
JP4164026B2 (ja) 燃料高圧装置
JP2006292115A (ja) 流量調整装置
JP2011052585A (ja) ヘッドカバー固定構造
KR102479231B1 (ko) 메커니컬 실,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1090638A1 (ja) バルブ装置
US4235446A (en) Sealing bushing for a member rotatable about an axis and extending through a wall of a housing
JP4555728B2 (ja) コンタミレス回転機器におけるハウジング側密封環の固定構造
JP4625400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KR20230001486A (ko) 선미관 해수유입 방지장치
JP4611904B2 (ja) コンタミレス回転機器における軸封装置
JP2019173891A (ja) 管継手
US7861643B2 (en) Piston device
KR20230144713A (ko) 씰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