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97Y1 -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97Y1
KR200489797Y1 KR2020190000293U KR20190000293U KR200489797Y1 KR 200489797 Y1 KR200489797 Y1 KR 200489797Y1 KR 2020190000293 U KR2020190000293 U KR 2020190000293U KR 20190000293 U KR20190000293 U KR 20190000293U KR 200489797 Y1 KR200489797 Y1 KR 200489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coupling portion
packing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효
Original Assignee
조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효 filed Critical 조영효
Priority to KR2020190000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4Other sealings for rotating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or stern tubes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으로 선박의 엔진(E)과 프로펠러(P)를 서로 연결시키는 샤프트축(10)을 관통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패킹중공부(110)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도록 탄성재질을 갖되, 일측은 엔진실 선체벽면(W)에 결합된 플랜지(20)에 제1 밀봉밴드(30a)를 통해서 결합되는 제1 결합부(1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 밀봉밴드(30b)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도록 주름진 플렉시블관(flexible pipe,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플렉시블관(140)의 내부에는 신축을 유지하면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보강시키는 보강망(150)이 결합되는 패킹수단(100)과; 일측이 상기 제2 밀봉밴드(30b) 및 제2 결합부(130)를 통해서 상기 패킹수단(100)의 후방에 결합되고, 냉각호스(40)로부터 냉각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각유체주입공(210)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고정중공부(220)가 형성되고, 탄소강 재질을 갖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고정수단(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회전중공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축(1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The apparatus of bilge prevention for a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실 내로 유입되는 해수가 여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빌지(bilge)의 발생을 방지하고,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는 패킹수단이 반복되는 신축동작으로 인하여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내부에 보강망이 결합된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그 후미에 프로펠러가 구비되어, 프로펠러가 엔진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엔진과 프로펠러는 샤프트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축은 선박의 후단을 관통하여 프로펠러와 연결되며, 샤프트축은 엔진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선박의 후단에서 샤프트축 및 샤프트축이 관통하는 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을 통해 선박 내부로 일정량의 해수가 유입될 수밖에 없으며, 선박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엔진실 내에서 기름과 같은 여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빌지(Bilge)를 발생시키게 되고, 빌지는 엔진실 부식의 원인이 될뿐만 아니라, 빌지를 바다로 배출시키면서 해양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빌지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종래에 다수의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를 개발해 왔으나 선체와 샤프트축 사이를 오일실링 등으로 채워 넣는 미봉책을 써왔다. 그러므로 종래의 빌지발생 방지장치는 해수가 조금씩 선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축이 원통형이기는 하나 100%의 동심도를 유지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고온의 열과 심한 마찰력으로 샤프트축과 샤프트축을 감싸는 오일 실링의 일부분이 더욱 심하게 마모되어 선내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점차로 증가하게 되고 내입된 물을 퍼내지 않으면 선박 자체가 침몰하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점프 등으로 물을 밖으로 펌핑하게 된다. 이때 엔진실 바닥에 유출된 기름이 함께 바다에 버려지기에 환경오염의 문제는 계속해서 악순환의 일로를 밟는 것이다.
또한, 심한 마모로 인해 오일 실링을 교체해야 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나 그 작업 또한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어 선박을 운행하는 선장, 어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6353호(2006.04.28)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격벽에 형성된 관통홀(2)파 상기 관통홀 내부로 일측은 엔진(3)에 결합되고, 타측은 프로펠러(4)가 결합된 샤프트(5) 상에 형성된 선박용 샤프트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 내부에는 관통홀과 내접하고 샤프트(5)와 외접하는 원통형니들베어링(6)을 내입 설치하고, 상기 관통홀(2) 끝단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벨로우즈(7)를 결합하고 상기 벨로우즈(7) 타단에 냉각수를 주입 할 수 있는 주입구(8a)가 형성된 미끄럼패드(8)를 형성하고 벨로우즈 양단을 강제로 체결띠(9)로 체결하며, 상기 미끄럼패드(8)에 면접되도록 샤프트 상에 미끄럼베어링(10)을 볼트(11)로 고정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샤프트 방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2220호(2007.07.1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으로 샤프트축을 관통시키는 패킹부(2); 상기 샤프트축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마찰면을 가지는 회전부(4); 상기 패킹부 및 상기 회전부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샤프트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마찰면과 마찰되는 고정마찰면을 가지는 고정부(3); 상기 회전마찰면 및 상기 고정마찰면이 해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샤프트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엔진실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봉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제안된 기술 모두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도록 탄성재질을 갖는 벨로우즈(7) 및 패킹부(2)가 구성된 바 있으나, 상기 벨로우즈(7) 및 패킹부(2)는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반복적인 신축동작으로 인해 단기간에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에 상기 벨로우즈(7) 및 패킹부(2)의 외부 즉, 엔진실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엔진실 부품이 부식되어 엔진의 성능을 떨어트리고, 고장의 발생원인이 되며, 빈번한 교체로 인해 유지보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박의 엔진실 내로 유입되는 해수가 여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빌지(bilge)의 발생을 방지하고,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는 패킹수단이 반복되는 신축동작으로 인하여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내부에 보강망이 결합된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내측으로 선박의 엔진(E)과 프로펠러(P)를 서로 연결시키는 샤프트축(10)을 관통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패킹중공부(110)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도록 탄성재질을 갖되, 일측은 엔진실 선체벽면(W)에 결합된 플랜지(20)에 제1 밀봉밴드(30a)를 통해서 결합되는 제1 결합부(1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 밀봉밴드(30b)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도록 주름진 플렉시블관(flexible pipe,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플렉시블관(140)의 내부에는 신축을 유지하면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보강시키는 보강망(150)이 결합되는 패킹수단(100)과; 일측이 상기 제2 밀봉밴드(30b) 및 제2 결합부(130)를 통해서 상기 패킹수단(100)의 후방에 결합되고, 냉각호스(40)로부터 냉각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각유체주입공(210)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고정중공부(220)가 형성되고, 탄소강 재질을 갖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고정수단(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회전중공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축(1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킹수단(100)은, 열가소성 성질을 갖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부에 상기 보강망(150)이 결합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망(150)은, 신축성을 가지면서 메쉬(mesh) 형태의 금속망 또는 합성수지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망(150)은, 상기 탄성재질의 내부에 1개가 결합되거나, 2개 내지 4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는, 패킹수단, 고정수단 및 회전수단을 통하여 선박의 엔진실 내로 유입되는 해수가 여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빌지(bilge)의 발생을 방지하고, 특히 탄성재질을 갖는 상기 패킹수단의 내부에 결합된 보강망을 통하여 상기 패킹수단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반복되는 신축동작으로 인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방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이 개략적으로 표시되도록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패킹수단, 고정수단 및 회전수단 각각이 분리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패킹수단의 내부에 결합된 보강망이 분리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수단(100), 고정수단(200) 및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수단(100)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선박의 엔진(E)과 프로펠러(P)를 서로 연결시키는 샤프트축(10)을 관통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패킹중공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중공부(110)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축(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도록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질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패킹수단(100)은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플렉시블관(flexible pipe,140) 및 보강망(1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120)는 상기 패킹수단의 일측 즉,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서, 엔진실 선체벽면(W)에 결합된 플랜지(20)에 제1 밀봉밴드(30a)를 통해서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연장된 관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플렌지(20)는 상기 패킹수단(100)을 선박의 선체벽면(W)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샤프트축(10)을 관통시키는 관통공(21)과, 체결부재(50)를 통해서 상기 선체벽면(W)에 체결되도록 복수의 플랜지체결공(2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밀봉밴드(30a)는 상기 플랜지(20) 및 제1 결합부(120) 간의 결합면을 밀봉하면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130)는 상기 패킹수단의 일측 즉,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서, 제2 밀봉밴드(30b)를 통해서 후술할 고정수단(200)에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연장된 관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2 밀봉밴드(30b)는 상기 제2 결합면(130) 및 고정수단(200) 간의 결합면을 밀봉하면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flexible pipe,140)은 상기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伸縮)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주름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플렉시블관(140)을 구성시킨 이유는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샤프트축(1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플렉시블(flexible)이란 신축이 용이하도록 잘 휘어지고, 유연성 있는 소재 및 수단의 것을 의미하며, 자바라(jyabara)라고도 한다.
또한, 상기 보강망(150)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질을 갖는 상기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플렉시블관(140)의 신축을 유지하면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플렉시블관(140)의 내부에 결합되어 보강시키는 수단이다. 즉, 상기 보강망(150)을 구성시킨 이유는, 상기 패킹수단(100)의 플렉시블관(140)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샤프트축(1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신축동작에 따라 단기간에 쉽게 찢어짐으로 인하여 엔진실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엔진실 부품이 부식되어 엔진의 성능을 떨어트리고, 고장의 발생원인이 되며, 빈번한 교체로 인해 유지보수효율이 떨어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플렉시블관(140)의 내부에 보강망(150)을 결합시켜 찢어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킹수단(100)은 열가소성 성질을 갖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이고, 내부에 상기 보강망(150)이 결합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서트사출성형(insert molding)이란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수지의 특성을 이용한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의 한 종류로서 금형 내에서 이질 또는 이색의 합성수지나 금속, 케이블, PCB, 자석과 같은 이외의 부품을 일체화시키는 성형방법으로 전기전자, 자동차, 정밀기기, 사무기기 및 완구 등과 같이 합성수지 단독으로는 얻기 어려운 특성을 가진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패킹수단(100)의 전체 형상을 갖는 금형에 상기 보강망(150)을 인서트(insert)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망(150)은 신축성을 가지면서 메쉬(mesh) 형태의 금속망 또는 합성수지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패킹수단(100)에 포함된 플렉시블관(140)의 신축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유연한 성질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망(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mesh)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패킹수단(100)의 전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고, 패킹(packing)동작이 저하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의 길이방향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강망(150)은 상기 탄성재질의 내부에 1개가 결합되거나, 2개 내지 4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선박에 설치되는 샤프트축 및 프로펠러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킹수단(100)의 크기 및 두께에 대응하여 1개 내지 복수개가 결합되어 상기 패킹수단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고정수단(20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제2 밀봉밴드(30b) 및 제2 결합부(130)를 통해서 상기 패킹수단(100)의 후방에 결합되고, 냉각호스(40)로부터 냉각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각유체주입공(210)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고정중공부(220)가 형성되고, 탄소강 재질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00)의 일측은 상기 패킹수단(100)의 제2 결합부(130) 내측에 결합된 다음 상기 제2 밀봉밴드(30b)를 통해 밀봉처리됨에 따라 유입된 해수 또는 냉각유체가 엔진실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체주입공(210)을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샤프트축(10)이 회전시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패킹수단(100)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중공부(220)와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기 위함으로써, 해수 또는 별도의 냉각유체를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냉각호스(40)는 냉각유체 또는 해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급된 냉각유체 또는 해수는 상기 패킹수단(100)의 내측을 비롯하여 상기 고정수단(200)과 샤프트축(10) 및 회전수단(300)과의 마찰면에 각각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유체주입공(210)을 통해 공급된 냉각유체 또는 해수는 상기 마찰열을 냉각시키면서 제거되기 때문에 빌지 발생을 방지하고, 마찰열에 의한 샤프트축(10) 및 패킹수단(100), 고정수단(200) 및 회전수단(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수단(100)의 플렉시블관(140)은 상기 플랜지(200)와 샤프트축(10)의 간극으로 유입된 해수와 상기 냉각유체주입공(210)을 통해 공급된 냉각유체 또는 해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마찰열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제거되면서 원상태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은 내열성,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은 탄소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샤프트축(10)과의 마찰과, 후술할 회전수단(300)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전수단(30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회전중공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축(10)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중공부(310)에는 상기 플랜지(200)와 샤프트축(10)의 간극으로 유입된 해수와 상기 냉각유체주입공(210)을 통해 공급된 냉각유체 또는 해수가 엔진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축(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봉용 오링(320)이 안착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샤프트축(10)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축(10)과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20)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60)가 관통되어 상기 샤프트축(10)과 함께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고정수단(200)과의 마찰면에 내열성,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은 탄소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수단(200)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는, 패킹수단, 고정수단 및 회전수단을 통하여 선박의 엔진실 내로 유입되는 해수가 여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빌지(bilge)의 발생을 방지하고, 특히 탄성재질을 갖는 상기 패킹수단의 내부에 결합된 보강망을 통하여 상기 패킹수단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반복되는 신축동작으로 인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E : 엔진 P : 프로펠러
W : 선체벽면
10 : 샤프트축 20 : 플랜지
30a,30b : 제1 밀봉밴드, 제2 밀봉밴드
40 : 냉각호스 50,60 : 체결부재
100 : 패킹수단 110 : 패킹중공부
120 : 제1 결합부 130 : 제2 결합부
140 : 플렉시블관(flexible pipe) 150 : 보강망
200 : 고정수단 210 : 냉각유체주입공
220 : 고정중공부 300 : 회전수단
310 : 회전중공부 320 : 밀봉용 오링
330 : 체결공

Claims (4)

  1. 내측으로 선박의 엔진(E)과 프로펠러(P)를 서로 연결시키는 샤프트축(10)을 관통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패킹중공부(110)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 또는 냉각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신축되도록 탄성재질을 갖되, 일측은 엔진실 선체벽면(W)에 결합된 플랜지(20)에 제1 밀봉밴드(30a)를 통해서 결합되는 제1 결합부(1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 밀봉밴드(30b)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도록 주름진 플렉시블관(flexible pipe,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플렉시블관(140)의 내부에는 신축을 유지하면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보강시키는 보강망(150)이 결합되는 패킹수단(100)과;
    일측이 상기 제2 밀봉밴드(30b) 및 제2 결합부(130)를 통해서 상기 패킹수단(100)의 후방에 결합되고, 냉각호스(40)로부터 냉각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각유체주입공(210)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고정중공부(220)가 형성되고, 탄소강 재질을 갖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고정수단(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축(10)이 관통되도록 회전중공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축(1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수단(100)은,
    열가소성 성질을 갖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부에 상기 보강망(150)이 결합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보강망(150)은,
    신축성을 가지면서 메쉬(mesh) 형태의 금속망 또는 합성수지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보강망(150)은,
    상기 탄성재질의 내부에 1개가 결합되거나, 2개 내지 4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90000293U 2019-01-18 2019-01-18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KR200489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93U KR200489797Y1 (ko) 2019-01-18 2019-01-18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93U KR200489797Y1 (ko) 2019-01-18 2019-01-18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97Y1 true KR200489797Y1 (ko) 2019-08-08

Family

ID=6758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93U KR200489797Y1 (ko) 2019-01-18 2019-01-18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80B1 (ko) * 2019-10-23 2020-06-17 서효진 선박용 실링 장치
KR102246486B1 (ko) * 2020-06-04 2021-04-29 서효진 선박용 실링 장치
KR20220100208A (ko) 2021-01-08 2022-07-15 강민호 메커니컬 실,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098A (en) * 1994-10-03 1997-06-17 Duramax, Inc. Adjustable seal for propeller drive shaft
KR20060036353A (ko) * 2004-10-25 2006-04-28 김병견 선박용 샤프트 방수장치
KR100742220B1 (ko) * 2007-02-23 2007-07-25 주식회사 빌지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KR20120118282A (ko) * 2011-04-18 2012-10-26 권순일 내진보강구조를 갖는 플렉시블형 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098A (en) * 1994-10-03 1997-06-17 Duramax, Inc. Adjustable seal for propeller drive shaft
KR20060036353A (ko) * 2004-10-25 2006-04-28 김병견 선박용 샤프트 방수장치
KR100742220B1 (ko) * 2007-02-23 2007-07-25 주식회사 빌지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KR20120118282A (ko) * 2011-04-18 2012-10-26 권순일 내진보강구조를 갖는 플렉시블형 관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80B1 (ko) * 2019-10-23 2020-06-17 서효진 선박용 실링 장치
KR102246486B1 (ko) * 2020-06-04 2021-04-29 서효진 선박용 실링 장치
KR20220100208A (ko) 2021-01-08 2022-07-15 강민호 메커니컬 실,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79231B1 (ko) * 2021-01-08 2022-12-19 강민호 메커니컬 실,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797Y1 (ko)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CN1897417B (zh) 无轴推进器
JP3740166B2 (ja) プロペラ・ドライブ・シャフトのための調整可能なシール
CN105292424B (zh) 一种船舶轮缘集成推进器
JP5432606B2 (ja) 推力発生装置
CN109282133B (zh) 有支撑管键连接的悬挂舵系润滑脂加注法及其效果评估法
CN107294043A (zh) 一种海上风电用海缆柔性保护装置
WO2020005072A1 (en) Shaftless fluid machine with impeller driven via its rim
KR100867431B1 (ko) 열변형을 고려한 스턴튜브 부시유니트 및 그 설치방법
CN104085523A (zh) 一种船舶水润滑尾轴尾管装置
WO2014199635A1 (ja) 推力発生装置
KR101979186B1 (ko) 해양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배열체 및 그러한 것을 정비하는 방법
US8690162B2 (en) Metal coil propeller shaft seal for watercrafts including deep dive vessels
US3951097A (en) Hydraulic motor or pump
KR20100072152A (ko)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충진한 선저 박스형 용골을 갖는 frp선박
KR102479231B1 (ko) 메커니컬 실,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035588A (ko)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CN214057822U (zh) 气层减阻装置喷气结构、船舶气层减阻系统及气层减阻船
CN214102862U (zh) 一种组合式海上浮球
US3371644A (en) Propeller drive shaft and bearing assembly
CN209469642U (zh) 换向油缸
KR19990004122U (ko) 어구용 부표
WO2006093416A1 (en) Driving apparatus for a wave power device
KR102044301B1 (ko) 선박용 추진축의 해수 유입 차단장치
KR20060036353A (ko) 선박용 샤프트 방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