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05B1 -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 Google Patents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205B1
KR102124205B1 KR1020170179235A KR20170179235A KR102124205B1 KR 102124205 B1 KR102124205 B1 KR 102124205B1 KR 1020170179235 A KR1020170179235 A KR 1020170179235A KR 20170179235 A KR20170179235 A KR 20170179235A KR 102124205 B1 KR102124205 B1 KR 10212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link
jig
frui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777A (ko
Inventor
박명자
Original Assignee
박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자 filed Critical 박명자
Priority to KR102017017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43Applying springy clips around bag ne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포장재를 이용하여 생육과실을 감싸 포장하기 위한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로서, 내측으로 포장재의 개구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그부와, 지그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고, 가압에 따라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가압 시 장입된 고정클립이 포장재의 개구부를 겹쳐 결합시키는 포장재 결합부와, 포장재 결합부와 지그부에 각각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장재 결합부가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간편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생육 과실의 포장재 포장작업의 작업성을 좋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많은 수량의 포장재를 과실에 씌울 수 있어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Joining device of fruit packaging}
본 발명은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수원의 생육과실 또는 열매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과실 포장재를 용이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생육과실 또는 열매의 포장 작업능률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농가에서는 생육과실의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어린 생육과실에 포장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생육과실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봉투와 철사 등을 몸에 지니고 이동하면서 생육과실에 봉지를 벌려 씌운 후, 철사로 고정하는 등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의 의해 작업시간 및 작업의 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력과 인건비 증가 및 작업능률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163호는 직사각형의 메인 프레임, 팔걸이, 손잡이, 봉지 케이스, 피스톤, 진공 레버, 진공고무 및 흡입판 등이 포함된 복잡한 구조로서, 상기 과실을 피복하는 과실 포장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진공 펌프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며, 다량의 봉투를 수납하는 봉투케이스 등이 구비되는 과실 포장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과실 포장장치는 장치 자체의 규격이 크고 무거워서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있는 생육과실을 장시간 포장작업 시 장치의 무게에 의해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가 쉽게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163호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과실에 포장재를 씌워 포장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용이한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포장재를 이용하여 생육과실을 감싸 포장하기 위한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로서, 내측으로 상기 포장재의 개구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고, 가압에 따라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가압 시 장입된 고정클립이 상기 포장재의 개구부를 겹쳐 결합시키는 포장재 결합부와, 상기 포장재 결합부와 상기 지그부에 각각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장재 결합부가 회동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는 상기 지그부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재 결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상기 지그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고 타면에 상기 고정클립의 단부가 삽입되어 눌려지는 누름홈이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대면하도록 상기 지그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하며, 일측의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압 시 타측이 상기 받침부와 맞닿도록 회동하며, 가압 시 장입된 상기 고정클립이 토출되어 상기 포장재를 겹쳐 결합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작동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의 이동 시 타측이 회동하면서 상기 받침부 방향으로 가압 이동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장입공간으로 상기 고정클립들이 장입되어 상기 가압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이 상기 받침부로 순차적으로 토출되는 고정클립 장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부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제1지그몸체와, 상기 제1지그몸체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개방된 단부에 상기 포장재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2지그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그몸체는, 절곡부분의 내측을 따라 보강리브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그몸체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동링크부는, 핸들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작업자가 일측을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핸들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이 회동하는 조작핸들과, 일측 단부가 상기 조작핸들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작핸들의 타측이 회동하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포장재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타측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장재 결합부를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는, 일측 단부가 제1힌지를 통하여 상기 조작핸들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일측 단부가 제2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링크의 타측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3힌지를 통하여 상기 가압링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가압부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와 상기 가압부가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힌지와 상기 힌지부는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2링크와 상기 가압부가 회동반경이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연결링크와 대면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를 상방 지지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누름홈들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홈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일측이 상기 지그부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포장재가 겹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는 타측에 상기 누름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대하여 복수개의 끼움홀들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위치변경수단은,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홈의 위치에 따라 인출되는 탄성핀과, 상기 탄성핀을 탄성 지지하여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탄성핀이 상기 끼움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핀을 인출시켜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지그몸체는, 상부지그몸체와, 상기 상부지그몸체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지그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상부지그몸체의 일측으로 복수개의 체결홀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몸체의 슬라이딩 이동 후 상기 체결홀과 상기 하부지그몸체를 동시에 관통 체결하여 상기 상부지그몸체와 상기 하부지그몸체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간편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생육 과실의 포장재 포장작업의 작업성을 좋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많은 수량의 포장재를 과실에 씌울 수 있어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그부와 포장재 결합부를 통하여 나무에 열려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생육과실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넷째, 위치변경수단을 통하여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구조변경 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과실 포장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에서 포장재 결합부에 고정클립들을 장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를 이용하여 포장재를 접합시키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에서 위치변경수단을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위치변경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포장재의 접합 기구에서 위치변경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위치변경수단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는 과수원 등에서 생육과실에 포장재를 감싸는 작업 시에 사용하는 포장재 접합 기구로서, 이때의 포장재(1;도 3참조)는 일측이 개구된 봉투형태로 이루어져 개구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한 후 생육과실을 하측 내부로 삽입한 뒤 상부의 개구부를 봉합하여 생육과실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될 수 있으며, 이 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봉투 등 다양한 구조의 포장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과실 포장장치는 손잡이부(100)와, 지그부(300)와, 포장재 결합부(400)와, 작동링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길이를 갖는 봉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300)는, 상기 손잡이부(100)와 결합하며, 내측으로 포장재(1)의 개구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221)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300)는 수용공간(221)을 통하여 과실이 삽입된 포장재(1)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나무에 열려있는 과실을 다양한 위치에서 포장재를 접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지그부(300)는, 제1지그몸체(210)와, 제2지그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지그몸체(210)는 바(bar)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100)와 결합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상기 제2지그몸체(220)는, 제1지그몸체(210)의 타측에 결합하고 수용공간(221)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개방된 단부에 포장재 결합부(400)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지그몸체(220)는, 절곡부분의 내측을 따라 보강리브(222)가 결합되어 구조의 견고함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리브(22)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그몸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포장재(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용공간(221)이 형성되고, 절곡부분은 제1지그몸체(210)에 결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지그몸체(210)와 제2지그몸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이 고정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포장재(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221)이 형성되는 구조라면 단일구성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포장재 결합부(400)는, 지그부(3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고, 가압에 따라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가압 시 장입된 고정클립이 포장재(1)의 개구부를 겹쳐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립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 시 절곡된 양단부가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포장재 결합부(400)는, 받침부(430)와,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4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지그부(300)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고 타면은 고정클립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눌려지는 누름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는, 받침부(430)와 대면하도록 지그부(300)의 타측 단부에 결합하며, 일측의 힌지부(412)를 통하여 지그부(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압 시 타측이 받침부(430)와 맞닿도록 회동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가압 시 장입된 고정클립이 타측 단부로부터 토출되도록 하여 고정클립이 포장재(1)를 겹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부는, 가압부(410)와, 고정클립 장입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압부(410)는, 일측 단부는 힌지부(412)를 통하여 지그부(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작동링크부(500)와 연결되어, 작동링크부(500)의 이동 시 타측이 회동하면서 받침부(430) 방향으로 가압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클립 장입부(420)는, 가압부(410)와 받침부(430)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힌지부(4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장입공간으로 고정클립들이 장입되어 가압부(410)의 이동에 따라 고정클립이 받침부(430)로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립 장입부(420)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부(410)를 회동시켜 장입공간을 개방시킨 후 고정클립들을 장입공간으로 장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압 시 우측에서 고정클립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재 결합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플러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사용이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한 스테플러를 이용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작동링크부(500)는, 포장재 결합부(400)와 지그부(300)에 각각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장재 결합부(400)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장재(1)를 겹쳐 밀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한 작동링크부(5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작동링크부(500)는, 조작핸들(510)과, 연결링크와, 가압링크(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핸들(510)은, 핸들힌지부(411)를 통하여 지그부(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작업자가 일측을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핸들힌지부(411)를 중심으로 타측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핸들(510)은, 연결링크와 대면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링크를 상방 지지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연결링크의 회동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일측 단부가 조작핸들(510)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작핸들(510)의 타측이 회동하면 일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도면에서, 상기 연결링크는, 제1링크(520)와, 제2링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520)는, 제1힌지(422)를 통하여 일측 단부가 조작핸들(510)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링크(530)는, 일측 단부가 제2힌지(521)를 통하여 제1링크(520)의 타측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3힌지(541)를 통하여 가압링크(54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1링크(520)의 타측 단부는 포장재 결합부(400)의 힌지부(412)와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하고, 제2링크(530)는 포장재 결합부(400)의 가압부(410)의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제2링크(530)와 가압부(410)의 회동반경이 유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압부(410)의 회동이 제2링크(530)에 의하여 이동이 구속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원활하게 가압부(410)를 회동시켜 장입공간을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압링크(540)는,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연결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포장재 결합부(400)와 연결되어 연결링크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타측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장재 결합부(400)를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과실 포장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포장재(1)를 겹쳐 결합시켜 밀봉하기 전 포장재(1)의 내측으로 생육과실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과실 포장장치의 수용공간(221)으로 개구부가 삽입되게 하고, 작업자는 포장재(1)의 일측을 받침부(430)와 고정클립 장입부(420) 사이에 겹쳐지게 하여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핸들(510)을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조작핸들(510)의 타측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힌지(422)와 제2힌지(521)와 제3힌지(541)로 연결된 제1링크(520)와 제2링크(53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직하게 위치하는 가압링크(540)는 타측 단부가 가압부(410)에 위치가 고정되게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가압링크(54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대응하여 가압부(410)도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클립 장입부(42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430)와 맞닿게 되면서 고정클립이 토출되어 포장재(1)를 겹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과실 포장장치는 위치변경수단을 통하여 포장재(1) 또는 생육과실의 크기 등에 따라 포장재(1)가 겹쳐 접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변경 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과실 포장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변경수단은 우선 상기 받침부(430)는, 고정클립(10)과 대면하는 측면에 수용공간(221)의 내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누름홈(431)들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는, 누름홈(431)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일측이 지그부(300)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포장재(1)가 겹쳐 접합되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지그몸체(220)의 단부에 가압부(41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압부(410)와 고정클립 장입부(420)가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고 설정된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제2지그몸체(220)에 복수개의 끼움홈(223)들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가압부(410)의 일측에는 끼움홈(223)의 위치에 따라 인출되는 탄성핀(610)을 구성하여, 작업자가 탄성핀(610)을 누르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핀(610)이 끼움홈(223)에 끼워지면 슬라이딩 이동이 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지그몸체(220)는 탄성핀(610)이 삽입되는 삽입홈 내에 탄성핀(61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20)를 구비하여, 탄성핀(610)이 탄력적으로 인출되게 한다.
도 7은 전술한 도 5의 위치변경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수용공간(221)의 가로방향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면 도 7은 수용공간(221)의 세로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위치변경수단은 먼저 상기 제2지그몸체(220)를 상부지그몸체(220a)와, 상부지그몸체(220a)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지그몸체(220b)를 포함하여 분리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서 슬라이딩 이동 후 위치고정은 상기 상부지그몸체(220a)의 일측으로 복수개의 체결홀(630)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게 하고, 상부지그몸체(220a)의 슬라이딩 이동 후 체결볼트(640)를 체결홀(630)과 하부지그몸체(220b)를 동시에 관통 체결하여 상부지그몸체(220a)와 하부지그몸체(220b)를 체결 고정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는 위치변경수단을 통하여 수용공간의 너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구조변경 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과실 포장도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7의 구성은 이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210 : 제1지그몸체
220 : 제2지그몸체 220a : 상부지그몸체
220b : 하부지그몸체 221 : 수용공간
222 : 보강리브 223 : 끼움홀
300 : 지그부 400 : 포장재 결합부
410 : 가압부 411 : 핸들힌지부
412 : 힌지부 420 : 고정클립 장입부
422 : 제1힌지 430 : 받침부
431 : 누름홈 500 : 작동링크부
510 : 조작핸들 520 : 제1링크
521 : 제2힌지 530 : 제2링크
540 : 가압링크 541 : 제3힌지
600a,600b : 위치변경수단 610 : 탄성핀
620 : 탄성부재 630 : 체결홀
640 : 체결볼트

Claims (11)

  1. 일측이 개구된 포장재를 이용하여 생육과실을 감싸 포장하기 위한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에 있어서,
    내측으로 상기 포장재의 개구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고, 가압에 따라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가압 시 장입된 고정클립이 상기 포장재의 개구부를 겹쳐 결합시키는 포장재 결합부와;
    상기 포장재 결합부와 상기 지그부에 각각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장재 결합부가 회동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재 결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상기 지그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고 타면에 상기 고정클립의 단부가 삽입되어 눌려지는 누름홈이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대면하도록 상기 지그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하며, 일측의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압 시 타측이 상기 받침부와 맞닿도록 회동하며, 가압 시 장입된 상기 고정클립이 토출되어 상기 포장재를 겹쳐 결합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름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작동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의 이동 시 타측이 회동하면서 상기 받침부 방향으로 가압 이동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장입공간으로 상기 고정클립들이 장입되어 상기 가압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이 상기 받침부로 순차적으로 토출되는 고정클립 장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링크부는,
    핸들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작업자가 일측을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핸들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이 회동하는 조작핸들과,
    일측 단부가 상기 조작핸들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작핸들의 타측이 회동하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포장재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타측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장재 결합부를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링크는,
    일측 단부가 제1힌지를 통하여 상기 조작핸들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일측 단부가 제2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링크의 타측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3힌지를 통하여 상기 가압링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제1지그몸체와,
    상기 제1지그몸체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개방된 단부에 상기 포장재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2지그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몸체는,
    절곡부분의 내측을 따라 보강리브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몸체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가압부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와 상기 가압부가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힌지와 상기 힌지부는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2링크와 상기 가압부가 회동반경이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연결링크와 대면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를 상방지지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KR1020170179235A 2017-12-26 2017-12-26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KR10212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35A KR102124205B1 (ko) 2017-12-26 2017-12-26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35A KR102124205B1 (ko) 2017-12-26 2017-12-26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77A KR20190077777A (ko) 2019-07-04
KR102124205B1 true KR102124205B1 (ko) 2020-06-24

Family

ID=6725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235A KR102124205B1 (ko) 2017-12-26 2017-12-26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2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7749A1 (en) * 2004-03-19 2005-10-0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able tie tool having variable trigger link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57Y2 (ja) * 1978-06-09 1983-01-11 泉株式会社 袋用クリツパ
JPH03148424A (ja) * 1989-10-30 1991-06-25 Mitsuwa:Kk 開口部閉塞用止着装置
KR200225163Y1 (ko) 2000-06-19 2001-05-15 주식회사크리챌 과일을 피복하는 과일 포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7749A1 (en) * 2004-03-19 2005-10-0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able tie tool having variable trigger lin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77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487B2 (en) Standing tree baler
KR101019405B1 (ko) 과일봉지 자동 씌움장치
KR101282966B1 (ko) 포장박스용 손잡이
US20080023474A1 (en) Garbage can
KR102124205B1 (ko) 과실 포장재의 접합 기구
CN109476392A (zh) 倾倒装置
CA2642831C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ng wood
EP2379426A1 (en) Bag for bulk goods, and method for use in storing and/or transporting bulk goods
KR101745840B1 (ko) 수동식 밴딩장치
CN106922452A (zh) 一种新型园林果实套袋机
CN206351791U (zh) 一种食用菌菌包全自动套环压盖机
KR20110060111A (ko) 과일 보호용 봉지 피복장치
CN111717475B (zh) 一种农业辅助工具的使用方法
CN218751600U (zh) 一种打带装置
KR101705198B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102473904B1 (ko)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CN215156322U (zh) 捆扎塑料袋出袋侧立机构
US8495955B1 (en) Tree limb bundling tool
CN220743433U (zh) 一种物料装箱辅助装置
CN212829259U (zh) 一种转运式自动打包机构及自动打包车
CN214875952U (zh) 一种粉料装袋用的夹具
CN213443466U (zh) 一种自动装箱机
JPH0451128Y2 (ko)
CN215323411U (zh) 一种封箱机的击打装置
JPH03332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