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931B1 -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931B1
KR102123931B1 KR1020190014831A KR20190014831A KR102123931B1 KR 102123931 B1 KR102123931 B1 KR 102123931B1 KR 1020190014831 A KR1020190014831 A KR 1020190014831A KR 20190014831 A KR20190014831 A KR 20190014831A KR 102123931 B1 KR102123931 B1 KR 10212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and
blad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974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19001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9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1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02Sectional flasks, i.e. with divided, articulated, or interchangeable sid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2Sand moulds or like moulds for shaped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사형(sand mould, 砂型)에 신속하고 능률적인 대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사형이라도 주물사가 골고루 채워지지 않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물사 임시 저장통(10)의 하측으로 하나 이상 장착되는 샤프트(20)의 외주 면 또는 브라켓(70)의 외주 면으로 제 각각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30)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장착공(40)이 구성되되, 상기 장착공(40)의 내측에는 블레이드 체결 결합용 나선(41)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Height selectable shaft device to uniformly fill the molding s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and mould}
본 발명은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다양한 형상의 사형(sand mould, 砂型)에 신속하고 능률적인 대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사형이라도 주물사가 골고루 채워지지 않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조에 사용되는 주형(mold, 鑄型)에는 주물사(鑄物砂)를 단단하게 다져서 만드는 사형(砂型)을 비롯하여 강(鋼) 등의 금속에 조각해서 만드는 금형(金型), 가열하면 단단해지는 합성수지의 입자에 모래를 혼합한 것을 미리 가열한 금속제의 모형(母型) 위에 떨어뜨려서 고화시켜 얇은 껍질 모양의 주형을 만드는 셀형(shell mold)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주물사(鑄物砂)를 이용하는 사형(砂型)의 경우는, 쇳물을 부어서 고착 후 주물을 꺼내면 파손이 불가피하므로, 생산이 필요한 주조품의 수량 만큼 만들지 않으면 안 되고, 만약 필요한 주조물의 숫자가 대량으로 필요할 경우에는 그 주조물의 요구 수량에 맞는 개수로 대량생산이 필요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특허등록 제10-1751670호(발명의 명칭 :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시스템)가 제시되고 있는바, 상기 특허등록 제10-1751670호는 본원 출원인이 등록권자의 지위로 등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1751670호에서는 주물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주물사가 골고루 채워지도록 주물사 임시 저장통의 하측에 터빈형 임펠러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터빈형 임펠러는 체인과 연결되어 터빈형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피동 스프라켓이 축 삽입 고정되는 피동축과, 상기 피동축의 외주 면에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길이가 긴 롱블레이드와, 길이가 짧은 쇼트블레이드가 지그재그의 구조로 설치되어 있어 복잡하고 세밀한 금형의 미세한 부분까지 주물사를 충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10-1751670호에서 게시된 블레이드는 피동축에 융착 고정되어 있어 장치의 전체 구조상 임의로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다양한 신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기존의 블레이드는 천편일률적인 제품(모델)에만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블레이드만으로 주물사를 충진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고품질이면서 해당 제품에 알맞은 블레이드를 적용함에 있어 한계성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착안한 것으로 현재 양산중인 제품은 물론, 출시 예정 중에 있거나 향후 출시될 여지가 있는 다양한 주물제품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 적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강도와 품질이 우수한 사형(砂型)을 공급할 수 있는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D)는 주물사 임시 저장통(10)의 하측으로 하나 이상 장착되는 샤프트(20)의 외주 면 또는 브라켓(70)의 외주 면으로 제 각각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30)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장착공(40)이 구성되되, 상기 장착공(40)의 내측에는 블레이드 체결 결합용 나선(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50)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형(31)과, 장착공(40)에 직접 체결고정 될 수 있는 막힘형(3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장착되되, 상기 관통형(31)은 체결볼트(50)가 관통되면서 장착공(40)에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며, 막힘형(35)은 일측 끝단으로 체결용 나선(36)이 일부 구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 또는 피동 샤프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종류의 샤프트 모두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는 양산중인 제품은 물론, 출시 예정 중에 있거나 향후 출시될 여지가 있는 다양한 형상의 주물제품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주물사를 채울 수 있도록 선택 적용이 가능하여 강도와 품질이 우수한 사형(砂型)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중 블레이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중 도 다른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6,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D)는 도 2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형의 높낮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물사 임시 저장통(10)의 하측으로 하나 이상 장착되는 샤프트(20)의 외주 면 또는 브라켓(70)의 외주 면으로 제 각각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30)를 일체형 또는 탈착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를 탈착 형으로 고정할 경우에는 샤프트(20)의 외주 면 또는 브라켓(70)의 외주 면에는 다수 개의 장착공(40)이 구성되되, 상기 장착공(40)의 내측에는 블레이드 체결 결합용 나선(41)이 형성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탈착 형 블레이드의 고정방식으로 나선에 의한 체결 결합을 언급하고 있으나, 억지 끼움 고정방식, 원터치 결합 방식 등 당업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고정방식을 접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40)에 체결 고정되는 블레이드(3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50)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형(31)과, 장착공(40)에 직접 체결고정 될 수 있는 막힘형(3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관통형(31)은 체결볼트(50)가 관통되면서 장착공(40)에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며, 막힘형(35)은 일측 끝단으로 체결용 나선(36)이 일부 구간 형성된다.
즉, 관통형은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고정되는 것이며, 막힘형(35)은 단독으로 샤프트에 체결 고정가능 한 것이며, 이에 따라 막힘형은 가급적이면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발명의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D)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제품(60)의 요철 형상에 따라 길이가 긴 것과 짧은 블레이드(30)를 적재적소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제품에 대해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 아니라, 블레이드(30)가 체결 고정 된 장착공 이외의 장착공은 다른 제품의 사형을 제조할 때는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다수의 장착공을 형성시켜두는 것이 유리하며, 이때는 종전에 체결 고정시킨 블레이드(30)를 샤프트로부터 분리하여 요철 형상에 알맞게 재체결 고정시켜주면 된다.
결국, 상기 블레이드(30)는 사용자가 임의로 제작 가능한 것이며, 특히, 주물제품의 요철 형상에 신속하게 대처를 하여 해당 요철 형상의 높이만큼 그에 알맞은 블레이드를 체결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는 요철의 형상에 구애받음이 없이 적재적소에 요철 높이에 대응되는 블레이드를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어떠한 제품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사형 강도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고품질의 사형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형의 높낮이라 함은 곧 금형의 높낮이와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는 구동 샤프트 또는 피동 샤프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종류의 샤프트 모두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길이가 서로 다른 공지의 볼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분을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주물사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의 외주 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상, 하 한 쌍의 브라켓(70)에 장착공(40)을 다수 개 형성시켜 블레이드(30)가 체결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30) 교체시 브라켓(70) 자체를 분리 및 결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S: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장치
10: 주물사 임시 저장통
20: 샤프트 30: 블레이드
31: 관통형 32: 관통공
35: 막힘형 36: 나선
40: 장착공 41:나선
50: 체결볼트 60:주물제품

Claims (4)

  1. 사형의 높낮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물사 임시 저장통(10)의 하측으로 하나 이상 장착되는 샤프트(20)의 외주 면 또는 브라켓(70)의 외주 면으로 제 각각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30)를 일체형 또는 탈착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탈착 형으로 고정할 경우 샤프트(20)의 외주 면 또는 브라켓(70)의 외주 면에는 다수 개의 장착공(40)이 구성되되, 상기 장착공(40)의 내측에는 블레이드 체결 결합용 나선(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50)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형(31)과, 장착공(40)에 직접 체결고정 될 수 있는 막힘형(3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장착되되, 상기 관통형(31)은 체결볼트(50)가 관통되면서 장착공(40)에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며, 막힘형(35)은 일측 끝단으로 체결용 나선(36)이 일부 구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4. 삭제
KR1020190014831A 2019-02-08 2019-02-08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KR10212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831A KR102123931B1 (ko) 2019-02-08 2019-02-08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831A KR102123931B1 (ko) 2019-02-08 2019-02-08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974A KR20190019974A (ko) 2019-02-27
KR102123931B1 true KR102123931B1 (ko) 2020-06-23

Family

ID=6556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831A KR102123931B1 (ko) 2019-02-08 2019-02-08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11B1 (ko) 2019-05-13 2019-11-08 강현욱 사형주조용 주물사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670B1 (ko) * 2017-04-11 2017-06-29 하용석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670B1 (ko) * 2017-04-11 2017-06-29 하용석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974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931B1 (ko) 사형의 높낮이에 따라 주물사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는 높낮이 선택형 샤프트 장치
US5858294A (en) Method for fabricating columns
EP0281752B1 (de) Vollformverfahren und -vorrichtung
CA2735013A1 (en) Block moulds and method
KR101596337B1 (ko) 주물수축을 이용한 맨홀받침 제조장치
JPS58131020A (ja) 押出し機
US522849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rake discs
US6715536B1 (en) Full mold casting process and device for a differential case
DE60317343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hohlkernprodukts aus beton
DE1013332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ssstücks aus Metall
US2338806A (en) Cast resin mold
US6889742B1 (en) Full mold casting process and device for a differential case with cast-in bolt holes
CN112808951A (zh) 一种砂模生产设备及应用该设备的铸件生产工艺
JP2004534678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のためのコンクリート成型方法
EP0990497B1 (en) A method for vertical casting of pipes of concrete or a similar material in a mould system with a distributor wheel
DE112014002341T5 (de) Doppelgiessverfahren und -gerät
US2013013999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tal part
GB2253367A (en) The manufacture of reinforced concrete sections
CN110861247B (zh) 一种高效脱模装置及高效脱模方法
JPH07112617B2 (ja) 二層鋳物の鋳造方法
CN214726228U (zh) 一种高安全性注塑装置
CN210148359U (zh) 一种用于装盘式倒浆设备的可拆卸式倒浆架
CN220784378U (zh) 一种生产水泥电杆的离心设备
DE102018132235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ussform
US4692286A (en) Method of producing a continuous lengt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