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878B1 - 체크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체크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878B1
KR102123878B1 KR1020180098978A KR20180098978A KR102123878B1 KR 102123878 B1 KR102123878 B1 KR 102123878B1 KR 1020180098978 A KR1020180098978 A KR 1020180098978A KR 20180098978 A KR20180098978 A KR 20180098978A KR 102123878 B1 KR102123878 B1 KR 10212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heck valve
clamping member
body panel
valv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845A (ko
Inventor
안명길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09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with a plurality of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체크밸브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체크밸브장치는: 바디부;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1 통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2 통로부가 형성되며, 제1 하우징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유동매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모듈;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체크밸브모듈을 제2 하우징에 압착시키도록 제1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클램핑부재; 클램핑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클램핑부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및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도록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크밸브장치{CHECK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체크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밸브모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체크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제품 운반선, 원료 탱크, 보급선, 산업플랜트 등에는 원료를 이송할 수 있도록 배관이 설치된다. 배관은 액체, 석유 제품, 용액, 화학약품, 가스, 수증기, 물 등과 같은 유동매체를 유동시킨다. 배관에는 유동매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체크밸브는 볼트를 체결함에 의해 배관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체크밸브를 교체하기 위해 볼트부와 너트부를 풀어야 하고, 새로운 체크밸브를 배관에 연결하기 위해 볼트부와 너트부를 다시 체결해야 하므로, 체크밸브의 교체 시간 및 교체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05756호(2007. 10. 31 공개, 발명의 명칭: 이중체크밸브형 유체 역류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크밸브모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체크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장치는: 바디부;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1 통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2 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유동매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모듈을 상기 제2 하우징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클램핑부재; 상기 클램핑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램핑부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에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클램핑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슬라이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둘레부룰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그루브에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모듈은 상기 클램핑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압착되고,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에 연통되도록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연통홀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힌지축부; 및 상기 연통홀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힌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부재가 조작핸들과 동력전달부에 의해 체크밸브모듈을 클램핑 및 언클램핑 시키므로, 체크밸브모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디스크부가 힌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디스크부가 회전됨에 따라 연통홀부가 개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동력전달부와 클램핑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클램핑부재와 제1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분리시키기 위해 클램핑부재가 하강되는 상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설치하기 위해 클램핑부재가 상승되는 상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체크밸브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동력전달부와 클램핑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클램핑부재와 제1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는 바디부(110), 제1 하우징(120), 제2 하우징(130), 체크밸브모듈(140), 클램핑부재(150), 동력전달부(160) 및 조작핸들(170)을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제1 배관(미도시)과 제2 배관(미도시) 사이에 설치된다. 바디부(110)는 제1 바디패널부(111), 제2 바디패널부(113) 및 복수의 연결부재(115)를 포함한다.
제1 바디패널부(111)에는 제1 하우징(120)이 고정된다. 제1 바디패널부(11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패널부(113)에는 제2 하우징(130)이 고정되고, 제2 바디패널부(113)는 제1 바디패널부(111)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2 바디패널부(113)에는 동력전달부(160)가 설치된다. 복수의 연결부재(115)는 제1 바디패널부(111)와 제2 바디패널부(113)를 연결하도록 제1 바디패널부(111)와 제2 바디패널부(113)의 둘레부에 설치된다. 복수의 연결부재(115)는 제1 바디패널부(111)와 제2 바디패널부(1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연결부재(115)는 제2 바디패널부(113)에 세워지는 연결로드(115a)와, 연결로드(115a)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너트(115b)를 포함한다. 연결로드(115a))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너트(115b)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20)에는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1 통로부(121)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20)은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 하우징(120)에는 제1 배관이 연결된다.
제2 하우징(130)에는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2 통로부(131)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20)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2 하우징(130)은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 하우징(130)에는 제2 배관이 연결된다.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부(121)와 제2 통로부(131)는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패널부(111)에는 제1 배관이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1 체결홀부(112)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1 체결홀부(112)는 제1 하우징(120)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제2 하우징(130)의 단부에는 제2 배관이 연결되도록 제2 플랜지부(135)가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135)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2 체결홀부(136)가 형성된다.
체크밸브모듈(140)은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 사이에 설치되고, 유동매체가 제2 통로부(131)에서 제1 통로부(12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체크밸브모듈(140)은 유동매체가 제1 통로부(121)에서 제2 통로부(131)로 유동될 때에 유동매체의 유압에 의해 개방된다.
체크밸브모듈(140)은 밸브 하우징(141), 힌지축부(143) 및 한 쌍의 디스크부(144)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141)은 클램핑부재(150)가 이동됨에 따라 제1 하우징(120)에 압착되고, 밸브 하우징(141)에는 제1 통로부(121)와 제2 통로부(131)에 연통되도록 연통홀부(142)가 형성된다. 힌지축부(143)는 연통홀부(142)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힌지축부(143)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디스크부(144)는 연통홀부(142)를 개폐시키도록 힌지축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디스크부(144)는 연통홀부(142)의 대략 절반을 가로막도록 반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디스크부(144)의 양에는 힌지링부(144a)가 형성되고, 힌지링부(144a)는 힌지축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 디스크부(144)가 힌지축부(143)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통홀부(142)가 개폐된다.
체크밸브모듈(140)은 디스크부(144)가 제2 통로부(131) 측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제2 통로부(13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스토퍼부(145)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부(145)는 봉형태로 형성되고, 힌지축부(143)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디스크부(144)의 개방 각도는 스토퍼부(145)에 의해 대략 90ㅀ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제한된다. 스토퍼부(145)가 힌지축부(143)와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디스크부(144)가 연통홀부(142)에서 유동매체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부(144)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밸브 하우징(141)의 내측면에는 디스크부(144)가 제1 통로부(121) 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디스크부(144)를 지지하는 걸림턱부(146)가 형성된다. 디스크부(144)가 밸브 하우징(141)의 연통홀부(142)를 폐쇄할 때에 걸림턱부(146)가 디스크부(144)를 지지한다. 걸림턱부(146)는 디스크부(144)의 원주면을 지지하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부(144)가 걸림턱부(146)와 힌지축부(143)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된다.
밸브 하우징(141)에는 연통홀부(142)를 가로지르고, 힌지축부(143)에 평행하도록 서포트 리브(147)가 형성된다. 서포트 리브(147)는 디스크부(144)의 중심부 측을 지지하고, 걸림턱부(146)는 디스크부(144)의 원호부를 지지한다. 서포트 리브(147)와 걸림턱부(146)에는 실링시트(미도시)가 적층되고, 디스크부(144)가 실링시트에 접촉됨에 따라 유동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클램핑부재(150)는 제1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체크밸브모듈(140)을 제2 하우징(130)에 압착시키도록 제1 하우징(12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클램핑부재(150)가 제1 하우징(120)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체크밸브모듈(140)이 클램핑부재(150)의 이동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클램핑(가압) 및 언클램핑(해제) 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모듈(140)과 제2 하우징(130) 사이의 틈새가 클램핑부재(150)의 가압력에 의해 밀봉되므로, 유동매체가 체크밸브모듈(140)과 제2 하우징(13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150)는 제1 하우징(12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링형태로 형성된다. 클램핑부재(150)가 링형태로 형성되므로, 체크밸브모듈(140)에서 제2 하우징(130)에 대향되는 부분이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밸브모듈(140)과 제2 하우징(130) 사이로 유동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그루브(123)가 형성되고, 클램핑부재(150)에는 그루브(123)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클램핑부재(15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슬라이더(133)가 형성된다. 슬라이더(133)는 원형봉 또는 다각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33)가 그루브(123)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클램핑부재(15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체크밸브모듈(140)을 클램핑 및 언클램핑 시킬 수 있다.
그루브(123)는 제1 하우징(120)의 둘레부룰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슬라이더(133)는 그루브(123)에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슬라이더(133)는 각 그루브(123)마다 하나씩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슬라이더(133)는 클램핑부재(15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루브(123)의 경사각은 클램핑부재(150)의 축방향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150)의 내측면 또는 제1 하우징(120)의 외측면에는 실링부재(153)가 설치된다. 따라서, 클램핑부재(150)의 내측면과 제1 하우징(120)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가 실링부재(153)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밸브 하우징(14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밀봉부재(154)가 각각 설치된다. 밀봉부재(154)는 밸브 하우징(141)의 하단부와 클램핑부재(150)의 상단부 사이의 틈새와, 밸브 하우징(141)의 상단부와 제2 하우징(130)의 하단부 사이의 틈새를 밀봉한다.
동력전달부(160)는 클램핑부재(150)를 회전시키도록 클램핑부재(150)에 연결된다. 동력전달부(160)는 기어부(161), 동력전달축부(162), 부시부(163) 및 링크부(164)를 포함한다.
기어부(161)는 조작핸들(170)에 연결된다. 기어부(161)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기어의 개수와 크기는 그루브(123)의 경사각, 클램핑부재(150)의 회전각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동력전달축부(162)는 기어부(161)에 연결된다. 이때, 동력전달축부(162)는 기어부(161)의 출력 기어에 연결된다. 부시부(163)는 동력전달축부(162)에 연결된다. 링크부(164)는 부시부(1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램핑부재(150)에 연결된다. 조작핸들(170)이 회전되면, 기어부(161), 동력전달부(160), 부시부(163) 및 링크부(164)가 회전됨에 따라 클램핑부재(150)가 회전된다. 따라서, 조작핸들(170)이 회전됨에 따라 클램핑부재(150)가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체크밸브모듈(140)이 클램핑부재(150)에 의해 클램핑 및 언클램핑 될 수 있다.
조작핸들(170)은 동력전달부(160)를 구동시키도록 동력전달부(160)에 연결된다. 조작핸들(170)의 핸들축부(172)는 기어부(161)의 입력 기어에 연결된다. 조작핸들(170)은 회전시키면, 동력전달부(160)가 구동됨에 따라 클램핑부재(150)가 체크밸브모듈(140)을 가압 및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크밸브모듈(140)가 클램핑부재(150)에 가압되는 클램핑 작업과, 체크밸브모듈(140)가 클램핑부재(150)로부터 해제되는 언클램핑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유지보수가 쉽고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조작핸들(170)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밸브장치의 사이즈가 크거나, 설비의 온도 및 설치 위치 등으로 접근이 어려운 배관에도 체크밸브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분리시키기 위해 클램핑부재가 하강되는 상태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장치에서 체크밸브모듈을 설치하기 위해 클램핑부재가 상승되는 상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체크밸브모듈(140)이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나면 체크밸브모듈(140)을 교체한다.
작업자가 조작핸들(17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에 따라 기어부(161)가 맞물려 구동된다. 기어부(161)가 구동됨에 따라 동력전달축부(162)와 부시부(163)가 회전되고, 부시부(163)가 링크부(164)를 회전시킨다. 링크부(164)가 회전됨에 따라 클램핑부재(150)가 체크밸브모듈(140)의 가압력을 해제한다(언클램핑: 도 8 참조).
클램핑부재(150)가 제2 하우징(13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체크밸브모듈(140)이 제2 하우징(130)에서 이격된다. 작업자가 체크밸브모듈(140)을 일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체크밸브모듈(140)이 제2 하우징(130)과 제1 하우징(120) 사이에서 분리된다. 새로운 체크밸브모듈(140)을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 사이에 위치시킨다.
새로운 체크밸브모듈(140)이 설치 위치에 위치되면, 조작핸들(17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램핑부재(150)가 체크밸브모듈(140)을 가압하도록 이동된다(클램핑: 도 9 참조). 이때, 체크밸브모듈(140)이 제2 하우징(130)에 압착됨에 따라 체크밸브모듈(140)과 제2 하우징(130) 사이의 틈새가 밀봉된다. 이때, 연통홀부(142)가 제1 통로부(121) 및 제2 통로부(131)와 연통되므로, 유동매체가 유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부재(150)가 조작핸들(170)과 동력전달부(160)에 의해 체크밸브모듈(140)을 클램핑(가압) 및 언클램핑(해제) 시키므로, 체크밸브모듈(14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디스크부(144)가 힌지축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디스크부(144)가 회전됨에 따라 연통홀부(142)가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바디부 111: 제1 바디패널부
112: 제1 체결홀부 113: 제2 바디패널부
115: 연결부재 115a: 연결로드
115b: 연결너트 120: 제1 하우징
121: 제1 통로부 123: 그루브
130: 제2 하우징 131: 제2 통로부
133: 슬라이더 135: 제2 플랜지부
136: 제2 체결홀부 140: 체크밸브모듈
141: 밸브 하우징 142: 연통홀부
143: 힌지축부 144: 디스크부
144a: 힌지링부 145: 스토퍼부
146: 걸림턱부 147: 서포트 리브
150: 클램핑부재 153: 실링부재
154: 밀봉부재 160: 동력전달부
161: 기어부 162: 동력전달축부
163: 부시부 164: 링크부
170: 조작핸들 172: 핸들축부

Claims (5)

  1. 제1 바디패널부와, 상기 제1 바디패널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바디패널부 및 상기 제1 바디패널부와 상기 제2 바디패널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패널부에 고정되며,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1 통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바디패널부에 고정되며, 유동매체가 통과하도록 제2 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유동매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모듈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모듈을 상기 제2 하우징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제2 바디패널부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램핑부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모듈은, 상기 클램핑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압착되고,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에 연통되도록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연통홀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힌지축부 및, 상기 연통홀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힌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디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크부가 상기 제1 통로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크부를 지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상기 연통홀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힌지축부에 평행하도록 서포트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리브는 상기 디스크부의 중심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디스크부의 원호부를 지지하며, 상기 체크밸브모듈은 상기 디스크부가 상기 제2 통로부 측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2 통로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에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클램핑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슬라이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둘레부룰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그루브에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장치.
  5. 삭제
KR1020180098978A 2018-08-24 2018-08-24 체크밸브장치 KR10212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78A KR102123878B1 (ko) 2018-08-24 2018-08-24 체크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78A KR102123878B1 (ko) 2018-08-24 2018-08-24 체크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845A KR20200022845A (ko) 2020-03-04
KR102123878B1 true KR102123878B1 (ko) 2020-06-18

Family

ID=6978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978A KR102123878B1 (ko) 2018-08-24 2018-08-24 체크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8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668A (ja) 1999-12-27 2001-07-06 Tacmina Corp 往復動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675Y2 (ko) * 1987-11-10 1991-08-21
JP2568206Y2 (ja) * 1993-02-08 1998-04-08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デュアルプレート逆止弁のチャタリング防止装置
ITVI20110312A1 (it) * 2011-12-02 2013-06-03 Tyco Valves And Controls Italia S R L Valvola di non ritorno sottomarina a manutenzione rapi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668A (ja) 1999-12-27 2001-07-06 Tacmina Corp 往復動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845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672B2 (en) Pipeline control unit
US7533694B2 (en) Dry break valve assembly
DE69912651T2 (de) Absperrventil
WO2006019394A1 (en)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hot tapping a line
US9228664B2 (en) Rotary multi-port valve
KR102123878B1 (ko) 체크밸브장치
US7878219B2 (en) Fluid system coupling with pin lock
KR102206833B1 (ko) 클램프 결합형 버터플라이 밸브 및 조립 방법
CN102239354A (zh) 用于阀的流体流动控制部件
WO2015114946A1 (ja) 一軸偏心ネジポンプ
CN211039763U (zh) 一种高温高压硬密封球阀
US5657960A (en) Pinch valve
KR102120384B1 (ko) 라인블라인드밸브
US20200256470A1 (en) Blind valve
CN110216113A (zh) 一种疏通器
KR20190088858A (ko) 중대형 수동밸브 개폐구동장치
KR102272033B1 (ko) 볼스크류 타입 라인블라인드밸브
KR101105451B1 (ko) 플러그 밸브
US20090146093A1 (en) Ball Valve Housing Seat and Method of Securing the Same to a Ball Valve
US10612675B2 (en) Pressure assisted rotary pinch valve
JPH04507281A (ja) クロージャー
KR20210039162A (ko) 라인 블라인드 밸브
KR100849283B1 (ko) 버터플라이 밸브
CN209304716U (zh) 一种pe管道用接线机架
CN113532845B (zh) 一种对焊端阀门的试压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