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480B1 -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480B1
KR102123480B1 KR1020187013892A KR20187013892A KR102123480B1 KR 102123480 B1 KR102123480 B1 KR 102123480B1 KR 1020187013892 A KR1020187013892 A KR 1020187013892A KR 20187013892 A KR20187013892 A KR 20187013892A KR 102123480 B1 KR102123480 B1 KR 10212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upport information
display
cab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887A (ko
Inventor
겐지 오이와
마사오 야마무라
도모히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6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E02F9/262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with follow-up actions to control the work tool, e.g.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Abstract

작업 차량은, 버킷(7)을 가지는 작업기와, 작업기가 장착되고, 또한 운전실을 가지는 본체부와, 운전실에 설치되고, 작업 현장의 실제 뷰와 중첩시켜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44)와,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본체부에 대한 버킷(7)의 위치를 검출하는 버킷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는,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표시 제어부는, 버킷(7)이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버킷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을 변경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작업 차량(work vehicle) 및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버킷(bucket)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 및 상기 작업 차량에서의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등의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작업 차량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작업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의 작업기는, 본체부 측으로부터 순차로, 붐(boom)과, 암(arm)과, 버킷을 구비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24307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 셔블은, 운전실과, 작업기와, 표시 장치와, 표시 위치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기는, 운전실 내의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동작한다. 표시 장치는, 운전실에 설치되고,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 위치 연산부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작업기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 장치는, 운전실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투명의 디스플레이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243073호 공보
그런데, 작업 차량의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질수록, 운전실의 오퍼레이터에게는 버킷이 크게 보인다. 따라서,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질수록,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소정의 화상으로서의 작업 지원 정보가 버킷과 중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작업 차량의 조작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작업 차량, 및 상기 작업 차량에서의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작업 차량은, 버킷을 가지는 작업기와, 작업기가 장착되고, 또한 운전실을 가지는 본체부와, 운전실에 설치되고, 작업 현장의 실제 뷰(actual view)와 중첩시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본체부에 대한 버킷의 위치를 검출하는 버킷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display manner)을 변경한다.
버킷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운전실의 오퍼레이터로부터 표시 장치를 통하여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의 크기는 변화한다. 그러므로,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의 크기에 따라서는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시키는 것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구성과 같이, 버킷이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버킷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함으로써, 버킷의 전후 방향의 이동 시에 표시 태양이 변경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버킷의 전후 방향의 이동 시에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변경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1 위치보다 운전실 가까이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사이즈보다도 작은 제2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버킷이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운전실의 오퍼레이터로부터 버킷이 크고 육안 관찰할 수 있는 제2 위치에 버킷이 있을 때 쪽이,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 차량은, 버킷이 운전석 가까이의 제2 위치에 도달해도, 버킷의 주위에 작업 지원 정보를 계속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2 위치보다 운전실 가까이의 제3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버킷이 제2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버킷이 제3 위치에 있을 때의 쪽이, 운전실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의 크기는 크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를 너무 작아지게 하면, 오퍼레이터는 작업 지원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버킷이 제2 위치보다 운전실 가까이의 제3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작업 지원 정보를 비표시로 함으로써,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를 서서히 작게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짐에 따라 표시되는 작업 지원 정보는 서서히 작아지게 되므로,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에 비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와, 버킷이 제1 위치보다 운전실 가까이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2 위치보다 운전실 가까이의 제3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버킷이 제2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버킷이 제3 위치에 있을 때의 쪽이, 운전실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의 크기는 크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 지원 정보를 버킷의 주위에 추종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한 구성과 같이, 제3 위치에서는 작업 지원 정보를 비표시로 함으로써,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에 추종시킬 수 없게 되는 사태에 대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에서 볼 때 버킷의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 지원 정보는, 적어도 날끝(cutting edge)의 아래쪽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한 표시가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작업기는, 운전실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에서 볼 때 버킷의 좌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에 대한 작업기의 장착 위치에 적합한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로부터 버킷의 좌측의 위치 및 우측의 위치 중 한쪽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는, 버킷이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로부터 버킷의 좌측의 위치 및 우측의 위치 중 다른 쪽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져도, 작업 지원 정보를 버킷의 주위에 계속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에서 볼 때 버킷의 주변을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 지원 정보가 버킷과 중첩되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지원 정보가 버킷의 주위에서 추종하므로, 작업 지원 정보의 육안관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국면에 따르면, 작업 차량의 표시 제어 방법은, 버킷을 가지는 작업기와, 작업기가 장착되고, 또한 운전실을 가지는 본체부와, 운전실에 설치되고, 작업 현장의 실제 뷰와 중첩시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실행된다. 표시 제어 방법은, 본체부에 대한 버킷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작업 지원 정보를 버킷의 이동에 추종하게 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버킷이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버킷이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버킷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함으로써, 버킷의 전후 방향의 이동 시에 표시 태양이 변경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작업 차량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국면에서의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버킷이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의 각각의 표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지는 방향(후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의 제1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지는 방향(후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의 제2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버킷이 운전실에 가까워지는 방향(후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의 제3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변경예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표시 장치와는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다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A. 전체 구성>
도 1은,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으로서, 본 예에 있어서는,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작업 차량(101)은, 주행체(1)와, 선회체(旋回體)(3)와, 작업기(4)를 주로 가지고 있다. 작업 차량(101)의 본체부는, 주행체(1)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된다. 본체부에는, 작업기(4)가 장착되어 있다. 주행체(1)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를 가지고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1)의 선회(旋回) 기구(機構)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회체(3)는, 운전실(8) 등을 가진다.
작업기(4)는, 선회체(3)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토사의 굴삭(掘削;excavation) 등의 작업을 행한다. 작업기(4)는, 붐(5)과, 암(6)과, 버킷(7)을 포함한다. 작업기(4)는, 운전실(8)로부터 우측 전방으로 육안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붐(5)는, 베이스부가 선회체(3)에 가동(可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6)은, 붐(5)의 선단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7)은, 암(6)의 선단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7)은, 운전실(8)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버킷(7)은, 운전실(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버킷(7)은, 날끝(7A)을 가진다.
운전실(8)은, 프론트 유리(2)를 가진다. 프론트 유리(2)는, 프레임(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유리(2)는, 프론트 유리(2A)와, 프론트 유리(2A)보다도 하측의 프론트 유리(2B)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유리(2A)는, 상부의 개구 프레임(9A)의 내측(개구 범위 내)에 설치되고, 프론트 유리(2B)는, 하부의 개구 프레임(9B)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44)는, 작업 차량(101)의 운전실(8)의 운전석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44)는, 운전실(8)에 입사하는 외광을 투과하는 부재(필름 등)와, 투영기(프로젝터)에 의해 구성된다. 투영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은, 실상(實像)으로서 외광을 투과하는 부재(필름 등)에 표시된다. 표시 장치(44)의 표시 영역은, 작업 차량(101)의 운전실(8)의 전면의 개구 프레임(9A) 내에 설치된다.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는, 표시 장치(44)의 표시 영역을 투과하여, 작업기(4)를 포함하는 작업 현장의 실제 뷰를 육안 관찰할 수 있다. 표시 장치(44)는, 작업 현장의 실제 뷰와 중첩시켜, 오퍼레이터에 의한 작업기(4)의 조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 장치(44)는,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직접 영상을 비추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로서 기능한다.
표시 장치(44)의 필름 등의 외광을 투과하는 부재는, 프론트 유리(2A)에 중첩되어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44)는, 프론트 유리(2A)의 에지부까지 표시 영역을 가진다. 그리고, 프론트 유리(2A)의 크기는, 표시 장치(44)의 표시 영역과 같아도 되고, 상이한 경우라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44)로서, 운전실(8)에 입사하는 외광을 투과하는 부재(필름 등)에 대하여 투영기(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의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투과형의 액정 디스플레이)인 표시 장치(44)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B. 제어계의 구성>
도 2는, 작업 차량(101)이 구비하는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1)은, 조작 장치(10)와, 작업기 컨트롤러(20)와, 작업기 구동 장치(30)와, 표시 시스템(40)을 가진다.
(b1.조작 장치(10))
조작 장치(10)는, 조작 부재(11L), (11R)와, 조작 검출부(12)와, 주행 조작 부재(13)와, 주행 조작 검출부(14)를 가진다.
조작 부재(11L), (11R)는, 오퍼레이터가 작업기(4) 및 선회체(3)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조작 부재(11R)는, 오퍼레이터가 붐(5)과 버킷(7)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 부재(11L)는, 오퍼레이터가 선회체(3)와 암(6)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 검출부(12)는, 조작 부재(11L), (11R)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검출한다.
주행 조작 부재(13)는, 오퍼레이터가 작업 차량(101)의 주행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행 조작 검출부(14)는, 주행 조작 부재(13)의 조작 내용에 따라 파일럿 유량(流量)을 발생한다. 작업 차량(101)은, 파일럿 유량에 따른 속도로 이동한다.
(b2. 작업기 컨트롤러(20))
작업기 컨트롤러(20)는, 기억부(21)와, 연산부(22)를 가지고 있다. 기억부(21)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로 구성된다. 연산부(2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작업기 컨트롤러(20)는, 주로, 작업기(4)의 동작과 선회체(3)의 선회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작업기 컨트롤러(20)는, 조작 부재(11L), (11R)의 조작에 따라 작업기(4) 및 선회체(3)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작업기 컨트롤러(20)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작업기 제어 장치(27)에 출력한다.
(b3. 작업기 구동 장치(30))
작업기 구동 장치(30)는, 비례 제어 밸브(31)를 가지고 있다. 비례 제어 밸브(31)는, 작업기 컨트롤러(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상세하게는, 비례 제어 밸브(31)는, 제어 신호에 따른 유량의 작동유를, 유압(油壓) 실린더 및 선회 모터에 공급한다. 이로써, 작업기(4)가 동작하고, 선회체(3)가 선회한다.
(b4. 표시 시스템(40))
표시 시스템(40)의 표시 장치(44)는, 작업 지원 정보 등의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 시스템(40)은, 버킷 위치 검출부(41)와, 표시 제어부(43)와, 표시 장치(44)를 가진다. 그리고, 표시 시스템(40)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시점(視点) 위치로서, 소정의 기준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버킷 위치 검출부(41)는, 버킷 각도 센서(411)와, 암 각도 센서(412)와, 붐 각도 센서(413)를 가진다.
버킷 각도 센서(411)는, 버킷(7)의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相對) 각도를 검출한다. 암 각도 센서(412)는, 암(6)의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각도를 검출한다. 붐 각도 센서(413)는, 붐(5)의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각도를 검출한다.
버킷 위치 검출부(41)는, 검출된 3개의 상대 각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 본체에 대한 버킷(7)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세하게는, 버킷 위치 검출부(41)는, 차체 좌표계에서의 버킷(7)의 위치를 검출한다. 버킷 위치 검출부(41)는, 버킷(7)의 위치로서, 예를 들면, 버킷(7)의 날끝(7A)의 위치를 검출한다.
표시 제어부(43)는, 상기 검출된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주위로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운전실(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검출된 버킷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한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검출된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의 크기(사이즈)를 변경한다. 그리고, 작업 지원 정보의 구체적인 표시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도 3∼도 7).
표시 제어부(4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표시 제어부(43)는, 화상 생성부(431)와, 표시 위치 연산부(432)를 가진다.
화상 생성부(431)는, 표시 장치(44)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생성부(431)는, 차속계, 엔진 회전계, 연료계, 오일 온도계 등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생성부(431)는,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한다. 작업 지원 정보의 구체예에 대하여는, 도 3 등에서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화상 생성부(431)는, 작업 차량(101)의 동력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화상 생성부(431)는, 각종 센서에 의해 검지된 정보 및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내용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한다. 화상 생성부(431)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 위치 연산부(432)는, 표시 장치(44)에서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연산하고, 산출된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위치 연산부는,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위치 연산부(432)는,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검출된 버킷(7)의 위치와, 전술한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산출한다. 상세하게는, 표시 위치 연산부(432)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주위로 육안 관찰할 수 있는 표시 위치를 산출한다. 표시 위치 연산부(432)에 의해 산출되는 표시 위치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도 3∼도 7).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표시 장치(44) 상에서의 버킷(7)의 위치 및 버킷(7)의 날끝(7A)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산출 처리에 의해,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43)는, C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나 RAM 및 ROM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C. 사용자 인터페이스>
다음에, 도 3∼도 7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먼저,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작업 지원 정보의 추종 처리를 설명한다. 이어서, 도 5∼도 7을 참조하여,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의 변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c1. 작업 지원 정보의 추종 처리)
도 3은, 어떤 국면에서의 표시 장치(44)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표시 장치(44)의 표시 영역에,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91∼94)를 표시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91∼94)의 각각이 버킷(7)의 주위로 육안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91∼94)를 표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91∼94)를, 버킷(7)의 날끝(7A)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1, 92)가 운전실(8)에서 볼 때 버킷(7)의 좌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1, 92)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3, 94)가 운전실(8)에서 볼 때 버킷(7)의 우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3, 94)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작업 지원 정보(91)는, 정대 컴퍼스(facing compass)를 나타내고 있다. 정대 컴퍼스는, 작업 차량(101)이 설계면 데이터와 정대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정대 컴퍼스는, 정대 상태에 없는 경우에는, 원의 내부의 화살표의 회전각으로 어긋남량(shift amount)을 나타낸다. 작업 차량(101)이 설계면 데이터와 정대하고 있지 않을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도 3에 나타낸 태양과는 상이한 태양(예를 들면, 색 등을 변경한 태양)으로 작업 지원 정보(91)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켜도 된다.
작업 지원 정보(92)는, 설계면과 날끝과의 단면(斷面)(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작업 지원 정보(93)는, 라이트 바(bar indicator)를 나타내고 있다. 라이트 바는, 마무리 굴삭(excavation) 시에 표시된다. 라이트 바는, 설계면과 날끝(7A)과의 거리를, 후술하는 작업 지원 정보(94)보다 상세하게 표시한다. 작업 지원 정보(94)는, 설계면 방향 및 설계면과 날끝(7A)과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작업 지원 정보(91∼94)는, 일례로서, 표시 장치(44)에 표시되는 작업 지원 정보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버킷(7)이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복수의 작업 지원 정보(91∼94)의 각각의 표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7)은, 상태(A)보다도 상태(B) 쪽이 높은 위치에 있다.
상태(A)에서는, 표시 시스템(40)은, 도 3과 마찬가지로, 4개의 작업 지원 정보(91∼94)를 표시하고 있다. 상태(A)로부터 버킷(7)이 위쪽으로 이동하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순차 검출되는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1∼94)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태(B)와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각각의 작업 지원 정보(91∼94)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도록, 작업 지원 정보(91∼94)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각 작업 지원 정보(91∼94)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주위로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1∼94)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작업 지원 정보(91∼94)를 추종시킬뿐아니라, 버킷(7)의 운전실(8)에 대한 전후 방향의 이동에 대하여도 작업 지원 정보(91∼94)를 추종시킨다.
이상과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주변을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작업 지원 정보는, 적어도 날끝(7A)의 아래쪽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한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작업기(4)는, 운전실(8)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좌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에 대한 작업기의 장착 위치에 적합한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c2.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의 변경)
이하에서는,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의 변경예로서, 3개의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이하에서는, 버킷(7)이 운전실(8)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 93)의 표시 태양의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1 변경예
도 5는,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지는 방향(후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의 제1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7)은, 상태(A)보다도 상태(B)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한, 버킷(7)은, 상태(B)보다도 상태(C)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태(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P1에 버킷(7)이 있는 경우, 표시 시스템(40)은, 작업 지원 정보(92)를,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에서 볼 때 버킷(7)의 좌측의 위치(P51)에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표시 시스템(40)의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제1 사이즈로 위치(P51)에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이, 작업 지원 정보(92)를, 버킷(7)의 날끝(7A)보다도 높은 위치에 표시시킨다.
상태(A)로부터 버킷(7)이 후방(운전실(8) 측)으로 이동하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순차 검출되는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되도록,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사이즈를, 버킷(7)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사이즈로부터 서서히 작게 한다.
예를 들면, 상태(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P2에 버킷(7)이 도달한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위치(P52)에 표시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작은 제2 사이즈로 위치(P52)에 표시한다.
상태(B)의 후, 버킷(7)이 더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키고, 또한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를 보다 작게 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상태(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P3에 버킷(7)이 도달한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위치(P53)에 표시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상기 제2 사이즈보다도 작은 제3 사이즈로 위치(P53)에 표시한다.
그리고, 위치(P52, P53)는, 오퍼레이터에서 볼 때 버킷(7)의 좌측의 위치이다. 또한, 이들 위치에 있어서도 버킷(7)과 작업 지원 정보(92)와의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 지원 정보(92)는, 버킷(7)의 날끝(7A)보다도 높은 위치에 표시된다.
상기한 처리를 소괄(小括)하면, 이하의 (i)∼(iv)와 같다.
(i)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주위로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운전실(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검출된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을 변경한다.
버킷(7)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로부터 표시 장치(44)를 통하여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7)의 크기는 변화한다. 그러므로,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7)의 크기에 따라서는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을 변경시키는 것이, 작업 차량(10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구성과 같이, 버킷(7)이 운전실(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을 변경함으로써, 버킷(7)의 전후 방향의 이동 시에 표시 태양이 변경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작업 차량(10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ii)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검출된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 상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버킷(7)의 전후 방향의 이동 시에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사이즈가 변경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작업 차량(10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iii)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1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1보다도 운전실(8) 가까이의 위치 P2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사이즈보다도 작은 제2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버킷(7)이 위치 P1에 있을 때보다도,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로부터 버킷이 크고 육안 관찰할 수 있는 위치 P2에 버킷이 있을 때 쪽이,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사이즈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 차량(101)은, 버킷(7)이 운전석 가까이의 위치 P2에 도달해도, 버킷(7)의 주위에 작업 지원 정보(92)를 계속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iv)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짐에 따라 표시 장치(44) 상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를 서서히 작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짐에 따라 표시되는 작업 지원 정보(92)는 작아지게 되므로,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에 비해,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2 변경예
도 6은,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지는 방향(후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의 제2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7)은, 상태(A)보다도 상태(B)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한, 버킷(7)은, 상태(B)보다도 상태(C)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리고, 도 6의 상태(A)는 도 5의 상태(A)와 동일하며, 도 6의 상태(B)는 도 5의 상태(B)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6의 상태(A), (B)에 대하여는, 여기서는 반복 설명을 하지 않는다.
상태(B) 후에, 버킷(7)이 더 후방으로 이동하여 버킷(7)이 위치 P3[상태(C)]에 도달한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비표시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2보다도 운전실(8) 가까이의 위치 P3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그런데, 버킷(7)이 위치 P2에 있을 때보다도, 버킷(7)이 위치 P3에 있을 때 쪽이,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7)의 크기는 크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를 너무 작아지게 하면, 오퍼레이터는 작업 지원 정보(92)가 나타내는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버킷(7)이 위치 P2보다도 운전실 가까이의 위치 P3에 있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 지원 정보(92)를 비표시로 함으로써, 작업 차량(10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3 변경예
도 7은,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지는 방향(후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태양의 제3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7)은, 상태(A)보다도 상태(B)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태(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P1에 버킷(7)이 있는 경우, 표시 시스템(40)은, 작업 지원 정보(93)를,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에서 볼 때 버킷(7)의 우측의 위치(P54)에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표시 시스템(40)의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3)를 제1 사이즈로 위치(P54)에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가, 작업 지원 정보(93)를, 버킷(7)의 날끝(7A)보다도 높은 위치에 표시시킨다.
상태(A)로부터 버킷(7)이 후방[운전실(8) 측]으로 이동하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순차 검출되는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되도록,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사이즈를, 버킷(7)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사이즈로부터 서서히 작게 한다.
상태(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P2에 버킷(7)이 도달한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3)를,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에서 볼 때 버킷(7)의 좌측의 위치(P55)에 표시시킨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위치를, 버킷(7)에 대하여 상태(A)와는 반대측으로 변경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3)를,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작은 제2 사이즈로 위치(P55)에 표시한다.
그리고, 위치(P54, P55)에 있어서도 버킷(7)과 작업 지원 정보(93)와의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 지원 정보(93)는, 버킷(7)의 날끝(7A)보다도 높은 위치에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1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93)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우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2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93)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좌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져도, 작업 지원 정보(93)를 버킷(7)의 주위에 계속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작업기(4)의 위치가 운전실(8)의 좌측에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표시 제어부(43)를 구성해도 된다.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좌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P1’)보다도 운전실(8) 가까이의 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가 운전실(8)로부터 버킷(7)의 우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3)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버킷(7)이 운전실(8)에 가까워져도, 작업 지원 정보(93)를 버킷(7)의 주위에 계속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D. 제어 구조>
도 8은,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스텝 S1에서, 글로벌 좌표계 상의 작업 차량(101)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표시 제어부(43)는, 스텝 S2에서, 차체 좌표계 상에서의, 버킷(7)의 위치 및 날끝(7A)의 위치를 산출한다. 스텝 S3에서, 표시 제어부(43)는, 글로벌 좌표 상의 버킷(7)의 위치 및 날끝(7A)의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글로벌 좌표계 상의 버킷(7)의 위치 등을 산출하는 것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 지형 정보를 이용한 정보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키기 위해서이다.
스텝 S4에서,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의 날끝의 글로벌 좌표에서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표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설계 지형(target design topography)과 날끝(7A)과의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 스텝 S5에서, 표시 제어부(43)는, 스텝 S4에서 산출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내용을 생성한다. 스텝 S6에서, 표시 제어부(43)는, 스텝 S2에서 산출된 차체 좌표계 상의 버킷(7)의 현재 위치[상세하게는, 날끝(7A)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사이즈와,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산출한다. 스텝 S7에서, 표시 제어부(43)는, 스텝 S6에서 산출한 표시 위치에, 산출한 표시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한다.
<E. 변형예>
(e1. 제1 변형예)
도 9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변경예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7)은, 상태(A)보다도 상태(B)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한, 버킷(7)은, 상태(B)보다도 상태(C) 쪽이 운전실(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리고, 도 9의 상태(A)는 도 6의 상태(A)와 동일하며, 도 9의 상태(C)는 도 6의 상태(C)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9의 상태(A), (C)에 대하여는, 여기서는 반복 설명을 하지 않는다.
상태(A)로부터 버킷(7)이 후방[운전실(8) 측])으로 이동하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 위치 검출부(41)에 의해 순차 검출되는 버킷(7)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되도록,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위치를 버킷(7)의 이동에 추종시킨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의 표시 사이즈를 상기 제1 사이즈로부터 변경시키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후방으로 이동해도,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를 변경시키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작업 지원 정보(92)의 사이즈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 점이, 전술한 제2 변경예(도 6)는 상이하다.
또한, 상태(B) 후에, 버킷(7)이 더 후방으로 이동하여 버킷(7)이 위치 P3(상태(C)에 도달한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비표시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2보다도 운전실(8) 가까이의 위치 P3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1에 있는 경우와, 버킷(7)이 위치 P1보다도 운전실(8) 가까이의 위치 P2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사이즈(소정의 사이즈)로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43)는, 버킷(7)이 위치 P2보다도 운전실(8) 가까이의 위치 P3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7)이 위치 P2에 있을 때보다, 버킷(7)이 위치 P3에 있을 때 쪽이, 운전실(8)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버킷(7)의 크기는 크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 지원 정보(92)를 버킷의 주위에 추종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한 구성과 같이, 위치 P3에서는 작업 지원 정보(92)를 비표시로 함으로써,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버킷에 추종시킬 수 없게 되는 사태에 대처할 수 있다.
(e2. 제2 변형예)
상기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44)가 개구 프레임(9A) 내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44)가 개구 프레임(9B) 내도 표시 영역으로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운전실(8)이 투명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43)는, 2개의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개구 프레임(9B)의 표시 영역에 대하여 다른 표시 장치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업 차량이라도, 전술한 작업 차량(101)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작업 지원 정보는 하측의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도 표시할 수 있다.
(e3. 제3 변형예)
작업 차량(101)은, 표시 장치(44)와는 상이한 구성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차량(101)은, 표시 장치로서 콤바이너(combiner)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44)와는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다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70)는, 운전실(8)에 설치되고, 투영기(71)와, 렌즈 공학계(72)와, 콤바이너(73)를 가진다.
투영기(71)는, 프로젝터이다. 렌즈 공학계(72)는, 투영기(71)와 콤바이너(7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렌즈 공학계(72)는, 복수의 렌즈를 가진다. 렌즈 공학계(72)는,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콤바이너(73)는, 프론트 유리(2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이너(73)는, 프론트 유리(2A)와 프론트 유리(2B)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콤바이너(73)는, 일부의 광을 반사하고, 나머지의 광을 투과하는 하프 미러로 구성되어 있다. 콤바이너(73)는, 투영기(71)에 의해 투영된 영상을 운전실(8) 내의 오퍼레이터 측으로 반사하고, 또한 운전실(8)의 외부로부터의 광을 운전실(8)의 내부로 투과한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70)에서는, 오퍼레이터는, 콤바이너(73)에 투영된 영상을, 운전실(8) 전방의 실제 뷰에 중첩하여 표시되는 허상(虛像)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콤바이너(73)를 이용한 표시 장치(70)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이라도,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10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백호 로더(backhoe loader)나 다른 작업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예시로서, 상기 내용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주행체, 2, 2A, 2B: 프론트 유리, 3: 선회체, 4: 작업기, 5: 붐, 6: 암, 7: 버킷, 7A: 날끝, 8: 운전실, 9: 프레임, 9A, 9B: 개구 프레임, 10: 조작 장치, 11L, 11R, 31L: 조작 부재, 12, 12L, 12R: 조작 검출부, 13: 주행 조작 부재, 14: 주행 조작 검출부, 20: 작업기 컨트롤러, 21: 기억부, 22: 연산부, 27: 작업기 제어 장치, 30: 작업기 구동 장치, 31: 비례 제어 밸브, 40: 표시 시스템, 41: 버킷 위치 검출부, 43: 표시 제어부, 44, 70: 표시 장치, 71: 투영기, 72: 렌즈 공학계, 73: 콤바이너, 91, 92, 93, 94: 작업 지원 정보, 101: 작업 차량, 411: 버킷 각도 센서, 412: 암 각도 센서, 413: 붐 각도 센서, 431: 화상 생성부, 432: 표시 위치 연산부.

Claims (11)

  1. 버킷(bucket)을 구비하는 작업기;
    상기 작업기가 장착되고, 또한 운전실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운전실에 설치되고, 작업 현장의 실제 뷰(actual view)와 중첩시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버킷의 위치를 검출하는 버킷 위치 검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상기 버킷의 이동에 추종시키고,
    상기 버킷이 상기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버킷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態樣)을 변경시키고,
    상기 버킷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버킷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 상에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를 변경시키는,
    작업 차량(work vehic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버킷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사이즈로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버킷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운전실 가까이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작은 제2 사이즈로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버킷이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운전실 가까이의 제3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지 않는, 작업 차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버킷이 상기 운전실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 상에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를 서서히 작게 하는, 작업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버킷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와, 상기 버킷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운전실 가까이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사이즈로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버킷이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운전실 가까이의 제3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지 않는, 작업 차량.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가 상기 운전실에서 볼 때 상기 버킷의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작업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운전실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가 상기 운전실에서 볼 때 상기 버킷의 좌측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작업 차량.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버킷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가 상기 운전실로부터 상기 버킷의 좌측의 위치 및 우측의 위치 중 한쪽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버킷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가 상기 운전실로부터 상기 버킷의 상기 좌측의 위치 및 상기 우측의 위치 중 다른 쪽의 위치를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작업 차량.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작업 지원 정보가 상기 운전실에서 볼 때 상기 버킷의 주변을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위치를 상기 버킷의 이동에 추종시키는, 작업 차량.
  10. 버킷을 구비하는 작업기; 상기 작업기가 장착되고, 또한 운전실을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운전실에 설치되고, 작업 현장의 실제 뷰와 중첩시켜 작업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버킷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작업 지원 정보를 상기 버킷의 이동에 추종하게 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킷이 상기 운전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킷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 상에서의 상기 작업 지원 정보의 사이즈를 변경시키는,
    표시 제어 방법.
  11. 삭제
KR1020187013892A 2015-12-25 2016-11-29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2123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3705 2015-12-25
JP2015253705A JP6620011B2 (ja) 2015-12-25 2015-12-25 作業車両および表示制御方法
PCT/JP2016/085348 WO2017110383A1 (ja) 2015-12-25 2016-11-29 作業車両および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887A KR20180069887A (ko) 2018-06-25
KR102123480B1 true KR102123480B1 (ko) 2020-06-16

Family

ID=5908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892A KR102123480B1 (ko) 2015-12-25 2016-11-29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2351B2 (ko)
JP (1) JP6620011B2 (ko)
KR (1) KR102123480B1 (ko)
CN (1) CN108291391B (ko)
WO (1) WO2017110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680B2 (ja) * 2018-08-31 2022-1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7312563B2 (ja) * 2019-02-19 2023-07-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7201486B2 (ja) 2019-03-13 2023-01-1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WO2021010489A1 (ko) * 2019-07-17 2021-01-21
JP7367606B2 (ja) * 2020-05-14 2023-10-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遠隔操作支援装置および遠隔操作支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154A (ja) * 2003-12-05 2005-06-23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2129A (ja) * 1988-06-13 1989-12-15 Komatsu Ltd 腕式作業機のモニタ装置
US5721679A (en) * 1995-12-18 1998-02-24 Ag-Chem Equipment Co., Inc. Heads-up display apparatus for computer-controlled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ion equipment
GB0410415D0 (en) * 2004-05-11 2004-06-16 Bamford Excavators Ltd Operator display system
US20060103590A1 (en) * 2004-10-21 2006-05-18 Avner Divon Augme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s
JP5113586B2 (ja) 2008-03-28 2013-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054832B2 (ja) 2011-02-22 2012-10-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941663B2 (ja) * 2011-11-30 2016-06-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モニタシステム
JP5426742B1 (ja) 2012-10-05 2014-02-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機械の表示システム及び掘削機械
JP5624108B2 (ja) * 2012-11-14 2014-11-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機械の表示システム及び掘削機械
US8918246B2 (en) * 2012-12-27 2014-12-23 Caterpillar Inc. Augmented reality implement control
JP6258582B2 (ja) 2012-12-28 2018-01-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781668B2 (ja) * 2014-05-30 2015-09-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表示システム
JP6392097B2 (ja) 2014-11-27 2018-09-19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の支援装置及びショベルの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154A (ja) * 2003-12-05 2005-06-23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73032A1 (en) 2018-12-27
CN108291391A (zh) 2018-07-17
WO2017110383A1 (ja) 2017-06-29
JP6620011B2 (ja) 2019-12-11
KR20180069887A (ko) 2018-06-25
CN108291391B (zh) 2020-11-06
US10942351B2 (en) 2021-03-09
JP2017115492A (ja)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889B1 (ko)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1815268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3480B1 (ko) 작업 차량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2088787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JP201001814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119709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CN108291389B (zh) 作业车辆以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KR102088786B1 (ko) 작업 차량
JP7168697B2 (ja) 建設機械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614838B2 (ja) 油圧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