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58B1 - 집수정 - Google Patents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58B1
KR102123358B1 KR1020170148853A KR20170148853A KR102123358B1 KR 102123358 B1 KR102123358 B1 KR 102123358B1 KR 1020170148853 A KR1020170148853 A KR 1020170148853A KR 20170148853 A KR20170148853 A KR 20170148853A KR 102123358 B1 KR102123358 B1 KR 10212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main body
ground
suppor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62A (ko
Inventor
김범규
이재희
이소영
김정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에 안착되어 지하수를 집수하는 것으로서, 지하수를 집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을 지반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집수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에 의하면, 지지축에 대하여 조임너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줌으로써, 집수정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집수정{Collecting well}
본 발명은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공간으로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상에 설치되는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정이란 건축물 외부로 지하수 등을 배수하기 위하여 지하 최하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집수정은, 콘크리트의 타설과 같은 건축물의 구축 단계에서는 공사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이 완성된 후에는 건축물에 부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집수정은 지반의 건축물의 기초보다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력 및 토압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최근에는 강재나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경량성, 경제성, 내식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기성 집수정이 제작되고 있다.
한편, 집수정은 터파기를 한 지반 상에 안착될 시에 반드시 상부면의 수평이 맞추어진 상태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건축물의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집수정의 품질에 결함이 생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집수정이 안착되는 토지에 지하수가 많은 경우, 지하수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거나, 지하수로 인해 지반이 약화되는 등으로 인해, 집수정이 어느 한 쪽으로 쏠림에 따라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듯 집수정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집수정의 수평을 맞춰주기 위하여, 작업자가 터파기를 한 곳으로 직접 들어가 고임목을 대거나, 집수정을 지반 상에 안착시킨 후 집수정의 상부면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집수정 위로 작업자가 올라가 하중을 가하여 직접 집수정의 수평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터파기를 한 곳으로 직접 들어가는 경우 끼임 및 협착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며, 집수정의 상부면 일부를 절단하는 경우 집수정의 품질이 저하되고, 집수정 위로 작업자가 올라가는 경우 집수정의 양중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집수정과 관련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522호에서는, 지지대를 구비한 집수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집수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반에 안착되어 지하수를 집수하는 것으로서, 지하수를 집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을 지반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집수정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고정 배치된 지지축과,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너트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너트는, 상기 너트고정부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플랜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너트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하부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반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부, 고정부 및 지지축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은, 하단이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볼 조인트 구조로 결합되어, 지반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에 의하면, 지지축에 대하여 조임너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줌으로써, 집수정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에 포함된 지지축과 지지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지반 상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00)은, 지반 상에 안착되어 지하수를 집수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0), 고정부(1200) 및 지지부(1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0)는, 지하수를 집수하는 종래의 집수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00)는, 상기 본체부(110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플랜지(1210), 하부플랜지(1220) 및 복수개의 너트고정부재(12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랜지(1210)는, 상기 본체부(1100)의 외주면으로부터 고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상부관통홀(121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랜지(1220)는, 상기 상부플랜지(12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관통홀(1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하부관통홀(1221)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너트고정부재(1230)는, 상기 본체부(1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부플랜지(1210)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상부관통홀(1211) 중 일부와 연통한다.
상기 지지부(1300)는, 상기 본체부(1100)와 고정부(12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지지수단(13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수단(1310)은, 상기 고정부(1200)에 설치되며,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와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1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수단(1310)은,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1200) 및 본체부(1100)의 일 부분을 지반에 대하여 승하강시킴으로써, 지반을 기준으로 하여 본체부(1100)의 상부면이 수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수단(1310)은, 지지축(1311), 지지판(1312) 및 조임너트(131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1311)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관통홀(1221)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1220)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축(1311)은 상기 조임너트(1313)에 의해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 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승 시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210)의 상부관통홀(12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12)은,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지지축(13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반 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312)은, 상기 본체부(1100), 고정부(1200) 및 지지축(1311)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312)은, 상기 본체부(1100)의 하면부가 지반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1312)이 안착되는 지반은, 평평하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움푹 파인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축(1311)은 하단이 볼(1311a)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312)은 상기 지지축(1311)의 하단에 볼 조인트(Ball joint)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00)이 지반 상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1312)이 지반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축(1311)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0)가 어느 정도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반 상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임너트(1313)는, 상기 지지축(1311)의 상단이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임너트(1313)는, 상기 지지축(1311)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1311b)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W) 등을 이용하여 상기 조임너트(1313)를 상기 지지축(1311)에 대하여 조여주거나 풀어줌으로서,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를 상기 지지축(1311)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가 설치된 상기 상부플랜지(1210) 및 본체부(1100)의 일 부분을 지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너트(1313)는, 상기 지지축(1311)의 축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은 가능하나, 상기 지지축(1311)의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은 할 수 없도록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1313)는, 상기 지지축(1311)에 대하여 회전할 시에,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본체부(1100)의 일 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1313)와 너트고정부재(1230)의 사이에는, 상기 조임너트(1313)가 너트고정부재(12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고정부재(123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베어링(미도시)과 같은 부품이 개재될 수 있다.
1000 : 집수정 1100 : 본체부
1200 : 고정부 1300 : 지지부

Claims (6)

  1. 지반에 안착되어 지하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에 있어서,
    지하수를 집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을 지반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고정 배치된 지지축과,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집수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너트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너트는, 상기 너트고정부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집수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플랜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너트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하부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에 고정되는 집수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반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부, 고정부 및 지지축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집수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하단이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볼 조인트 구조로 결합되어, 지반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집수정.
KR1020170148853A 2017-11-09 2017-11-09 집수정 KR10212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53A KR102123358B1 (ko) 2017-11-09 2017-11-09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53A KR102123358B1 (ko) 2017-11-09 2017-11-09 집수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62A KR20190052962A (ko) 2019-05-17
KR102123358B1 true KR102123358B1 (ko) 2020-06-16

Family

ID=6667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53A KR102123358B1 (ko) 2017-11-09 2017-11-09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57B1 (ko) * 2015-12-01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우수 저수 및 활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95Y1 (ko) * 2008-07-31 2011-05-17 덕창시스템 주식회사 강제 집수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57B1 (ko) * 2015-12-01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우수 저수 및 활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62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9934B (zh) 一种大型基坑的支护结构
US20120301227A1 (en) Foundation pi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CN208251113U (zh) 一种建筑基坑防坍塌装置
KR102123358B1 (ko) 집수정
JP5635048B2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の基礎
CN103422493B (zh) 一种基坑用立柱桩
CN203866843U (zh) 一种大型基坑的支护结构
KR102437651B1 (ko) 경량형 흙막이용 가시설 장치
CN109811811B (zh) 一种浅基础建筑物纠偏加固结构及施工方法
WO2007088376A1 (en) Portable foundation
KR10145670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사다리를 구비한 맨홀
CN206503156U (zh) 一种光伏支架基础
CN203668919U (zh) 加固型地桩
CN201162272Y (zh) 预制配装式排水检查井
CN111585503A (zh) 一种光伏设备
CN105089051A (zh) 简便泥地固定桩
CN207739670U (zh) 一种土木工程用支撑装置
KR102625566B1 (ko) 원료 절감 및 시공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 구조의 집수정
CN107143288B (zh) 一种钻具约束及渣土隔离装置
JP2008223267A (ja) 建築物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工法
CN205712185U (zh) 一种梯齿螺旋式可调井盖
CN217078731U (zh) 一种方形挖孔桩护壁
JP3139971B2 (ja) 軟弱地盤における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沈下修正方法
CN212835541U (zh) 一种灌注桩钢筋笼用防上浮施工结构
CN219119165U (zh) 一种用于旋挖桩孔的积土止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