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069B1 -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069B1
KR102123069B1 KR1020190078122A KR20190078122A KR102123069B1 KR 102123069 B1 KR102123069 B1 KR 102123069B1 KR 1020190078122 A KR1020190078122 A KR 1020190078122A KR 20190078122 A KR20190078122 A KR 20190078122A KR 102123069 B1 KR102123069 B1 KR 10212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oven fabric
raw materials
conveyor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은
Original Assignee
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수 filed Critical 최현수
Priority to KR102019007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원료를 종류별로 투입하여 저장하고, 배합률에 따라 혼합하여 1,2차 빗질하는 카딩 단계를 실시한 후 성형기를 통해 적층 구성하여 부직포로 성형하고, 상기 부직포에 1,2차에 걸쳐 수지를 분사하여 약품 처리하고 건조한 상태에서 냉각하여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연소율과 연소시 발생하는 매연의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난연성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다.

Description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LAME-RETARDANT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연소율과 연소시 발생하는 매연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난연성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매트리스용 난연성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는 외부에 커버가 씌워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로서 부직포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누빔 공법을 통해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사용도중에 화재발생시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 등을 발생시켜 인명피해를 주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난연섬유, 저융점 PET 섬유 및 PET 난연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셀룰로오스 난연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융점 PET 섬유 5∼15 중량부 및 PET 난연섬유 20∼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원료솜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원료솜에 카딩(Carding) 공정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카딩공정을 수행한 원료솜에 다층으로 적층하는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성형공정을 수행한 원료솜에 상부 및 하부를 압축하는 펀칭공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펀칭공정을 수행한 원료솜을 건조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매트리스용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특허문헌 2)는 침구류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목화 솜을 부직포와 결합해서 침구재로 사용하기 위한 침구용 목화 솜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목화 솜은 인장력, 밀착력이 없어 가공방법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순수한 목화 솜만을 이용하여 침구용 솜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는 원면을 1차 타면하는 개면기, 상기 개면기에서 1차 타면된 목화 솜을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로부터 이송된 목화 솜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1차 타면된 목화 솜을 부드럽게 해주는 카딩 머신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카딩 머신부로부터 배출되는 목화 솜이 부직포와 적층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목화 솜과 부직포가 적층되도록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부, 적층된 목화 솜과 부직포를 다져주는 과정을 수행하는 니들 펀칭부, 상기 목화 솜과 부직포의 사이드부를 커팅하여 제품화하는 사이드 커팅부 및 완제품을 권취하는 와인더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침구류의 충전재로 사용되는 목화 솜을 부직포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침구재로 사용함에 따라 아토피 예방, 땀의 원활한 흡수 등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03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89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개선하여 화재 발생시 연소율과 연소시 발생하는 매연의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난연성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a) 원료배합에 따라 밸브레이커에 종류별로 원료를 투입하고, 각각의 원료를 제1 저장탱크(Reserve tank)에 종류별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종류별 원료를 배합률에 따라 전자계량하여 컨베이어(Conveyor)에 공급하고, 슈퍼크리너를 통해 혼합된 원료를 1차 빗질하는 제1 카딩(Carding) 단계;
(c) 상기 1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회전속도가 서로 다른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각 롤러의 회전속도 차이를 이용해 상기 혼합원료의 섬유 가닥을 세워 부직포의 진공 압축 포장시 회복률을 높이는 단계;
(d) 상기 1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제2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카드기를 통해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혼합원료를 2차 빗질하는 제2 카딩 단계;
(e) 상기 2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성형기를 통해 적층 구성하여 부직포로 성형하는 단계;
(f) 상기 부직포를 컨베이어에 공급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부직포의 윗면에 스프레이를 통해 수지를 분사하여 1차 약품처리하고, 1차 약품처리가 이루어진 부직포를 이송하면서 1차 건조하여 접착하는 단계;
(g) 상기 1차 건조된 부직포의 윗면에 스프레이를 통해 수지를 분사하여 2차 약품처리하고, 2차 약품처리가 이루어진 부직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면서 2차 건조하여 접착하는 단계; 및
(h) 상기 2차 건조를 통해 약품이 건조된 부직포를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셀룰로오스 난연섬유, 저융점 PET 섬유 및 PET 난연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컨베이어를 통해 건조기의 하단에서 중단을 거쳐 상단으로 이송되어 상기 건조기의 상단에서 최종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i) 상기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단계가 완료된 부직포를 규격에 맞게 폭 방향 가장자리를 커팅하고, 이후에 길이방향을 커팅하는 재단 단계;
(j) 상기 재단 단계를 통해 규격에 맞게 제조된 부직포를 와인더(Winder)를 통해 둥글게 말아주는 와인딩(Winding) 단계; 및
(k) 상기 부직포를 진공 포장기를 통해 진공 압축 포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를 통해 적층 구성하여 부직포로 성형하는 단계 이후에 부직포를 펀칭기로 펀칭하여 압축하는 단계;
삭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매트리스용일 수 있다.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연소율과 연소시 발생하는 매연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난연성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 가능함으로써, 생산자입장에서는 판매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소비자입장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부직포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난연성과 함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조 가능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플로어차트.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먼저, 원료배합에 따라 밸브레이커에 종류별로 원료를 투입하는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료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난연섬유, 저융점 PET 섬유 및 PET 난연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원료의 구성은 예컨대, 매트리스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외의 용도나 용처 등에 따라 난연성 특성의 다른 섬유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셀룰로오스 난연섬유, 저융점 PET 섬유 및 PET 난연섬유의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러한 각각의 원료는 리저브 탱크로 실시되는 제1 저장탱크에 종류별로 저장하게 되며, 이후 원료의 배합률에 따라 스케일 타워를 통해 계량하여 컨베이어에 공급하게 된다.
즉 부직포의 용도나 용처에 따라 각각의 원료의 배합률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스케일 타워를 통해 계량하여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등으로 실시되는 컨베이어에 공급하여 이송토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혼합된 원료(이하 '혼합원료'라 한다.)는 슈퍼크리너를 통해 1차 빗질하는 카딩(Carding)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카딩 공정은 공지된 바와 같이, 엉클어져 있는 섬유를 한 올씩 분리될 때까지 개섬하거나 섬유 중에 불순물, 잡물, 단섬유, 넵 등을 제거 또는 섬유를 잡아늘여서 어느 정도 나란히 하게 된다.
이러한 카딩 단계는 제1 카딩 단계와 제2 카딩 단계로 구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제1 카딩 단계는 슈퍼크리너를 통해 실시하게 되고, 제2 카딩 단계는 플랫 카드(Flat card) 또는 롤러 카드(Roller card)로 구성되는 카드기를 통해 실시하게 된다.
즉 혼합원료를 슈퍼크리너와 카드기에 각기 공급하여 제1,2 카딩 단계를 실시하게 되는데, 각각의 카딩 단계는 빗질 작용을 통해 섬세하게 개면하여 얇은 거미줄상태의 포(Web) 형태로 탈리하는 달리 말해, 섬유를 한 가닥씩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카딩 단계를 통해 부직포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1차 빗질이 완료된 혼합원료는 리저브 탱크로 실시되는 제2 저장탱크에 저장하게 되며,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혼합원료를 카드기를 통해 2차 빗질하게 되는데, 상기 2차 빗질하기 전에 1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회전속도가 서로 다른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각 롤러의 회전속도 차이를 이용해 진공 포장되는 부직포의 회복률을 높이게 된다.
즉 부직포는 규격에 맞게 생산되어 진공 압축 포장을 통해 출시되는데, 선택적 사항으로서, 이러한 진공 압축 포장된 부직포의 회복률을 높이도록 1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회전속도가 서로 다른 롤러로 구성되는 스크램블의 각 롤러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각 롤러의 회전속도 차이를 이용해 섬유 가닥을 세워 진공 포장된 부직포의 회복률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회복률이 높은 부직포는 진공 압축 포장상태에서 곧바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제1,2 카딩 단계를 통해 완전히 빗질되어진 혼합원료를 부직포로 성형하는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성형 단계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일종의 웹 포밍(Web Forming) 단계로서, 제1,2 카딩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는 얇은 포(Web) 한 겹 상태로, 이 한 겹 상태의 혼합원료는 너무 얇으므로 제품의 두께와 폭에 따라 필요한 겹 수대로 겹치도록 얇은 포 상태의 혼합원료를 쌓아올리는 단계이다.
즉 성형기를 통해 혼합원료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왕복시켜 적층 구성함으로써 부직포로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 단계를 거친 부직포는 필요에 따라 펀칭기로 펀칭하여 압축하는 펀칭(Punching)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보듯이, 펀칭 단계는 선택적 사항임을 사전에 밝혀둔다. 예컨대 상기 펀칭 단계는 바늘(Needle)이 달린 펀칭기를 통해 부직포의 상부와 하부를 펀칭하여 압축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게 된다.
상기 펀칭기는 부직포의 하부를 480∼720 RPM, 바람직하게는 540∼660 RPM으로 30∼12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초 동안 펀칭하여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의 상부를 480∼720 RPM, 바람직하게는 540∼660 RPM으로 30∼12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초 동안 펀칭하여 압축하게 된다.
즉 성형 단계를 통해 구성된 부직포는 웹 상태의 개개의 섬유 올이 서로 단단하게 결속되어 있지 않고 자연상태로 쌓여만 있는 상태이므로, 펀칭 단계를 통해 부직포의 인장강도, 신도 및 두께를 조정하면서 섬유 가닥들을 서로 엉키도록 하여 서로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컨베이어에 부직포를 공급하여 이송하면서 1차 약품처리, 1차 건조, 2차 약품처리 및 2차 건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상기 1차 약품처리 단계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부직포의 윗면에 통상의 스프레이를 통해 수지를 분사하여 약품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약품 처리한 부직포는 자연건조하거나 건조기의 하단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중단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1차 건조하여 접착하게 된다.
상기 건조기를 통한 부직포의 건조는 예컨대, 120∼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40∼180℃의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170℃의 온도에서 10∼20분, 바람직하게는 13∼17분 동안 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된 부직포는 스프레이를 통해 수지를 분사하여 2차 약품처리 하게 되며, 2차 약품 처리된 부직포는 건조기의 중단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상단 컨베이어로 이송되어 상기 건조기의 상단에서 최종 건조가 이루어지면서 접착된다.
즉 상기 부직포는 컨베이어를 통해 건조기의 하단에서 중단을 거쳐 상단으로 이송되는 수직 방식으로 건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수평 방식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자연건조 또는 통상의 건조방법에 비하여 공간활용도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러한 2차 건조를 통해 약품이 완전하게 건조된 부직포는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1차 약품처리, 1차 건조, 2차 약품처리 및 2차 건조를 통해 접착력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 가능함으로써, 사용과정에서 부직포의 적층 구성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부가사항으로 냉각 단계가 완료된 부직포를 규격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재단 단계는 먼저, 사이드 커팅기를 통해 부직포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커팅하고, 이후에 점선 커팅기를 통해 길이방향을 커팅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부직포의 길이방향 커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8979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 점선 커팅장치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점선 커팅장치와 사이드 커팅기를 통해 규격에 맞게 제조된 부직포는 와인더(Winder)를 통해 둥글게 말아 권취하는 와인딩(Winding)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와인딩을 통해 둥글게 권취된 부직포는 진공 포장기를 통해 진공 압축 포장하게 된다. 즉 상기 부직포는 진공 압축 포장을 통해 출시되므로, 진공 포장을 벗긴 후에 곧바로 사용 가능하도록 앞서 설명한 스크램블을 통해 회복률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부직포를 규격에 맞게 제조하고 진공 압축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소비자입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부직포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원료배합에 따라 밸브레이커에 종류별로 원료를 투입하고, 각각의 원료를 제1 저장탱크에 종류별로 저장하는 단계;
    (b) 각각의 종류별 원료를 배합률에 따라 스케일 타워로 전자계량하여 컨베이어에 공급하고, 슈퍼크리너를 통해 혼합된 원료를 1차 빗질하여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제1 카딩 단계;
    (c)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회전속도가 서로 다른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각 롤러의 회전속도 차이를 이용해 혼합원료의 섬유 가닥을 세워 부직포의 진공 압축 포장시 회복률을 높이는 단계;
    (d) 롤러 사이를 통과한 혼합원료를 제2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카드기를 통해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혼합원료를 2차 빗질하여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제2 카딩 단계;
    (e) 2차 빗질이 이루어진 혼합원료를 성형기를 통해 평행 및 부정방향으로 왕복시켜 적층 구성하여 부직포로 성형하는 단계;
    섬유 가닥들을 서로 엉키도록 하여 결속시키기 위해, 성형기를 통해 적층 구성하여 부직포로 성형하는 단계 이후에 바늘이 달린 펀칭기로 부직포의 상부와 하부를 펀칭하여 압축하는 단계;
    (f) 부직포를 컨베이어에 공급하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부직포의 윗면에 스프레이를 통해 수지를 분사하여 1차 약품처리하고, 1차 약품처리가 이루어진 부직포를 건조기의 하단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중단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수직 방식으로 1차 건조하여 접착하는 단계;
    (g) 1차 건조된 부직포의 윗면에 스프레이를 통해 수지를 분사하여 2차 약품처리하고, 2차 약품처리가 이루어진 부직포를 건조기의 중단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상단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수직 방식으로 2차 건조하여 접착하는 단계;
    (h) 2차 건조를 통해 약품이 건조된 부직포를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단계;
    (i)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단계가 완료된 부직포를 규격에 맞게 폭 방향 가장자리를 커팅하고, 이후에 길이방향을 커팅하는 재단 단계;
    (j) 재단 단계를 통해 규격에 맞게 제조된 부직포를 와인더를 통해 둥글게 말아주는 와인딩 단계; 및
    (k) 부직포를 진공 포장기를 통해 진공 압축 포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78122A 2019-06-28 2019-06-28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12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22A KR102123069B1 (ko) 2019-06-28 2019-06-28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22A KR102123069B1 (ko) 2019-06-28 2019-06-28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069B1 true KR102123069B1 (ko) 2020-06-15

Family

ID=7108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122A KR102123069B1 (ko) 2019-06-28 2019-06-28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0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94B1 (ko) * 2023-10-05 2023-12-13 주식회사 엠에스인더스트리 패드솜 제조공법
KR102663220B1 (ko) * 2023-11-23 2024-05-10 주식회사 엠에스인더스트리 패드솜 제조공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226Y1 (ko) * 2001-07-24 2002-01-10 길한산업 주식회사 부직포 제조용 카드 기기의 랜덤 장치
KR20090083510A (ko) * 2008-01-30 2009-08-04 박화남 선박 기계장치 보호커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제조된 보호커버
KR101138980B1 (ko) 2011-09-29 2012-04-25 최광은 침구용 목화솜 제조장치
KR101397389B1 (ko) * 2014-03-03 2014-05-27 김영복 다용도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8177B1 (ko) * 2016-12-24 2017-09-14 (주)세종씨엔더블유 양면 색상이 다른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180112543A (ko) * 2017-04-04 2018-10-12 주식회사 서진부직포 부직포 소포장 결속장치
KR101980312B1 (ko) 2018-03-19 2019-05-20 김동길 매트리스용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226Y1 (ko) * 2001-07-24 2002-01-10 길한산업 주식회사 부직포 제조용 카드 기기의 랜덤 장치
KR20090083510A (ko) * 2008-01-30 2009-08-04 박화남 선박 기계장치 보호커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제조된 보호커버
KR101138980B1 (ko) 2011-09-29 2012-04-25 최광은 침구용 목화솜 제조장치
KR101397389B1 (ko) * 2014-03-03 2014-05-27 김영복 다용도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8177B1 (ko) * 2016-12-24 2017-09-14 (주)세종씨엔더블유 양면 색상이 다른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180112543A (ko) * 2017-04-04 2018-10-12 주식회사 서진부직포 부직포 소포장 결속장치
KR101980312B1 (ko) 2018-03-19 2019-05-20 김동길 매트리스용 난연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94B1 (ko) * 2023-10-05 2023-12-13 주식회사 엠에스인더스트리 패드솜 제조공법
KR102663220B1 (ko) * 2023-11-23 2024-05-10 주식회사 엠에스인더스트리 패드솜 제조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87113B (en) Feather-based lining product, method of preparation and install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US6378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stituting fibers from recyclable waste material
US7578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eb product
US20110057346A1 (en) Art of using regenerated fibers in multi process non-wovens
US5104703A (en) Non-woven fabric suitable for use as a cotton bale cover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fabric
KR102123069B1 (ko)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TW575506B (en) Molded fiber material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CN106573452B (zh) 用于软体家具的内衬
US20180044824A1 (en) Laminated fil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985064B2 (ja) 不織布ワイパ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233325A (zh) 一种胶原纤维再生皮及其制造方法
CN106460241A (zh) 吸收性物品用复合短纤维、其制造方法、吸收性物品用热粘接无纺布、吸收性物品用表面片材和吸收性物品
US20110094691A1 (en) Process for regenerating post-consumer and post-industrial fibers
CN111648035B (zh) Es纤维芯材制品及其制备方法
CN105401336B (zh) 采用不定岛非织造布开边料的汽车地毯
CN105420860A (zh) 吸水无纺布生产系统及制备方法
KR102124148B1 (ko) 난연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08018652A (zh) 一种机油滤芯端盖无纺布材料及其制作工艺
TW299373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onded batts
CA2048938A1 (en) Method for making insulation by sequentially utilizing apparatus for opening fibers
KR102311964B1 (ko)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208869782U (zh) 多功能热风无纺布生产线
US6753276B2 (en) Nonwoven fabric of hydrodynamically entangled waste cotton fibers
JP6347082B2 (ja) 炭素繊維スライ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21110080A (ja) 複合紙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