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877B1 - 흑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흑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877B1
KR102122877B1 KR1020190103770A KR20190103770A KR102122877B1 KR 102122877 B1 KR102122877 B1 KR 102122877B1 KR 1020190103770 A KR1020190103770 A KR 1020190103770A KR 20190103770 A KR20190103770 A KR 20190103770A KR 102122877 B1 KR102122877 B1 KR 10212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outer case
steam
lif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백제동성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백제동성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백제동성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9010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23L3/2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with transport through tubes
    • A23L3/22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with transport through tubes in soli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흑삼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흑삼 제조장치는,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증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를 외부에 밀폐 또는 개방 가능하며 외부 케이스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되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 및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기어, 인삼 승강부, 승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승강 구동부 구조를 적용하여 인삼 수용통을 동시에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증숙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증기와 인삼간의 열 접촉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흑삼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black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이 수납된 통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증숙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증기와 인삼간의 열 접촉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흑삼을 제조할 수 있는 흑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보통 4~6년 재배 후 밭에서 캐내는데 채굴한 상태의 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 하며 건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삼(生蔘)이라고도 한다. 수삼(水蔘)은 보통 75%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채굴된 상태 그대로는 1주일 이상의 저장이 어렵고, 특히 유통 과정 중에 부패하거나 손상이 일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장기간 저장하기 위하여 건조하게 되는데 수삼을 껍질을 벗기고 건조한 것을 백삼(白蔘)이라고 하며, 홍삼(紅蔘)이란 4~6년근 수삼을 정선(精選)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蒸氣)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홍삼은 단순히 인삼을 장기(長期)간 보관하기 위하여 제조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공정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새로운 생리활성성분들이 생성된다.
즉, 홍삼제조과정에서는 진세노사이드의 열분해에 의한 부분적인 분자구조의 변화로 화학적인 성분이 변화되어 유익한 특수 성분이 생기게 되는데, 홍삼에는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서는 들어있지 않은 홍삼만의 특수성분인 말톨(Maltol)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3)를 비롯한 8종의 특수성분이 들어 있으며, 이 중 말톨(Maltol)은 노화억제기능을 갖고,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3)는 암세포증식억제 및 항종양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일반적인 홍삼의 제조공정의 경우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세척과정을 거친 후 이를 증삼기 내에 넣고 수증기를 사용하여 94~100℃, 특히 96℃ 정도로 증삼하고 건조시켜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홍삼 제조 방법에서는 수삼을 증삼기내에 놓고 수중기를 주입하여 증삼기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증삼온도인 94~100℃, 특히 96℃로 되도록 함으로써 증삼기 내부의 대류열에 의하여 수삼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증삼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방법에 따르면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홍삼을 제조공정이 진행되므로 잔뿌리에 주로 함유되는 성분인 사포닌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잔뿌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의 방법으로 증삼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주근과 잔뿌리와는 그 굵기가 달라 증삼 과정에서 서로 다른 수축율로 인해 잔뿌리가 파손되어 홍삼의 등급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최근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흑삼은 사포닌을 구성하고 있는 면역 증진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인삼이나 홍삼에 비해 3~4배 이상 높아 면역력을 기르고 원기 회복과 자양강장에 놀라운 효능을 가진 삼으로서 최근 홍삼과 함께 흑삼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고가로 판매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흑삼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가마솥을 이용해 2개월여에 걸쳐 양질의 수삼을 9번 찌고 말려서 만드는 방법에 준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증삼기와 건조기로서 제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흑삼의 제조방법 및 장치들은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며,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고, 그로 인해 흑삼의 가격이 고가로 판매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판매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흑삼 제조장치는 본체 내부의 영역별 온도 편차에 의해 제조된 흑삼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고 표피균열이 발생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48600호 (2013.03.2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2050호 (2016.03.03.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삼이 수납된 통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증숙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증기와 인삼간의 열 접촉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흑삼, 특히 표면이 균일하고 표피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흑삼을 제조할 수 있는 흑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증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밀폐하는 도어가 마련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되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 및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승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상면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흑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증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를 외부에 밀폐 또는 개방 가능하며 외부 케이스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되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 및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뚜껑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대해 나사를 통해 회전결합 가능한 핸들; 및 상기 핸들이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외측의 제1 뚜껑 하우징과 외부 케이스 내의 증기가 제1 뚜껑 하우징과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제1 뚜껑 하우징과 이격되는 제2 뚜껑 하우징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의 뚜껑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 하우징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핸들에는 상기 제2 뚜껑 하우징을 따라 흐르는 응결수를 외부 케이스의 내벽 측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에는 증기 공급부를 통해 증기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나선형 가이드베인이 마련되며, 상기 나선형 가이드베인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낙하한 응결수가 외부 케이스 바닥으로 낙하하도록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은,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인삼 외통; 상기 인삼 외통의 내측에 그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인삼이 직립 배치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메쉬지지망; 및 상기 인삼 외통의 타측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 내부의 증기가 인삼 외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더불어 복수의 인삼을 하측 지지하는 제2 메쉬지지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외통에는 상기 회전승강 구동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의 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승강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과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인삼 수용통을 360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기어; 상기 복수의 회전기어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인삼 수용통을 승강시킬 수 있는 인삼 승강부; 및 상기 인삼 수용통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인삼 승강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승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외통에는 복수의 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 연결부에는 상기 탈착홈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걸림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삼 승강부는, 상기 회전기어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인삼 수용통의 승강 이동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가 마련되는 구동캠; 상기 구동캠에 결착되며 상기 승강유도부와 결착되어 승강유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작동하는 승강 구동부가 구성되며 상기 승강 연결부를 매개로 인삼 수용통과 연결되는 종동캠; 및 상기 종동캠의 회전운동시 상기 종동캠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종동캠의 외면에 복수로 마련된 가이드리브가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서포트홈이 마련되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 압력을 감지 가능한 압력감지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뚜껑부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 내부의 고압 증기를 배출 가능한 증기배출부; 및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상기 증기배출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흑삼 제조장치에 의하면, 회전기어, 인삼 승강부, 승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승강 구동부 구조를 적용하여 인삼 수용통을 동시에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증숙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증기와 인삼간의 열 접촉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삼 수용통 내에 복수의 인삼이 직립 배치됨에 따라 인삼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증기 열을 가해 표면 증숙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외부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따라 외부 케이스 내에서 발생하는 응결수가 인삼 수용통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응결수 낙하유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증숙 중 인삼의 온도 하강을 방지하여 결국 증숙 효율의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 내벽에 나선형의 가이드 베인을 마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케이스 내에 신속하면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에서 인삼 수용통이 승강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의 인삼 승강부의 각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의 인삼 승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의 서포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Ⅹ 영역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에서 뚜껑부를 회전하고 인삼 수용통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9의 ⅩⅡ-ⅩⅡ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에서 인삼 수용통이 승강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의 인삼 승강부의 각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의 인삼 승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의 서포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는 인삼을 다수회 반복하여 증숙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옹기와 세라믹 재질의 시루를 이용하여 인삼을 다수회 반복하여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특히 제조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벤조피렌의 발생을 억제하여 우수한 품질의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증숙 공간 내에서 인삼을 회전시키고 상하 승강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증숙함으로써 인삼으로의 고온의 증기 전달효율을 향상시켜 증숙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는 증기 공급부(1000), 외부 케이스(2000), 인삼 수용통(4000), 회전승강 구동부(5000)를 포함한다.
먼저, 증기 공급부(1000)는 외부 케이스(2000) 내측의 밀폐 공간으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공급수단이 적용 가능하고 일 예로 보일러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외부 케이스(2000)는 옹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증기 공급부(1000)와 연결되도록 하측 부위에 증기 유입구(2100)가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다. 외부 케이스(2000)는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체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측부에는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 배출구(3100)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밀폐하는 도어(2700)가 마련된다.
도어(2700)는 외부 케이스(200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는 도어(2700)를 회전시켜 외부 케이스 내부를 외부에 대해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 내에 후술하는 인삼 수용통(4000)을 넣거나 뺄 경우 도어(2700)를 회전시켜 외부 케이스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도어(2700)의 가장자리에는 외부 케이스 내부의 고온/고압 상태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미도시)가 마련되며, 밀폐부재(미도시)는 고무, 실리콘, 에폭시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케이스(2000) 내부의 밀폐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2000)의 내측 상면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는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외부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맺히는 응결수가 인삼 수용통(400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관련 내용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000)의 내벽에는 증기 공급부(1000)를 통해 증기 유입구(2100)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 케이스 내에서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나선형 가이드베인(2300)이 마련된다.
나선형 가이드베인(2300)은 외부 케이스 내벽으로부 돌출되는 나선 가이드(2310)와 나선 가이드(2310)의 돌출단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부(2320)를 포함하며, 절곡부(2320)를 통해 외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신속/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한 증기는 외부 케이스(2000) 내부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나선형 가이드베인(2300)을 통해 외부 케이스(2000) 내부로의 증기 공급을 균일하면서 신속하게 이룰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삼의 증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케이스(2000)에는 온도차(외부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특히 외부 케이스(200)의 상측 내벽에서 발생한 응결수가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케이스(2000)의 둘레 내벽과 인접한 영역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응결수 낙하유도 구조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000)의 내측 상면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는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외부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맺히는 응결수가 인삼 수용통(400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부연하자면, 외부 케이스(2000) 내부는 일정 온도/압력 이상인 고온/고압 상태이며 외부는 대략 상온 상태인바, 상호 간의 온도차에 의해 외부 케이스(2000)의 내면에는 응결수가 맺히게 된다. 이러한 응결수가 실질적으로 인삼이 수용되는 인삼 수용통(4000)으로 낙하할 경우 인삼 수용통(4000)의 표면 온도와 더불어 내부 온도를 저감시키게 되며 이러한 온도 저감은 흑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흑삼 품질 저하를 방지하도록 응결수가 외부 케이스(2000) 내벽 측으로 낙하하도록, 즉 인삼 수용통(4000) 상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응결수 낙하유도 구조가 마련되며, 외부 케이스(2000)의 내측 상면을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하여 그 내측 상면에 맺힌 응결수가 하향 경사진 상측면을 따라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나선형 가이드베인(2300)에는 외부 케이스(2000)의 경사진 내측 상면을 따라 가장자리 벽 측으로 낙하하는 응결수가 외부 케이스(2000) 바닥으로 낙하하도록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된다.
물론, 나선형 가이드베인(2300)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응결수는 나선형 가이드베인의 상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나선형 가이드베인을 따라 상측으로 공급되는 고온/고압 증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증기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바 응결수의 신속한 하방 배출을 위해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삼 수용통(4000)은 실질적으로 흑삼으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인삼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외부 케이스(2000) 내에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은 각각 외관을 형성하는 인삼 외통(4100), 제1 메쉬지지망(4200), 제2 메쉬지지망(4300)을 포함한다.
인삼 외통(4100)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시루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측(상단)이 폐쇄되고 타측(하단)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삼 외통(4100)은 후술하는 회전승강 구동부(50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복수의 탈착홈(4110)이 마련되고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즉, 작업자는 인삼의 증숙 과정이 완료되면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을 회전승강 구동부(5000)로부터 분리하고 도어(2700)를 개방한 후 외부 케이스(2000)로부터 꺼내서 별도 수거작업을 거치고, 새로운 증숙작업을 위해 인삼을 다시 인삼 외통(4100)에 배치한 후 다시 회전승강 구동부(5000)와 결합시켜 증숙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메쉬지지망(4200)은 증기의 측방 유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인삼 외통(4100)의 내측에 그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인삼이 직립 배치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인삼이 직립 배치됨에 따라 인삼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증기 열을 가해 표면 증숙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인삼 외통(4100)의 내부 상측면에는 복수의 제1 메쉬지지망(4200)을 수직 상태로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제1 메쉬망 삽입홈(미도시)이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메쉬지지망(4300)은 제1 메쉬지지망(42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삼 외통(4100)의 타측(하부)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2000) 내부의 증기가 인삼 외통(4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더불어 복수의 인삼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인삼 외통(4100)의 내측면에는 제2 메쉬지지망(4300)을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제2 메쉬지지망(4300)의 가장자리 단부가 삽입 가능한 제2 메쉬망 삽입홈(미도시)이 마련되며, 작업자는 인삼 외통(4100) 내부에 복수의 제1 메쉬지지망(4200)을 삽입 배치하고 그 사이사이에 인삼을 배치시킨 후 제2 메쉬지지망(4300)을 일정이상 벤딩시켜 단부를 제2 메쉬망 삽입홈(미도시)에 삽입함으로써 인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배치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삼 외통(4100)의 하부에는 고압 증기가 제2 메쉬지지망(4300)을 통해 인삼 측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복수의 슬릿 구조나 증기 유로 구조 등이 마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승강 구동부(5000)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2000) 내에 증기 공급에 의해 고온/고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인삼 수용통(4000)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외부 케이스 내의 증기와 인삼의 접촉 효율을 증대시켜 증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케이스(2000) 내에 배치되는 인삼 수용통(40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이하 설명 및 관련 도면의 도시 편의를 위해 3개로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승강 구동부(5000)는 구동모터(5200), 회전기어(5300), 인삼 승강부(5400) 및 승강 연결부(5900)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2000)의 하부에는 회전승강 구동 케이스(5100)가 마련되며 전술한 구성들은 이 내부에 마련된다.
구동모터(5200)는 하나로 마련되며, 외부 전원 인가를 통해 정역 구동 가능하다.
회전기어(5300)는 구동모터(5200)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되 3개의 인삼 수용통(4000)과 각각 대응하도록 3개로 마련되어 인삼 수용통(4000)을 360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3개의 회전기어(5300)는 순차적으로 이맞물림되도록 연결되며 하나의 회전기어(5300)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회전기어의 순차적인 회전이 발생하며 회전 방향은 정방향-> 역방향 -> 정방향 식으로 교대로 변경된다.
인삼 승강부(5400)는 복수의 회전기어(5300)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회전기어(5300)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인삼 수용통(4000)을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승강 연결부(5900)는 인삼 수용통(40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인삼 승강부(5400)의 상부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인삼 외통(4100)에는 복수의 탈착홈(4110)이 마련되고, 승강 연결부(5900)에는 탈착홈(4110)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걸림고리(5910)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연결부(5900)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얇은 금속 박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는 증숙 작업의 진행 경과에 따라 인삼 수용통(4000)을 승강 연결부(5900)로부터 쉽게 탈부착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외부 케이스(2000)와 승강 연결부(5900)의 중앙 회전축 연결부위에는 회전 지지를 위한 베어링과 더불어 외부 케이스(2000) 내부의 고온/고압 상태 유지를 위한, 즉 내부공간 밀폐를 보조하기 위한 개스킷(5930)과 기타 실링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인삼 승강부(5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삼 승강부(5400)는 구동캠(5410), 종동캠(5600), 서포터(5800)를 포함한다.
구동캠(5410)은 회전기어(5300)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그 상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인삼 수용통(4000)의 승강 이동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5420)가 마련된다.
종동캠(5600)은 구동캠(5410)에 결착되며 승강유도부(5420)와 결착되어 승강유도부(54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작동하는 승강 구동부(5610)가 구성되며, 그 상부에 승강 연결부(5900)가 연결된다.
서포터(5800)는 종동캠(5600)의 회전운동시 종동캠(560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종동캠(5600)의 외면에 복수로 마련된 가이드리브(5620)가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서포트홈(5810)이 마련된다.
구동캠(5410)은 회전기어(5300)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종동캠(5600)이 승/하강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종동캠(5600)의 승/하강 작동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5420)가 구성된다.
구동캠(5410)의 승강유도부(5420)는 종동캠(5600)의 용이한 승/하강 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회전기어(530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수평방향으로 2개의 하강부(5430)가 구성되고, 회전기어(5300)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2개의 승강이동부(5440)가 구성되되, 하강부(5430)에서 승강이동부(5440)에 도달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에 의해 하강부(5430)와 승강이동부(54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종동캠(5600)은 구동캠(5410)의 상부에 결착되어 구동캠(5410)의 승강유도부(54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하강 작동하는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승강유도부(5420)와 결착되는 승강 구동부(5610)가 구성되고, 그 상부에는 승강 연결부(5900)가 마련되도록 연결면(5630)이 마련된다.
종동캠(5600)의 승강 구동부(5610)는 구동캠(5410)의 승강유도부(5420)에 결착된 상태로 승강유도부(5420)회전에 대응하여 종동캠(5600)이 승/하강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종동캠(5600)의 연결면(5630) 하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메인이동부(5640)가 구성되되, 연결면(5630)에서 메인이동부(5640)에 도달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에 의해 연결면(5630) 하부면과 메인이동부(56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캠(5410)의 승강유도부(5420)와 종동캠(5600)의 승강 구동부(5610)의 작동원리를 도 5 및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동캠(5600)의 승강작동은 구동캠(5410)의 상부에 종동캠(5600)이 결착된 상태, 즉, 종동캠(5600)의 메인이동부(5640)가 구동캠(5410)의 하강부(5430)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캠(5410)이 1/2회전할 경우, 종동캠(5600)의 메인이동부(5640)가 구동캠(5410)의 승강유도부(5420) 중 하강부(5430)와 승강이동부(5440)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따라 승강이동부(5440)에 도달하게 되어 종동캠(5600)이 승강작동하게 된다.
종동캠(5600)의 하강작동은 종동캠(5600)이 승강한 상태, 즉 종동캠(5600)의 메인이동부(5640)가 구동캠(5410)의 승강이동부(5440)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캠(5410)이 1/2회전할 경우 종동캠(5600)의 메인이동부(5640)가 구동캠(5410)의 승강유도부(5420) 중 승강이동부(5440)와 하강부(5430)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따라 하강부(5430)에 도달하게 되어 종동캠(5600)이 하강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동캠(5600)이 승/하강 작동함에 있어,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캠(5600)의 연결면(5630) 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리브(5620)가 구성되어 서포터(5800)의 서포트홈(5810)에 체결됨으로서 종동캠(5600)이 서포터(580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며 승/하강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서포터(5800)는 종동캠(5600)의 회전운동 시, 종동캠(560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캠(560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생성되는 가이드리브(5620)의 동선, 즉 가이드리브(5620)의 승/하강 동선과 대응하는 사선방향의 서포트홈(5810)이 구성되어 종동캠(5600)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2000) 내부 압력을 감지 가능한 압력감지센서(2400), 외부 케이스(2000)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 내부의 고압 증기를 배출 가능한 증기배출부(2500), 압력감지센서(2400)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증기배출부(25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증기배출부(2500)는 증기 배출구(3100)와 연통되는 증기배출관(2510)과 증기배출관(2510)에 마련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개폐밸브(2520)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케이스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밸브를 개방하여 내부의 고압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증기 투입, 증기 배출을 통해 인삼의 1회 증숙 과정이 이루어지고, 본 발명은 증기 투입, 증기 배출 과정을 다수회 반복 실시하여 흑삼을 제조한다. 이외에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를 적용하지 않고 외부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밸브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흑삼 제조장치는 증기 공급부(100), 외부 케이스(200), 뚜껑부(300), 인삼 수용통(400), 회전승강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증기 공급부(100)는 외부 케이스(200)와 뚜껑부(300) 내측의 밀폐 공간으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공급수단이 적용 가능하고 일 예로 보일러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외부 케이스(200)는 옹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증기 공급부(100)와 연결되도록 하측 부위에 증기 유입구(210)가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다. 외부 케이스(200)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상측 내면에는 후술하는 뚜껑부(300)와의 사이에서 내부 밀폐를 위해 제1 나사산(220)이 형성되며 뚜껑부(300)는 외부 케이스(200)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00)의 내벽에는 증기 공급부(100)를 통해 증기 유입구(210)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 케이스 내에서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이 마련된다.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은 외부 케이스 내벽으로부 돌출되는 나선 가이드(231)와 나선 가이드(231)의 돌출단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부(232)를 포함하며, 절곡부(232)를 통해 외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신속/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한 증기는 외부 케이스(200) 내부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을 통해 외부 케이스(200) 내부로의 증기 공급을 균일하면서 신속하게 이룰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삼의 증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부(300)는 외부 케이스(200) 내부를 외부에 밀폐 또는 개방 가능하며 외부 케이스(200)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증기 배출구(310)가 형성된다. 증기 배출구(310)에는 후술하는 증기배출부(250)가 연결되며 이에 대한 개폐 제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뚜껑부(300)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핸들(320)과 핸들(320)이 결합되는 뚜껑 하우징(330)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20)은 외부 케이스(200)에 대해 나사를 통해 회전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핸들(320)의 일부분은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또 다른 일측 부에는 외부 케이스(200)의 제1 나사산(220)과 나사 결합되도록 제2 나사산(340)이 마련된다.
제1 나사산(220)과 제2 나사산(340)의 결합되는 부분의 외부 케이스(200) 내벽에는 외부 케이스 내부의 고온/고압 상태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350)가 마련되며, 밀폐부재(350)는 고무, 실리콘, 에폭시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제1 나사산(220), 제2 나사산(340)의 나사 결합시 핸들(320)의 하부에 의해 가압되어 외부 케이스(200) 내부의 밀폐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20)에는 외부 케이스(200) 내부의 고압 증기가 뚜껑 하우징(330)에 마련된 증기 배출구조를 통해 외부 배출 가능하도록 복수의 증기 통공(321)이 마련된다.
다음, 뚜껑 하우징(330)은 핸들(320)의 중앙 연결부분이 나사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외부 케이스(200)에 대해 힌지축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인삼의 증숙 과정을 진행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뚜껑 하우징(330)을 하방으로 회전시키고 핸들(320)을 외부 케이스(200)에 나사 결합하여 밀폐하게 되며, 증숙 완료된 흑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반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키게 된다. 한편, 뚜껑부(300)와 외부 케이스(200)의 내부 밀폐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하우징(330)과 외부 케이스(200)를 락킹시키는 별도의 락킹부(360)를 더 마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락킹부(360)는 걸림고리와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뚜껑부(300)를 외부 케이스(200)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하우징(330)은 외부에 노출되는 제1 뚜껑 하우징(331)과 외부 케이스(200) 내의 증기가 제1 뚜껑 하우징(331)과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제1 뚜껑 하우징(331)과 이격되는 제2 뚜껑 하우징(332)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뚜껑 하우징(332)은 제1 뚜껑 하우징(331)의 하측에 이격되되 핸들(320)의 중앙 연결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일단이 이격 배치되어 이격된 영역을 통해 고압 증기가 제1 뚜껑 하우징(331)과 제2 뚜껑 하우징(332)의 사이 틈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결국 외부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인 경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핸들(320)과 뚜껑 하우징(330)에는 온도차(외부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뚜껑 하우징(330) 내벽에서 발생한 응결수가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케이스(200)의 내벽과 인접한 영역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응결수 낙하유도 구조가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외부 케이스(200) 내부는 일정 온도/압력 이상인 고온/고압 상태이며 외부는 대략 상온 상태인바, 상호 간의 온도차에 의해 뚜껑 하우징(330), 특히 제1 뚜껑 하우징(331)의 내면에는 응결수가 맺히게 된다. 이러한 응결수가 실질적으로 인삼이 수용되는 인삼 수용통(400)으로 낙하할 경우 인삼 수용통(400)의 표면 온도와 더불어 내부 온도를 저감시키게 되며 이러한 온도 저감은 흑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흑삼 품질 저하를 방지하도록 응결수가 외부 케이스(200) 내벽 측으로 낙하하도록, 즉 인삼 수용통(400) 상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응결수 낙하유도 구조가 마련되며, 이러한 낙하유도 구조는 제2 뚜껑 하우징(332)의 구조와 더불어 응결수의 낙하 통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뚜껑 하우징(332)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그 외측 단부 영역에는 제1 뚜껑 하우징(331)과 제2 뚜껑 하우징(332) 사이에서 가장자리로 유동하는 응결수를 하방으로 낙하하기 위한 응결수 배출공(333)이 마련된다. 본 발명은 제1 뚜껑 하우징(331)과 제2 뚜껑 하우징(332)의 이중 구조와 더불어 경사진 구조를 채용하여 응결수가 인삼 수용통(40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20)의 가장자리 단부 영역에는 제2 뚜껑 하우징(332)을 따라 흐르다가 응결수 배출공(333)을 통해 낙하한 응결수를 외부 케이스(200)의 내벽 측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관통공(322)이 마련되며,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에는 관통공(322)을 통해 낙하한 응결수가 외부 케이스(200) 바닥으로 낙하하도록 관통홀(233)이 마련며, 이에 따라 제1 뚜껑 하우징(331) 내면에서 생성된 응결수는 경사진 제2 뚜껑 하우징(332)의 상면 -> 응결수 배출공 - > 관통공 - >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 케이스(200)의 바닥으로 낙하한다.
물론,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관통공(322)을 통해 낙하한 응결수는 나선형 가이드베인의 상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나선형 가이드베인을 따라 상측으로 공급되는 고온/고압 증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증기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바 응결수의 신속한 하방 배출을 위해 관통홀(23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삼 수용통(400)은 실질적으로 흑삼으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인삼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외부 케이스(200) 내에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은 각각 외관을 형성하는 인삼 외통(410), 제1 메쉬지지망(420), 제2 메쉬지지망(430)을 포함한다.
인삼 외통(410)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시루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측(상단)이 폐쇄되고 타측(하단)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삼 외통(410)은 후술하는 회전승강 구동부(5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복수의 탈착홈(411)이 마련되고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인삼의 증숙 과정이 완료되면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을 회전승강 구동부(500)로부터 분리하고 외부 케이스(200)로부터 꺼내서 별도 수거작업을 거치고, 새로운 증숙작업을 위해 인삼을 다시 인삼 외통(410)에 배치한 후 다시 회전승강 구동부(500)와 결합시켜 증숙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메쉬지지망(420)은 증기의 측방 유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인삼 외통(410)의 내측에 그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인삼이 직립 배치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인삼이 직립 배치됨에 따라 인삼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증기 열을 가해 표면 증숙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인삼 외통(410)의 내부 상측면에는 복수의 제1 메쉬지지망(420)을 수직 상태로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제1 메쉬망 삽입홈(미도시)이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메쉬지지망(430)은 제1 메쉬지지망(4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삼 외통(410)의 타측(하부)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200) 내부의 증기가 인삼 외통(4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더불어 복수의 인삼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인삼 외통(410)의 내측면에는 제2 메쉬지지망(430)을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제2 메쉬지지망(430)의 가장자리 단부가 삽입 가능한 제2 메쉬망 삽입홈(미도시)이 마련되며, 작업자는 인삼 외통(410) 내부에 복수의 제1 메쉬지지망(420)을 삽입 배치하고 그 사이사이에 인삼을 배치시킨 후 제2 메쉬지지망(430)을 일정이상 벤딩시켜 단부를 제2 메쉬망 삽입홈(미도시)에 삽입함으로써 인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배치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삼 외통(410)의 하부에는 고압 증기가 제2 메쉬지지망(430)을 통해 인삼 측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복수의 슬릿 구조나 증기 유로 구조 등이 마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9, 도 11,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승강 구동부(500)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200) 내에 증기 공급에 의해 고온/고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인삼 수용통(400)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외부 케이스 내의 증기와 인삼의 접촉 효율을 증대시켜 증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케이스(200) 내에 배치되는 인삼 수용통(4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이하 설명 및 관련 도면의 도시 편의를 위해 3개로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도 11,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승강 구동부(500)는 구동모터(520), 회전기어(530), 인삼 승강부(540) 및 승강 연결부(590)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200)의 하부에는 회전승강 구동 케이스(510)가 마련되며 전술한 구성들은 이 내부에 마련된다.
구동모터(520)는 하나로 마련되며, 외부 전원 인가를 통해 정역 구동 가능하다.
회전기어(530)는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되 3개의 인삼 수용통(400)과 각각 대응하도록 3개로 마련되어 인삼 수용통(400)을 360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3개의 회전기어(530)는 순차적으로 이맞물림되도록 연결되며 하나의 회전기어(530)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회전기어의 순차적인 회전이 발생하며 회전 방향은 정방향-> 역방향 -> 정방향 식으로 교대로 변경된다.
인삼 승강부(540)는 복수의 회전기어(530)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회전기어(530)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인삼 수용통(400)을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승강 연결부(590)는 인삼 수용통(4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인삼 승강부(540)의 상부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인삼 외통(410)에는 복수의 탈착홈(411)이 마련되고, 승강 연결부(590)에는 탈착홈(411)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걸림고리(591)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연결부(590)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얇은 금속 박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는 증숙 작업의 진행 경과에 따라 인삼 수용통(400)을 승강 연결부(590)로부터 쉽게 탈부착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외부 케이스(200)와 승강 연결부(590)의 중앙 회전축 연결부위에는 회전 지지를 위한 베어링과 더불어 외부 케이스(200) 내부의 고온/고압 상태 유지를 위한, 즉 내부공간 밀폐를 보조하기 위한 개스킷(593)과 기타 실링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도 9,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인삼 승강부(5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삼 승강부(540)는 구동캠(541), 종동캠(560), 서포터(580)를 포함한다.
구동캠(541)은 회전기어(530)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그 상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인삼 수용통(400)의 승강 이동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542)가 마련된다.
종동캠(560)은 구동캠(541)에 결착되며 승강유도부(542)와 결착되어 승강유도부(542)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작동하는 승강 구동부(561)가 구성되며, 그 상부에 승강 연결부(590)가 연결된다.
서포터(580)는 종동캠(560)의 회전운동시 종동캠(56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종동캠(560)의 외면에 복수로 마련된 가이드리브(562)가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서포트홈(581)이 마련된다.
구동캠(541)은 회전기어(530)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종동캠(560)이 승/하강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종동캠(560)의 승/하강 작동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542)가 구성된다.
구동캠(541)의 승강유도부(542)는 종동캠(560)의 용이한 승/하강 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회전기어(53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수평방향으로 2개의 하강부(543)가 구성되고, 회전기어(530)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2개의 승강이동부(544)가 구성되되, 하강부(543)에서 승강이동부(544)에 도달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에 의해 하강부(543)와 승강이동부(544)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종동캠(560)은 구동캠(541)의 상부에 결착되어 구동캠(541)의 승강유도부(542)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하강 작동하는 것으로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승강유도부(542)와 결착되는 승강 구동부(561)가 구성되고, 그 상부에는 승강 연결부(590)가 마련되도록 연결면(563)이 마련된다.
종동캠(560)의 승강 구동부(561)는 구동캠(541)의 승강유도부(542)에 결착된 상태로 승강유도부(542)회전에 대응하여 종동캠(560)이 승/하강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종동캠(560)의 연결면(563) 하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메인이동부(564)가 구성되되, 연결면(563)에서 메인이동부(564)에 도달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에 의해 연결면(563) 하부면과 메인이동부(564)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캠(541)의 승강유도부(542)와 종동캠(560)의 승강 구동부(561)의 작동원리를 도 1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동캠(560)의 승강작동은 구동캠(541)의 상부에 종동캠(560)이 결착된 상태, 즉, 종동캠(560)의 메인이동부(564)가 구동캠(541)의 하강부(543)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캠(541)이 1/2회전할 경우, 종동캠(560)의 메인이동부(564)가 구동캠(541)의 승강유도부(542) 중 하강부(543)와 승강이동부(544)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따라 승강이동부(544)에 도달하게 되어 종동캠(560)이 승강작동하게 된다.
종동캠(560)의 하강작동은 종동캠(560)이 승강한 상태, 즉 종동캠(560)의 메인이동부(564)가 구동캠(541)의 승강이동부(544)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캠(541)이 1/2회전할 경우 종동캠(560)의 메인이동부(564)가 구동캠(541)의 승강유도부(542) 중 승강이동부(544)와 하강부(543)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따라 하강부(543)에 도달하게 되어 종동캠(560)이 하강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동캠(560)이 승/하강 작동함에 있어, 도 1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캠(560)의 연결면(563) 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리브(562)가 구성되어 서포터(580)의 서포트홈(581)에 체결됨으로서 종동캠(560)이 서포터(58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며 승/하강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서포터(580)는 종동캠(560)의 회전운동 시, 종동캠(56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캠(56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생성되는 가이드리브(562)의 동선, 즉 가이드리브(562)의 승/하강 동선과 대응하는 사선방향의 서포트홈(581)이 구성되어 종동캠(560)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200) 내부 압력을 감지 가능한 압력감지센서(240), 외부 케이스(200) 또는 뚜껑부(300)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 내부의 고압 증기를 배출 가능한 증기배출부(250), 압력감지센서(240)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증기배출부(25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증기배출부(250)는 증기 배출구(310)와 연통되는 증기배출관(251)과 증기배출관(251)에 마련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개폐밸브(252)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케이스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밸브를 개방하여 내부의 고압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증기 투입, 증기 배출을 통해 인삼의 1회 증숙 과정이 이루어지고, 본 발명은 증기 투입, 증기 배출 과정을 다수회 반복 실시하여 흑삼을 제조한다. 이외에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를 적용하지 않고 외부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밸브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1000: 증기 공급부 200,2000: 외부 케이스
220: 제1 나사산 230,2300: 나선형 가이드베인
250,2500: 증기배출부 300: 뚜껑부
320: 핸들 330: 뚜껑 하우징
331: 제1 뚜껑 하우징 332: 제2 뚜껑 하우징
400,400: 인삼 수용통 410,4100: 인삼 외통
420,4200: 제1 메쉬지지망 430,4300: 제2 메쉬지지망
500,5000: 회전승강 구동부 520,5200: 구동모터
530,5300: 회전기어 540,5400: 인삼 승강부
541,5410: 구동캠 542,5420: 승강유도부
543,5430: 하강부 544,5440: 승강이동부
560,5600: 종동캠 561,5610: 승강 구동부
562,5620: 가이드리브 564,5640: 메인이동부
580,5800: 서포터 581,5810: 서포터홈
590,5900: 승강 연결부 591,5910: 걸림고리

Claims (11)

  1. 증기 공급부(1000);
    상기 증기 공급부(1000)와 연결되도록 증기 유입구(2100)가 형성되고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밀폐하는 도어가 마련되는 외부 케이스(2000);
    상기 외부 케이스(2000) 내에 수용되되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 및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2000)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승강 구동부(50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상면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회전승강 구동부(5000)는,
    구동모터(5200);
    상기 구동모터(5200)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과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인삼 수용통을 360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기어(5300);
    상기 복수의 회전기어(5300)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인삼 수용통(40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인삼 승강부(5400); 및
    상기 인삼 수용통(40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인삼 승강부(54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승강 연결부(59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0)은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인삼 외통(4100)을 포함하고,
    상기 인삼 외통(4100)에는 상기 회전승강 구동부(50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의 탈착홈(4110)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 연결부(5900)에는 상기 탈착홈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걸림고리(591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2. 증기 공급부(100);
    상기 증기 공급부(100)와 연결되도록 증기 유입구(210)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200);
    상기 외부 케이스(200) 내부를 외부에 밀폐 또는 개방 가능하며 외부 케이스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증기 배출구(310)가 형성되는 뚜껑부(300);
    상기 외부 케이스(200) 내에 수용되되 복수의 인삼을 외부 케이스 바닥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는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 및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을 각각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외부 케이스(200) 바닥면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승강 구동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300)는,
    상기 외부 케이스(200)에 대해 나사를 통해 회전결합 가능한 핸들(320); 및
    상기 핸들(320)이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200)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외측의 제1 뚜껑 하우징(331)과 외부 케이스 내의 증기가 제1 뚜껑 하우징(331)과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제1 뚜껑 하우징과 이격되는 제2 뚜껑 하우징(332)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의 뚜껑 하우징(33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은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인삼 외통(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뚜껑 하우징(332)은, 그 중심측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핸들(320)에는 상기 제2 뚜껑 하우징(332)을 따라 흐르는 응결수를 외부 케이스의 내벽 측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관통공(32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200)의 내벽에는 증기 공급부(100)를 통해 증기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이 마련되며,
    상기 나선형 가이드베인(230)에는 상기 관통공(322)을 통해 낙하한 응결수가 외부 케이스(200) 바닥으로 낙하하도록 관통홀(23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4000)은,
    상기 인삼 외통(410,4100)의 내측에 그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인삼이 직립 배치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메쉬지지망(420,4200); 및
    상기 인삼 외통(410,4100)의 타측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 내부의 증기가 인삼 외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더불어 복수의 인삼을 하측 지지하는 제2 메쉬지지망(430,4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승강 구동부(500)는,
    구동모터(520);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인삼 수용통(400)과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인삼 수용통을 360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기어(530);
    상기 복수의 회전기어(530) 상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인삼 수용통(4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인삼 승강부(540); 및
    상기 인삼 수용통(4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인삼 승강부(540)의 상부에 연결되는 승강 연결부(5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외통(410)에는 상기 회전승강구동부(5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의 탈착홈(411)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 연결부(590)에는 상기 탈착홈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걸림고리(59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승강부(540,5400)는,
    상기 회전기어(530,5300)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인삼 수용통(400,4000)의 승강 이동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542,5420)가 마련되는 구동캠(541,5410);
    상기 구동캠(541,5410)에 결착되며 상기 승강유도부(542,5420)와 결착되어 승강유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작동하는 승강 구동부(561,5610)가 구성되며 상기 승강 연결부(590,5900)를 매개로 인삼 수용통(400,4000)과 연결되는 종동캠(560,5600); 및
    상기 종동캠(560,5600)의 회전운동시 상기 종동캠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종동캠의 외면에 복수로 마련된 가이드리브(562,5620)가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서포트홈(581,5810)이 마련되는 서포터(580,5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 압력을 감지 가능한 압력감지센서(240,2400);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의 고압 증기를 배출 가능한 증기배출부(250,2500); 및
    상기 압력감지센서(240,2400)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상기 증기배출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제조장치.
KR1020190103770A 2019-08-23 2019-08-23 흑삼 제조장치 KR10212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70A KR102122877B1 (ko) 2019-08-23 2019-08-23 흑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70A KR102122877B1 (ko) 2019-08-23 2019-08-23 흑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877B1 true KR102122877B1 (ko) 2020-06-15

Family

ID=7108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70A KR102122877B1 (ko) 2019-08-23 2019-08-23 흑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90B1 (ko) 2022-05-02 2023-01-18 주식회사 하이젠프로 수소를 활용한 농산물 가공방법 및 농산물 가공 장치
KR20230067033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하이드로월드 수소를 활용한 농산물 가공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747B1 (ko) * 2007-01-30 2007-1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기승강수단이 구비된 에어졸 분사장치
KR20080082712A (ko) * 2007-03-09 2008-09-12 병 기 김 홍삼제조기
KR101248600B1 (ko) 2012-06-19 2013-04-02 박성태 홍삼 제조용 복합 가열식 진공 건조장치
KR101416900B1 (ko) * 2013-11-14 2014-07-09 채형원 수직이동형 건조 및 증삼기와 이를 이용한 홍삼제조시스템
KR20150075882A (ko) * 2013-12-26 2015-07-06 풍기인삼 중앙회 주식회사 사포닌 유실 방지 증삼기
KR101602050B1 (ko) 2014-08-19 2016-03-09 박용국 대용량 홍삼제조의 증숙장치 및 방법
KR101608177B1 (ko) * 2015-07-24 2016-04-01 김진복 미강 세척시스템
KR20160127440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세진플렌트 증숙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747B1 (ko) * 2007-01-30 2007-1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기승강수단이 구비된 에어졸 분사장치
KR20080082712A (ko) * 2007-03-09 2008-09-12 병 기 김 홍삼제조기
KR101248600B1 (ko) 2012-06-19 2013-04-02 박성태 홍삼 제조용 복합 가열식 진공 건조장치
KR101416900B1 (ko) * 2013-11-14 2014-07-09 채형원 수직이동형 건조 및 증삼기와 이를 이용한 홍삼제조시스템
KR20150075882A (ko) * 2013-12-26 2015-07-06 풍기인삼 중앙회 주식회사 사포닌 유실 방지 증삼기
KR101602050B1 (ko) 2014-08-19 2016-03-09 박용국 대용량 홍삼제조의 증숙장치 및 방법
KR20160127440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세진플렌트 증숙기
KR101608177B1 (ko) * 2015-07-24 2016-04-01 김진복 미강 세척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033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하이드로월드 수소를 활용한 농산물 가공장치
KR102489390B1 (ko) 2022-05-02 2023-01-18 주식회사 하이젠프로 수소를 활용한 농산물 가공방법 및 농산물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877B1 (ko) 흑삼 제조장치
CN110754929A (zh) 一种压力空气炸锅
CN100521830C (zh) 烹调大蒜的装置和方法
CN110236379A (zh) 一种多功能馒头面包蒸烤箱
CN219589306U (zh) 一种原料烘干设备
CN112089078A (zh)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KR100862215B1 (ko) 홍삼제조기
KR101321318B1 (ko) 홍삼 제조기
CN206102376U (zh) 一种多功能蒸汽加热餐桌
CN109470036A (zh) 一种农副产品烘干设备及烘干方法
CN107455779A (zh) 一种煳辣椒翻炒装置
KR102001640B1 (ko) 흑우엉 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흑우엉 차 제조방법
CN207214683U (zh) 一种新型红茶加工装置
CN208300891U (zh) 一种透气式对虾加工蒸煮箱
CN104905685B (zh) 一种压力式饮品酿造机器
CN105360884A (zh) 翻转式蒸熟装置
CN212962662U (zh) 一种循环干燥茶叶的设备
CN204722166U (zh) 一种蒸茶机
CN209284981U (zh) 用于蒸汽加热的烹饪容器及蒸汽加热式电饭煲
CN219480905U (zh) 一种搅拌式中药材蒸煮设备
KR102489390B1 (ko) 수소를 활용한 농산물 가공방법 및 농산물 가공 장치
KR102447569B1 (ko) 고효율 인삼 숙성 및 중탕장치
CN216798235U (zh) 一种高效率中药饮片炒制装置
KR102700852B1 (ko) 드립 커피 메이커
KR101099085B1 (ko) 증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