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809B1 -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809B1
KR102122809B1 KR1020190014305A KR20190014305A KR102122809B1 KR 102122809 B1 KR102122809 B1 KR 102122809B1 KR 1020190014305 A KR1020190014305 A KR 1020190014305A KR 20190014305 A KR20190014305 A KR 20190014305A KR 102122809 B1 KR102122809 B1 KR 10212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hot setting
coil
electrode
sett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여태식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2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hel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38Heating by cathodic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21D7/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by shot-peening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생산공정에서 코일스프링 내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뜨임 공정과 코일스프링의 소성변형 범위를 설정하는 핫세팅 공정에 관한 것으로, 가압장치와 연결된 2개의 지그가 코일스프링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각각의 지그의 측면에는 구동장치를 통해 코일스프링과 접촉 및 분리가 조절되는 전극이 연결되어, 통전가열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뜨임 과정이 완료되면 코일스프링의 이동 없이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는 핫세팅 과정이 진행되며, 전극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의 끝단을 재가열하는 풀림 과정을 실시함으로써, 뜨임 과정과 핫세팅 과정간 공정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불충분한 가열에 의한 코일스프링 불량 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ar Suspension Coil-Spring}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생산공정에서 코일스프링 내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뜨임 공정과 코일스프링의 소성변형 범위를 설정하는 핫세팅 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장치와 연결된 2개의 지그가 코일스프링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각각의 지그의 측면에는 구동장치를 통해 코일스프링과 접촉 및 분리가 조절되는 전극이 연결되어, 통전가열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뜨임 과정이 완료되면 코일스프링의 이동 없이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는 핫세팅 과정이 진행되며, 전극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의 끝단을 재가열하는 풀림 과정을 실시함으로써, 뜨임 과정과 핫세팅 과정간 공정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불충분한 가열에 의한 코일스프링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에 곧바로 전달되면서 차량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가장치가 장착된다.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간 또는 열간에 의해 코일스프링을 성형하는 과정(S10)과, 성형된 코일스프링을 가열하여 코일스프링 내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코일스프링 뜨임 과정(S20)과, 가열된 상태의 코일스프링을 미리 설정된 변위만큼 압축하여 생산된 코일스프링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영구변형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의 핫세팅 과정(S30)과, 고속의 쇼트볼을 표면에 충돌시켜 코일스프링 표면을 가공하는 쇼트피닝 공정(S50)과, 상온 상태의 코일스프링을 미리 설정된 변위만큼 압축하여 생산된 코일스프링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영구변형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 냉간세팅 과정(S60) 및 코일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스프링 표면 도장 과정(S70)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의 생산공정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679호(2018.03.15. 등록)에서는 코일스프링 뜨임 과정(S20)에서 가열된 코일스프링이 핫세팅 작업대로 이송되어 투입된 후 코일스프링의 온도를 측정하고, 정렬기구를 통해 코일스프링의 자세를 정렬하여 지그에 안착시킨 다음, 가압기구를 통해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코일스프링을 1차 압축하면서 발생하는 하중을 로드셀로 측정하며, 측정된 하중과 온도를 바탕으로 압축변위를 보정하여 소성변형이 발생하도록 2차 압축을 실시하는 코일스프링 핫세팅 과정(S30)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293호(2013.05.15. 공개)에서는 코일스프링에 전류를 흘려보내 발생하는 저항열을 통해 코일스프링을 통전가열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과정으로 구성되는 기존의 코일스프링 제조 공정의 경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과정에 따른 공정을 마친 후 다음 과정으로 코일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코일스프링을 지그 등으로부터 분리한 후, 차기 공정 라인으로 이송한 다음, 코일 스프링을 지그 등에 재장착하면서 코일스프링의 생산 공정 지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핫세팅 과정(S30)에서는 뜨임 과정(S20)을 거치면서 가열된 코일스프링의 잔열을 이용하여 핫세팅을 수행하게 되는데,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뜨임이 완료된 코일스프링을 핫세팅 장치로 이송하는 동안 시간이 소요되고, 코일스프링의 이송과정에서 이송지체가 발생하는 경우 냉각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온도가 변화되어 핫세팅 과정(S30)에 들어서는 각각의 코일스프링 온도가 서로 큰 편차를 가지게 되며, 핫세팅이 수행되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의 지그 및 가압기구마다 온도 및 하중을 측정하여 압축변위를 보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로드셀과 변위센서 및 콘트롤러를 개별적으로 장착하여야 하므로 핫세팅 장치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각속도가 서로 다른 각각의 코일스프링마다 측정된 온도 및 하중에 따른 압축변위 보정치를 다르게 적용하여야 하므로 핫세팅을 위한 코일스프링의 압축변위를 보정하는데 지체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코일스프링마다 보정된 핫세팅 압축변위를 적용하면서 여러개의 코일스프링을 동시에 핫세팅 과정(S30)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코일스프링이 적정 핫세팅 온도 아래로 냉각되어 코일스프링의 재가열을 필요로 하게 되어 공정이 더욱 지제된다.
또한, 핫세팅 과정(S30)에서 통전 가열을 통해 코일스프링을 가열하는 경우 전극과의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 끝단 부위에서 코일스프링의 가열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잔류응력에 의한 코일스프링 선단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679호(2018.03.1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293호(2013.05.1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뜨임 과정과 핫세팅 과정 사이에서 코일스프링을 이송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코일스프링의 생산지체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코일스프링의 생산라인 감축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뜨임 과정 및 핫세팅 과정간 코일스프링의 이송과정에서 가열된 코일스프링의 냉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핫세팅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핫세팅 장치의 가격을 낮추고, 핫세팅 공정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전가열을 통해 코일스프링의 뜨임 과정을 수행할 때 전극과의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 끝단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발생하는 잔류응력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선단부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재료를 권취하여 코일스프링의 성형 과정과, 코일스프링 내부의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뜨임 과정과, 가열된 코일스프링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여 소성변형시키는 핫세팅 과정과, 코일스프링의 표면에 쇼트볼을 분사하는 쇼트피닝 과정과, 상온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여 소성변형시키는 냉간세팅 과정 및 코일스프링의 표면에 도장막을 형성하는 도장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뜨임 과정에서는 가압장치와 연결된 2개의 지그가 코일스프링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각각의 지그의 측면에는 전극 구동장치를 통해 코일스프링과 접촉 및 분리가 조절되는 전극이 연결되며,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지그에 안착되면 전극 구동장치에 의해 전극이 코일스프링과 접촉되어 통전가열이 진행되고, 상기 핫세팅 과정에서는 전극 구동장치에 의해 전극이 코일스프링과 분리되면 가압장치가 작동하여 코일스프링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며, 핫세팅 과정의 완료 후 코일스프링을 뜨임 과정의 온도까지 재가열하는 풀림 처리 과정이 진행되되, 뜨임 과정과 핫세팅 과정간 코일스프링의 이동과정을 거치지 않고 공정이 연속하여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풀림 처리 과정은 분위기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을 재가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풀림 처리 과정은 250~500℃ 범위 내에서 설정된 온도로 10분 이내의 시간동안 가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스프링 고정부는 지그의 하우징과 별도의 부품으로 분리되도록 연결되어 핫세팅 과정에서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양측의 코일스프링 고정부간 접촉이 발생할 때 하우징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핫세팅 과정 완료 후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양측의 코일스프링 고정부간 이격이 발생할 때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고정부 스프링의 탄성복원에 의해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표면에는 코일스프링 고정부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상의 스토퍼가 장착되고, 하우징 측면과 스토퍼가 각각 스토퍼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스토퍼 구동장치 작동시 코일스프링 고정부의 외주면을 따라 스토퍼의 슬라이드 이동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뜨임 과정에서는 통전가열을 통해 코일스프링을 250~500℃ 범위 내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코일스프링의 뜨임 과정과 핫세팅 과정간 코일스프링을 이송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생산라인을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코일스프링이 동일한 지그에 장착된 상태로 코일스프링의 뜨임 과정과 핫세팅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핫세팅 과정에서 코일스프링의 핫세팅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이에 따라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핫세팅 과정 후 풀림 과정을 수행하여 통전가열에 의한 코일스프링의 뜨임 과정에서 전극과의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 끝단의 불충분한 가열에 의한 잔류응력 발생을 억제하여 코일스프링의 선단부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제조 방법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생산 공정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코일스프링 제조 과정에서 각 공정간 코일스프링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생산 공정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생산 공정에서 코일스프링의 이송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뜨임 과정 및 핫세팅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핫세팅 지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핫세팅 지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핫세팅 지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코일스프링(10)의 제조과정은 코일스프링(10)을 성형하는 과정(S10)과, 성형된 코일스프링(10)을 가열하는 뜨임 과정(S20)과, 가열된 코일스프링(10)을 압축하여 영구변형성을 부여하는 핫세팅 과정(S30)과, 고속의 쇼트볼을 코일스프링(10) 표면에 충돌시키는 쇼트피닝 공정(S50)과, 상온 상태의 코일스프링(10)을 압축하여 영구변형성을 부여하는 냉간세팅 과정(S60) 및 코일스프링(10)의 표면 도장 과정(S7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생산 과정마다 다음 과정의 진행을 위해 코일스프링(10)을 이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코일스프링(10)의 생산공정 중 코일스프링(10)의 뜨임 과정(S20)과 코일스프링(10)의 핫세팅 과정(S30) 사이에는 뜨임이 완료되어 가열된 상태의 코일스프링(10)을 가열로로부터 핫세팅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코일스프링(10)을 핫세팅 장치로 이동하는 과정이 지체되어 가열된 코일스프링(10)이 적정 핫세팅(30)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코일스프링(10)의 재가열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코일스프링(10)을 동시에 핫세팅 하는 경우, 핫세팅 장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가열로상에 배치된 코일스프링(10)간 위치에 따라 냉각속도 차이가 발생하면서 핫세팅 온도가 각 코일스프링(10)마다 다르게 적용되어 핫세팅 된 코일스프링(10)의 소성변형 길이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10) 성능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핫세팅을 수행하는 지그(100)에 코일스프링(10)을 장착한 상태에서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코일스프링(10)을 가압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각에 의한 코일스프링(10) 품질 편차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다.
또한, 뜨임 과정(S20)에서 통전가열을 이용해 코일스프링(10)을 가열하는 경우 통전가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극(200)과 코일스프링(10)의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10)의 양 끝단에서 충분한 가열이 발생하지 않아, 해당부위에 잔류응력이 잔존하게 되고, 잔류응력에 의해 코일스프링(10)의 선단부에서 갈라짐이 발생하는 등 코일스프링(10)의 내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핫세팅 과정(S30)이 완료된 코일스프링(10)을 뜨임 과정(S20)과 동일한 온도로 재가열하는 풀림 과정(S40)을 추가로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10)의 생산 공정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간 또는 열간에 의해 코일스프링(10)을 성형하는 과정(S10)과, 성형된 코일스프링(10)을 가열하여 코일스프링(10) 내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코일스프링(10) 뜨임 과정(S20)과, 가열된 상태의 코일스프링(10)을 설정된 변위만큼 압축하여 생산된 코일스프링(10)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영구변형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10)의 핫세팅 과정(S30)과, 핫세팅이 완료된 코일스프링(10)을 재가열하여 코일스프링(10)의 끝단부 및 전극(200)과의 접촉부의 잔류응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풀림 처리 과정(S40)과, 고속의 쇼트볼을 표면에 충돌시켜 코일스프링(10) 표면을 가공하는 쇼트피닝 공정(S50)과, 상온 상태의 코일스프링(10)을 설정된 변위만큼 압축하여 생산된 코일스프링(10)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영구변형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10) 냉간세팅 과정(S60) 및 코일스프링(1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0) 표면 도장 과정(S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핫세팅용 지그(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냉간 또는 열간 가공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코일스프링(10)의 양 끝단을 지그(100)에 고정한 후, 전극(200)을 통해 코일스프링(10)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코일스프링(10)이 저항체로 작용하여 저항열이 발생하면서 코일스프링(10)이 가열되어 코일스프링(10)의 뜨임 과정(S20)이 진행된다.
상기 지그(10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지그(100)가 서로 마주보도록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지그(100) 측면에는 전극(200)이 장착되며, 전극(200)에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 전극 구동장치(210)가 장착되어 전극(200)과 코일스프링(10)간 접촉 및 분리를 발생시킨다.
또한, 각각의 지그(100) 외측 끝단에는 가압장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상기 가압장치는 각각의 지그(100)가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그(100)의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우징(110)의 일측 끝단 중앙부에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돌출되고, 각각의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코일스프링(10)의 양측 나선 내주면에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각각 끼워지면서 지그(100)로부터 코일스프링(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전극(200)을 통해 코일스프링(10)에 전류를 흘려보내 저항가열을 수행하는 동안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전극(200)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전극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뜨임 과정(S20)을 통해 코일스프링(10)의 잔류응력 제거가 완료되면, 코일스프링(10)이 가열된 상태에서 가압장치를 작동시켜 코일스프링(10)을 설정한 변위로 압축하는 핫세팅 과정(30)을 수행하게 되며, 코일스프링(10)이 동일한 지그(100)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이 연속하여 수행됨으로써,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 사이에 코일스프링(10)을 분리장착 및 이동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코일스프링(10) 제조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지그(100)의 하우징(110)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연결되고, 하우징(110) 내부와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내부 사이에는 고정부 스프링(121)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 표면에는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상의 스토퍼(130)가 장착되고, 스토퍼(130)와 연결되는 스토퍼 구동장치(140)가 하우징(110)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에서 핫세팅 지그(10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코일스프링 고정부(120) 사이에 코일스프링(10)을 배치하고, 가압장치를 작동시켜 지그(100)를 서로 접근시키면 코일스프링(10)의 양측 나선 내주면에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끼워지면서 코일스프링(10)이 지그(100)에 고정된다(도 8a).
코일스프링(10)의 고정이 완료되면 전극 구동장치(210)의 작동에 의해 전극(200)이 코일스프링(1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코일스프링(10)을 고정하고(도 8b), 스토퍼 구동장치(140)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130)가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후퇴하여 코일스프링(10)과 스토퍼(140)가 서로 분리되며(도 8c), 전극(200)을 통해 코일스프링(10)에 전류를 흘러보내 코일스프링(10)을 통전가열함으로써 뜨임 과정(S20)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뜨임 과정(S20)에서는 코일스프링(10)을 250~500℃의 온도범위 내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게 되고, 뜨임 온도는 350~43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통전가열을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뜨임 과정(S20)에서 코일스프링(10)의 통전가열을 실시하는 동안 스토퍼(130)가 코일스프링(10)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스토퍼(130)에 전류가 흐르면서 스토퍼(130)로부터 발생하는 저항열이 코일스프링(10)으로 전달되면서 코일스프링(10)이 부위별로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코일스프링(10)의 통전 저항가열이 완료되면 스토퍼 구동장치(140)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130)가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전진하여 코일스프링(10) 양 끝단을 고정하게 되고(도 8d), 전극 구동장치(210)의 작동에 의해 전극(200)이 코일스프링(10)으로부터 분리되며(도 8e),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가열된 상태의 코일스프링(10)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시키는 핫세팅 과정(S30)을 진행하게 된다(도 8f).
핫세팅 과정(S30)에서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10)의 압축이 발생하게 되고, 코일스프링(10)의 압축이 진행되면서 양측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끝단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각각의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하우징(11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코일스프링(10)의 소형변형을 발생시키기 충분한 압축변위를 확보하게 된다.
핫세팅 과정(S30) 완료되면 가압장치가 작동하여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후퇴하면서 서로 이격되기 시작하며, 고정부 스프링(121)의 탄성복원에 의해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핫세팅 과정(S30)이 완료되면 코일스프링(10)을 지그(100)로부터 분리한 후 풀림 가열로로 이동시켜 풀림 처리 과정(S40)을 진행하게 되며, 풀림 가열로에서 코일스프링(10)을 뜨임 과정(S20)의 온도까지 재가열함으로써, 뜨임 과정(S20)에서 코일스프링(10)의 통전 저항가열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가열이 발생하지 못할 수 있는 전극(200)과 접촉부 및 코일스프링(10) 양 끝단부를 재가열하여 코일스프링(10)에 잔존하는 잔류응력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이때, 풀림 처리 과정(S40)에서의 코일스프링(10) 재가열은 코일스프링(1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분위기(atmosphere) 가열 방식을 통해 수행하게 되고, 전기 가열로에서의 전기 저항 발열 또는 화석연료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250~500℃ 범위 내에서 설정된 온도로 10분 이내의 시간동안 가열할 수 있으며, 뜨임 온도는 350~430℃의 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코일스프링 100: 지그
110: 하우징 120: 코일스프링 고정부
121: 고정부 스프링 130: 스토퍼
140: 스토퍼 구동장치 200: 전극
210: 전극 구동장치

Claims (6)

  1. 원재료를 권취하여 코일스프링(10)의 성형 과정(S10)과, 코일스프링(10) 내부의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뜨임 과정(S20)과, 가열된 코일스프링(10)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여 소성변형시키는 핫세팅 과정(S30)과, 코일스프링(10)의 표면에 쇼트볼을 분사하는 쇼트피닝 과정(S50)과, 상온상태에서 코일스프링(10)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여 소성변형시키는 냉간세팅 과정(S60) 및 코일스프링(10)의 표면에 도장막을 형성하는 도장 과정(S7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뜨임 과정(S20)에서는 가압장치와 연결된 2개의 지그(100)가 코일스프링(10)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각각의 지그(100)의 측면에는 전극 구동장치(210)를 통해 코일스프링(10)과 접촉 및 분리가 조절되는 전극(200)이 연결되며,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10)이 지그(100)에 안착되면 전극 구동장치(210)에 의해 전극(200)이 코일스프링(10)과 접촉되어 통전가열이 진행되고, 상기 핫세팅 과정(S30)에서는 전극 구동장치(210)에 의해 전극(200)이 코일스프링(10)과 분리되면 가압장치가 작동하여 코일스프링(10)을 설정된 변위로 압축하며, 핫세팅 과정(S30)의 완료 후 코일스프링(10)을 뜨임 과정(S20)의 온도까지 재가열하는 풀림 처리 과정(S40)이 진행되되, 뜨임 과정(S20)과 핫세팅 과정(S30)간 코일스프링(10)의 이동과정을 거치지 않고 공정이 연속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처리 과정(S40)은 분위기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10)을 재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처리 과정(S40)은 250~500℃ 범위 내에서 설정된 온도로 10분 이내의 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지그(100)의 하우징(110)과 별도의 부품으로 분리되도록 연결되어 핫세팅 과정(S30)에서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코일스프링(10)이 압축되면서 양측의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간 접촉이 발생할 때 하우징(11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핫세팅 과정(S30) 완료 후 가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양측의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간 이격이 발생할 때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된 고정부 스프링(121)의 탄성복원에 의해 코일스프링 고정부(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표면에는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상의 스토퍼(130)가 장착되고, 하우징(110) 측면과 스토퍼(130)가 각각 스토퍼 구동장치(140)에 연결되어, 스토퍼 구동장치(140) 작동시 코일스프링 고정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스토퍼(130)의 슬라이드 이동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뜨임 과정(S20)에서는 통전가열을 통해 코일스프링을 250~500℃ 범위 내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KR1020190014305A 2019-02-07 2019-02-07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KR10212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05A KR102122809B1 (ko) 2019-02-07 2019-02-07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05A KR102122809B1 (ko) 2019-02-07 2019-02-07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809B1 true KR102122809B1 (ko) 2020-06-15

Family

ID=7108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305A KR102122809B1 (ko) 2019-02-07 2019-02-07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5602A (zh) * 2020-12-08 2021-04-30 申海宏 一种回火均匀的高应力悬架弹簧制作方法及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293A (ko) 2010-03-23 2013-05-15 츄오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의 통전 가열 방법 및 그 장치
WO2013099821A1 (ja) * 2011-12-26 2013-07-04 中央発條株式会社 ばねの製造方法及びばね
KR20160039873A (ko) * 2014-10-02 2016-04-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프링 제조방법
KR101840679B1 (ko) 2016-09-20 2018-03-21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스프링 핫세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293A (ko) 2010-03-23 2013-05-15 츄오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의 통전 가열 방법 및 그 장치
WO2013099821A1 (ja) * 2011-12-26 2013-07-04 中央発條株式会社 ばねの製造方法及びばね
KR20160039873A (ko) * 2014-10-02 2016-04-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프링 제조방법
KR101840679B1 (ko) 2016-09-20 2018-03-21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스프링 핫세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5602A (zh) * 2020-12-08 2021-04-30 申海宏 一种回火均匀的高应力悬架弹簧制作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19045A1 (en) Method for producing spring,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
KR102122809B1 (ko)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WO2013099821A1 (ja) ばねの製造方法及びばね
KR20150030651A (ko)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 및 가열 장치
JP4965312B2 (ja) 通電アプセッタ方法と装置
KR101840679B1 (ko) 코일스프링 핫세팅 방법
US2013011864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ring
KR20100129593A (ko) 중공 스태빌라이저 바의 제작방법
JP6797922B2 (ja) 車両用ばねの製造方法
US3621700A (en) Straightening of guide vanes
KR102065353B1 (ko) 뜨임 및 핫세팅 통합 공정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KR102016914B1 (ko) 저항가열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핫세팅용 지그
CN110976722A (zh) 螺旋弹簧的制造方法
KR101724026B1 (ko) 토션빔 액슬의 튜블러 빔 제조방법
US11167615B2 (en) Hollow stabilizer, stabilizer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stabilizer
KR102098302B1 (ko)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바용 저항가열 담금질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담금질 방법
KR102181670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생산 방법
JPH07217683A (ja) ばね部材の内部応力分布を最適化する方法
US11534996B2 (en) Turn-up device and tire building method using turn-up device
JP2008212986A (ja) 線材の圧造機及び圧造方法
KR101783600B1 (ko) 핫스탬핑 방법
CN103706672A (zh) 一种无损钣金修复方法
JP4383322B2 (ja) 光学素子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JP5923273B2 (ja) ホイールリムのアプセット溶接方法
US1917267A (en) Process of making automobile buff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