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76B1 -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 Google Patents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76B1
KR102122776B1 KR1020190072979A KR20190072979A KR102122776B1 KR 102122776 B1 KR102122776 B1 KR 102122776B1 KR 1020190072979 A KR1020190072979 A KR 1020190072979A KR 20190072979 A KR20190072979 A KR 20190072979A KR 102122776 B1 KR102122776 B1 KR 10212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electrode
elastic
cilia
shape
dr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의
최건준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7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4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actuated by an electromag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은,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탄성 섬모들을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키고, 접착 대상물로부터 분리시에는 전원을 인가하여 탄성 섬모의 흡착부 형상을 변형시켜 접착 면적을 감소시켜 분리시킴으로써, 접착과 분리가 모두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의 인가 또는 차단에 따라 접착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회 반복 사용하더라도 구조의 손상이 없으며 탈부착시 잔여물이 남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접착 면적을 감소시켜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접착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접착력을 조절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Dry adhesive structure capabl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using an electric field}
본 발명은 건식 접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접착 면적을 조절하여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식 접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제조 분야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기판을 접착시켜 이송하기 위한 기판 이송 장치가 필요한 바, 최근에는 자연에서 관찰되는 형태에 착안한 미세 섬모 형상의 건식 접착 구조물들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건식 접착 구조물은 베이스 부재 위에 복수의 미세섬모들이 배치되고, 각 섬모의 단부에 돌출된 끝단을 가진 구조를 통해 흡착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식 접착 구조물은 기판 등의 접착 대상물에 대한 접착력은 매우 향상되었으나, 접착 대상물에 한번 흡착시킨 후에는 다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327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과 분리가 모두 용이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은, 탄성소재로 형성된 베이스 패널과; 상기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건식 환경에서 접착 대상물에 흡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탄성 섬모들과; 상기 탄성 섬모의 내부 중심에서 상기 탄성 섬모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강성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 변형시에도 형상을 유지하는 강성 지지대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가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되는 접착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흡착부를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 또는 분리시키는 형상 변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 수단은, 상기 탄성 섬모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유연 전극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의 인가시 상기 제1유연 전극과의 사이에 발생된 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제1유연 전극을 당겨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의 접착 면적을 감소시키는 제2유연 전극과, 상기 제1유연 전극과 상기 제2유연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은,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탄성 섬모들을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키고, 접착 대상물로부터 분리시에는 전원을 인가하여 탄성 섬모의 흡착부 형상을 변형시켜 접착 면적을 감소시켜 분리시킴으로써, 접착과 분리가 모두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의 인가 또는 차단에 따라 접착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회 반복 사용하더라도 구조의 손상이 없으며 탈부착시 잔여물이 남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접착 면적을 감소시켜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접착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접착력을 조절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접착 구조물에 전압 인가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이 변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식 접착 구조물에 전압 인가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이 변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접착 구조물에 전압 인가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이 변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10)은, 베이스 패널(11), 탄성 섬모들(12), 강성 지지대(20) 및 형상 변형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패널(11)과 상기 탄성 섬모들(12)은, 탄성소재(Elastic material)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소재는, 유전 탄성체(DE, Dielectric elastomer)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패널(11)과 상기 탄성 섬모들(12)이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탄성 섬모들(12)만 상기 유전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패널(1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섬모들(12)은,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상면에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섬모들(12)은, 마이크로 크기의 섬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섬모들(12)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씩 모여 그룹을 이루고 복수의 그룹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탄성 섬모들(12)은, 기둥부(12a)와 흡착부(12b)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2a)는,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상면에서 설정 높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기둥부(12a)의 단면은 원형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이나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기둥부(12a)는, 단면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유연 전극(31)이 제2유연 전극(32)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둥부(12a)의 경사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며, 상기 기둥부(12a)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흡착부(12b)는, 상기 기둥부(12a)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12a)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건식 환경에서 접착 대상물(미도시)에 흡착되는 흡착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부(12b)는 원판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12b)는 상기 기둥부(12a)로부터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강성 지지대(20)는, 상기 탄성 섬모(12)의 내부 중심에서 상기 탄성 섬모(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강성 지지대(20)는 고강성 소재(highly-rigid material)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섬모(12)의 형상 변형시에도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 강성 지지대(20)는, 상기 기둥부(12a)에서 가상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하면보다 높고 상기 기둥부(12a)의 상단보다 낮은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둥부(12a)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하측과 상기 흡착판(12b)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라면 가능하다.
상기 형상 변형 수단(30)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 섬모(12)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12b)가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되는 접착 면적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상기 형상 변형 수단(30)은, 제1유연 전극(31), 제2유연 전극(32) 및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상기 탄성 섬모(12)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유연성을 가져 변형 가능한 전극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변형 후 탄성 복원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 복합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상기 탄성 섬모(12)의 기둥부(12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섬모(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다.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상기 기둥부(12a)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상기 기둥부(12a)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2유연 전극(32)은,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하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유연성을 가져 변형 가능한 전극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변형 후 탄성 복원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2유연 전극(32)은, 상기 제1유연 전극(31)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 횡방향 전극부(32a)와, 상기 횡방향 전극부(32a)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 섬모들(12)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 섬모들(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종방향 전극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 전극부(32a)와 상기 종방향 전극부(32b)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종방향 전극부(32b)는 상기 강성 지지대(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방향 전극부(32b)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유연 전극(32)은, 유연성을 가지는 전극 소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유연 전극(32)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 복합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각각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서로 다른 극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사이에 전기적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을 기판 등의 접착 대상물(1)에 접착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착부(12b)가 판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흡착부(12b)는 상기 기판 등에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건식 환경에서 접착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대상물(1)에 접착된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을 떼어내고자 할 때는,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 중 하나에는 음극, 다른 하나에는 양극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상호간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전압과 전기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사이에 전기적 인력이 발생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31)이 상기 제2유연 전극(32)의 종방향 전극부(32b)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탄성 섬모(12)의 형상이 변형된다.
상기 탄성 섬모(12)의 변형시 상기 흡착부(12b)가 상기 기둥부(12a)를 향한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흡착부(12b)와 상기 접착 대상물(1)사이의 접착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흡착부(12b)의 가장자리는 하향 이동하고 중심부만 뾰족한 팁 형상이 되어 상기 접착 대상물(1)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흡착부(12b)와 상기 접착 대상물(1)사이의 접착 면적이 감소되어,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 섬모(12)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강성 지지대(20)는 꼿꼿하게 서 있는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 섬모(12)의 기둥부(12a) 형상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원부(미도시)가 다시 전압을 차단하면, 상기 제1유연 전극(31)은 원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탄성 섬모(12)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을 복수회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부(미도시)가 상기 제1유연 전극(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32)에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흡착부(12b)와 상기 접착 대상물(1)사이의 접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을 상기 접착 대상물(1)에 접착시키거나 상기 접착 대상물(1)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탄성 섬모(12)의 형상을 변형시켜 탈부착을 제어하기 때문에, 반복된 탈부착에도 구조의 손상이 없으며, 탈부착시 잔여물이 남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식 접착 구조물에 전압 인가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이 변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100)의 형상 변형 수단(130)이 제1유연 전극(131), 제2유연 전극(132) 및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연 전극(131)은 상기 탄성 섬모(12)의 기둥부(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측 일부는 절곡되어 상기 기둥부(12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131)은, 상기 기둥부(12a)의 외측면에 구비된 측면 전극부(131a)와, 상기 측면 전극부(131a)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기둥부(12a)의 내부로 삽입된 삽입 전극부(131b)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2a)는 단면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둥부(12a)의 경사면의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며, 상기 기둥부(12a)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측면 전극부(131a)는 상기 기둥부(12a)의 경사면에 접하면서 상기 기둥부(12a)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 전극부(131b)는, 상기 기둥부(12a)와 상기 흡착부(12b)의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강성 지지대(20)의 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유연 전극(132)은,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유연 전극(132)은,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하면에서 상기 탄성 섬모(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유연 전극(13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0)을 기판 등의 접착 대상물(1)에 접착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1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132)에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1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132)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착부(12b)가 판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흡착부(12b)는 상기 기판 등에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건식 환경에서 접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대상물(1)에 접착된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0)을 떼어내고자 할 때는,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제1유연 전극(1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132)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1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132) 중 하나에는 음극, 다른 하나에는 양극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상호간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전압과 전기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연 전극(131)과 상기 제2유연 전극(132)사이에 전기적 인력이 발생한다.
상기 제1유연 전극(131)이 상기 제2유연 전극(132)을 향한 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탄성 섬모(12)의 형상이 변형된다.
상기 탄성 섬모(12)의 변형시 상기 흡착부(12b)가 상기 베이스 패널(11)을 향한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흡착부(12b)와 상기 접착 대상물(1)사이의 접착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흡착부(12b)의 가장자리는 하향 이동하고 중심부만 뾰족한 팁 형상이 되어 상기 접착 대상물(1)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흡착부(12b)와 상기 접착 대상물(1)사이의 접착 면적이 감소되어,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 섬모(12)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강성 지지대(20)는 꼿꼿하게 서 있는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 섬모(12)의 기둥부(12a) 형상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원부(미도시)가 다시 전압을 차단하면, 상기 제1유연 전극(131)은 원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탄성 섬모(12)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식 접착 구조물(10)을 복수회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식 접착 구조물(200)의 형상 변형 수단(230)이 제1유연 전극(231), 제2유연 전극(232) 및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연 전극(231)은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상면에서 상기 탄성 섬모들(12)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유연 전극(232)은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하면에 배치된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기둥부(12a)는 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유연 전극(232)은,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하면 전체에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유연 전극(231)이 상기 제2유연 전극(232)을 향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는 크기나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베이스 패널 12: 탄성 섬모
12a: 기둥부 12b: 흡착부
20: 강성 지지대 30, 130, 230: 형상 변형 수단
31, 131, 231: 제1유연 전극 32, 132, 232: 제2유연 전극

Claims (10)

  1. 탄성소재로 형성된 베이스 패널과;
    상기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건식 환경에서 접착 대상물에 흡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탄성 섬모들과;
    상기 탄성 섬모의 내부 중심에서 상기 탄성 섬모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강성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 변형시에도 형상을 유지하는 강성 지지대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가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되는 접착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흡착부를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 또는 분리시키는 형상 변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 수단은,
    상기 탄성 섬모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유연 전극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의 인가시 상기 제1유연 전극과의 사이에 발생된 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제1유연 전극을 당겨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의 접착 면적을 감소시키는 제2유연 전극과,
    상기 제1유연 전극과 상기 제2유연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연 전극은,
    상기 탄성 섬모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섬모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섬모는,
    상기 기둥부의 단면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유연 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측 일부는 절곡되어 상기 기둥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연 전극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 섬모들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유연 전극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유연 전극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유연 전극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유연 전극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 횡방향 전극부와,
    상기 횡방향 전극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 섬모들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 섬모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종방향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전극부는,
    상기 강성 지지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유전 탄성체(DE, Dielectric elastomer)인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유연 전극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 복합소재로 형성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10. 유전 탄성체로 형성된 베이스 패널과;
    상기 유전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게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건식 환경에서 접착 대상물에 흡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탄성 섬모들과;
    상기 탄성 섬모의 내부 중심에서 상기 탄성 섬모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강성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 변형시에도 형상을 유지하는 강성 지지대와;
    전압의 인가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가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되는 접착 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흡착부를 상기 접착 대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형상 변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 수단은,
    상기 탄성 섬모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섬모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제1유연 전극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압의 인가시 상기 제1유연 전극과의 사이에 발생된 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제1유연 전극을 당겨서 상기 탄성 섬모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흡착부의 접착 면적을 감소시키는 제2유연 전극과,
    상기 제1유연 전극과 상기 제2유연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KR1020190072979A 2019-06-19 2019-06-19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KR10212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79A KR102122776B1 (ko) 2019-06-19 2019-06-19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79A KR102122776B1 (ko) 2019-06-19 2019-06-19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776B1 true KR102122776B1 (ko) 2020-06-15

Family

ID=7108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979A KR102122776B1 (ko) 2019-06-19 2019-06-19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8393A (zh) * 2021-03-24 2021-07-02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带驱动楔形刚毛束的干黏附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719A (ko) 2007-09-28 2009-04-0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척킹 장치
KR101817703B1 (ko) * 2016-08-22 2018-01-11 울산과학기술원 미세 섬모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KR20180031422A (ko) * 2016-09-20 2018-03-28 울산과학기술원 자기장을 이용한 탈착용 미세섬모 구조물,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719A (ko) 2007-09-28 2009-04-0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척킹 장치
KR101817703B1 (ko) * 2016-08-22 2018-01-11 울산과학기술원 미세 섬모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KR20180031422A (ko) * 2016-09-20 2018-03-28 울산과학기술원 자기장을 이용한 탈착용 미세섬모 구조물,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8393A (zh) * 2021-03-24 2021-07-02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带驱动楔形刚毛束的干黏附机构
CN113068393B (zh) * 2021-03-24 2022-04-08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带驱动楔形刚毛束的干黏附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7673A1 (en) Flexible screen supporting structure, flexible display screen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6281825B2 (ja) チャック装置
KR101145756B1 (ko) 고무 점착식 척킹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합착장치
US8023038B2 (en) Camera module
US10204816B2 (en) Substrate retaining carrier, method for retaining and separ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evaporation
JP4808149B2 (ja) 静電チャック
JP2009117441A (ja) ワーク保持装置
US8982531B2 (en) Additional force augmented electroadhesion
KR102122776B1 (ko) 전기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 접착 구조물
JP2009527923A (ja) Ac電圧で駆動されるジョンソン・ラベック力型静電チャック
KR20070009523A (ko) 워크 제전 방법 및 그 장치
US7944606B2 (en) Display device
WO2003090241A3 (en) Field emission display with deflecting mems electrodes
JP6765761B2 (ja) 静電チャック装置及び静電吸着方法
KR102078309B1 (ko) 기판 이송 모듈용 슬립 방지 척
JP7090481B2 (ja) 静電チ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17440A (ja) クリーニングウエハ
KR102432439B1 (ko) 기판 이송 모듈용 슬립 방지 척
CN105741900A (zh) 微机电系统核电池
KR101413206B1 (ko) 정전척
JP2006253352A (ja) 吸着装置
JP2016226256A (ja) 電歪素子の製造方法
KR20150006966A (ko) 금속 파티클 제거 장치
US8535503B2 (en) Device with intermittent contact improved by dielectrophoresis
CN210575889U (zh) 静电吸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