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447B1 -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447B1
KR102122447B1 KR1020130078496A KR20130078496A KR102122447B1 KR 102122447 B1 KR102122447 B1 KR 102122447B1 KR 1020130078496 A KR1020130078496 A KR 1020130078496A KR 20130078496 A KR20130078496 A KR 20130078496A KR 102122447 B1 KR102122447 B1 KR 10212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lectronic device
wireless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133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3007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447B1/ko
Priority to CN201480038432.XA priority patent/CN105359550A/zh
Priority to PCT/KR2014/006013 priority patent/WO2015002501A1/en
Priority to EP14820240.1A priority patent/EP3001886B1/en
Priority to US14/902,525 priority patent/US9595188B2/en
Publication of KR2015000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Abstract

실시예는 전자 기기에 전송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부, 그리고 상기 모듈부에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전기기, 조명기기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이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 장치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자기기 및 제어장치의 주 모듈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을 탈착하여 보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The controlling apparatus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양한 가전기기, 조명기기 및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기기를 온 오프시키기 위해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스위치에 손이 닿지 않는 어린이가 상기 기기를 온 오프시키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 제어 장치를 통해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 스마트폰, 게이트웨이, 디머 등일 수 있다.
그러나, 기기가 다양화됨에 따라, 기기별로 적용되어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이다양하며, 무선 통신 방식(Zigbee, WiFi, BLUETOOTH 등) 중에서 속도/거리/소비 전력 등을 고려한 통신 방식의 선택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처리/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가전기기, 조명기기, 센서 또는 제어장치와 일체로 되어 있어 기기 내의 전원부(Power Supply Unit, PSU)의 고장 또는/및 기기의 주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포함한 기기를 모두 교체해야 한다.
실시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전자 기기에 전송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부, 그리고 상기 모듈부에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그리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 및 무선 제어장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통신 모듈이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전기기, 조명기기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이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 장치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자기기 및 제어장치의 주 모듈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을 탈착하여 보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다양한 전자기기 및 제어장치의 외면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을 삽입하도록 도글 타입으로 형성하여 탈착형 통신 모듈의 체결이 용이하다.
실시예는 통신 모듈 내의 무선통신부에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Zigbee, WiFi, BLUETOOTH 등)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속도/거리/소비 전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통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통신 모듈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통신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인쇄회로기판의 인터페이스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인터페이스부를 Ι-Ι'로 절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인터페이스부를 Ι-Ι'로 절단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인터페이스부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대응 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대응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대응 관계를 충족하는 통신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대응 관계를 충족하는 통신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17은 도 6의 통신 모듈의 인터페이스부와 무선집적회로의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a 내지 도 21은 도 18의 제어 장치에 대한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및 23은 도 18의 전자 기기에 대한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은 조명 모듈에 탈착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통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제어장치(300) 및 전자기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전자기기(100)와 연결된다.
전자기기(100)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자기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100)는 대표적으로 전화기, 컴퓨터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다양화 됨에 따라 가정 내에서 초고속통신망 등의 외부 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냉장고, 디지털 TV, 셋탑박스 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가전 등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디밍장치 등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100)는 가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통신 모듈(400)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리모트 컨트롤러, 디머,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의 통신 모듈(400)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제어로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웨이브(Z-wave) 등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무선 제어장치(300)는 제어기기(310) 및 통신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400)은 제어기기(310)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100)의 통신모듈(400)로 전송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도 2와 같이 제어기기(310) 및 통신모듈(4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기(310)는 모드 전환부(301), 메모리부(303), 전원/충전부(305) 및 제어부(307)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부(301)는 동작 모드 전환, 예를 들어 리모콘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다가 전자기기(100)제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03)는 운용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프로토콜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원/충전부(305)는 무선 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위하여 충전 및 전원을 제공한다.
통신모듈(400)은 제어부(307)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을 설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기기(100)의 통신 모듈(400)로 전송한다.
제어부(307)는 상기 메모리부(303)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부(301), 전원/충전부(305)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주 모듈(500) 및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와 송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기(100)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400)은 도 4와 같이 주 모듈(500) 에 형성되는 삽입홀(511)에 삽입 고정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탈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의 복수의 핀이 관통하여 내부에서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511)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홀(511)은 표면에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주 모듈(500)의 전원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100)의 통신 모듈(400)이 주 모듈(500)의 외부에서 탈착식으로 구성되어 주 모듈(500) 내의 부품, 일 예로 전원제어부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400)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300) 및 전자기기(100)가 모두 탈착식의 통신 모듈(400)을 포함하므로,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듈(400)을 선택하여 삽입고정함으로써 새로운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400)을 선택 및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장치(300) 및 전자기기(100)에 삽입고정되는 통신 모듈(40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400)은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통신 모듈(400)은 하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하우징 내에 하나의 유닛을 이루며 안테나부(410), 무선 통신부(430) 및 인터페이스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부(410)는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안테나부(4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주 모듈(500)로 전송될 복수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410)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통신집적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즉, 상기 통신 모듈(400)은 결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신집적회로를 선택하여 통신 모듈(400) 내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집적회로(435)는 지그비, 지웨이브,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무선 통신부(43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핀은 도 5와 같이 5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 모듈(500)은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및 출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 모듈(40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삽입홈(511)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출력부에 해당 기능의 출력, 전자 기기가 조명 기기인 경우, 조명 신호를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주 모듈(500) 및 제어장치(300)에 삽입 고정되는 탈착식 통신 모듈(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통신 모듈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통신 모듈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인쇄회로기판의 인터페이스부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인터페이스부를 Ι-Ι'로 절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인터페이스부를 Ι-Ι'로 절단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통신 모듈(400)은 안테나부(410), 무선 통신부(430) 및 인터페이스부(450)가 집적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411, 431)으로 구성된다.
도 6과 같이 하우징(411, 431)은 인터페이스부(450)에 대응하는 영역을 외부로 돌출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11, 431)은 안테나부(410)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411), 및 상기 제1 수용부(411)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430)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411, 431)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z)으로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결합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1, 431)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리지드 타입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411)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의 안테나부(410)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고, 제3 방향(y)으로 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수용부(411)는 제3 방향(y)으로의 제1폭(d1)이 20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22mm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의 폭(d6)이 6 내지 7mm, 바람직하게는 6,4 내지 6.5mm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411)의 제2 방향(z)으로의 높이(d4)는 7 내지 8mm, 바람직하게는 7.7mm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1)의 변은 모따기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1)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은 안테나부(410)에 대응하는 안테나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영역(410a)은 도 8과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기판(432) 위에 패터닝되어 있는 안테나 패턴(415)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415)은 평판 역F 안테나 형태(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 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안테나 패턴(415)은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 형태,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형태. 등의 패턴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에 칩안테나를 실장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테나 영역(410a)은 지지기판(432)이 안테나의 유전몸체를 이루고, 상기 지지기판(432) 위에 안테나 패턴(415), 기판(432) 하부에 그라운드층(도시하지 않음) 및 유전몸체(432) 내부 또는 외부에 매칭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41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즉 안테나 패턴(415)은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415)은 미리 정해진 기준 임피던스에서 공진한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415)은 그라운드층에 인접하여 일단이 급전점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급전점은 유전몸체인 기판(432)를 관통하여, 기판(432)의 하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패턴(415)은 적어도 하나의 곡절(曲折)부에 의해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성분 회로와 수직 성분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20)는 각각 미앤더(meander) 타입, 스파이럴(spiral) 타입, 스텝(step) 타입, 루프(loop) 타입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층은 안테나 패턴(415)의 접지를 위해 제공된다.
내부 또는 외부 매칭패턴은 안테나 패턴(415)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로 매칭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410)를 평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소형 통신 모듈(400)에 집적이 가능하다.
상기 안테나 패턴(415)은 전도성 물질, 구리, 알루미늄, 니켈, 몰리브덴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수용부(411)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수용부(431)는 제3 방향(y)으로의 폭(d2)이 17 내지 18mm, 바람직하게는 17.4 내지 17.5mm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의 폭(d7)이 18 내지 19mm,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8.2mm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431)의 제2 방향(z)으로의 높이(d5)는 4.5 내지 5.2mm, 바람직하게는 5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수용부(431)는 제1 수용부(411)보다 제3 방향(y)으로의 폭(d2)이 작아 제1 수용부(411)의 측면에 소정의 더미 공간이 형성되며, 제2 수용부(431)가 제1 수용부(411)보다 작은 높이(d5)를 가지므로, 제2 수용부(431)는 제1 수용부(411)로부터 단차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431)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의 무선통신부(4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제2 수용부(431)는 도 6과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고정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13)는 도 6과 같이 제1 수용부(411)와 제2 수용부(431)의 면적 차에 의해 형성되는 더미 공간에 형성되며, 제1 수용부(411)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13)는 하우징(411, 431)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에 삼각형의 돌기를 가지므로, 주 모듈(500)과의 삽입 시에 걸림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13)는 제2 수용부(43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의 돌기가 외부를 향하도록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용부(431)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무선 통신부(430)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듈 영역(430a)은 도 8과 같이 복수의 소자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모듈 영역(430a)은 내부에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송수신을 위한 무선집적회로(435)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집적회로(435)는 무선 환경에 따라 지그비, 와이파이, 지웨이브 및 블루투스 등의 무선집적회로(435)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에 따라 주변부의 수동소자 및 회로 구성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영역(430a)과 안테나 영역(410a)과의 경계 영역에는 외장형 안테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패턴(4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영역(430a)과 단자 영역(450a)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하우징(411, 431)과 인쇄회로기판의 고정을 위한 함몰부(4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436)는 하우징(411, 431) 내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411, 431)의 제2 수용부(431)의 끝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450)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영역(450a)은 도 6과 같이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상기 하우징(411, 431)의 끝단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3.5 내지 4.0mm의 길이(d8)를 가지고, 제3 방향(y)으로의 폭(d3)이 15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지지기판(432) 위에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은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은 임의의 수효로 그루핑되며, 단자 영역(450a)은 상기 그루핑된 핀(452a, 452b, 454a, 454b, 454c) 사이의 지지기판(432)이 제거되어 있는 함몰부(455)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455)를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그루핑된 핀(452a, 452b)을 제1 핀부(451), 우측의 그루핑된 핀(454a, 454b, 454c)을 제2 핀부(453)로 정의한다.
상기 제1 핀부(451) 및 제2 핀부(451)는 서로 다른 수효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한다.
단자 영역(450a)이 5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핀부(451)가 2개의 핀(452a, 452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핀부(453)가 3개의 핀(454a, 454b, 45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서로 다른 수효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갖도록 그루핑함으로써 통신 모듈(400)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 사이에 함몰부(455)를 형성하여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사이에 형성되는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455)의 폭은 0.9mm 이상일 수 있으며, 핀(452a, 452b, 454a, 454b, 454c)과 핀(452a, 452b, 454a, 454b, 454c) 사이의 이격 폭은 0.8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의 경계에 지지기판(43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양 측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걸림홈(456)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456)은 도 8과 같이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의 더미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9와 같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일부가 함께 제거되어 걸림홈(45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456)은 상기 단자 영역(450a)이 주 모듈(500)의 커넥터(511)에 삽입될 때, 커넥터(511) 내부의 돌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영역(450a)은 도 9와 같이 각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제1 방향(x)으로의 가장자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0과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지지기판(432) 위에 전극층을 패터닝하여 형성하는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판(432)은 리지드 또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432) 위에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하는 전극층은 전도성 물질로서, 구리, 알루미늄, 몰리브덴, 텅스텐 등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층은 바람직하게는 동박층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 중 단자 영역(450a)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과 같이 패드로 기능하는 영역의 경우, 도 10과 같이 노출되는 영역에 도금을 수행한다.
상기 도금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 충격을 보호하는 한편,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금층(458)은 니켈, 금, 은,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박층 위에 니켈 및 금도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457)는 적어도 도금층(458)을 제거하고 하부에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가장자리 영역에 오목부(457)가 형성됨으로 도금층(458)과 전극층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오목부(457)가 전극층까지 제거하면서 형성되어 하부의 지지기판(432)을 노출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지지기판(432)까지 제거되는 비아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목부(457)는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면적 중 주 모듈(500)의 커넥터(511) 핀이 접촉하는 중앙 영역을 제외한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평탄화를 유지하면서 도금층(458)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신뢰성이 향상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지지기판(432) 위에 상기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하는 패드를 제외한 영역을 덮는 솔더 레지스트(459)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단자 영역(450a)은 도 11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의 단자 영역(450a)은 지지기판(432) 위에 상부핀(152)을 포함하고, 지지기판(432) 아래에 하부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판(432)의 상부 및 하부에 핀(152, 153)을 형성하는 경우, 양 면의 적층 구조는 동일하게 전극층, 도금층(154, 156) 및 솔더 레지스트(157)의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부 및 하부의 핀(152, 153)은 도 11과 같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다.
즉, 하부에 형성되는 핀(153)의 중심이 상부에 형성되는 핀(152)과 핀(152)의 이격 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통신 모듈(400)의 상면 및 하면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지점에서 주 모듈(500)의 커넥터(511) 핀(501)과 접촉하여 접촉에 따른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신 모듈(400)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능 요소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지지기판(432) 위의 전극층을 패터닝하여 안테나 패턴(415), 핀(452, 454) 및 상기 모듈 영역(430a)의 내부 회로패턴의 형성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통신 모듈(400)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 및 조명부(530)의 조명제어 방식에 따라 회로패턴을 달리하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와 조명제어 방식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형성되어 있을 때, 통신 모듈(400)의 하우징(411, 431)에 특정 인쇄회로기판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통신 모듈(4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기기(100)가 조명 장치일 때, 조명 제어 방식에 따른 인터페이스부(450)의 구성 및 모듈 영역(430a)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의 전자기기(100)의 인터페이스부(450)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대응 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대응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대응 관계를 충족하는 통신 모듈(400)의 회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대응 관계를 충족하는 통신 모듈(400)의 회로도이고, 도 17은 도 6의 통신 모듈의 인터페이스부와 무선집적회로의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각 핀을 도면부호 P1-P5로 정의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기기(100)를 이루는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가 5개의 핀(P1-P5)을 포함할 때,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의 핀(P1-P5) 및 주 모듈(500)의 인터페이스부(510)의 커넥터의 핀은 도 12와 같은 출력 신호가 설정되어 있다.
즉, 제1핀(P1)은 조명제어 방식에 따른 모드 선택을 정의하는 모드제어신호(mode_sel)가 출력되고, 제2핀(P2)은 사기 통신 모듈(400)을 구동하는 기준전압(Vcc/Vdd)을 수신하고, 제3핀(P3)은 접지전압(Ground)이 수신되는 핀이고, 제4핀 및 제5핀(P4, P5)은 조명제어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거나, 조명제어신호의 종류를 달리 하여 송신되는 핀이다.
즉, 제1 내지 제3핀(P1-P3)은 기준전압과 관계된 핀이고, 제4 및 제5핀(P4, P5)은 제어 신호와 관계되는 핀으로서, 상기 함몰부(455)가 제3핀과 제4핀(P3, P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 방식으로 UART 방식 또는 PWM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방식에 따라 모드제어신호(mode_sel)가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설정된다.
UART 방식을 도 13 및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UART 방식은 2개의 핀을 이용하여 하나는 수신으로 이용하고, 하나는 송신으로 이용되는 방식이다.
평판조명이나 비교적 제어가 많이 필요한 조명을 제어하는데 적용하며, (색 온도, Bright, Dimming등) LED 조명을 Control 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주 모듈(500)에는 별도의 제어 부(MCU)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제어부가 없이 직접 주 모듈(50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UART 방식으로 주 모듈(500)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모드선택신호(mode_sel)는 로우로 설정되고, 제4핀(P4)은 송신용, 제5핀(P5)은 수신용으로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은 도 15와 같은 회로를 포함한다.
즉,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5개의 단자와 단자 영역(450a)의 5개의 핀(P1-P5)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로서, 기준전압과 접지전압이 인가될 때, 제4 및 제5핀(P4, P5)은 기준전압과 각각 저항(pull-up저항)(R2, R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핀(P1)이 접지전압과 제1 저항(pull-down저항)(R1)으로 연결되어 모드선택신호(mode_sel)는 로우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PWM 방식을 도 14 및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PWM 방식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단순 밝기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주 모듈(500)은 펄스폭의 듀티비에 의해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명 밝기는 색온도, 밝기 및 디밍 제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WM 방식으로 주 모듈(500)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모드선택신호(mode_sel)는 하이로 설정되고, 제4핀(P4)은 디밍 시에 따뜻한(Warm) 색온도를 제어하고, 제5핀(P5)은 제5핀은 디밍 시에 차가운(cool) 색온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색온도 제어 시 제4 및 제5핀(P4, P5)으로 동시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은 도 16과 같은 회로를 포함한다.
즉,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5개의 단자와 단자 영역(450a)의 5개의 핀(P1-P5)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로서, 기준전압과 접지전압이 인가될 때, 제4 및 제5핀(P4, P5)은 기준전압과 각각 저항(pull-up저항)(R2, R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드선택신호(mode_sel)를 출력하는 제1핀(P1)이 기준전압과 제4 저항(pull-up저항)(R4)으로 연결되어 모드선택신호(mode_sel)는 하이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Z-wave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무선집적회로에서는 상기 조명 제어 방식에 따라 총 6개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즉, 조명제어 방식에 따른 모드 선택을 정의하는 모드제어신호(mode_sel), 기준전압(Vcc/Vdd), 접지전압(Ground), UART_RX, UART_TX, 및 PWM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된다.
다른 통신 방식에서는 UART_RX, UART_TX, 및 PWM 신호가 2개의 출력단을 통해 모드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어 5개의 출력단이 5개의 인터페이스부의 핀으로 각각 출력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Z-wave 네트워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무선집적회로의 출력단이 6개로 UART_RX, UART_TX, 및 PWM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의 5개의 핀을 이용하여 주 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도 17과 같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무선집적회로의 출력단 중 하나는 UART_RX 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인터페이스부의 하나의 핀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무선집적회로의 출력단 중 두 개는 각각 UART_TX, 및 PWM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UART_TX, 및 PWM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은 제1저항 및 제2 저항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인터페이스부의 하나의 핀에 동시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은 둘 중 하나의 출력단에서 출력 신호가 출력될 때, 다른 출력단으로 출력 신호가 반사되어 입력되지 않도록 고저항 값을 가진다.
따라서, 둘 중 하나의 단자에서 출력 신호가 출력될 때, 다른 출력단은 제1 또는 제2 저항이 연결되어 있고, 인터페이스부의 핀은 저항 성분이 없으므로 상기 출력 신호가 인터페이스부의 핀을 통해 출력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은 적어도 50Ω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5개의 핀(P1-P5)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핀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핀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Z-wave 네트워크를 적용하더라도 각각의 핀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도 17의 회로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a 내지 도 21은 도 18의 제어 장치에 대한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 및 23은 도 18의 전자 기기에 대한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제어장치(300), 게이트웨이(200) 및 전자기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제1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제2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전자기기(100)와 연결된다.
전자기기(100)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4개의 전자기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100)는 대표적으로 전화기, 컴퓨터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다양화 됨에 따라 가정 내에서 초고속통신망 등의 외부 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냉장고, 디지털 TV, 셋탑박스 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가전 등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디머(dimmer) 등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100)는 가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통신 모듈(400)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는 리모트 컨트롤러, 디머,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해당 전자기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무선 제어장치(300)와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전자기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 네트워크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통신 모듈(40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웨이브(Z-wave) 등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제1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적용하기 위해 도 18과 같이 탈착형 통신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400)은 게이트웨이본체(210)의 홈에 삽입 고정되어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무선 제어장치(300) 및 전자기기(1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경우, 게이트웨이(200) 내부에 형성되는 네트워크 모듈과 탈착형의 통신 모듈(400)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다양한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장치(300)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다양한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의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영역(302)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통신 모듈(400)이 탈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영역(302)은 온/오프 버튼과 업/다운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로 조명 기기의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19b는 도 19a의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제어기기(310) 내부에 배터리(320)와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10)가 삽입 고정되는 커넥터(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20)는 거치대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재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도 19c와 같이 인터페이스 영역(302)이 복수의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은 도 19d와 같이 커넥터(311)와 배터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무선 제어장치(300)는 통신 모듈(400)이 삽입되어 있는 월패드(wall pad)일 수 있다.
상기 월패드(300a)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벽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면에 통신 모듈(400)이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영역(330) 및 복수의 버튼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무선 제어장치(3000)는 통신 모듈(400)이 삽입되어 있는 디머(dimmer)(300b)일 수 있다.
상기 디머(300d)는 조명 장치의 온오프 및 밝기의 업 다운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에 고정되는 수용부(340), 디머본체(350) 및 덮개부(34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400)은 디머본체(350)의 표면에서 삽입될 수 있으며, 외부로 안테나 영역만이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500)는 도 22 및 도 23과 같은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도 22와 같은 조명 장치(500a)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500a)는 상부에 연결 단자(575)를 포함하고, 하부에 삽입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570)와, 상기 내부 케이스(570)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방열몸체(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방열몸체의 하면에 빛을 방출하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모듈부와, 상기 방열몸체 하부의 둘레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를 상기 방열몸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505)와, 상기 가이드부재(505)와 발광모듈부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510), 및 상기 방열몸체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58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510)는 통신 모듈(400)을 삽입하는 렌즈개구부(512)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개구부(512)를 통해 삽입되는 통신 모듈(400)은 전원제어부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상기 조명 장치(500a)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전자기기(100)가 도 23과 같은 센서 모듈(500b)일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500b)은 모듈 본체(530) 및 상기 모듈 본체(530)에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52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520)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움직임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모듈 본체(400)에 탈착식으로 부착되어 상기 센서 모듈(500b)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자 기기(100)로 조명 장치와 센서 모듈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가정기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300), 전자기기(100), 또는 게이트웨이(200)의 통신 모듈(400)을 선택 및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자기기 100
주 모듈 500
통신 모듈 400
무선 제어장치 300
게이트웨이 200
안테나부 410
무선통신부 430
인터페이스부 450

Claims (13)

  1. 전자 기기에 전송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부, 그리고
    상기 모듈부에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UART 방식 및 PWM 방식을 포함하는 제어 방식 중에서, 상기 모듈부의 제어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핀은,
    상기 모듈부의 상기 제어 방식에 따라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장치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조명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디머(dimmer)이거나,
    가전 기기 및 다양한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월 패드(wall pa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무선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배치되며, 무선통신칩이 실장되어 있는 모듈기판
    을 포함하는 무선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안테나부,
    무선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듈부의 인터페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할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출력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무선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모듈부에 구비된 삽입 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모듈부의 삽입홀 내에 삽입된 경우,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무선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듈부의 인터페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모듈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핀은
    적어도 제 1 핀 그룹과 제 2 핀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기판에는,
    상기 제 1 핀 그룹과 제 2 핀 그룹 사이를 이격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무선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 그룹에 속한 핀의 수는,
    상기 제 2 핀 그룹에 속한 핀의 수와 다른 무선 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의 중앙에는,
    그라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핀 그룹과 상기 제 2 핀 그룹은, 상기 그라운드 핀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무선 제어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맞은편에 각각 배치되는 무선 제어 장치.
  1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제 1 통신 모듈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제 2 통신 모듈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무선 제어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2 통신 모듈은,
    UART 방식 및 PWM 방식을 포함하는 제어 방식 중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핀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제어 방식에 따라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 제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제어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제 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조명 장치, 센서 모듈, 및 가전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30078496A 2013-07-04 2013-07-04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10212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96A KR102122447B1 (ko) 2013-07-04 2013-07-04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CN201480038432.XA CN105359550A (zh) 2013-07-04 2014-07-04 包括通信模块的无线控制装置及包括该无线控制装置的控制系统
PCT/KR2014/006013 WO2015002501A1 (en) 2013-07-04 2014-07-04 Wirel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4820240.1A EP3001886B1 (en) 2013-07-04 2014-07-04 Wirel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4/902,525 US9595188B2 (en) 2013-07-04 2014-07-04 Wirel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96A KR102122447B1 (ko) 2013-07-04 2013-07-04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133A KR20150005133A (ko) 2015-01-14
KR102122447B1 true KR102122447B1 (ko) 2020-06-12

Family

ID=5214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496A KR102122447B1 (ko) 2013-07-04 2013-07-04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95188B2 (ko)
EP (1) EP3001886B1 (ko)
KR (1) KR102122447B1 (ko)
CN (1) CN105359550A (ko)
WO (1) WO2015002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7240B (zh) * 2016-04-26 2019-11-19 梁家鸿 一种分离式智能控制系统及其设置方法
KR102478245B1 (ko) * 2016-06-09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홈 컨트롤러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8235523B (zh) * 2018-02-28 2024-02-13 刘通 节点控制器及应用其的灯控系统
KR102426308B1 (ko) * 2018-12-04 2022-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
CN109945896B (zh) * 2019-04-19 2024-02-27 武汉地震计量检定与测量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遥控折叠棱镜装置
CN110691030A (zh) * 2019-10-08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网关通信方法、存储介质和智能网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6512A1 (en) 2008-08-01 2010-02-04 Chen-Leh Wang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apparatus
US20110264245A1 (en) 2010-04-21 2011-10-27 Lim Jeonghyu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10312384A1 (en) 2010-06-21 2011-12-22 Youn Jinsoo Mobi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977A (ja) 1993-01-26 1994-08-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US20020110228A1 (en) 1997-05-02 2002-08-15 Lawrence Silverman Portable telephone/remote control device
WO2002099605A2 (en) * 2001-06-07 2002-12-12 Mark Salerno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embedded control system
JP2003317528A (ja) 2002-04-26 2003-11-0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リモコンアダプタ及び照明器具
JP2004032235A (ja)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またはアダプタ装置
KR20040067036A (ko) * 2003-01-21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단말기 연동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US7083109B2 (en) * 2003-08-18 2006-08-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having modulated and non-modulated provisions
US7055759B2 (en) * 2003-08-18 2006-06-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DA configuration of thermostats
KR100596410B1 (ko) 2004-11-04 2006-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 확장용 에스디 메모리 카드
US20060122692A1 (en) 2004-05-10 2006-06-08 Ran Gilad Stent valve and method of using same
US7716578B2 (en) 2006-05-19 2010-05-11 Think-Cell Software Gmbh Display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system
JP4283305B2 (ja) 2006-12-15 2009-06-24 Smk株式会社 Rf通信モジュール及びrf通信システム
CN101516156A (zh) 2008-02-20 2009-08-26 奥斯兰姆有限公司 无线调光型电子镇流器和包含该镇流器的紧凑型荧光灯
US8117587B1 (en) * 2008-06-03 2012-02-14 Richard Paul Testardi Microcontroller-resident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supporting application-level asynchronous event handling, interactive debugging and pin variables for embedded systems
KR20100052985A (ko)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00118148A1 (en) 2008-11-11 2010-05-13 Young Hwan Lee Illumination Apparatus
KR20100083237A (ko) 2009-01-13 2010-07-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조명 장치
WO2011029066A1 (en) * 2009-09-04 2011-03-10 American Dj Supply, Inc. Wireless controller for lighting system
CN102053666A (zh) 2009-11-03 2011-05-1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传输装置及使用此无线传输装置的电脑系统
CN201904829U (zh) * 2010-09-01 2011-07-20 黄俊升 手机遥控装置
CN202454835U (zh) * 2012-01-17 2012-09-26 东莞市扬明精密塑胶五金电子有限公司 防串扰电连接器
CN102665317B (zh) * 2012-02-24 2015-02-25 深圳市埃克苏照明系统有限公司 无线照明控制系统及无线智能灯具
TWM452515U (zh) * 2012-06-27 2013-05-01 Advanced Connectek Inc 可降低近端串音之連結器結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6512A1 (en) 2008-08-01 2010-02-04 Chen-Leh Wang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apparatus
US20110264245A1 (en) 2010-04-21 2011-10-27 Lim Jeonghyu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10312384A1 (en) 2010-06-21 2011-12-22 Youn Jinsoo Mobi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79481A1 (en) 2016-12-29
EP3001886B1 (en) 2019-09-04
US9595188B2 (en) 2017-03-14
CN105359550A (zh) 2016-02-24
EP3001886A1 (en) 2016-04-06
WO2015002501A1 (en) 2015-01-08
EP3001886A4 (en) 2017-01-18
KR20150005133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1164B2 (ja) 通信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照明装置
KR102122447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101999660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6345412B2 (ja) 通信モジュールを含む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の駆動方法
KR102191568B1 (ko)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976567B1 (ko)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EP3576499B1 (en) Light driving device and light driving method therefor
KR102048735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439010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40134182A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40068555A (ko)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976554B1 (ko)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40064491A (ko)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60026461A (ko) 조명 장치,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조명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