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080B1 -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080B1
KR102122080B1 KR1020180168126A KR20180168126A KR102122080B1 KR 102122080 B1 KR102122080 B1 KR 102122080B1 KR 1020180168126 A KR1020180168126 A KR 1020180168126A KR 20180168126 A KR20180168126 A KR 20180168126A KR 102122080 B1 KR102122080 B1 KR 10212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d
control point
temperature
error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005A (ko
Inventor
최원창
성남철
김지헌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6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BEMS를 기반으로 하여 중앙공조시스템의 에너지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건물에 설치된 BEMS 플랫폼 내에서 작동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을 대상으로, BEMS의 정보 중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연관성을 갖는 관제점과 함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Building Equipment of Centr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본 실시예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건물 에너지소비는 다른 분야와는 달리 건물의 적절한 운용에 의해 효율성이 결정된다.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빠른 발달을 통하여 건물에서의 에너지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시스템과 연동하여 제어 및 운영하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의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7년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기관 건물에 BEMS의 설치가 의무화되는 등 건물의 운영단계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관리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인 BEMS에서는 건물과 각종 설비 및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된 상태감시와 기본적인 제어기능 이외에 사용자가 원하는 에너지 소비정보나 합리적 관리 도구 제공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여기서, 합리적인 관리도구란 기존의 단순화된 제어, 즉 관리자가 판단한 설정값과 현재 상태값의 비교를 통한 단순제어 기능에 관리자의 판단과정에 도움을 주거나 차제에 관리자의 판단기능을 대체하는 고도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전술한 관리 도구를 개발하여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운영관리 정보의 수집과 이들 정보의 분석을 통한 관리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일반적인 BEMS 또는 BAS는 구성요소 및 운영정보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의 정보요소들이 임의적으로 분류체계 없이 리포팅(Reporting)되어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구분할 것 없이 정보요소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BEMS를 기반으로 하여 중앙공조시스템의 에너지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건물에 설치된 BEMS 플랫폼 내에서 작동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을 대상으로, BEMS의 정보 중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연관성을 갖는 관제점과 함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오차 확인부; 상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하고,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하고, 상기 연관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연관 항목 분석부; 및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상기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설비 운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BEMS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하고,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하고, 상기 연관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과정; 및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상기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BEMS를 기반으로 하여 중앙공조시스템의 에너지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건물에 설치된 BEMS 플랫폼 내에서 작동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을 대상으로, BEMS의 정보 중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에 대한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연관성을 갖는 관제점과 함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a,2b,2c,2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빌딩 레벨 설정화면, 시스템 레벨 설정화면, 존 레벨 설정화면, 성능 모니터링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COP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 시스템은 건물(110), BEMS(12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 운영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건물설비 운영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물(110)은 고효율, 저에너지로 운전하고자 하는 BEMS(120)를 포함한 대형 건물을 의미한다. 건물(110)에 포함된 건물 설비는 BEMS(120)와 연결되어 건물 운영 및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BEMS(120)로 전달한다. 건물(110)은 주로 건물 내 에너지 소비와 연관이 있는 설비 시스템과 관련된 항목 측정을 위한 센서, 계측기 등을 포함한다.
BEMS(120)는 건설기술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에너지기술을 기반으로 건물(110)에 대한 각종 설비에 대한 출력치를 측정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BEMS(120)는 각종 설비에 대한 출력치를 포함한 데이터를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로 전송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가 발생한 경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연관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추출하여 분석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운영자 단말기(140)는 운영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운영자 단말기(14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운영자 단말기(14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빌딩 레벨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 데이터 라이브러리로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에 대한 측정치를 관제점 별로 수집 및 분류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에너지 흐름을 따라 빌딩 레벨(Building Level), 시스템 레벨(System Level), 존 레벨(Zone Level)로 구분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 중 빌딩 레벨(Building Level)로 건물단위에서 정보요소인 각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전체 에너지의 총량과 에너지원별 전체 소비량을 관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건물단위에서 각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량을 확인한다. 빌딩 레벨(Building Level)은 [표1]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1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 중 시스템 레벨(System Level)로 건물 단위에 에너지 소비요소 중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구성요소(component)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요소들을 관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시스템 레벨로 공조설비, 열원설비, 반송설비로 구분하여 각각의 설비 내에서도 송풍기, 냉동기, 냉각코일, 순환펌프, 보일러, 난방코일, 축열시스템 등을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시스템 레벨에 포함된 각 항목의 모든 상태를 관제하고 중앙공조시스템의 공기조화기(AHU: Air Handling Unit)와 열원장치 중에서는 냉동기, 히트펌프, 빙축열시스템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레벨(System Level)의 공기조화기는 [표2]와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2
시스템 레벨(System Level)의 냉동기는 [표3]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3
시스템 레벨(System Level)의 지열히트펌프는 [표4]와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4
시스템 레벨(System Level)의 빙축열시스템은 [표5]와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5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 중 존 레벨(Zone Level)로 시스템 레벨로부터 공급되는 조화공기(급기)의 상태와 더불어 공조 대상이 되는 공간에서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을 모니터링한다. 존 레벨(Zone Level)은 [표6]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6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수집한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운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모든 관제 데이터를 시계열로 가시화함으로써 공조 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파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시스템 모니터링 설정창은 빌딩레벨, 시스템 레벨, 존 레벨로 구분한다. 빌딩 레벨 설정화면은 도 2a와 같이 구성된다.
조회항목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전기사용량, 가스사용량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기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기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단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분당, 시간당, 일간, 월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값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평균, 최저, 최고, 합산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그래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그래프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도 2b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레벨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레벨 설정화면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시스템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공조기, 열원설비와 같은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설치된 디바이스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선택한 시스템 중 세부 장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관제 유형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온도, 습도, 전력과 같은 데이터의 유형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관제점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세부 관제점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도 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존 레벨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존 레벨 설정화면은 도 2c와 같다.
조회항목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실내 온도, 습도, 외기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기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기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단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분당, 시간당, 일간, 월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값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평균, 최저, 최고, 합산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그래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그래프 형식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그래프 작성 예시는 [표7]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7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및 분류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운전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공조기, 열원설비(냉동기, 히트펌프, 축열조)의 대표적인 성능 평가 요소에 대하여 가시화(표 7)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열원설비의 냉동 능력과 소비된 압축기의 일량과의 비를 나타내는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 제조열량, 부하율, 빙축열조의 축열량 등을 산출하기 위한 수식을 포함(표 6)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각 장비별 평가의 용도에 맞는 그래프를 작성하게 되며, 각 특성에 맞도록 그래프 형식, 데이터 처리 및 표시 방법 등을 설정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서 평가하는 주요 평가 지표는 다음과 같다.
① 열원설비(냉동기, 지열히트펌프)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 성능계수, 냉동기·히트 펌프 등의 에너지 소비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입력에너지량 (열원기구 또는 열원시스템의 소비에너지 량)에 대해 출력 에너지량(제조열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제조열량: 열원기구가 제조한 열매는 냉수 · 온수 · 증기 등이 있다. 냉수와 온수의 열량은 열원기구들의 입구 온도와 출구 온도의 차 또는 유량 등에서 환산된다. 증기의 열량은 증기의 비 엔탈피와 급수의 비 엔탈피의 차 또는 급수량 등에서 산출된다.
부하율 : 열원설비의 실제 제조 열량과 정격능력의 비. 설계 능력 대비 실제 열량 제조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를 의미한다.
② 빙축열조
축열량 : 축열조 내부 온도에 의해서 열원설비로부터 공급되어 축적된 열량을 산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공기조화기 성능 모니터링 표시 그래프 특징은 [표 8]과 같으며, 산출 수식은 [표 9]를 참조한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8
냉동기 성능 모니터링 표시 그래프 특징은 [표 9]와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09
히트펌프 성능 모니터링 표시 그래프 특징은 [표 10]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10
축열조성능 모니터링 표시 그래프 특징은 [표11]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11
성능 모니터링 평가 항목 수식은 [표12]와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12
도 2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성능 모니터링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성능모니터링 작성 시 설정 화면은 도 2d와 같다.
시스템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성능 평가를 위한 시스템 선택(공조기, 열원설비)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성능평가 항목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에 해당되는 성능평가 항목이 로드되며, 성능 평가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데이터 확인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선택한 항목의 각 축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조회기간 선택창은 운영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기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출력한다.
성능 모니터링 그래프 작성 예시는 표 13과 같다.
Figure 112018129554559-pat00013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정보 수집부(312), 오차 확인부(314), 연관 항목 분석부(316), 조합부(318)를 포함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312)는 BEMS(120)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주요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확인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주요 관제점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기 설정된 설정치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측정치를 갖는 관제점을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측정 항목 중 오차 발생 관제점과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포함한 관제점을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연관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추출하여 분석한다.
조합부(318)는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출력한다.
이하, 오차 확인부(314), 연관 항목 분석부(316), 조합부(318)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하고,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면,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조합부(318)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연관 관제점이 공기조화기로 확인되면,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하고,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면,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냉동기에 COP 트렌드를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조합부(318)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로 확인되면,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COP 트렌드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 냉수 유량 트렌드, 냉수펌프 소비전력량 트렌드, 냉각수 공급온도, 냉동기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냉수 온도 트렌드 중 냉수(급수) 온도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하고,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면,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된 냉수(급수) 온도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 풍량-전기소비량을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조합부(318)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연관 관제점이 공기조화기로 확인되면,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냉수 온도 트렌드 중 냉수(급수) 온도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하고, 냉수(급수) 온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면,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된 냉수(급수) 온도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냉동기 트렌드를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조합부(318)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 트렌드로 확인되면,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제조열량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 냉수펌프 소비전력량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COP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 냉동기에 대한 냉동기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COP 트렌드 중 COP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하고,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면,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된 COP(COP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냉동기 트렌드를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조합부(318)는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COP에 대한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 트렌드로 확인되면,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제조열량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오차 확인부(314)는 제조열량 트렌드 중 냉동기 제조열량을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하고,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연관 항목 분석부(316)는 오차 확인부(314)의 확인 결과,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면,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된 냉동기 제조열량과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냉동기 트렌드(냉수 온도 트렌드, 냉수 유량 트렌드)를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조합부(318)는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 트렌드로 확인되면,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그래프와 냉수 온도 트렌드, 냉수 유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을 운영자 단말기(140)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하여 수집 데이터를 생성한다(S41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420). 단계 S420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주요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확인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가 발생한 경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한다(S430). 단계 S430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기 설정된 설정치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측정치를 갖는 관제점을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한다(S440). 단계 S440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측정 항목 중 오차 발생 관제점과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포함한 관제점을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연관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추출하여 분석한다(S45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출력한다(S46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수집한 수집 데이터 중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한다(S51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2). 단계 S512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512의 확인 결과,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를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실내급기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공조화기 또는 냉동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4).
단계 S512에서 실내급기온도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의 측정치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실내급기온도를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실내급기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공조화기인지 또는 냉동기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514의 확인 결과, 오차 발생 관제점(실내급기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공조화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516).
단계 S516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
단계 S514의 확인 결과, 오차 발생 관제점(실내급기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경우, 오차 발생 관제점(실내급기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COP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52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COP 트렌드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522).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COP 트렌드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 냉수펌프 소비전력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524).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COP 트렌드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526).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COP 트렌드에 대한 냉동기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528).
도 5에서는 단계 S510 내지 단계 S52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수집한 수집 데이터 중 냉수 온도 트렌드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한다(S61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 온도 트렌드 중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12). 단계 S612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612의 확인 결과, 냉수(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를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냉수(급수) 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공조화기 또는 냉동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14).
단계 S612에서 냉수(급수) 온도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의 측정치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냉수(급수) 온도를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냉수(급수) 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공조화기인지 또는 냉동기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614의 확인 결과, 오차 발생 관제점(냉수(급수) 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공조화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22).
단계 S622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를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24). 단계 S624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색인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
단계 S614의 확인 결과, 오차 발생 관제점(냉수(급수) 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경우, 오차 발생 관제점(냉수(급수) 온도)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32).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제조열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34).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 냉수펌프 소비전력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36).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COP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38).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42).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동기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644).
도 6에서는 단계 S610 내지 단계 S644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6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COP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수집한 수집 데이터 중 COP 트렌드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한다(S712).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수 온도 트렌드 중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14). 단계 S714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714의 확인 결과,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를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COP)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것으로 확인한다.
단계 S714에서 COP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의 측정치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COP를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COP)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것을 확인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716).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제조열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718).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720).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722).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724).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COP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728).
도 7에서는 단계 S712 내지 단계 S72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7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오차 발생 시 연관 관제점과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BEMS(120)로부터 수집한 수집 데이터 중 제조열량 트렌드를 주요 관제점으로 설정한다(S812).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제조열량 트렌드 중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814). 단계 S814에서,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동기 제조열량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814의 확인 결과,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동기 제조열량을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냉동기 제조열량)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것으로 확인한다.
단계 S814에서 냉동기 제조열량의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동기 제조열량의 측정치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냉동기 제조열량을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한다. 이후,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오차 발생 관제점(냉동기 제조열량)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이 냉동기인 것을 확인한다.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816). 건물설비 운영장치(130)는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그래프와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를 비교한 비교 화면으로 출력한다(S818).
도 8에서는 단계 S812 내지 단계 S81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8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건물 120: BEMS
130: 건물설비 운영장치 140: 운영자 단말기
312: 정보 수집부 314: 오차 확인부
316: 연관 항목 분석부 318: 조합부

Claims (5)

  1.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오차 확인부;
    상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하고,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하는 연관 항목 분석부; 및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상기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오차 확인부는 환기 온도 트렌드 중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연관 항목 분석부는 상기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조합부는 상기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오차 확인부는 냉수 온도 트렌드 중 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연관 항목 분석부는 상기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 풍량-전기소비량을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조합부는 상기 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오차 확인부는 COP 트렌드 중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연관 항목 분석부는 상기 COP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냉동기 트렌드를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조합부는 상기 COP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냉동기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제조열량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오차 확인부는 제조열량 트렌드 중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연관 항목 분석부는 상기 제조열량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냉수 온도 트렌드, 냉수 유량 트렌드를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조합부는 상기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냉수 온도 트렌드, 상기 냉수 유량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설비 운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확인부는,
    상기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주요 관제점에 대한 측정치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치와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설비 운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항목 분석부는,
    기 설정된 설정치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측정치를 갖는 관제점을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설비 운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항목 분석부는,
    상기 수집 데이터에 포함된 측정 항목 중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한 관제점을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설비 운영장치.
  5. BEMS로부터 건물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수집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수집 데이터를 주요 관제점에 대해 기 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수집 데이터 중 오차 발생 관제점을 추출하고,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제점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오차 발생 관제점과 상기 연관 관제점의 설비 항목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비교 화면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할 때, 환기 온도 트렌드 중 실내급기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실내급기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고,
    냉수 온도 트렌드 중 냉수 온도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환기 온도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 풍량-전기소비량을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냉수 온도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급기온도, 환기 온도 트렌드, 풍량-전기소비량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고,
    COP 트렌드 중 COP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COP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냉동기 트렌드를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COP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냉동기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제조열량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수 온도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수 유량 트렌드,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공급온도, 상기 냉동기에 대한 냉각수 입구온도,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운전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고,
    제조열량 트렌드 중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해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조열량 트렌드와 동일한 키워드 정보를 갖는 냉수 온도 트렌드, 냉수 유량 트렌드를 상기 연관 관제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냉동기 제조열량에 대한 그래프와 상기 냉수 온도 트렌드, 상기 냉수 유량 트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한 비교 화면을 출력하는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KR1020180168126A 2018-11-27 2018-12-24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212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321 2018-11-27
KR20180148321 2018-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005A KR20200063005A (ko) 2020-06-04
KR102122080B1 true KR102122080B1 (ko) 2020-06-12

Family

ID=7108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126A KR102122080B1 (ko) 2018-11-27 2018-12-24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0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696A (ja) * 2008-10-07 2010-05-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遠隔管理方法
KR101655247B1 (ko) * 2015-04-24 2016-09-07 (주)우리젠 Bems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분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110B1 (ko) * 2016-12-26 2019-05-10 주식회사 유비케어 검진결과에 기초한 검진 예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696A (ja) * 2008-10-07 2010-05-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遠隔管理方法
KR101655247B1 (ko) * 2015-04-24 2016-09-07 (주)우리젠 Bems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005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gers et al. A review of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methods for residential air conditioning systems
US117691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iagnostics of HVAC systems
Fernandez et al. Energy savings potential from improved building controls for the US commercial building sector
Yu et al. Improved energy management of chiller systems by multivariate and data envelopment analyses
JP4334176B2 (ja) 建物省エネルギー評価監視装置
US8694174B2 (en) Energy saving support device
KR20130130513A (ko) 지능형 건물 에너지 소비 관리 시스템
JP6429702B2 (ja) 空調機選定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462917A (zh) 制冷剂管线阻塞的hvac系统远程监视和诊断
JP2022536367A (ja) ゾーングルーピングを用いた可変冷媒流システム
Qian et al. Power consumption and energy efficiency of VRF system based on large scale monitoring virtual sensors
Yik et al. Chiller models for plant design studies
JP5495148B1 (ja) 運転制御装置及び運転制御方法
Wang et al. Advanced rooftop control (arc) retrofit: Field-test results
Hu et al. Identification of simplified energy performance models of variable-speed air conditioners using likelihood ratio test method
KR102122080B1 (ko)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건물설비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2090281B1 (ko) 데이터 센터 건물의 냉방 에너지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986686B1 (ko) Bems 기반 중앙집중식 공조시스템의 관제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00089594A (ko)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
CN101672510B (zh) 空调系统优化运行模拟及监控方法
Zhai et al. Operating points as communication bridge between energy evaluation with air temperature and velocity based on extreme learning machine (ELM) models
KR20240043228A (ko) 냉방 시스템의 운영 조합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
Schibuola et al. Modelling of HVAC system components for building dynamic simulation
Bao et al. Probabilistic assessment of overcooling risk for a novel extra-low temperature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for Hong Kong office buildings
Yu et al.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performance rating of air-cooled chillers used in air-conditioned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