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059B1 -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059B1
KR102122059B1 KR1020190047776A KR20190047776A KR102122059B1 KR 102122059 B1 KR102122059 B1 KR 102122059B1 KR 1020190047776 A KR1020190047776 A KR 1020190047776A KR 20190047776 A KR20190047776 A KR 20190047776A KR 102122059 B1 KR102122059 B1 KR 10212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delivery
order
receiv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922A (ko
Inventor
서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로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로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로월드
Priority to KR102019004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0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매장의 주문 관리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주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연동된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APPARATUS FOR MANAGING AN ORDER,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접수되는 다양한 주문을 처리함에 있어 고객 정보, 배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중복하여 입력함이 없이도 자동으로 배달 대행 요청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점 운영자(들)의 수고를 감소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 환경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현대인들 사이에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의 보급이 일반화되었고 독신 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음식 주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을 통해 음식을 주문하는 사용자들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스마트폰의 활용이 다소 어려운 사용자의 경우 또는 모바일을 통한 비용 처리에 거부감이나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의 경우 해당 음식점에 직접 전화를 하여 음식을 주문 및 배달 요청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온라인 주문 채널 주문접수 과정(A)과 배달 대행 요청 과정(B)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종래에는 음식 주문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온라인 주문을 접수하면(A-1), 전화/콜센터/전용 단말기 등으로부터 고객 주문 정보가 전달되는데(A-2), 전달된 고객 주문 정보를 주문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예를 들어, 점주, 직원, 등)가 고객의 주문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만(A-3)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사용자(예를 들어, 점주, 직원, 등)가 고객 주문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음식점에(예를 들어, 음식점에 배치된 POS 단말에) 주문 접수가 완료되게 된다(A-4).
또한, 종래에는 배달 대행을 요청하는 과정에서도, 먼저 사용자(예를 들어, 점주, 직원, 등)가 배달 대행 프로그램에 접속해야 하고(B-1), 동일한 고객 주문 정보를 또 다시 입력해야 하며(B-2), 그 후에야 배달 대행 요청이 완료되어(B-3) 기사 배차 및 배달이 수행되었다(B-4).
이와 같이, 종래에는 음식점 POS 장치로 수신되는 주문서의 주문 배달 데이터를 사용자(예를 들어, 점주, 직원, 등)가 배달대행업체에 접속하여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는 음식점을 운영함에 있어 상당한 시간 및 인력 낭비를 초래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에는 다양한 소스(source)들로부터 접수되는 다양한 형태의 고객 주문 데이터를 규격화 또는 통일화하기 위한 노력이 부재하였고, 그 결과 음식점의 온라인 주문 건수와 배달 대행 요청 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문 관리 프로그램이 그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함으로 인해 온라인 주문 채널의 관리가 거의 불가능하고 음식점 데이터의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음식점 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제약들 및 단점들을 극복하여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접수되는 다양한 고객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함과 동시에 배달대행업체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배달대행업체에 접속하여 주문 고객 정보를 또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으로 접수되는 주문 정보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예를 들어, 유무선 전화, 등)으로 접수되는 주문 정보도 또한 자동으로 접수 및 저장하여 이를 배달대행업체로 전달하여 줌으로써 적용 가능한 주문 정보의 타입을 확대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달대행업체에 자동으로 주문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와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배달을 가능하게 하는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주문 정보(또는 주문 데이터)를 정형화함으로써 음식점 주문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데이터의 정산 및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주문 관리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주문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연동된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표시를 부가하여 접수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문 정보는 음식 배달을 위한 주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는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연동된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과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와의 연동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을 기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정형화(standardiz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정형화된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접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배달대행업체서버를 통신가능하게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연동부를 통해 연동된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표시를 부가하여 접수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문 정보는 음식 배달을 위한 주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는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과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와의 연동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을 기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정형화(standardize)하도록 구성되는 정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형화부에 의해서 정형화된 주문 정보를 접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접수되는 다양한 고객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함과 동시에 배달대행업체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배달대행업체에 접속하여 주문 고객 정보를 또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온라인으로 접수되는 주문 정보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예를 들어, 유무선 전화, 등)으로 접수되는 주문 정보도 또한 자동으로 접수 및 저장하여 이를 배달대행업체로 전달하여 줌으로써 적용 가능한 주문 정보의 타입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배달대행업체에 자동으로 주문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와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배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주문 정보(또는 주문 데이터)를 정형화함으로써 음식점 주문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데이터의 정산 및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온라인 주문 채널 주문 접수 과정(A)과 배달 대행 요청 과정(B)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 및 주문 관리 시스템(1000, 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주문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 및 주문 관리 시스템(1000, 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주문 정보로서 음식 배달을 위한 주문 정보를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적용 가능한 주문의 대상은 음식뿐만 아니라 배달이 가능한 모든 물품(예를 들어, 꽃다발, 화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주문 관리 방법, 그 장치 그리고 시스템 플랫폼의 구성을 음식 배달을 위한 주문으로만 한정적으로 적용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1000, 1000’)은 주문 관리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과, 타사 POS(300)와, 콜센터 서버(400)와, 배달대행업체서버(500, 50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는 시스템(1000)의 각 엘리먼트(100, 200, 300, 400, 500/50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합 주문 관리 및 배달 대행 요청에 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할 뿐, 따라서 도시된 엘리먼트(100, 200, 300, 400, 500/500’) 이외의 추가적인 엘리먼트가 주문 관리 시스템(10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주문 관리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주문 관리 방법(S200)의 각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관리 장치(100)는 음식점의 POS(Point-Of-Sale) 장치 또는 POS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10)와, 통신부(120)와, 연동부(130)와, 정형화부(140)와, 표시부(150)와, 정산·분석부(160)와, 그리고 저장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는 주문 관리 장치(100)의 각 엘리먼트(110, 120, 130, 140, 150, 160, 170)는 주문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해당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비용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부, 배달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 등)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주문 관리 장치(100)의 기능적 블록도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주문 관리 방법(S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문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온라인 주문 정보(예를 들어, 음식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문, 등)와 오프라인 주문 정보(예를 들어, 유/무선 전화를 통한 주문, 등) 모두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offline)(210)와 사용자 단말(online)(220)로 구별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2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offline)(210)로부터 송신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CID(121; 발신번호 표시 장치; 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를 통한 주문이 들어오면, 주문 관리 장치(100)의 표시부(150)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CID 윈도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주문 관리 장치(100)의 저장부(170)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110)는 CID(121)를 통해 확인되는 주문자 발신번호를 저장부(17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CID(121)에 의해 확인되는 주문자 발신번호가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110)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하여 주문 정보를 접수 처리할 수 있고, CID(121)에 의해 확인되는 주문자 발신번호가 저장부(170)에 기 저정돤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표시부(150)를 통해 신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새롭게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추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에 부착된 CID(121)를 활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S200)은 온라인 주문 정보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주문 정보를 또한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offline)(210) 및 사용자 단말(online)(220)로부터 송신되는 주문 정보뿐만 아니라, 타사 POS(300), 콜센터 서버(400), 포장/방문 주문, 등 다른 타입의 주문 정보를 또한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는 온라인(음식 주문 어플리케이션 등), 오프라인(유/무선 전화 주문, 등), 포장, 타사 POS 등 모든 타입의 주문 정보를 접수하여 배달대행업체로 자동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형화부(140)에 의한 주문 정보 데이터의 정형화 작업이 더 수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통신부(12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2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제어부(110), 저장부(17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가 수신되면(S210), 제어부(110)는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는 온라인 주문 정보 및 오프라인 주문 정보 모두를 접수 및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배달대행업체서버(200)로 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데, 여기서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수신되는 주문 정보가 오프라인 주문 정보일 경우에, 해당 주문 정보는 통신부(120)에 포함된 CID(121)에 의해 처리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참고로, 도 2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는 수신된 주문 정보가 포장 주문인지 여부 또는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정보인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에 의해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가 판단되면(S220), 주문 관리 장치(100)의 정형화부(140)는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정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정형화(standardize)는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에 따라 규격화, 통일화, 단일화 등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는 수신되는 다양한 타입의 주문 데이터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배달 대행 요청 서비스와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고,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offline)(210) 및 사용자 단말(online)(22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200)뿐 아니라 타사 POS(300), 콜센터 서버(400) 등 다양한 타입의 소스들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소스들로부터의 다양한 타입의 주문 정보를 정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예를 들어 주문 관리 장치(100)의 정형화부(140)에 의해서 이러한 정형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출원인에 의한 주문 관리 장치(100)의 정형화부(140)에 의해 다양한 타입의 주문 정보가 정형화됨으로써 데이터의 정산/분석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매장의 통합적 주문 관리가 보다 강화되고 개선될 수 있다. 참고로, 주문 관리 장치(100)의 정형화부(140)에 의해 정형화된 주문 데이터의 일 예가 이하의 도 5에서 도시되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정형화부(140)에 의해 수신된 주문 정보가 정형화되면(S230), 제어부(110)는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접수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S240). 여기서, 제어부(110)가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또는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경우에, 제어부(110)는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주문 정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표시를 부가하여 접수하고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S241). 추가로, 제어부(110)가 수신된 주문 정보가 포장 주문인지 또는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경우에, 제어부(110)는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주문 정보에 포장 주문 또는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표시를 부가하여 접수하고 저장부(170)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주문 정보가 정형화부(140)에 의해 정형화되는 경우(S230), 제어부(110)는 정형화된 주문 정보를 접수하고 이를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S242).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는 연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동부(130)는 주문 관리 장치(100)와 배달대행업체서버(500)를 통신가능하게 연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동부(130)에 의한 주문 관리 장치(100)-배달대행업체서버(500)의 연동은 주문 관리 장치(100)에 접수 및 저장된 다양한 주문 정보의 자동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연동부(130)에 의한 연동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일 수 있다. 참고로, API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에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화면 구성이나 프로그램 동작에 필요한 각종 함수를 모아놓을 것을 의미한다. 장치와 서버, 또는 서버와 서버 사이에 데이터를 연동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대표적으로 API를 예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수신된 주문 정보가 제어부(110)에 의해 접수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되면, 통신부(120)는 연동부(130)를 통해 연동된 배달대행업체서버(500)로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0)와 서버(500)의 연동은 API 연동을 기초로 하며, 따라서 주문 관리 장치(100)에 접수 및 저장된 주문 정보가 실시간으로 배달대행업체서버(500)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예를 들어, 점주, 점원, 등)가 또 다시 동일한 주문 정보를 배달대행업체에 접속하여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음식점의 운영 효율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S200)은 수신된 주문 정보에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에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수신된 주문 정보에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예를 들어, 방문 포장 고객, 등) 배달대행업체서버(500)로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S250)을 수행하지 않도록 주문 관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부(130)에 의해 주문 관리 장치(100)가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과 API 연동될 수 있는데, 그러한 주문 관리 시스템(1000’)의 블록도가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달대행업체서버(500’)는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고, 통신부(120)는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51).
참고로,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 각각은 상이한 개별 배달대행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로서,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이 주문 관리 장치(100)와 통신가능하게 연동되어 주문 관리 장치(100)를 통해 접수되는 주문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 중에서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기준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과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미도시) 각각의 현재 위치(예를 들어, GPS 정보에 기초한 현재 위치)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주문 관리 장치(100)의 위치(즉, 음식점의 위치)와, 배달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와,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고객에게 가장 최적으로 배달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달 단말과 연관된 배달대행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과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들(500-1, 500-2, …. 500-N) 중 최적의 배달대행업체서버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신속한 배달로 인해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 관련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배달 단말의 현재 위치 이외에도,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선택에 의해 배달대행업체가 선정될 수 있거나, 음식점 운영자의 선택에 의해 배달대행업체가 선정될 수 있거나, 복수의 배달대행업체들 중 임의의 배달대행업체가 랜덤하게 선정될 수 있거나,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에서 제시하는 배달 가격에 기초하여 배달대행업체가 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는 정산·분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산·분석부(160)는 정형화부(140)에 의해 정형화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문 정보에 대한 정산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산·분석부(160)의 정산을 통해 분산된 매출 정보가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정산·분석부(160)의 분석을 통해 비정형화 데이터가 가공될 수 있다. 정산·분석부(160)에서 수행되는 정산 및 분석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4에서 다시 기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저장부(170)에는 주문 관리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소정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문 관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70)에는 또는 저장부(170)와는 별개로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을 위한 추가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문 정보 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추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실 또는 분실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주문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함에 있어 인코더(미도시)에 의한 암호화 작업을 더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문 데이터에 대한 제3자 공격(예를 들어, 해커,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추가하여, 도 2의 순서도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방법(S200)은 배달 정보를 트랙킹(또는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실시간으로 배달대행업체서버(200) 및/또는 배달 단말(미도시)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한 배달대행업체서버(200) 및/또는 배달 단말(미도시)과의 무선 통신의 결과로서 배달 정보를 트랙킹할 수 있다(예를 들어, 배달이 진행 중인지 여부, 배달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 예를 들어, 트랙킹된 배달 정보는 접수 주문의 상태 정보로서 기록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1) 사용자 단말(offline)(210) 및 사용자 단말(online)(22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200)뿐 아니라 타사 POS(300), 콜센터 서버(40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타입의 주문 정보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2) 그러한 주문 정보를 즉각적으로 배달대행서비스와 연동함으로써 음식점 운영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3) 다양한 소스들로부터의 주문 데이터가 정형화부(140)에 의해 정형화됨으로써 분산된 매출 정보의 통합적인 제공이 가능하고(예를 들어, 일간/주간/월간/년간 등 정산), (4) 그에 따라 매체/시간대/요일/지역별 매출 분석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주문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일 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타입의 주문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100)의 정형화부(140)에 의해서 정형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된 주문 관리 데이터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주문 관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문 관리 장치(100)의 표시부(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의 좌측 영역에는 상위 목차(50)로서 주문관리(51), 상점관리(52), 고객관리(53), 매출분석(54), 정산(55), 문의하기(56), 설정(57) 등이 예시된다.
또한, 도 5는 복수의 상위 목차(50) 중에서 주문관리(51) 목차를 실행하는 예를 도시하며, 주문관리(51) 목차의 하위 목차(51-1 내지 51-12)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표시된다. 하위 목차(51-1 내지 51-12)는 구분(51-1), 상태(51-2), 주문시각(51-3), 주문경과(51-4), 배달요청시각(51-5), 픽업요청시각(51-6), 배달경과(51-7), 배달대행요금(51-8), 총주문금액(51-9), 결제방식(51-10), 고객연락처(51-11), 배달주소(51-12), 등으로 예시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예시된 하위 목차(51-1 내지 51-12) 이외의 다른 항목을 더 추가하여 본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특정 음식점에서의 음식 주문, 배달에 관한 데이터를 총괄 관리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만, 가맹점을 총괄 운영하는 본사에서 각 가맹점의 이러한 주문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따라서 각 가맹점에서의 정산/분석뿐만 아니라 모든 가맹점의 정보를 통합하여 주문/매출 데이터의 검색, 정산, 분석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접수되는 다양한 고객 주문 정보를 접수 및 저장함과 동시에 배달대행업체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배달대행업체에 접속하여 주문 고객 정보를 또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온라인으로 접수되는 주문 정보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예를 들어, 유무선 전화, 등)으로 접수되는 주문 정보도 또한 자동으로 접수 및 저장하여 이를 배달대행업체로 전달하여 줌으로써 적용 가능한 주문 정보의 타입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배달대행업체에 자동으로 주문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와 연관된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배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주문 정보(또는 주문 데이터)를 정형화함으로써 음식점 주문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데이터의 정산 및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는 소위 ‘제3 세대 POS 장치’로서 배달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에 특화되어 기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점심 시간이나 저녁 시간에 음식점 현장에서 매우 바쁘게 움직여야만 하는 점주나 점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주문 관리 장치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21: CID
130: 연동부 140: 정형화부
150: 표시부 160: 정산·분석부
17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
210: 사용자 단말(offline) 220: 사용자 단말(online)
300: 타사 POS 400: 콜센터 서버
500: 배달대행업체서버 1000: 주문 관리 시스템

Claims (9)

  1. 매장의 주문 관리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주문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타사 POS 및 콜센터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 상기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정보인지 또는 상기 콜센터 서버로부터의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정형화(standardize)하는 단계;
    상기 정형화된 주문 정보에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주문 정보, 상기 오프라인 주문 정보, 상기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정보 또는 상기 콜센터 서버로부터의 주문 정보의 표시를 부가하여 접수하고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재입력함이 없이,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된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 중 선정된 어느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오프라인 사용자 단말 및 온라인 사용자 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주문 관리 장치에 구비된 CID(발신자 표시 장치)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오프라인 주문 정보가 식별되며,
    상기 주문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에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에 상기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 중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를 선정하는 것은, 상기 주문 관리 장치의 위치, 배달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 및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을 요청한 고객에게 가장 신속하게 배달을 수행할 수 있는 배달 단말과 연관된 배달대행업체서버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문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주문 관리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타사 POS 및 콜센터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가 온라인 주문 정보인지, 오프라인 주문 정보인지, 상기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정보인지 또는 상기 콜센터 서버로부터의 주문 정보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정형화(standardize)하도록 구성되는 정형화부; 및
    상기 주문 관리 장치와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를 통신 가능하게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형화된 주문 정보에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주문 정보, 상기 오프라인 주문 정보, 상기 타사 POS로부터의 주문 정보 또는 상기 콜센터 서버로부터의 주문 정보의 표시를 부가하여 접수하고 암호화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재입력함이 없이, 상기 연동부를 통해 연동된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 중 어느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오프라인 사용자 단말 및 온라인 사용자 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주문 관리 장치에 구비된 CID(발신번호 표시 장치)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오프라인 주문 정보가 식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에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에 상기 배달 요청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배달대행업체서버로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배달대행업체서버 중 하나의 배달대행업체서버를 선정하는 것은, 상기 주문 관리 장치의 위치, 배달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 및 복수의 배달 단말 각각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을 요청한 고객에게 가장 신속하게 배달을 수행할 수 있는 배달 단말과 연관된 배달대행업체서버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문 관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47776A 2019-04-24 2019-04-24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76A KR102122059B1 (ko) 2019-04-24 2019-04-24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76A KR102122059B1 (ko) 2019-04-24 2019-04-24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68 Division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22A KR20190136922A (ko) 2019-12-10
KR102122059B1 true KR102122059B1 (ko) 2020-06-12

Family

ID=6900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776A KR102122059B1 (ko) 2019-04-24 2019-04-24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043A (ko) * 2022-04-19 2023-10-26 쿠팡 주식회사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30149036A (ko) * 2022-04-19 2023-10-26 쿠팡 주식회사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99B1 (ko) * 2016-12-05 2018-03-28 주식회사 인비즈소프트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배달대행 중계 운용시스템 및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배달대행 중계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196A (ko) * 2014-09-24 2016-04-04 이현준 Pos 단말을 이용한 음식주문과 배달 대행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99B1 (ko) * 2016-12-05 2018-03-28 주식회사 인비즈소프트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배달대행 중계 운용시스템 및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배달대행 중계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22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5592B2 (en) Wireless service provider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d selling a wireless service on a wireless device
US11159681B2 (en) Wireless account management appl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US201502943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merchant services and information through a common interface
US10805424B2 (en) System for sending digital requests for resource transfers
KR102026576B1 (ko) 스마트기기의 앱을 이용한 주점 운영시스템
KR102122059B1 (ko) 주문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66811B2 (en) Wireless access point having metering capability and metering display
US20130159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obile Wallet
AU2015253381A1 (en) Mobile loyalty and payment system using temporary short codes
US20120278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sumption information for software applications
KR101624900B1 (ko) 배달 예약 방법, 배달 예약을 위한 상품 주문 관리 서버 및 배달 예약 시스템
JP2016040668A (ja) 決済システム
US20120016775A1 (en) Vendor and service request system and method
JP20160388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11551202B1 (en) Card present onboarding-utility
US201700045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er marketing
KR101675376B1 (ko) 모바일 결제 수단의 오프라인 결제를 중계하는 결제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4768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현금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US10825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of order call relay
KR101731520B1 (ko) 상점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0600681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품 주문 방법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5639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N115776488A (zh) 跨平台文件下载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40032530A (ko) 유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68301A (ko) 사업자 정보 기반 마케팅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