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14B1 -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14B1
KR102121314B1 KR1020180079455A KR20180079455A KR102121314B1 KR 102121314 B1 KR102121314 B1 KR 102121314B1 KR 1020180079455 A KR1020180079455 A KR 1020180079455A KR 20180079455 A KR20180079455 A KR 20180079455A KR 102121314 B1 KR102121314 B1 KR 10212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upport drum
drum
transfer member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893A (ko
Inventor
오명석
이종윤
이상엽
양덕진
박종관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18007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폐기물을 실어 운반하는 폐기물 이송부재를 갖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와,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의 폐기물 이송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폐기물 이송부재와 마주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이송부재 통공을 갖는 이송부재와, 이송부재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 및 제2 지지드럼과, 제1 지지드럼과 제2 지지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음압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음압 발생기와, 이송부재로 둘러싸이는 이송부재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음압 하우징과, 폐기물 이송부재와 이송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음압 하우징은,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는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와, 음압 발생기의 음압을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에 전달하는 하우징 흡입 유로를 갖는다.

Description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과 금속 폐기물을 이송 중인 혼합 폐기물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 및 수거할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혼합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고, 캔이나, 병, 플라스틱 등은 재활용품으로 선별되어 재활용되고 있다.
폐기물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거된 폐기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종류별로 선별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폐기물 중에서 폐비닐 등의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은 다른 폐기물에 달라붙기 쉬어 폐기물 선별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매립되는 경우 분해가 되지 않아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고, 소각하는 경우 다이옥신 등의 유해가스를 발생하게 문제가 있어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고형 연료화 등의 재활용 공정을 거쳐서 재활용될 수 있다.
최근 제품 포장에 플라스틱 필름 등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분리 수거되어 버려지는 폐기물의 상당량을 플라스틱 폐기물이 차지하고 있고, 폐기물 선별에 있어서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특성상 무게는 가볍지만 부피가 큰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선별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해안에서 발생되는 해안 폐기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밧줄과 그물은 폐비닐 등과 같이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이며 이들도 폐비닐 등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재활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폐비닐 등과 같은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수작업에 의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 시, 작업자가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갈고리 등의 도구로 운반중인 혼합 폐기물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을 건져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작업 선별 방법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트롬멜을 이용하는 선별 방식은 부피가 큰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이 병류, 캔류 등 다른 폐기물과 혼합되어 투입되므로, 선별률이 떨어지고 2차 선별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식음료 캔이나, 부탄가스통, 스프레이통 등의 금속 폐기물은 재활용될 경우 원광석을 처리하여 제품화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폐기물에 비해 재활용 비중이 높은 편이다. 금속 폐기물 역시 재활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다른 혼합 폐기물로부터 선별되어야 하므로, 재활용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선별 방법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0900797호 (2009. 06. 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과 금속 폐기물을 이송 중인 다른 폐기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 및 수거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폐기물을 실어 운반하는 폐기물 이송부재를 갖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 상기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의 폐기물 이송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와 마주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이송부재 통공을 갖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을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 상기 제1 지지드럼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다른 일측을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드럼; 상기 제1 지지드럼과 상기 제2 지지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음압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음압 발생기; 상기 이송부재로 둘러싸이는 상기 이송부재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는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 및 상기 음압 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음압 발생기의 음압을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에 전달하는 하우징 흡입 유로를 갖는 음압 하우징; 및 상기 이송부재로 둘러싸이는 상기 이송부재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에 실려 이송되는 금속 폐기물이 상기 이송부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드럼은, 외주면이 상기 이송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드럼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와, 상기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에 송풍 공기를 전달하도록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 송풍 유로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상기 이송부재 통공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송풍 유로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드럼은,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기둥 형태의 송풍관 바디와, 상기 송풍기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송풍관 바디의 중심에 마련되는 송풍관 연결구와, 상기 송풍관 연결구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송풍관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송풍관 송풍구를 갖는 송풍관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송풍 유로는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압 발생기는, 상기 이송부재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지지드럼에 접하여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이송 구간에 음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압 발생기는, 상기 이송부재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지지드럼에 접하여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과,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과 상기 제2 지지드럼 사이에 마련되는 직선 이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이송 구간에 음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드럼은, 외주면이 상기 이송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에 음압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 흡입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압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흡입 유로와 연결되는 하우징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드럼은 상기 하우징 연결구를 통해 음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 연결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드럼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압 발생기와 상기 송풍기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음압 발생기가 흡입하는 공기가 상기 송풍기를 통해 상기 제2 지지드럼으로 송풍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의 운동 궤적 중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이 미치는 구간은 상기 음압 발생기의 음압이 미치는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상기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의 폐기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을 건져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선별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바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연통하고 상기 선별바의 끝단으로 개방되는 선별바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별바의 외면에는 상기 선별바 통공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선별바 서브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별바는,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별바 스템부와, 상기 선별바 스템부와 비평행하게 상기 선별바 스템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별바 브렌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폐기물을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궤도 운동하는 이송부재에 음압과 자기장을 인가하여 폐기물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과 금속 폐기물을 이송부재에 부착하여 이송함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과 금속 폐기물을 다른 폐기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 및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이송부재에 구비되는 선별바로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폐기물을 흐트러뜨림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과 금속 폐기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다른 폐기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이송부재에 실려 적당한 위치로 이송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에 송풍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송부재로부터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가 적용된 폐기물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1 지지드럼과 음압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1 지지드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2 지지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2 지지드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2 지지드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선별바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송풍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가 적용된 폐기물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폐기물(W, 도 9 참조)을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와,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 궤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부재(115)와, 이송부재(115)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130) 및 제2 지지드럼(140)과, 제1 지지드럼(1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50)와, 이송부재(115)로 둘러싸이는 이송부재(115)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이송부재(115)에 음압을 전달하는 음압 하우징(160)과, 음압을 발생시키면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 펌프 유닛(170)과, 이송부재(115)의 일측으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마그네트(175)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음압을 이송부재(115)에 가하여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 도 9 참조)을 이송부재(115)에 부착시켜 이송시키고,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을 이송부재(115)에 인가하여 금속 폐기물(WM, 도 9 참조)을 이송부재(115)에 부착시켜 이송시킴으로써, 이송되는 폐기물(W)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상기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폐기물을 총칭하는 개념이며, 폐비닐, 플라스틱 재질의 포장재, 라면 봉지 등의 식품 포장재, 플라스틱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는 금속 폐기물(WM)과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포함하는 다양한 혼합 폐기물(W)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W)을 실어 운반하는 폐기물 이송부재(111)를 갖는다. 폐기물 이송부재(111)는 벨트나 체인 등 폐기물(W)을 실어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는 공급되는 폐기물(W)을 설정된 위치로 운반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송부재(115)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의 폐기물 이송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인접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송부재(115)는 폐기물 이송부재(111)의 폐기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W) 중에서 금속 폐기물(WM)과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걸러내 정해진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재(115)는 벨트나 체인 등 제1 지지드럼(130) 및 제2 지지드럼(140)과, 가이드 롤러(152)(154)에 지지되어 궤도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송부재(115)는 복수 개의 이송부재 통공(116)을 갖는다. 이송부재 통공(116)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공기가 송풍될 수 있다. 이송부재 통공(116)을 통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일부 이송 구간에서 이송부재(115)의 외면에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이송부재(115)의 외면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 통공(116)을 통해 공기가 송풍됨으로써,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일부 이송 구간에서 이송부재(115)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이송부재(115)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송부재(115)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선별바(120)가 돌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선별바(120)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의 폐기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건져 올리기 위한 것으로, 이송부재(115)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선별바(120)는 이송부재(11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별바 스템부(121)와, 선별바 스템부(121)에 비평행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를 포함한다. 하나의 선별바 브렌치부(122)는 선별바 스템부(121)의 끝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배치되고, 다른 선별바 브렌치부(123)는 선별바 브렌치부(122) 보다 짧은 길이로 선별바 스템부(121)의 외면 일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선별바(120)는 이송부재(115)의 궤도 운동에 따라 폐기물 이송부재(111)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폐기물 이송부재(111)에 실려 이송되는 폐기물(W)을 흐트러뜨리면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건져낼 수 있다. 선별바(120)에 접촉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은 선별바(120)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에 걸림으로써, 선별바(120)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이송부재(115)에 실려 정해진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선별바(120)의 내부에는 이송부재 통공(116)과 연통하는 선별바 통공(124)이 형성된다. 선별바 통공(124)은 선별바 스템부(121)의 끝에서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의 끝단까지 연장되며,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 각각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선별바 통공(124)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공기가 송풍될 수 있다. 선별바 통공(124)을 통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일부 이송 구간에서 선별바(120)의 끝단에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선별바(120)에 더욱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선별바 통공(124)을 통해 공기가 송풍됨으로써,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일부 이송 구간에서 선별바(120)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선별바(12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궤도 운동하는 이송부재(115)의 운동 궤적 상에 마련되는 폐기물 이송 경로는 복수 개의 이송 구간(C1)(C2)(C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는 크게 이송부재(115)에 음압이 인가되어 이송부재(115)에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흡착되는 구간(C1, C3)과, 이송부재(115)에 송풍 공기가 공급되어 이송부재(115)로부터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분리되는 구간(C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압이 인가되는 구간(C1, C3) 중에는 자기장이 함께 인가됨으로써 이송부재(115)에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이 모두 부착되는 이송 구간(C3)이 포함된다. 이송부재(115)에 음압과 자기장이 모두 인가되는 이송 구간(C3)은 이송부재(115)가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도 2,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제1 지지드럼(130)은 이송부재(115)의 일측을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지지드럼(130)은 구동부(1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이송부재(115)를 궤도 운동시킨다.
제1 지지드럼(130)은 외주면이 이송부재(115)의 내면에 접하여 이송부재(115)를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 바디(131)를 포함한다. 제1 지지드럼 바디(131)에는 구동부(150)와 연결되는 구동축(132)이 결합되며, 제1 지지드럼 바디(131)는 구동축(1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지지드럼 바디(13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133)가 구비된다. 드럼 흡입구(133)는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이송부재 통공(116)에 음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지지드럼 바디(131)의 내측에는 드럼 흡입구(133)와 연통하여 드럼 흡입구(133)에 음압을 전달하는 드럼 흡입 유로(134)가 마련된다. 드럼 흡입 유로(134)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133)와 모두 연통하는 하나의 공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1 지지드럼 바디(13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드럼 바디(131)의 외주면 일측에는 드럼 흡입 유로(134)와 연통하는 드럼 연결구(135)가 구비된다. 드럼 연결구(135)를 통해 음압 하우징(160)의 음압이 드럼 흡입 유로(134)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드럼(130)은 이송부재(115)를 지지하면서 이송부재(115)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이송부재(115)를 궤도 운동시키고,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에 음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지지드럼(130)이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에 음압을 전달함으로써,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이송부재(115)가 제1 지지드럼(130)에 접하여 곡선형으로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에서도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부재(115)에 의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이송부재(115)에 흡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제1 지지드럼(130) 둘레의 곡선 이송 구간을 통과할 수 있다.
도 2,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제2 지지드럼(140)은 제1 지지드럼(130)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이송부재(115)의 다른 일측을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지지드럼(140)은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송부재(115)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드럼(140)은 외주면이 이송부재(115)의 내면에 접하여 이송부재(115)를 지지하는 제2 지지드럼 바디(141)와, 제2 지지드럼 바디(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송풍관(145)을 포함한다.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142)가 구비된다. 드럼 송풍구(142)는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이송부재 통공(116)에 송풍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내측에는 드럼 송풍구(142)와 연통하여 드럼 송풍구(142)에 송풍 공기를 전달하는 드럼 송풍 유로(143)가 마련된다. 드럼 송풍 유로(143)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142)와 모두 연통하는 하나의 공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양측 단부에는 송풍관(145)이 삽입될 수 있는 드럼 결합구(144)가 구비된다.
송풍관(145)은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드럼 결합구(144)에 삽입되는 송풍관 바디(146)를 포함한다. 송풍관 바디(146)는 제2 지지드럼 바디(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드럼 결합구(144)에는 베어링(149)이 배치되어 제2 지지드럼(140)과 송풍관(145) 간의 상대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송풍관 바디(146)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송풍관 송풍구(147)가 구비되고, 송풍관 바디(146)의 중심에는 송풍관 송풍구(147)와 연통하는 송풍관 연결구(148)가 마련된다. 송풍관 연결구(148)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73)와 연결된다. 송풍관(145)이 제2 지지드럼 바디(141)에 결합될 때 송풍관(145)의 모든 송풍관 송풍구(147)는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내측에 위치하여 드럼 송풍 유로(143)와 연통한다. 따라서, 송풍기(173)에서 공급되는 송풍 공기는 송풍관 연결구(148)와 복수 개의 송풍관 송풍구(147)를 통해 드럼 송풍 유로(143)에 전달된다. 그리고 드럼 송풍 유로(143)로 유입되는 송풍 공기는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142)를 통해 이송부재(115) 측으로 유동하여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 또는 선별바(120)의 선별바 통공(124)을 통해 분사된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드럼(140)은 이송부재(115)를 지지하여 이송부재(115)를 궤도 운동시키고,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에 송풍 공기를 전달한다. 제2 지지드럼(140)이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에 송풍 공기를 전달함으로써,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이송부재(115)가 제2 지지드럼(140)에 접하여 곡선형으로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에서 이송부재(115)의 외측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된다. 따라서, 이송부재(115)에 의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제2 지지드럼(140)에 의한 곡선 이송 구간에서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송부재(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음압 하우징(160)은 이송부재(115)로 둘러싸이는 이송부재(115)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이송부재(115) 및 제1 지지드럼(130)에 음압을 전달한다. 음압 하우징(160)에는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161)가 마련된다.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161)는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과 마주함으로써 이송부재 통공(116)에 음압을 전달한다. 음압 하우징(160)의 내측에는 하우징 흡입구(161)와 연통하여 하우징 흡입구(161)에 음압을 전달하는 하우징 흡입 유로(162)가 구비된다. 하우징 흡입 유로(162)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하우징 흡입구(161)와 모두 연통하는 하나의 공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음압 하우징(16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압 하우징(160)의 일측에는 하우징 흡입 유로(162)와 연통하는 하우징 배출구(163)가 구비된다. 하우징 배출구(163)는 음압 발생기(171)와 연결되며, 하우징 배출구(163)를 통해 음압 하우징(160)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어 음압 하우징(160)의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음압 하우징(160)의 제1 지지드럼(130)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1 지지드럼(130)에 음압을 전달하기 위한 하우징 연결구(164)가 구비된다. 하우징 연결구(164)는 제1 지지드럼(130)의 드럼 연결구(135)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1 지지드럼(130)의 내측으로 음압을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구(164)의 둘레에는 하우징 밀착부(165)가 제1 지지드럼(130) 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하우징 밀착부(165)는 제1 지지드럼(13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1 지지드럼(130)과 음압 하우징(160) 사이의 틈새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기 펌프 유닛(170)은 음압을 발생시켜 음압 하우징(160)에 공급함과 더불어 공기를 제2 지지드럼(140) 측으로 송풍한다. 공기 펌프 유닛(170)은 음압을 발생하는 음압 발생기(171)와, 제2 지지드럼(140)과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73)를 포함한다. 음압 발생기(171)는 음압 하우징(160)의 하우징 배출구(163)와 연결되어 음압 하우징(160)에 음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공기 펌프 유닛(170)은 음압 발생기(171)와 송풍기(17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음압 발생기(171)로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발생시키고, 음압 발생기(171)로 흡입하는 공기를 송풍기(173)를 통해 제2 지지드럼(140)으로 송풍한다.
이와 같이, 음압 발생기(171)와 송풍기(173)를 일체형 구조로 함으로써, 음압 발생기(171)와 송풍기(173)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그네트(175)는 이송부재(115)로 둘러싸이는 이송부재(115)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이송부재(115) 측으로 자기장을 인가한다. 마그네트(175)가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이송부재(115)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이 이송 구간(C3)에서 폐기물 이송부재(111)에 실려 이송되는 금속 폐기물(WM)이 이송부재(115)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이송부재(115)가 마주하는 이송 구간(C3)에서는 이송부재(115) 측에 음압과 자기장이 함께 인가되어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이 함께 이송부재(115)에 부착되어 제2 지지드럼(140)에서 제1 지지드럼(13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재(115)가 제1 지지드럼(130)과 접하는 곡선 이송 구간에서는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이 도달하지 못하거나 약하게 인가되어 이송부재(115)에 부착되어 이송하는 금속 폐기물(WM)이 제1 지지드럼(130)에 접근하면서 이송부재(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마그네트(175)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마그네트(175)가 음압 하우징(16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마그네트(175)의 형상이나, 개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가이드 롤러(152)(154)와, 금속 폐기물 수거부(180) 및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85)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152)(154)는 제1 지지드럼(130) 및 제2 지지드럼(140)과 함께 이송부재(115)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면에는 두 개의 가이드 롤러(152)(154)가 제1 지지드럼(130)과 제2 지지드럼(140) 사이에 제1 지지드럼(130) 및 제2 지지드럼(140)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이드 롤러(152)(154)의 개수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152)(154)는 생략될 수 있다.
금속 폐기물 수거부(180)는 이송부재(115)에 실려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이송부재(115)가 제1 지지드럼(130)과 접하는 곡선 이송 구간의 하측에 제1 지지드럼(130)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송부재(115)가 제1 지지드럼(130)과 접하는 곡선 이송 구간에서는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이 도달하지 못하거나 약하게 인가되므로, 제1 지지드럼(130)에 접근하면서 이송부재(115)로부터 분리되는 금속 폐기물(WM)은 금속 폐기물 수거부(180)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85)는 제2 지지드럼(140)의 하측에 제2 지지드럼(140)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송부재(115)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은 제2 지지드럼(140)에서 분사되는 송풍 공기에 의해 이송부재(115) 또는 선별바(120)로부터 분리되어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85)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을 포함하는 폐기물(W)은 종류별 선별 작업을 위해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의 폐기물 이송부재(111)로 공급된다. 폐기물(W)이 폐기물 이송부재(111)에 실려 이송되는 동안 구동부(150)가 작동하여 이송부재(115)를 궤도 운동시키고, 음압 발생기(171) 및 송풍기(173)가 작동하여 이송부재(115) 측으로 음압과 송풍 공기를 공급한다. 음압 발생기(171)에서 발생하는 음압은 음압 하우징(160)과 제1 지지드럼(130)을 통해 이송부재(115)에 전달된다. 그리고 송풍기(173)에서 공급되는 송풍 공기가 제2 지지드럼(140)에 전달된다. 또한,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이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와 이송부재(115)가 마주하는 공간으로 인가된다.
이때,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이송부재(115)가 제2 지지드럼(140)과 접하는 곡선 이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이송 구간에서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 및 선별바(120)의 선별바 통공(124)에서 흡입력이 발생하여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끌어당긴다. 그리고 이송부재(115)가 제2 지지드럼(140)에 접하여 곡선형으로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C2)에서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 및 선별바(120)의 선별바 통공(124)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된다. 또한,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이 금속 폐기물(WM)을 이송부재(115) 측으로 끌어당긴다.
따라서,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와 이송부재(115)가 마주하는 이송부재(115)의 이송 구간(C3)에서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에 실려 이송되는 폐기물(W) 중에서 금속 폐기물(WM)과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이송부재(115)에 부착되어 제2 지지드럼(140)에서 제1 지지드럼(130) 측으로 이송된다.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마주하는 이송 구간(C3)에서는 선별바(120)가 뒤섞인 폐기물(W)을 흐트러뜨림으로써 다른 폐기물(W)에 섞인 금속 폐기물(WM)과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이 더욱 원활하게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에서 이송부재(115)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이송부재(115)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 중에서 금속 폐기물(WM)은 제1 지지드럼(130)에 접근하면서 마그네트(175)의 자기장 영향권에서 벗어나 이송부재(115)로부터 분리되고, 금속 폐기물 수거부(180)로 떨어져 수거된다. 그리고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은 금속 폐기물(WM)이 이송부재(115)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이송부재(115) 및 선별바(120)에 인가되는 음압에 의해 이송부재(115)에 실려 제2 지지드럼(140) 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부재(115)에 흡착되어 제2 지지드럼(140) 측으로 이송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은 이송부재(115)가 제2 지지드럼(140)과 접하는 곡선 이송 구간(C2)에서 이송부재 통공(116) 및 선별바(120)의 선별바 통공(124)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이송부재(115) 및 선별바(120)에서 분리된다. 이송부재(115)에서 분리되는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은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85)로 떨어져 수거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폐기물(W)을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궤도 운동하는 이송부재(115)에 음압과 자기장을 인가하여 폐기물(W)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을 이송부재(115)에 부착하여 이송함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을 다른 폐기물(W)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 및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이송부재(115)에 구비되는 선별바(120)로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110)에 실려 이송되는 폐기물(W)을 흐트러뜨림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과 금속 폐기물(WM)을 더욱 효과적으로 다른 폐기물(W)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이송부재(115)에 실려 적당한 위치로 이송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에 송풍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이송부재(115)로부터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의 수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별바(12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이송부재(115)에 결합되어 움직이면서 폐기물 이송부재(111)에 실려 이송되는 폐기물(W)을 흐트러뜨리면서 폐기물(W)로부터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건져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선별바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0에 나타낸 선별바(220)는 이송부재(11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별바 스템부(121)와, 선별바 스템부(121)에 비평행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를 포함한다. 선별바(120)의 내부에는 이송부재 통공(116)과 연통하는 선별바 통공(124)이 형성된다. 선별바 통공(124)은 선별바 스템부(121)의 끝에서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의 끝단까지 연장되며,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 각각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또한, 선별바 스템부(121) 및 두 개의 선별바 브렌치부(122)(123) 각각의 외면에는 선별바 통공(124)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선별바 서브 통공(221)이 마련된다. 이러한 선별바(220)는 선별바 통공(124) 및 복수 개의 선별바 서브 통공(2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공기가 송풍됨으로써,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더욱 원활하게 건져 올릴 수 있고,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더욱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선별바는 직선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선별바(230)는 이송부재(115)로부터 직선으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과 연통하는 선별바 통공(231)이 마련된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선별바(240)는 이송부재(115)로부터 직선으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 이송부재(115)의 이송부재 통공(116)과 연통하는 선별바 통공(241)이 마련되고, 그 외면에는 선별바 통공(241)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선별바 서브 통공(242)이 형성된 것이다.
이 밖에, 선별바는 선별바 통공이나 선별바 서브 통공이 없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송풍관(145)의 구조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송풍관 송풍구(147)를 곡선 이송 구간(C4)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음압 발생기(171)에서 발생하는 음압이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이송부재(115)가 제2 지지드럼(140)과 접하는 곡선 이송 구간 이외의 나머지 이송 구간에 음압을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서 음압이 작용하는 이송 구간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압 발생기(171)에서 발생하는 음압이 이송부재(115)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이송부재(115)가 제2 지지드럼(140)에 접하여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과,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마주하도록 제1 지지드럼(130)과 제2 지지드럼(140) 사이에 마련되는 직선 이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이송 구간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재(115)가 폐기물 이송부재(111)와 마주하는 이송 구간에서 선별바(120)가 폐기물 이송부재(111)로부터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건져올려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LPW)을 다른 폐기물(W)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음압 하우징(160)이 제1 지지드럼(130)에 음압을 공급하기 위한 하우징 연결구(164)를 구비하고, 제1 지지드럼(130)이 하우징 연결구(164)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드럼 연결구(135)를 포함하여 제1 지지드럼(130)이 음압 하우징(160)에서 음압을 제공받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1 지지드럼(130)은 별도의 음압 발생기를 통해 음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 지지드럼(140)이 복수의 개의 드럼 송풍구(142)를 갖는 제2 지지드럼 바디(141)와, 제2 지지드럼 바디(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지지드럼 바디(141)의 내측으로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관(145)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2 지지드럼(140)은 이송부재(1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송풍기(173)의 송풍 공기를 이송부재(115)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구동부(150)가 음압이 작용하는 제1 지지드럼(1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구동부(150)는 공기 송풍 기능을 갖는 제2 지지드럼(14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음압을 발생하는 음압 발생기(171)와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7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음압 발생기(171)가 흡입하는 공기가 송풍기(173)를 통해 제2 지지드럼(140)으로 송풍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음압 발생기(171)와 송풍기(173)는 독립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110 :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
111 : 폐기물 이송부재 115 : 이송부재
116 : 이송부재 통공 120, 220, 230, 240 : 선별바
121 : 선별바 스템부 122, 123 : 선별바 브렌치부
124, 231, 241 : 선별바 통공 130 : 제1 지지드럼
131 : 제1 지지드럼 바디 132 : 구동축
133 : 드럼 흡입구 134 : 드럼 흡입 유로
135 : 드럼 연결구 140 : 제2 지지드럼
141 : 제2 지지드럼 바디 142 : 드럼 송풍구
143 : 드럼 송풍 유로 144 : 드럼 결합구
145 : 송풍관 146 : 송풍관 바디
147 : 송풍관 송풍구 148 : 송풍관 연결구
150 : 구동부 152, 154 : 가이드 롤러
160 : 음압 하우징 161 : 하우징 흡입구
162, 212 : 하우징 흡입 유로 170 : 공기 펌프 유닛
171 : 음압 발생기 173 : 송풍기
221, 242 : 선별바 서브 통공

Claims (13)

  1. 폐기물을 실어 운반하는 폐기물 이송부재를 갖는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
    상기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의 폐기물 이송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와 마주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이송부재 통공을 갖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을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
    상기 제1 지지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다른 일측을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드럼;
    상기 제1 지지드럼과 상기 제2 지지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음압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음압 발생기;
    상기 이송부재로 둘러싸이는 상기 이송부재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는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 및 상기 음압 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음압 발생기의 음압을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 흡입구에 전달하는 하우징 흡입 유로를 갖는 음압 하우징; 및
    상기 이송부재로 둘러싸이는 상기 이송부재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에 실려 이송되는 금속 폐기물이 상기 이송부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압 발생기는, 상기 이송부재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지지드럼에 접하여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이송 구간에 음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이송부재의 폐기물 이송 경로 중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지지드럼에 접하여 마련되는 곡선 이송 구간과 상기 폐기물 이송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과 상기 제2 지지드럼 사이에 마련되는 직선 이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이송 구간에 음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드럼은, 외주면이 상기 이송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드럼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와, 상기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드럼 송풍구에 송풍 공기를 전달하도록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 송풍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재 통공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송풍 유로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드럼은,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기둥 형태의 송풍관 바디와, 상기 송풍기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송풍관 바디의 중심에 마련되는 송풍관 연결구와, 상기 송풍관 연결구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송풍관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송풍관 송풍구를 갖는 송풍관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송풍 유로는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지지드럼 바디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드럼은, 외주면이 상기 이송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드럼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드럼 흡입구에 음압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흡입 유로와 연결되는 하우징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드럼은 상기 하우징 연결구를 통해 음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 연결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드럼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발생기와 상기 송풍기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음압 발생기가 흡입하는 공기가 상기 송풍기를 통해 상기 제2 지지드럼으로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운동 궤적 중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이 미치는 구간은 상기 음압 발생기의 음압이 미치는 구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의 폐기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 중에서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을 건져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선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부재 통공과 연통하고 상기 선별바의 끝단으로 개방되는 선별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의 외면에는 상기 선별바 통공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선별바 서브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는,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별바 스템부와, 상기 선별바 스템부와 비평행하게 상기 선별바 스템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별바 브렌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180079455A 2018-07-09 2018-07-09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12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455A KR102121314B1 (ko) 2018-07-09 2018-07-09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455A KR102121314B1 (ko) 2018-07-09 2018-07-09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93A KR20200005893A (ko) 2020-01-17
KR102121314B1 true KR102121314B1 (ko) 2020-06-10

Family

ID=6937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455A KR102121314B1 (ko) 2018-07-09 2018-07-09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33A (ko)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화엔텍 폐기물 재활용 선별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983B1 (ko) * 2020-04-20 2021-05-17 주식회사 엠플러스 레이저 노칭기의 스크랩 배출 컨베이어 및 스크랩 배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451B2 (ja) * 1992-01-13 2001-05-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荷物収納箱
JP2009096639A (ja) * 2007-09-28 2009-05-07 Toshiba Corp 紙葉類分離装置
KR101272172B1 (ko) * 2011-11-30 2013-06-07 이상훈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KR101584652B1 (ko) * 2015-05-18 2016-01-13 (주)인벤티홀딩스 진공을 이용한 흡착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97B1 (ko) 2008-12-31 2009-06-02 주식회사 포스벨 비닐류 선별장치
JP3163451U (ja) * 2010-08-04 2010-10-14 株式会社リョーシン 風力選別装置
KR20150072836A (ko) * 2013-12-20 2015-06-30 이일순 컨베이어벨트를 활용한 철질 폐기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451B2 (ja) * 1992-01-13 2001-05-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荷物収納箱
JP2009096639A (ja) * 2007-09-28 2009-05-07 Toshiba Corp 紙葉類分離装置
KR101272172B1 (ko) * 2011-11-30 2013-06-07 이상훈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KR101584652B1 (ko) * 2015-05-18 2016-01-13 (주)인벤티홀딩스 진공을 이용한 흡착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33A (ko)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화엔텍 폐기물 재활용 선별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93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223B1 (ko)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장치
JP6012476B2 (ja) 空気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並びに装置、及び廃棄物搬送システム
KR102121314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US20100307537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100272520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CN101903261A (zh) 在气动的物料输送系统中的方法和气动的物料输送系统
KR20150063482A (ko) 유로 변경 기구, 및 재료 수집 및 이송시스템
JP2009247970A (ja) 残渣処理装置
KR101010679B1 (ko) 로터리필터 및 이 로터리필터가 적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20070094464A (ko) 공기분사식 쓰레기 선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선별장치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KR20140047286A (ko) 비닐 및 필름류쓰레기의 선별장치
US6427845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tic bags from cans and/or bottles
KR101077917B1 (ko) 쓰레기 흡입선별장치
KR20040042020A (ko) 부상식 벨트콘베이어 장치
JP2003236474A (ja) 風力選別装置
KR100919846B1 (ko) 고층 건축물의 쓰레기 회수 설비의 쓰레기 수집기
US8733538B2 (en) Vacuum link chain conveyor
CN109396047A (zh) 物料分选系统
JP2000108126A (ja) 廃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KR20140051491A (ko)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CN210943903U (zh) 一种颗粒或粉料的输料装置
CN215997564U (zh) 未燃物的分选装置
CN219817068U (zh) 一种复合式蝶式筛选机
KR200387220Y1 (ko) 트롬멜 스크린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