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65B1 - 테이블 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테이블 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65B1
KR102121165B1 KR1020200001810A KR20200001810A KR102121165B1 KR 102121165 B1 KR102121165 B1 KR 102121165B1 KR 1020200001810 A KR1020200001810 A KR 1020200001810A KR 20200001810 A KR20200001810 A KR 20200001810A KR 102121165 B1 KR102121165 B1 KR 10212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orderer
acquaintanc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구
Original Assignee
강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구 filed Critical 강원구
Priority to KR102020000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네트워크(200), 테이블 주문 서버(300), 복수의 가맹점 단말(400)로 이루어진 가맹점 단말 그룹(400g), 각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복수의 테이블 QR 코드(20)로 이루어진 테이블 QR 코드 그룹(20g)을 포함하는 테이블 주문 시스템(1)에 있어서, 테이블 주문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데이터베이스(300); 및 네트워크(200)를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각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절차를 통해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가맹점 ID를 메타데이터로 각 가맹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되, 가맹점 정보로 각 가맹점 단말(400)의 업체명, 업체 위치 정보, 가맹점 연락처, 테이블 맵, 주문 메뉴 리스트, 테이블 QR 코드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가맹점 가입 모듈(3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Description

테이블 주문 시스템{Table based ordering system}
본 발명은 테이블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인이 직접 테이블 주문 어플을 실행하고 메뉴를 사전에 주문한 뒤 매장이나 업체에 방문하여 매장이나 업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상의 QR 코드를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주문된 메뉴가 서비스 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매장이나 업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상의 QR 코드만을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QR 코드에 매칭되는 테이블로 주문자가 지정하는 메뉴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문자와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자 간의 메뉴에 대한 주문을 보다 간결하고 간편하게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테이블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는 음식점, 커피 전문점 또는 음료 판매점에서 음식료의 주문을 위하여 터치벨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주문을 위한 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 주문을 위한 전자 주문 장치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자는 주문에 따라 결제를 하고, 공급 완료 표시에 따라 주문된 음식료에 해당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호출벨의 경우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주문자가 호출 이후에 추가로 메뉴에 대한 구두 설명이 필요한 단점이 있으며, 전자 주문 장치의 경우 주문을 수행하고 주문자가 직접 주문한 재화에 대해서 픽업을 해야하며, 주문자가 직접 주문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명에 대해서 추가로 서비스 공급자에게 본인이 서비스 주문자임을 구두로 설명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테이블 내지는 공간에 대한 주문자의 임의적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또는 재화 공급자가 테이블 내지는 공간에 대해서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는데 무리가 없도로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57754 (2017.05.09)호 "패널 탈착 구조의 주문 테이블(A Order Table Having a Structure of a Removable Panel)"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인이 직접 테이블 주문 어플을 실행하고 메뉴를 사전에 주문한 뒤 매장이나 업체에 방문하여 매장이나 업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상의 QR 코드를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주문된 메뉴가 서비스 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매장이나 업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상의 QR 코드만을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QR 코드에 매칭되는 테이블로 주문자가 지정하는 메뉴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문자와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자 간의 메뉴에 대한 주문을 보다 간결하고 간편하게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테이블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메뉴에 대한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된 메뉴를 추천하여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테이블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네트워크(200), 테이블 주문 서버(300), 복수의 가맹점 단말(400)로 이루어진 가맹점 단말 그룹(400g), 각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복수의 테이블 QR 코드(20)로 이루어진 테이블 QR 코드 그룹(20g)을 포함하는 테이블 주문 시스템(1)에 있어서, 테이블 주문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데이터베이스(300); 및 네트워크(200)를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각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절차를 통해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가맹점 ID를 메타데이터로 각 가맹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되, 가맹점 정보로 각 가맹점 단말(400)의 업체명, 업체 위치 정보, 가맹점 연락처, 테이블 맵, 주문 메뉴 리스트, 테이블 QR 코드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가맹점 가입 모듈(3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가입 모듈(321)은, 각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테이블 맵 정보에서 테이블의 갯수,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한 뒤, 각 테이블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QR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은, 본인이 직접 테이블 주문 어플을 실행하고 메뉴를 사전에 주문한 뒤 매장이나 업체에 방문하여 매장이나 업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상의 QR 코드를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주문된 메뉴가 서비스 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매장이나 업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상의 QR 코드만을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QR 코드에 매칭되는 테이블로 주문자가 지정하는 메뉴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문자와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자 간의 메뉴에 대한 주문을 보다 간결하고 간편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은, 기존의 메뉴에 대한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된 메뉴를 추천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1) 중 테이블 주문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블 주문 시스템(1)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네트워크(200), 테이블 주문 서버(300), 복수의 가맹점 단말(400)로 이루어진 가맹점 단말 그룹(400g),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이루어진 지인 모바일 단말 그룹(500g), 빅데이터 서버(600), 각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복수의 테이블 QR 코드(20)로 이루어진 테이블 QR 코드 그룹(20g),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테이블 주문 서버(300), 복수의 가맹점 단말(400)로 이루어진 가맹점 단말 그룹(400g), 복수의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이루어진 지인 모바일 단말 그룹(5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시스템(1) 중 테이블 주문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테이블 주문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가맹점 가입 모듈(321),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 피드백 제공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 가입 모듈(3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각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절차를 통해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가맹점 ID를 메타데이터로 각 가맹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정보는 각 가맹점 단말(400)의 업체명, 업체 위치 정보, 가맹점 연락처, 테이블 맵, 주문 메뉴 리스트, 그 밖에 후술하는 테이블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 가입 모듈(321)은 각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테이블 맵 정보에서 테이블의 갯수,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한 뒤, 각 테이블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QR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서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주문자에 의해 직접 수행된 뒤, 수동으로 가맹점 단말(400)이 운영하는 업체에 구비된 복수의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테이블 상의 테이블 QR 코드(20)를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여 주문 및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서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실행된 뒤, 주문을 하려는 가맹점 정보 중 업체명, 업체 위치 정보, 가맹점 연락처, 테이블 맵에 대한 열람을 통해 하나의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 ID에 대한 선택이 수행되면,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맹점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가맹점 ID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나만 결제' 및 '더치 페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나만 결제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단독 결제 방식을 의미하며, 더치 페이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지인으로 추가 등록 가능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을 포함한 복수의 결제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가맹점 ID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 ID의 가맹점 정보에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주문 메뉴 리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단독 결제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만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며, 더치 페이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지인으로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해당하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주문 메뉴 리스트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메뉴 선택 정보, 그 밖에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각 단말식별번호 별로 메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각 메뉴 선택 정보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또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각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예, 주문 메뉴가 스테이크인 경우 정도에 대한 정보로 레어, 미디엄레어, 미디엄, 미더엄웰던, 웰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의 객관식 선택 메뉴 또는 주관식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각 단말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수량 조절 및 요청 사항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지인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이 있는 경우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외에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하나의 통합 주문 단위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수행되는 테이블 주문 어플(10)에서 테이블 선택(QR 코드 스캔)이 수행되어 선택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통합 주문 단위 정보의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정보로부터 테이블 맵 및 테이블 QR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추출된 테이블 맵에 포함된 각 테이블의 테이블 QR 코드에 대한 스캔을 통한 선택을 위한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테이블 번호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테이블 번호 버튼에 대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선택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카메라 허용 권한 승인을 최초 1회에 대한 본인 인증을 통해 수행하고,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카메라 어플과 테이블 주문 어플(10) 간의 연동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카메라 어플에 의해 획득된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테이블 주문 어플(1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획득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결제 하기 버튼이 출력되고, 결제 하기 버튼에 대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으로부터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대한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및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400)에 대해서 주문 결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기본 테이블 모드 기반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기본 카메라로 테이블 QR 코드를 스캔하여 자동으로 주문 및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의 카메라 어플이 실행 된 뒤, 카메라 어플에 의해 획득된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가맹점 정보에 포함된 하나의 테이블 QR 코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매칭되는 경우, 테이블 주문 어플(10) 실행을 위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창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서 알림창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한 사전에 설치 여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고, 설치 여부 응답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여부 응답을 수신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설치가 완료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는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의 로딩(loading)이 수행되도록 하고, 설치가 되지 않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테이블 주문 어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 설치되도록 한 뒤 설치가 완료되면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동일하게 로딩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에 포함되어 매칭된 테이블 QR 코드의 가맹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나만 결제' 및 '더치 페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나만 결제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단독 결제 방식을 의미하며, 더치 페이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지인으로 추가 등록 가능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을 포함한 복수의 결제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추출된 가맹점 정보에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주문 메뉴 리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단독 결제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만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며, 더치 페이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지인으로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해당하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주문 메뉴 리스트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메뉴 선택 정보, 그 밖에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각 단말식별번호 별로 메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각 메뉴 선택 정보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또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각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예, 주문 메뉴가 스테이크인 경우 정도에 대한 정보로 레어, 미디엄레어, 미디엄, 미더엄웰던, 웰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의 객관식 선택 메뉴 또는 주관식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각 단말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수량 조절 및 요청 사항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지인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이 있는 경우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외에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하나의 통합 주문 단위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수행되는 테이블 주문 어플(10)에서 테이블 선택(QR 코드 스캔)이 수행되어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자동으로 테이블 QR 코드(20)의 스캔 정보와 매칭되는 가맹점 정보에서 테이블 맵 정보를 추출한 뒤, 테이블 맵 정보에서 테이블의 갯수와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테이블의 위치 중 테이블 QR 코드(20)의 스캔 정보와 매칭되는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테이블의 위치에 가맹점 단말(400)이 지정한 테이블의 번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획득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결제 하기 버튼이 출력되고, 결제 하기 버튼에 대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으로부터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대한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및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400)에 대해서 주문 결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오토 체크인 모드 기반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각 가맹점 단말(400)의 가맹점 정보 중 주문 메뉴 리스트에 따른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또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제공된 메뉴 선택 정보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완료되면, 사전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의한 테이블 주문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등록한 메뉴 선택 정보의 집합인 구매 내역 정보에 따른 연령대, 성별, 선호도 등에 대한 개인취향정보가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개인취향정보와 각 가맹점 단말(400)이 제공하는 메뉴 간의 관련성이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 이상이라고 분석되는 경우 추가 메뉴 질의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또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르 제어함으로써, 추가 메뉴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제공 모듈(324)에 의한 추가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도 과정은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 및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에 의해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및 "지인 주문 단위 정보"가 생성되어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를 위해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각 메뉴 선택 정보에 따른 각 주문자의 연령대, 성별, 선호도 등에 대한 개인취향정보를 매장, 업소 등에서 제공하는 재화나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연령대, 성별, 선호도(예, 의류, 가구, 악세사리 등)에 대한 선택정보를 설문을 통해 수집한 뒤, 미리 설정된 선택정보의 개수와 매칭되는 재화나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400)에 대해서는 개인취향정보와 가맹점 단말(400)이 제공하는 메뉴 간의 관련성이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 이상이라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중 머신 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분산 저장된 개인취향정보와 가맹점 단말(400)이 제공하는 메뉴 간의 관련성을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상태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제공 모듈(324)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온(On)/오프(Off)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상태 여부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머신 러닝 이후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딥러닝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딥러닝 방식은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에 의한 관련도를 분석하여 형성된 패턴 데이터별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각 공정시간의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간의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호환성 여부를 분석하여,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으로 제공한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직접적으로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 제공한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해서 제 1 OS(Operating System)로 제공한 뒤,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서 요청한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해서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대한 OS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제 1 OS와 호환이 불가능한 제 2 OS인 경우의 OS 불일치로 인한 설치 가능여부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의 저장용량의 남은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설치검토 데이터 및 테이블 주문 어플(100)의 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설치검토 데이터를 분석에 따라, 설치검토 데이터에 포함된 용량 비교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용량 차이에 따른 설치 불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용량 차이에 따른 설치 불가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코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후,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코드 정보 분석에 따라 테이블 주문 어플(10)에서 부가기능 축소를 위한 코드 재구성을 통해 부가기능이 축소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생성하되, 부가기능 축소는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주기능을 제외한 옵션으로 제공되는 기능 축소뿐만 아니라, 이미지 및 동영상에 대한 삭제를 통한 텍스트 기반으로의 재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부가기능이 축소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네트워크(200)을 통해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함으로써,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설치검토 데이터를 분석에 따른 판단 결과, 설치검토 데이터에 포함된 용량 비교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용량 차이에 따른 설치 불가가 아닌 제 1 OS와 제 2 OS의 불일치에 의한 설치 불가인 경우, 제 1 OS의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코드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600)에 의해 제 1 OS의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코드 구조 분석을 통해 제 2 OS의 테이블 주문 어플(10)로의 변환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피드백 제공 모듈(324)은 제 2 OS의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네트워크(200)을 통해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함으로써,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서버(600)는 하나의 OS구조에 따른 API 모듈과 호환 가능한 복수의 OS에 따른 변환된 API 모듈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프로그래밍 개발자 그룹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집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의 OS별 API 모듈 대체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제 1 OS에서 다른 OS로 전환된 테이블 주문 어플(1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테이블 주문 시스템
10 : 테이블 주문 어플
20 : 테이블 QR 코드
20g : 테이블 QR 코드 그룹
100 : 주문자 모바일 단말
200 : 네트워크
300 : 테이블 주문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가맹점 가입 모듈
322 :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
323 :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
324 : 피드백 제공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가맹점 단말
400g : 가맹점 단말 그룹
500 : 지인 모바일 단말
500g : 지인 모바일 단말 그룹
6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2)

  1.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네트워크(200), 테이블 주문 서버(300), 복수의 가맹점 단말(400)로 이루어진 가맹점 단말 그룹(400g),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이루어진 지인 모바일 단말 그룹(500g), 각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복수의 테이블 QR 코드(20)로 이루어진 테이블 QR 코드 그룹(20g),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포함하는 테이블 주문 시스템(1)에 있어서, 테이블 주문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각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절차를 통해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가맹점 ID를 메타데이터로 각 가맹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되, 가맹점 정보로 각 가맹점 단말(400)의 업체명, 업체 위치 정보, 가맹점 연락처, 테이블 맵, 주문 메뉴 리스트, 테이블 QR 코드를 저장한 뒤, 각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테이블 맵 정보에서 테이블의 갯수,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한 뒤, 각 테이블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QR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에 추가로 저장하는 가맹점 가입 모듈(321);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서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실행된 뒤, 주문을 하려는 가맹점 정보 중 업체명, 업체 위치 정보, 가맹점 연락처, 테이블 맵에 대한 열람을 통해 하나의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 ID에 대한 선택이 수행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맹점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가맹점 ID 선택 정보를 수신한 뒤,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나만 결제' 및 '더치 페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되, 나만 결제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단독 결제 방식으로 설정하며, 더치 페이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지인으로 추가 등록 가능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을 포함한 복수의 결제 방식으로 설정하고, 가맹점 ID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 ID의 가맹점 정보에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주문 메뉴 리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단독 결제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만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며, 더치 페이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지인으로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해당하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주문 메뉴 리스트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메뉴 선택 정보,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각 단말식별번호 별로 메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며,
    각 메뉴 선택 정보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로부터 각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함께 저장하되,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의 객관식 선택 메뉴 또는 주관식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각 단말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수량 조절 및 요청 사항을 수집하고,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지인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되,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이 있는 경우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외에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하나의 통합 주문 단위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수행되는 테이블 주문 어플(10)에서 테이블 선택(QR 코드 스캔)이 수행되어 선택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통합 주문 단위 정보의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정보로부터 테이블 맵 및 테이블 QR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테이블 맵에 포함된 각 테이블의 테이블 QR 코드에 대한 스캔을 통한 선택을 위한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테이블 번호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테이블 번호 버튼에 대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선택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카메라 허용 권한 승인을 최초 1회에 대한 본인 인증을 통해 수행하고,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카메라 어플과 테이블 주문 어플(10) 간의 연동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카메라 어플에 의해 획득된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테이블 주문 어플(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획득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결제 하기 버튼이 출력되고, 결제 하기 버튼에 대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으로부터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대한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및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400)에 대해서 주문 결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기본 테이블 모드 기반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완료되도록 하는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의 카메라 어플이 실행 된 뒤, 카메라 어플에 의해 획득된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가맹점 정보에 포함된 하나의 테이블 QR 코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매칭되는 경우, 테이블 주문 어플(10) 실행을 위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창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서 알림창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한 사전에 설치 여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고, 설치 여부 응답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설치 여부 응답을 수신한 경우 설치가 완료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는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의 로딩(loading)이 수행되도록 하고, 설치가 되지 않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테이블 주문 어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 설치되도록 한 뒤 설치가 완료되면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의 로딩이 수행되도록 하며,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에 포함되어 매칭된 테이블 QR 코드의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고,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나만 결제' 및 '더치 페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추출된 가맹점 정보에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주문 메뉴 리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단독 결제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로만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며, 더치 페이인 경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지인으로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해당하는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주문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주문 메뉴 리스트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메뉴 선택 정보, 그리고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각 단말식별번호 별로 메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며,
    각 메뉴 선택 정보 외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각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함께 저장하되,
    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에 대해서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의 객관식 선택 메뉴 또는 주관식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각 단말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수량 조절 및 요청 사항을 수집하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의한 메뉴 선택 정보가 모두 선택되어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출력되는 메뉴 선택 완료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지인 모바일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 가맹점 ID, 메뉴 선택 정보(수량 정보 및 요청 사항 정보)를 하나의 "지인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 뒤, 가맹점 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되,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등록된 지인 모바일 단말(500)이 있는 경우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외에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하나의 통합 주문 단위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수행되는 테이블 주문 어플(10)에서 테이블 선택(QR 코드 스캔)이 수행되어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자동으로 테이블 QR 코드(20)의 스캔 정보와 매칭되는 가맹점 정보에서 테이블 맵 정보를 추출한 뒤, 테이블 맵 정보에서 테이블의 갯수와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테이블의 위치 중 테이블 QR 코드(20)의 스캔 정보와 매칭되는 테이블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테이블의 위치에 가맹점 단말(400)이 지정한 테이블의 번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테이블 QR 코드(20)에 대한 스캔 정보가 획득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의 테이블 주문 어플(10) 상에서 결제 하기 버튼이 출력되고, 결제 하기 버튼에 대한 각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으로부터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대한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및 "지인 주문 단위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400)에 대해서 주문 결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오토 체크인 모드 기반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완료되도록 하는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
    각 가맹점 단말(400)의 가맹점 정보 중 주문 메뉴 리스트에 따른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된 메뉴 선택 정보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완료되면, 사전에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의한 테이블 주문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등록한 메뉴 선택 정보의 집합인 구매 내역 정보에 따른 연령대, 성별, 선호도를 포함하는 개인취향정보가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개인취향정보와 각 가맹점 단말(400)이 제공하는 메뉴 간의 관련성이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 이상이라고 분석되는 경우 추가 메뉴 질의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르 제어함으로써, 추가 메뉴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며, 추가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도 과정은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 및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에 의해 "주문자 주문 단위 정보" 및 "지인 주문 단위 정보"가 생성되어 가맹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기 전에 수행되며,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통해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각 메뉴 선택 정보에 따른 각 주문자의 연령대, 성별, 선호도를 포함하는 개인취향정보를 매장 및 업소에서 제공하는 재화나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연령대, 성별, 선호도에 대한 선택정보를 설문을 통해 수집한 뒤, 미리 설정된 선택정보의 개수와 매칭되는 재화나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400)에 대해서는 개인취향정보와 가맹점 단말(400)이 제공하는 메뉴 간의 관련성이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 이상이라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며,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간의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호환성 여부를 분석하여,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으로 제공한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직접적으로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되,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에 대해서 제공한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해서 제 1 OS(Operating System)로 제공한 뒤,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서 요청한 테이블 주문 어플(10)에 대해서 지인 모바일 단말(500)에 대한 OS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제 1 OS와 호환이 불가능한 제 2 OS인 경우의 OS 불일치로 인한 설치 가능여부 및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의 저장용량의 남은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설치검토 데이터 및 테이블 주문 어플(100)의 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고, 설치검토 데이터를 분석에 따라, 설치검토 데이터에 포함된 용량 비교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용량 차이에 따른 설치 불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용량 차이에 따른 설치 불가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코드 정보를 분석하며,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코드 정보 분석에 따라 테이블 주문 어플(10)에서 부가기능 축소를 위한 코드 재구성을 통해 부가기능이 축소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생성하되, 부가기능 축소는 테이블 주문 어플(10)의 주기능을 제외한 옵션으로 제공되는 기능 축소뿐만 아니라, 이미지 및 동영상에 대한 삭제를 통한 텍스트 기반으로의 재구성을 수행하며, 부가기능이 축소된 테이블 주문 어플(10)을 네트워크(200)을 통해 지인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함으로써, 지인 모바일 단말(500) 상에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설치되도록 하는 피드백 제공 모듈(324); 을 포함하며,
    기본 테이블 제공 모듈(322)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 상에서 테이블 주문 어플(10)이 주문자에 의해 직접 수행된 뒤, 수동으로 가맹점 단말(400)이 운영하는 업체에 구비된 복수의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테이블 상의 테이블 QR 코드(20)를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여 주문 및 결제하는 방식을 제공하며,
    오토 체크인 제공 모듈(323)은, 주문자 모바일 단말(100)의 기본 카메라로 테이블 QR 코드를 스캔하여 자동으로 주문 및 결제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주문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01810A 2020-01-07 2020-01-07 테이블 주문 시스템 KR10212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810A KR102121165B1 (ko) 2020-01-07 2020-01-07 테이블 주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810A KR102121165B1 (ko) 2020-01-07 2020-01-07 테이블 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165B1 true KR102121165B1 (ko) 2020-06-09

Family

ID=7108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810A KR102121165B1 (ko) 2020-01-07 2020-01-07 테이블 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56B1 (ko) 2021-04-30 2021-08-17 이현규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간판 시뮬레이션 및 견적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간판 제공방법
KR20220075947A (ko) * 2020-11-30 2022-06-08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88797B1 (ko) * 2022-08-09 2023-10-13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테이블 원격주문과 결제연동을 이용한 무인 주문서비스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298A (ko) * 2012-04-05 2013-10-15 박귀숙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KR101996798B1 (ko) * 2018-11-16 2019-07-05 주식회사 이롬넷 Qr 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298A (ko) * 2012-04-05 2013-10-15 박귀숙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KR101996798B1 (ko) * 2018-11-16 2019-07-05 주식회사 이롬넷 Qr 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57754 (2017.05.09)호 "패널 탈착 구조의 주문 테이블(A Order Table Having a Structure of a Removable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947A (ko) * 2020-11-30 2022-06-08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86509B1 (ko) * 2020-11-30 2023-10-11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90856B1 (ko) 2021-04-30 2021-08-17 이현규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간판 시뮬레이션 및 견적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간판 제공방법
KR102588797B1 (ko) * 2022-08-09 2023-10-13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테이블 원격주문과 결제연동을 이용한 무인 주문서비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165B1 (ko) 테이블 주문 시스템
US10019747B2 (en) Enhancing a user's shopping experience
US20030233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ing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CN100588159C (zh) 内容推荐系统和方法以及通信终端装置
KR101993126B1 (ko) 지리적 위치에 기초한 정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004328B1 (ko)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649B1 (ko) 키오스크 앱 기반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35525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ing integrating shopping cart
CN102047277A (zh) 通过利用社会图信息进行内容使用分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06600181A (zh) 基于扫码终端的产品入库控制方法及装置
WO2013141894A1 (en) Customer assistance request system using smart device
CN103425658A (zh) 商品信息的存储、搜索方法与移动终端和服务器
US20170220312A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among mobile terminals by using nearfield wireless device
CN103971273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7580063A (zh) 用户端和业务端借助实地场景聚合、交互的系统与方法
US20230060260A1 (e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12970042A (zh) 使用商店到达标识的基于qos的移动订单处理方法
KR20100043823A (ko) 상품이미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쇼핑몰 서버
KR20180092505A (ko) 자동판매기의 사용자 상황인지 맞춤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6013020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상품 정보 추천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60141646A (ko) 태그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20180040006A1 (en) Method for generating webpage on basis of consumer behavior patterns and method for utilizing webpage
KR20220106904A (ko) IoT 기반 비접촉 비대면 주문결제배식 시스템
KR102184382B1 (ko)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CN108805556B (zh) 一种自助服务场所识别方法、终端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