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02B1 -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02B1
KR102121102B1 KR1020170177505A KR20170177505A KR102121102B1 KR 102121102 B1 KR102121102 B1 KR 102121102B1 KR 1020170177505 A KR1020170177505 A KR 1020170177505A KR 20170177505 A KR20170177505 A KR 20170177505A KR 102121102 B1 KR102121102 B1 KR 10212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700A (ko
Inventor
정우열
Original Assignee
정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열 filed Critical 정우열
Priority to KR102017017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는,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경계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Foldable Phone Supporter including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임의의 각도로 세운 상태로 거치 가능하게 하는 한 편 거치 상태에서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토록 하여 충전 및 스마트폰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사람들 간의 통신 및 정보획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필수 품목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전원으로서 주로 내장형 배터리 또는 외장형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각각의 배터리는 모두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은 주로 충전용 커넥터를 스마트폰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을 진행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충전기와의 사이에 별도의 결선 없이 단지 충전기 본체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충전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이룰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9819호에 이러한 무선충전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충전대상으로 무선유도에 의해 충전시키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대상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로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회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회로를 구동시키는 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충전기는 단순히 스마트폰을 충전기 본체에 올려놓고 충전하도록 되어 있어 가벼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스마트폰이 충전기 본체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스마트폰을 수평상태로만 거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어 충전과 함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매우 불편한 자세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시키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38073호에는 ‘스마트폰의 배면에 아이링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의 거치식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아이링을 충전부에 고정지지함으로써 충전 중에 스마트폰의 360도 회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이 특정한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로의 변경이 불가하여 역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특히 아이링이 장착되지 않은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아이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충전기 본체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아이링이 없으면 안정적인 고정이 어렵다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기를 제공하되, 이 충전기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충전기에서 베이스와 지지대를 활용하되, 길이 차이를 두어 별도의 확장모듈이 더 부가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장모듈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오락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는,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경계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 일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와, 상기 지지대 내에서 상기 톱니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pinion)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 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rack)을 구비한 받침대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를 상기 지지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에서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베이스 홈과, 상기 베이스 홈 내에서 기립 설치된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홈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포함하는 인출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인출부는, 제 1 인출편과,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출편의 외측 단에 형성된 힌지를 매개로 상방 회동되는 제 2 인출편으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에 의하면,
1)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기를 제공하되, 이 충전기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고,
2) 무선 충전기에서 베이스와 지지대를 활용하되, 길이 차이를 두어 별도의 확장모듈이 더 부가되어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3) 나아가 확장모듈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오락적인 기능을 갖춘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베이스에 인출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베이스에 확장모듈이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확장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도코일 구성을 도시한 투시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0) 무선 충전기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상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상면에 휴대용 전자기기(10)를 거치하는 거치부(201)와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무선 충전부(202)를 구비한 지지대(200) 및, 지지대(200)와 베이스(100)의 경계부위에 장착되어 지지대(20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300)과, 지지대(200)에서 거치부(201)의 하측 영역에 돌출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지지하는 받침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경우 스마트폰으로부터 휴대용 게임기나 태블릿pc등 무선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지지대(200)는 이 전자기기와 대응되어 무선 충전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므로 전자기 유도코일(124)과 같은 무선 충전부(202) 구성을 각각 구비하되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내장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유도코일(124)을 더 구비하고, 지지대(200) 역시도 외부 전원공급수단(바람직하게는 건물 등에 구비된 전원플러그)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아 전자기유도 현상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100)는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판 형상을 갖추도록 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지지대(20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0)와 유사한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되, 이 지지대(200)를 눕힌 상태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거치하여 충전도 가능하지만, 회동축(300)을 매개로 베이스(1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축(300)의 회동을 통해 상하로 일정 각도 들어올릴 수 있어 독서대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를 기울여 세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구조는 충전을 진행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활용할 때(예를 들면 영화감상이나 게임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회동축(300)은 샤프트 혹은 힌지(175)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별도의 스토퍼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쉬운 예로서 걸림홈(미도시)이나 걸림돌기(미도시)를 회동축(300)과 그 주변에 각각 두어 회동축(300)이 회전하면서 특정 각도마다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걸려 멈출 수 있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소재기술의 발달로 인해 마찰력만으로도 어느 정도 그 변형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소재와 구조(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소재에 표면처리를 수행하면 200g정도의 무게로는 움직이지 않아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거치된 상태로는 변형되지 않는 소재 및 구조)들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를 회동축(300)의 외주면에 코팅처리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받침대(400)는 특히 지지대(200)를 일정 각도로 세웠을 때에 지지대(200)의 상면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1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지지대(200)의 상면에도 별도로 고무 등과 같은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 구성을 둘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구성은 일정한 기울기를 넘어서면 그 마찰력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가 흘러내릴(645)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하단에서 받쳐 휴대용 전자기기(10)가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인 받침대(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 무선 충전기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외부 전력을 지지대(200)로 공급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전송이 가능한 구성을 갖추게 됨은 물론이다.(여기서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레그 뿐만 아니라 베이스(100)와 회동축(300) 및 지지대(200)를 통과하여 지지대(200)에 구비된 무선 충전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해야 함은 물론이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무선 충전기나 거치대의 전력공급 구성과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무선 충전부(202)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것은 기존의 무선충전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이 때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충전지(미도시)와 같은 보조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받침대(400)의 경우, 지지대(200)가 베이스(100)에 접해있는 경우에 받침대(400)가 굳이 최대로 인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특히 이러한 무선 충전기는 책상 등에 거치한 상태로 활용하기도 하지만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넣어 필요 시 꺼내 사용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더더욱 받침대(400)가 항상 인출되어 있는 구성은 거슬리기 마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대(400)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따라서 이 받침대(4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동축(300)의 외주면 일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331)와, 지지대(200) 내부에서 톱니(331)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440) 및 받침대(400)의 내측 단에 장착되어 피니언(440)의 회전에 따라 지지대(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420)을 구비한 받침대(400) 구동부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회동축(300)의 외주면 일 측에는 톱니(331)가 형성된 부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일종의 기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이 톱니(331)가 형성되는 부위는 회동축(300)에서 베이스(100)와 함께 회동하는 부위에 형성되어야 한다. 나아가 톱니(331)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서 지지대(200)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축(미도시)을 통해 거치되는 피니언(4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피니언(440)은 랙(420)을 향해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랙(42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받침대(400) 내부에서 피니언(4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그 구동에 있어서도 올바른 배치가 될 수 있다.
즉, 피니언(440)은 출입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별도의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톱니(331)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이다. 이 때, 톱니(331)와 피니언(44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두어 서로 회전하는 정도를 달리 하여 인출속도를 회동축(300)의 회전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랙(420)의 경우 일반적으로 바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받침대(400)의 내측 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받침대(400)를 밀거나 당겨 받침대(400)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인출 및 인입 구성은 랙(420)이 전진할 때 돌출되고 하강할 때 함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드물지만 반대로 구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베이스(100)에 인출부(172)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정면도를 참조하면, 베이스(100)에는 베이스(1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베이스 홈(170)과, 이 베이스 홈(170) 내부에(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홈(170)의 입구 측) 기립 설치된 축(17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마치 서랍이나 특정한 구조체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베이스 홈(170)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혹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인출부(172) 및, 인출부(172)에 장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0)와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173)를 포함하는 인출 모듈(177)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결론적으로는 블루투스 스피커(173)인 인출 모듈(177)이 베이스 홈(170)에 인입 혹은 인출될 수 있는 것이며, 그 형상은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도 4의 (b)에 나타난 측면도와 같이, 인출부(172)는 다시 제 1 인출편(174)과, 블루투스 스피커(173)가 구비된 상태에서 제 1 인출편(174)의 외측 단에 형성된 힌지(175)를 매개로 상방으로 회동되는 제 2 인출편(176)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제 2 인출편(176)을 들어 올려 기립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활용해 제 2 인출편(176)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측부에 기립되거나 혹은 측부를 직접 받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축(171) 및 힌지(175)는 모두 앞서 설명한 회동축(300)과 유사하게 별도의 스토퍼구성을 갖추거나 혹은 표면처리를 통해 그 위치를 충분히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베이스(100)에 확장모듈이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더 나아가 베이스(100)와 지지대(200)는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충전이 진행되는 지지대(200)의 길이를 줄이기보다는 베이스(100)의 길이를 줄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베이스(100)는, 지지대(20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연장되어 베이스(100)와 지지대(200)가 접했을 때 지지대(200)와 베이스(100)의 사이에 확장 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이 확장 공간(16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00)의 외측 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 모듈(60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모듈(600)의 일반적인 실시예로서, 확장모듈은 스피커(스피커의 경우에는 별도의 3.5파이 단자나 블루투스 등의 연결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조명, 보조 디스플레이(보조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블루투스, hdmi, wi-di 등의 연결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100)와 확장 모듈(600)은 각각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공급받을 수 있는 별도의 전원공급단자(161)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 확장 모듈(600)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확장 공간(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부(611)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확장 절편(61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확장 절편(610)은 각각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갖도록 구성 가능한 것으로서, 여기서 결합부(611)는 돌기나 홈 등을 의미하는 것이되, 필요시에만 돌기가 돌출되도록 하고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돌기를 숨길 수 있는 버튼식 구성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확장 절편(610)을 활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다음의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외측 일 면에는 내장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외부로 발산하는 스피커 출력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확장 절편(610)도 다음의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확장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확장 절편(610)은 적어도 4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양 단에 결합 단자(621)를 구비한 상태로 이 결합 단자(621)를 내통하는 사운드 유통로(622)가 구비된 2개의 사운드 출력 절편(620)과, 이 사운드 출력 절편(620)보다 큰 체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결합 단자(621)가 결합되도록 양 단에 함입 형성된 결합 홀(631)과, 복수로 절곡된 관로 형태로 양 단의 결합 홀(631) 사이를 내통하는 사운드 보강로(632) 및 스피커 출력부(11)에서 출력된 사운드가 유입되는 도입부(633)를 구비한 사운드 보강 절편(630), 스피커 출력부(11)와 사운드 보강 절편(630)의 도입부(633)를 연결하도록 내통된 연결로(641)와 이 연결로(641)와 내통되는 진입로(642)를 구비한 상태로 스피커 출력부(11)에 밀착되는 연결부(643)를 구비한 연결 절편(6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출력 절편(620)은 사운드 보강 절편(630)을 통해 보강된 사운드가 출력되는 부위이며, 사운드 보강 절편(630)의 경우 내부에 절곡된 관로 형상의 사운드 보강로(632)를 통해 사운드가 이동되면서 음색이나 음역을 증폭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 사운드 보강로(632)의 경우 내경을 다르게 하거나 혹은 다양한 꼬임구조를 적용함으로서 사운드가 이 사운드 보강로(632)를 통과하면서 자연스럽게 그 성질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따라서 충분한 사운드 보강로(632)의 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이 사운드 보강 절편(630)의 체적은 사운드 출력 절편(62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연결 절편(640)은 사운드 보강 절편(630)의 도입부(633)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스피커 출력부(11)에서 출력된 사운드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연결부(643)는 돔이나 종과 같은 형상을 갖되, 그 둘레에는 바람직하게는 스폰지나 겔 등의 형상 변화가 용이한 재질로 형성된 밀폐구조체(미도시)를 더 적용할 수 있어, 이 밀폐구조체를 통해 스피커 출력부(11)에 밀착된 상태로 사운드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사운드 출력 절편(620)에 구비된 사운드 유통로(622)는 안테나 구조로 형성되어 사운드 출력 절편(620)의 양 단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신축성, 탄성 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운드 출력 절편(620)을 다양한 위치로 연장 이동시켜 활용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연결 절편(640)은,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연결로(641)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연결 케이블(644)과, 연결로(64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연결 케이블(644)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릴(645)을 구비하여, 릴(645)의 조작을 통해 연결 케이블(644)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 연결 케이블(644)에 연결된 연결부(643)를 매개로 스피커 출력부(11)와 연결로(641)를 내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은 확장모듈이 원래 장착되는 베이스(100) 후방에 그대로 위치하여 활용될 수도 있지만, 도 6의 (b)와 같이 휴대전화를 거치한 상태에서 이 휴대전화 주변에 다양한 구조로 설치가 가능하다. 도 6의 (b)는 이 중 받침대(400)의 상단에 확장 모듈(600)을 올려 확장 모듈(600)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지지높이를 보다 높인 구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높이조절은 무선 충전기 내부에 다양한 위치에 전자기 유도코일을 달았을 때, 다양한 길이나 폭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이 확장 모듈(600)을 통해 지지하여 충전이 가능한 높이를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나아가 이 확장 모듈(600)에 구비된 연결 절편(640)과 사운드 보강 절편(630)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양 측면에 부착된 사운드 출력 절편(620)을 통해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연결부(643)와 연결 케이블(644)을 통해 연결 절편(640)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입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 케이블(644)는 되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면서 릴(645)에 의해 감기거나 풀려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좋고, 연결부(643)의 경우에도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거나 혹은 겔과 같은 재질이 휴대용 전자기기(10)와 맞닿는 면에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스피커 출력부(11) 주변을 감싸되 그 감싼 형상의 고정이 용이하고 소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밀폐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연결 절편(640)구성은 블루투스 수신부(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단순히 블루투스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소리를 제공받아 사운드 보강 절편(630)에 제공하여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원하는 방식으로 사운드를 증폭하거나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적인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도코일(124) 구성을 도시한 투시사시도이다.
추가로, 무선 충전부(202)는, 지지대(200)의 하부 영역 내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1 유도코일(210)과, 이 제 1 유도코일(210)과 이격된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 영역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2 유도코일(220) 및, 휴대용 전자기기(10)와 접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제 1,2 유도 코일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구동감지부(미도시)와, 구동감지부의 판단에 따라 제 1,2 유도코일(124)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232)를 구비한 스위칭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유도코일(210)과 제 2 유도코일(220) 각각을 병렬로 연결하여 두 코일 모두에 전원을 흘리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제 1 유도코일(210) 또는 제 2 유도코일(220) 중 어느 하나가 휴대용 전자기기(10)와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해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되면, 두 코일 중 어느 하나만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다른 하나에는 전자기장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류센서를 각각의 유도코일(124)을 향해 위치시키게 되면 유도전류 발생여부를 판단 가능하며, 이를 구동감지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 구동감지센서의 센싱여부에 따라 실제 사용되지 않는 유도코일(124)에는 전력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구조가 적용 가능한 것이다.
물론, 어느 하나의 유도코일(124)이 지속적으로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구동감지센서의 구동이 필요 없겠지만, 지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정도)이내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것이 중단된 것을 판단한다면 이는 무선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다시 각각의 유도코일(124)에 전류를 흘려보내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무선충전이 다시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휴대용 전자기기 11: 스피커 출력부
100: 베이스 124: 유도코일
160: 확장 공간 161: 전원공급단자
170: 베이스 홈 171: 축
172: 인출부 173: 블루투스스피커
174: 제 1 인출편 175: 힌지
176: 제 2 인출편 177: 인출 모듈
200: 지지대 201: 거치부
202: 무선충전부 210: 제 1 유도코일
220: 제 2 유도코일 230: 스위칭모듈
232: 전원 공급 제어부 300: 회동축
331: 톱니 400: 받침대
420: 랙 440: 피니언
600: 확장 모듈 610: 확장 절편
611: 결합부 620: 사운드 출력 절편
621: 결합 단자 622: 사운드 유통로
630: 사운드 보강 절편 631: 결합 홀
632: 사운드 보강로 633: 도입부
640: 연결 절편 641: 연결로
642: 진입로 643: 연결부
644: 연결 케이블 645: 릴

Claims (10)

  1.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경계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에서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베이스 홈과,
    상기 베이스 홈 내에서 기립 설치된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홈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포함하는 인출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 일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와,
    상기 지지대 내에서 상기 톱니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pinion)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 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rack)을 구비한 받침대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를 상기 지지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제 1 인출편과,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출편의 외측 단에 형성된 힌지를 매개로 상방 회동되는 제 2 인출편으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와 지지대가 접했을 때 상기 지지대와 베이스 사이에 확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확장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외측 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스피커, 조명, 보조 디스플레이,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확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와 지지대가 접했을 때 상기 지지대와 베이스 사이에 확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확장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외측 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장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확장 절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측 일 면에는 스피커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확장 절편은,
    적어도 4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양 단에 결합 단자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단자를 내통하는 사운드 유통로를 구비한 2개의 사운드 출력 절편과,
    상기 2개의 사운드 출력 절편보다 큰 체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결합 단자가 결합되도록 양단에 함입 형성된 결합 홀과, 복수로 절곡된 관로 형태로 상기 양 단의 결합 홀 사이를 내통하는 사운드 보강로 및, 상기 스피커 출력부에서 출력된 사운드가 유입되는 도입부를 구비한 사운드 보강 절편 및,
    상기 스피커 출력부와 상기 도입부를 연결하도록 내통된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와 내통되는 진입로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스피커 출력부에 밀착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연결 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유통로는,
    안테나 구조로서 상기 사운드 출력 절편의 양 단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절편은,
    신축성 재질로서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로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연결 케이블과,
    상기 연결로 내에서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릴을 구비하여,
    상기 릴의 조작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연결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피커 출력부와 상기 연결로를 내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 영역 내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1 유도코일과,
    상기 제 1 유도코일과 이격된 상기 지지대의 상부 영역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2 유도코일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접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상기 제 1,2 유도 코일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구동감지부와,
    상기 구동감지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 1,2 유도코일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구비한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KR1020170177505A 2017-12-21 2017-12-21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KR10212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05A KR102121102B1 (ko) 2017-12-21 2017-12-21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05A KR102121102B1 (ko) 2017-12-21 2017-12-21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00A KR20190075700A (ko) 2019-07-01
KR102121102B1 true KR102121102B1 (ko) 2020-06-09

Family

ID=6725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05A KR102121102B1 (ko) 2017-12-21 2017-12-21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021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무선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235B1 (ko) * 2019-08-09 2021-02-01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휴대용 보조배터리 장치
KR102289694B1 (ko) * 2019-11-05 2021-08-13 동양이엔피 주식회사 휴대가 간편한 폴더형 어댑터
CN113364069A (zh) * 2020-03-06 2021-09-07 深圳市凯星辉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收纳的多功能无线充电座
CN212162937U (zh) * 2020-05-18 2020-12-15 广东高普达集团股份有限公司 充电座
CN111711281A (zh) * 2020-06-02 2020-09-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座
US20230147889A1 (en) * 2021-11-09 2023-05-11 Belkin International, Inc. Wireless charg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CN116683656A (zh) * 2022-09-27 2023-09-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底座及无线充电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0606A (ja) * 2012-10-31 2014-05-15 Fujitsu Frontech Ltd 集合充電装置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0606A (ja) * 2012-10-31 2014-05-15 Fujitsu Frontech Ltd 集合充電装置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021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무선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00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102B1 (ko)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KR102119928B1 (ko)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US7327560B1 (en) Keyboard with integrated laptop stand
CN205264268U (zh) 柔性显示装置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US9520737B2 (en) Speakerphone b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US20150326053A1 (en) Fold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266446B1 (ko) 유무선 겸용 충전기
US9628913B2 (en) Support stand and wireless speaker system for tablet computing device
US11578860B2 (en) Stand for portable accessory
KR101237511B1 (ko)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KR20130043560A (ko) 휴대 단말기용 스탠드
US20140274208A1 (en) Portable Three-in-One Mobile Phone Accessory
KR200476796Y1 (ko)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KR101677919B1 (ko) 휴대용 무선 스피커 장치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US11181256B2 (en) Stand for portable accessory
KR20130123176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60137325A (ko)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US20160224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ain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in a supported operative orientation
KR10115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N104917226A (zh) 隐藏式手机支架移动电源
US20240123318A1 (en) Electronic command station for a golf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