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021A -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021A
KR20230024021A KR1020210106034A KR20210106034A KR20230024021A KR 20230024021 A KR20230024021 A KR 20230024021A KR 1020210106034 A KR1020210106034 A KR 1020210106034A KR 20210106034 A KR20210106034 A KR 20210106034A KR 20230024021 A KR20230024021 A KR 20230024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ireless charger
hinge element
front plat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283B1 (ko
Inventor
홍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Priority to KR102021010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2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4B5/0037
    • H04B5/00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충전을 위한 사용 상태에서 하부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를 전면 측으로 회동시켜 충전 대상 기기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충전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 {WIRELESS CHARGER}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충전을 위한 사용 상태에서 하부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를 전면 측으로 회동시켜 충전 대상 기기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무선충전기가 사용된다. 무선충전기는 충전면의 내부에 설치된 전력송신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 단말기에 내장된 전력수신코일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충전 과정 중에도 무선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무선 단말기를 경사진 각도로 거치시키는 구조의 무선충전기가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5084 (2013년07월05일)는, 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가 삽입 배치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지지대에 의해 충전부가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7441 (2013년06월07일)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이 본체에 회동장치를 매개로 연결되고 본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이 제1지지부에 연결되어 본체와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거치 가능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21102 (2020년06월03일)는,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경계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외출이나 출장 시에 무선충전기의 휴대 보관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지 못하거나, 휴대 보관을 고려한 구성을 제안하더라도 구성이 복잡하거나 외관 상의 미려함을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5084 (2013년07월05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7441 (2013년06월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21102 (2020년06월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충전을 위한 사용 상태에서 하부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를 전면 측으로 회동시켜 충전 대상 기기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충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판부; 상기 전면판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접하여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후방 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부 측에 설치된 제1 힌지 요소에 결합되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후면판부; 상기 측면부의 하부 측에 설치된 제2 힌지 요소에 결합되어 사용 또는 미사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판부의 하부 측에서 충전 대상 기기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전면판부와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부 측으로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며,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된 제1 각도 상태를 이루고,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된 제2 각도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충전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각도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가 미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제3 각도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2 각도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가 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제4 각도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각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전면판부와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각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의 일부는 상기 측면부의 하단부를 커버하고, 상기 받침부의 또다른 일부는 상기 전면판부의 하부 측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각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의 제2 힌지 요소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 요소에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 요소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4 각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각도 상태에서 상기 후면판부의 하단부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에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1 각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각도 상태에서 상기 후면판부의 제1 힌지 요소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에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2 각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판부의 제1 힌지 요소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는 걸림돌기이고,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는 걸림요홈이며, 상기 걸림요홈은 2 이상의 걸림요홈이 다단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의 제2 각도 상태가 2 이상의 각도로 다단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부와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USB 메모리의 적어도 일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USB 메모리 보관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판부의 내측에는 상기 받침부에 지지되는 상태의 충전 대상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하여 태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 태그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후면판부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무선충전기의 휴대 보관 모드와 충전 가능 모드를 간편하게 변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사용 상태에서 하부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를 전면 측으로 회동시켜 충전 대상 기기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휴대 보관을 위한 폐쇄 상태에서는 받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휴대 보관 시에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 상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개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개방 상태 또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전면 방향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또다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받침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개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개방 상태 또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전면 방향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또다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받침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후면 방향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는,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판부(3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충전 대상 기기(M)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후면판부(30)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충전을 위한 사용 상태에서 하부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40)를 전면 측으로 회동시켜 충전 대상 기기(M)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충전 대상 기기(M)는 전력수신코일을 내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통상의 무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는 전면판부(10), 측면부(20), 후면판부(30), 받침부(40) 및 충전회로부(50)를 포함한다. 일예로, 전면판부(10), 측면부(20), 후면판부(30), 받침부(4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충전회로부(50)는 PCB 기판에 후술하는 충전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부(10)는 충전면을 구성한다. 충전면의 내부에는 충전회로부(50)가 설치된다. 일예로, 충전회로부(50)는 외부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와, 공급받은 전원의 전압/전류를 변환하고 또한 직류/교류 변환을 하는 전력변환부와, 전력변환된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전력송신코일과 이들 각 요소의 온/오프 및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의 충전면의 전면부 측에 충전 대상 기기(M)의 충전면을 맞닿게 하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전력송신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충전 대상 기기(M)에 내장된 전력수신코일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한다.
상기 측면부(20)는 상기 전면판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연접하여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측면부(20)의 일측에는 외부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 커넥터(AH)가 구비된다.
상기 후면판부(30)는 상기 측면부(20)의 후방 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20)의 상부 측에 설치된 제1 힌지 요소(21)에 결합되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예로, 제1 힌지 요소(21)는 측면부(20)의 상부 측에 설치된 힌지축 결합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1 힌지 요소(21)에는 후면판부(30)에 형성된 힌지축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0)는 상기 측면부(20)의 하부 측에 설치된 제2 힌지 요소(22)에 결합되어 사용 또는 미사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판부(10)의 하부 측에서 충전 대상 기기(M)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예로, 제2 힌지 요소(22)는 측면부(20)의 하부 측에 설치된 힌지축 결합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2 힌지 요소(22)에는 받침부(40)에 형성된 힌지축(4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부(50)는 상기 전면판부(10)와 측면부(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S)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부(10) 측으로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는,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 요소(21)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30)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된 제1 각도 상태(A1)를 이루고, 충전 대상 기기(M)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 요소(21)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30)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된 제2 각도 상태(A2)를 이룰 수 있다. 제1 각도 상태(A1)는 도 1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각도 상태(A2)는 도 2, 도 3, 도 4 또는 도 9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는, 상기 제1 각도 상태(A1)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요소(22)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40)가 미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제3 각도 상태(A3)를 이루고, 상기 제2 각도 상태(A2)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요소(22)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40)가 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제4 각도 상태(A4)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각도 상태(A3)에서 상기 받침부(40)는 상기 전면판부(10)와 측면부(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S)에 수납된 상태를 이룬다. 제3 각도 상태(A3)는 도 1, 도 2 또는 도 5 (a)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각도 상태(A3)에서는 상기 후면판부(3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각도 상태(A1)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4 각도 상태(A4)에서 상기 받침부(40)의 일부(40a)는 상기 측면부(20)의 하단부(20a)를 커버하고, 상기 받침부(40)의 또다른 일부(40b)는 상기 전면판부(10)의 하부 측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4 각도 상태(A4)는 도 3, 도 4 또는 도 5 (b)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 (a)의 제3 각도 상태(A3)에 있는 받침부(40)를 도 5 (b)의 화살표 방향으로 270도 회동시키면 제4 각도 상태(A4)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각도 상태(A4)에서 상기 받침부(40)의 제2 힌지 요소(22)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 요소(45)에 상기 측면부(20)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 요소(25)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4 각도 상태(A4)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 (b) 또는 도 6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각도 상태(A1)에서 상기 후면판부(30)의 하단부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36)에 상기 측면부(20)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26)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1 각도 상태(A1)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8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요소(26,36)는 걸림돌기와 걸림요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각도 상태(A2)에서 상기 후면판부(30)의 제1 힌지 요소(21)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38)에 상기 측면부(20)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28)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2 각도 상태(A2)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후면판부(30)의 제1 힌지 요소(21)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38)는 걸림돌기이고, 상기 측면부(20)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28)는 걸림요홈이며, 상기 걸림요홈은 2 이상의 걸림요홈(h)이 다단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요소(21)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30)의 제2 각도 상태(A2)가 2 이상의 각도로 다단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9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는, 상기 전면판부(10)와 측면부(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S)에 설치되며 USB 메모리(U)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USB 메모리 보관부(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일예로, USB 보관부(60)는 USB 메모리(U)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60a)와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6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USB 메모리(U)는 USB 보관부(60) 내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측면이 접촉 가압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의 전면판부(10)의 내측에는 상기 받침부(40)에 지지되는 상태의 충전 대상 기기(M)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하여 태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 태그(NT)가 부착될 수 있다. 일예로, 정보 태그(NT)는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일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M)가 무선충전기의 전면판부(10)에 접촉하여 상기 받침부(40)에 지지되는 상태로 적치되면, 충전 대상 기기(M)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태그(NT)를 인식하여 정보 태그(NT)에 기록된 다양한 제어 정보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의 예로는 특정 URL에 접속하여 해당 URL이 제공하는 정보 표시, 충전 대상 기기(M)에서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 실행(예, 특정 화면 표시, 특정 음성 출력)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무선충전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무선충전기를 가방 등에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판부(3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켜 보관한다.
사용자는 충전 대상 기기(M)의 충전을 위해 무선충전기를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판부(30)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부(40)를 사용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받침부(40)의 상부 측에 충전 대상 기기(M)을 적치하고 전원 인가 조작(또는 전원 연결)을 하여 충전회로부(50)의 전력송신코일로부터 충전 대상 기기(M)의 전력수신코일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충전이 이뤄지도록 한다.
사용자가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상 기기(M)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후면판부(30)의 제2 각도 상태(A2)를 2 이상의 각도로 다단 제어 조작하여, 기기 화면을 보기에 좋은 각도로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충전기를 다시 가방 등에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의 과정의 반대 순서로 조작하여 무선충전기를 도 1에 도시된 폐쇄 상태로 만들면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전면판부
20: 측면부
21: 제1 힌지 요소
22: 제2 힌지 요소
30: 후면판부
40: 받침부
50: 충전회로부
25,26,28,36,38,45: 걸림 요소
S: 공간 내부

Claims (10)

  1. 충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판부;
    상기 전면판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접하여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후방 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부 측에 설치된 제1 힌지 요소에 결합되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후면판부;
    상기 측면부의 하부 측에 설치된 제2 힌지 요소에 결합되어 사용 또는 미사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판부의 하부 측에서 충전 대상 기기의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전면판부와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판부 측으로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며,
    휴대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된 제1 각도 상태를 이루고,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위해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된 제2 각도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가 미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제3 각도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2 각도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가 사용 방향으로 회동된 제4 각도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전면판부와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각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의 일부는 상기 측면부의 하단부를 커버하고, 상기 받침부의 또다른 일부는 상기 전면판부의 하부 측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각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의 제2 힌지 요소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 요소에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 요소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4 각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상태에서 상기 후면판부의 하단부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에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1 각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상태에서 상기 후면판부의 제1 힌지 요소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에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2 각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부의 제1 힌지 요소 결합 측 부분에 형성된 걸림요소는 걸림돌기이고,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마련된 또다른 걸림요소는 걸림요홈이며,
    상기 걸림요홈은 2 이상의 걸림요홈이 다단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판부의 제2 각도 상태가 2 이상의 각도로 다단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와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USB 메모리의 적어도 일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USB 메모리 보관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의 내측에는 상기 받침부에 지지되는 상태의 충전 대상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하여 태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 태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KR1020210106034A 2021-08-11 2021-08-11 무선충전기 KR10260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34A KR102602283B1 (ko) 2021-08-11 2021-08-11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34A KR102602283B1 (ko) 2021-08-11 2021-08-11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21A true KR20230024021A (ko) 2023-02-20
KR102602283B1 KR102602283B1 (ko) 2023-11-14

Family

ID=8532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34A KR102602283B1 (ko) 2021-08-11 2021-08-11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41Y1 (ko) 2011-07-06 2013-06-14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716753B1 (ko) * 2016-07-05 2017-03-15 차동수 Nfc 태그를 포함하는 양방향 거치장치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KR20190075700A (ko) * 2017-12-21 2019-07-01 정우열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41Y1 (ko) 2011-07-06 2013-06-14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716753B1 (ko) * 2016-07-05 2017-03-15 차동수 Nfc 태그를 포함하는 양방향 거치장치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KR20190075700A (ko) * 2017-12-21 2019-07-01 정우열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KR102121102B1 (ko) 2017-12-21 2020-06-09 정우열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283B1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0035B2 (en) Device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843212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rrier with charging system
CN113922515A (zh) 一种无线充电系统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US11575278B2 (en) Multi-functional travel charger and control system thereof
KR20170075201A (ko) 휴대용 충전팩
US10973296B2 (en) Carrying bag capable of prolonging power supply
KR20230024021A (ko) 무선충전기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CN210225702U (zh) 蓝牙耳机充电盒
JP2011182566A (ja) 充電源装置
KR200478882Y1 (ko)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JP2014011862A (ja) 携帯機器充電用台及び収納棚
JP3762126B2 (ja) 携帯通信装置
CN212486171U (zh) 一种便携收纳电源
CN209692382U (zh) 多功能移动电源支架
CN214674474U (zh) 多功能充电器
CN209948735U (zh) 无线充电器
CN214755617U (zh) 带支架功能的磁吸无线充电器
CN219601929U (zh) 多合一折叠无线充收纳装置
CN215646323U (zh) 充电盒
CN211209331U (zh) 一种用于为电子设备充电的无线充电装置
KR101394378B1 (ko) 틸팅형 유무선 겸용 충전기
CN214591099U (zh) 一种新型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