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557B1 -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557B1
KR102120557B1 KR1020180122854A KR20180122854A KR102120557B1 KR 102120557 B1 KR102120557 B1 KR 102120557B1 KR 1020180122854 A KR1020180122854 A KR 1020180122854A KR 20180122854 A KR20180122854 A KR 20180122854A KR 102120557 B1 KR102120557 B1 KR 10212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soil
power generation
contaminated soil
ir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357A (ko
Inventor
오세진
이성열
서영민
김용혁
김부일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5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은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되는 발전부산물인 바닥재와 준설토를 개별적으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호퍼로 이송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바닥재 및 준설토에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미연탄소분말이 추가된 배합원료를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 후 배합원료를 정환기에서 일정 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단계를 거친 성형체를 소성로에서 소성하되 성형체에 포함된 미연탄소분말을 연소시키면서 소성하여 다공성 흡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철산화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오염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Method for stabilizing contaminated soil using power generation by-products}
본 발명은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력발전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으로 동전기법, 고형화법, 세척법, 유리화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단순한 오염물질의 제거에만 집중한 방법으로 생물상의 존속을 위한 토양질 유지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원위치 안정화를 통한 토양 오염물질의 이동성 또는 생물유효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사용하는 소재가 석회석과 같은 알칼리물질이 대부분으로 양이온성의 물질의 안정화는 가능하나, 음이온성(비소) 물질에 대하여 용출성을 높이거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국내 전기 생산량의 약 40%이상을 차지하는 석탄 화력발전의 경우 발전 후 발생하는 석탄재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화력발전 후 발생하는 석탄재 중 비산재는 시멘트 원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바닥재의 경우 대부분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화력발전소에서 운영하는 매립지는 만지시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신규 매립지 확보도 어려운 실정으로 안정적인 전력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선행기술문헌정보 :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450("오염 토양 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복원기술", 2010.01.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비산재와 바닥재)로 제조한 유용소재를 폐광산, 산업단지 등 산업 활동에 의해 중금속 및 비소로 오염된 토양의 안정화에 적용하여 토양내 오염물질의 용출과 이동성을 억제함으로써 2차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고, 유용하게 활용가능한 석탄회를 순환자원으로 재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은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되는 발전부산물인 바닥재와 준설토를 개별적으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호퍼로 이송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바닥재 및 준설토에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미연탄소분말이 추가된 배합원료를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 후 배합원료를 정환기에서 일정 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단계를 거친 성형체를 소성로에서 소성하되 성형체에 포함된 미연탄소분말을 연소시키면서 소성하여 다공성 흡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철산화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오염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단계에서 배합비율은 바닥재 30~40wt%, 미연탄소분말 40~50wt%, 준설토 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연탄소분말은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발생된 비산재에 포함되어 있는 미연소된 미연탄으로부터 탄소를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산화물은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하는 발전부산물인 비산재로부터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산화물은 상기 비산재에 물을 혼합한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에서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철산화물을 분리하고 탈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염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오염토양을 굴착하고 상기 제조된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굴착된 오염토양에 살포한 다음, 오염토양과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혼합하여 굴착한 위치에 재충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은 처리되는 토양의 무게비로 다공성 흡착소재 10~30%, 철산화물 0.1~1.0%을 오염토양에 각각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혼합호퍼에서 혼합된 바닥재 및 준설토를 혼합분쇄기로 이송한 다음 상기 혼합분쇄기에서 바닥재 및 준설토를 혼합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분쇄 단계에서 혼합분쇄된 바닥재 및 준설토를 저장호퍼로 이송한 다음 상기 저장호퍼에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재 및 준설토를 혼합분쇄하는 단계에서 바닥재 및 준설토를 100㎛이하로 분쇄하고, 상기 미연탄소분말의 크기는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성단계에서 1000~1100도에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 단계에서 직경 2~10mm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에 따르면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비산재와 바닥재)로 제조한 유용소재를 폐광산, 산업단지 등 산업 활동에 의해 중금속 및 비소로 오염된 토양의 안정화에 적용하여 토양내 오염물질의 용출과 이동성을 억제함으로써 2차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고, 유용하게 활용가능한 석탄회를 순환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을 위해 제조되는 다공성 흡착소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을 위해 제조되는 철산화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을 비소오염토양에 처리하고 그 실험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도3은 안정화 효율 중 시간에 따른 용출성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안정화 효율 중 연속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안정화소재에 의한 납 안정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5는 시간에 따른 다공성 흡착소재의 납 흡수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다공성 흡착소재+철산화물의 시간에 따른 납 흡수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을 위해 제조되는 다공성 흡착소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을 위해 제조되는 철산화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을 비소오염토양에 처리하고 그 실험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도3은 안정화 효율 중 시간에 따른 용출성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안정화 효율 중 연속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안정화소재에 의한 납 안정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5는 시간에 따른 다공성 흡착소재의 납 흡수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다공성 흡착소재+철산화물의 시간에 따른 납 흡수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은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되는 발전부산물인 바닥재와 준설토를 개별적으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호퍼로 이송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바닥재 및 준설토에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미연탄소분말이 추가된 배합원료를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 후 배합원료를 정환기에서 일정 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단계를 거친 성형체를 소성로에서 소성하되 성형체에 포함된 미연탄소분말을 연소시키면서 소성하여 다공성 흡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철산화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오염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그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에서는 안정화소재로 먼저,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하는 바닥재를 이용하여 다공성 흡착소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바닥재를 이용한 다공성 흡착소재의 제조를 위해 먼저 바닥재와 준설토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쇄하는 공정을 거친다.
바닥재는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석탄 연소 후 바닥에 남게 되는 재로서 이 바닥재를 바닥재 저장호퍼에서 분쇄기로 1mm~10mm, 바람직하게는 1mm~5mm의 크기로 1차 분쇄한다.
준설토는 하천이나 호수, 바다에 퇴적된 뻘, 흙 등을 펌프로 뽑아낸 것으로 먼저 함수율 5% 이내로 건조시킨 다음 준설토 저장호퍼에 저장되어 있는 준설토를 스톤 분리기를 거쳐 스톤을 제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1mm~10mm, 바람직하게는 1mm~5mm의 크기로 1차 분쇄한다. 본 발명에서 1차 분쇄에 사용되는 분쇄기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형 드럼 커터와 고정형 커터 사이에 원료가 투입되어 분쇄되며 출구 스크린에 의해 분쇄된 원료의 입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바닥재와 준설토를 개별적으로 대략 동일유사한 5mm내외로 1차 러프하게 분쇄하고 후술하는 혼합공정에서 혼합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개별적으로 분쇄한 바닥재와 준설토는 각각 별도의 호퍼로 보내진 다음, 각각의 피더(feeder)에 의해 혼합호퍼로 이송되며 혼합호퍼에서는 수분을 첨가하지 않고 마른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배합원료는 혼합분쇄기로 공급되어 혼합분쇄하는 공정을 거친다. 혼합분쇄기는 공기의 고속와류와 고주파 압력변동에 따른 진동을 이용하여 자기파쇄시켜 초미분입자로 가공하는 것으로, 톱니형 형상을 가지는 로터를 고속회전시켜 고정날개인 라이너와의 간극 사이에 형성된 고속 와류에 의해 간극 사이를 통과하는 원료가 분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사한 크기로 1차 러프하게 분쇄된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분쇄기에서 100㎛이하로 혼합분쇄하게 되는데 혼합분쇄과정에서 바닥재가 점성을 가지는 준설토의 샌딩역할을 하여 서로 뭉치는 준설토를 파쇄함으로써 준설토의 미분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혼합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분쇄공정을 거친 배합원료는 배합원료 저장조에 저장된 다음 성형공정을 위한 성형 저장호퍼로 이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미연탄소분말을 성형 저장호퍼에 추가로 공급한다. 추가되는 미연탄소분말은 발열량 3000kcal/kg이하의 저열량 미연탄소분말로서 이 미연탄소분말은 화력발전소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비산재에 포함되어 있는 미연소된 미연탄으로부터 추출하고 그 크기는 배합원료와 유사하게 100㎛이하로 분쇄하여 성형 저장호퍼에 공급하게 된다. 성형 저장호퍼에서 배합원료간의 바람직한 배합비율로 바닥재 30~40wt%, 미연탄소분말 40~50wt%, 준설토 20wt%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성형 저장호퍼에서 배합원료는 소성을 위해 구형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을 거치게 된다. 성형공정은 우선 성형 믹서에서 배합원료를 혼합하면서 적절한 점성을 부가하여 성형이 잘 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수분을 추가하게 되는데 원재료 총 중량의 30~40%정도로 가수하고 원재료의 미분도가 극히 미분인 경우에는 가수량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물을 첨가하여 배합원료를 반죽하고 반죽된 배합원료는 압출기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배출된 다음 정환기(pelletizer)에서 직경이 약 2mm~10mm크기의 구형 성형체로 성형된다.
정환기에서 성형된 구형 성형체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소성로(rotary kiln)로 보내지고, 소성로에서 약 10분간 1000~1100℃, 바람직하게는 1000℃온도에서 소성과정을 거치게 된다. 소성로인 로터리 킬른의 입구(inlet) 온도가 높을 경우 초기 열충격에 의해 성형체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입구(inlet) 온도는 450℃이하로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소성온도를 1000~1100℃로 설정하고 소성온도가 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성형체 내부까지 열전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불완전 산화가 되어 흡착소재의 강도가 저하된다. 반면 소성온도가 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성형체 표면이 소결되어 공극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다공성 흡착소재를 제조할 수 없다. 실 공정에서는 약 1000℃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소성과정에서 성형체 내부의 미연탄소분말이 연소되게 되고, 이에 의해 다량의 공극이 생성되면서 다공성 흡착소재가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다공성 흡착소재와 별도로 비산재로부터 철산화물을 추출한다. 철산화물의 추출은 다음과 같다.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비산재를 이용하여 이 비산재와 용수를 50:50 (w/w%)으로 균질 혼합한 슬러리를 먼저 제조한다.
그 다음 제조된 슬러리에서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비산재에 포함된 철산화물(자철석)을 분리한 후 탈수하여 철산화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철산화물은 평균입자크기 40㎛이며, 주성분은 마그네타이트(magnetite)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흡착소재와 철산화물을 각각 제조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오염토양 안정화 절차를 수행한다. 오염토양 안정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오염토양을 소정 깊이(30~50cm)로 굴착하고 오염원의 종류 및 농도를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오염수준 및 토성에 따라 처리토양의 무게비로 제조된 다공성 흡착소재 10~30%, 철산화물 0.1~1.0%를 각각 오염토양에 살포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오염토양에 살포한 후 오염토양과 안정화소재(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를 균질 혼합하여 굴착한 위치에 재충진한다.
그 다음, 충진한 토양에 단계적으로 가수(토양 무게비 20~30%수준, 토성에 따라 달리 적용)한 후 용적밀도 1.3~1.5ton/㎥ 수준으로 평탄하게 다짐하여 준공한다. 단 상기 작업은 토양의 오염도가 우려기준 수준에 적용하고, 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일 경우 안정화소재 적용 후 양토계의 양질 토양을 20~40cm 복토하고 다짐하여 마무리한다.
다짐작업 완료 후 토양이 농경지로 활용될 경우 농작물의 식재는 약 2개월이 경과한 이후에 경작활동을 시행한다.
이와 같이 안정화 절차를 수행하고 토양 내 안정화 반응에서 다량의 칼슘, 알루미늄, 실리카가 포함된 바닥재 물질은 오염토양에 처리되었을 때 중금속과 반응하여 CO3 2- 또는 OH-와 반응하여 용해도, 독성이 적은 화합물(MCO3 (s), M(OH)2(s))형태로 침전물을 형성하거나, pH를 증가하여 중금속의 이동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Ca(OH)2 → Ca2 + + 2OH-
Ca2 + + 2OH- + SiO2(claysilica) → CSH
Ca2 + + 2OH- + Al2O3(clayalumina) → CAH
( C : CaO, S : SiO2 , A : Al2O3 , H : H2O)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흡착소재는 토양 내에서 중금속을 공극 내에서 물리적으로 이온교환이나 전기적 인력으로 격리하거나, 입자표면에서 이온간 결합으로 침전반응을 유도하는 화학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S-OH + M2+ ↔ S - OM(Z-1)+ + H+
2S-OH + MZ+ ↔ (S-O)2M(Z-2) + + 2H+
S-OH + MZ+ + H2O ↔ S-OMOH(Z-2)+ + SH+
( S : Particles surface, M : metal ions)
철산화물에 의한 안정화반응은 산화과정에 발생한 전자와 OH- 에 의해 무독성의 M0, M(OH)2 로 전환되거나, O2 에 의해 2가철이 3가철로 산화되고 OH- 와 결합하여 수산화3가철(ferric hydroxide)(Fe(OH)3)을 형성한 후 불용성의 parascorodite(FeAsO4 ·H2O) 또는 scorodite(Fe3+(AsO4)·2H2O)와 같은 산화물을 형성하게 된다.
M2+ + 2OH- → M(OH)2
M2+ + 2e → M0 ( M : metal ions )
Fe(0) + 2H2O + 1/2 O2 → Fe(Ⅱ) + H2O + 2OH-
Fe(Ⅱ) + 1/4 O2 + H2O → Fe(Ⅲ) + 1/2 H2O + OH-
Fe(Ⅲ) + 3H2O → Fe(OH)3 + 3H+
본 발명의 토양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상기 본 발명의 안정화 절차를 비소오염 토양에 처리한 후 안정화 효율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3은 안정화 효율 중 시간에 따른 용출성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연속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3 및 도4에서 C10%, C20%는 처리토양의 무게비로 다공질 흡착소재 10%, 20%를 각각 나타내고, M0.1%, M0.5%, M1.0%는 처리토양의 무게비로 철산화물 0.1%, 0.5%, 1.0%를 각각 나타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출성 함량에서는 처리량이 많아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효율성도 증가하여 대조구(Cont)보다 70~80% 적은 양이 용출되었다.
도4의 연속추출 결과에서는 용출성이 큰 1단계(F1)부터 용출 불가능한 5단계(F5)까지 단계적 평가를 수행하였고, 도3과 마찬가지로 안정화소재 처리량이 많아질수록 토양 내에서 격리되어 환경 중으로 확산 또는 용출될 가능성이 큰 단계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소재에 의한 납 안정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서 안정화소재에 의한 납 안정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5는 시간에 따른 다공성 흡착소재의 납 흡수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다공성 흡착소재+철산화물의 시간에 따른 납 흡수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5 및 6에서 5%,10%,20%는 다공성 흡착소재 또는 다공성 흡착소재+철산화물의 처리량으로 용액 1L에 50, 100, 200g을 처리하였을 때 비율을 나타낸다.
도5,6은 수용액상에 용해되어 있는 납이온에 대한 안정화소재의 효율성으로 비소와 마찬가지로 처리량이 많아지거나,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안정화 효율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공성 흡착소재(담체)를 단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다공성 흡착소재(담체)와 철산화물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때 환경 중으로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되는 발전부산물인 바닥재와 준설토를 개별적으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호퍼로 이송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바닥재 및 준설토에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미연탄소분말이 추가된 배합원료를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믹서에서 혼합하는 단계 후 배합원료를 정환기에서 일정 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단계를 거친 성형체를 소성로에서 소성하되 성형체에 포함된 미연탄소분말을 연소시키면서 소성하여 다공성 흡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철산화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오염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단계에서 배합비율은 바닥재 30~40wt%, 미연탄소분말 40~50wt%, 준설토 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탄소분말은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발생된 비산재에 포함되어 있는 미연소된 미연탄으로부터 탄소를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산화물은 석탄 화력발전에서 발생하는 발전부산물인 비산재로부터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산화물은 상기 비산재에 물을 혼합한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에서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철산화물을 분리하고 탈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오염토양을 굴착하고 상기 제조된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굴착된 오염토양에 살포한 다음, 오염토양과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을 혼합하여 굴착한 위치에 재충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흡착소재 및 철산화물은 처리되는 토양의 무게비로 다공성 흡착소재 10~30%, 철산화물 0.1~1.0%을 오염토양에 각각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와 준설토를 혼합호퍼로 이송하여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혼합호퍼에서 혼합된 바닥재 및 준설토를 혼합분쇄기로 이송한 다음 상기 혼합분쇄기에서 바닥재 및 준설토를 혼합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쇄하는 단계에서 혼합분쇄된 바닥재 및 준설토를 저장호퍼로 이송한 다음 상기 저장호퍼에 미연탄소분말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및 준설토를 혼합분쇄하는 단계에서 바닥재 및 준설토를 100㎛이하로 분쇄하고, 상기 미연탄소분말의 크기는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단계에서 1000~1100도에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에서 직경 2~10mm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KR1020180122854A 2018-10-15 2018-10-15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KR10212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54A KR102120557B1 (ko) 2018-10-15 2018-10-15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54A KR102120557B1 (ko) 2018-10-15 2018-10-15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57A KR20200042357A (ko) 2020-04-23
KR102120557B1 true KR102120557B1 (ko) 2020-06-08

Family

ID=7047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54A KR102120557B1 (ko) 2018-10-15 2018-10-15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55B1 (ko) * 2020-10-08 2021-03-08 김경자 원예용 친환경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94B1 (ko) 2012-08-09 2013-03-13 주식회사 미네월드 발전소 바닥재 및 비산재 정제 회재의 활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568A (ja) * 1992-01-17 1993-08-03 Taisei Corp 汚染地域用吸着材、地盤改良方法、地盤汚染防止方法、セメント原料、汚染地域用吸着材の再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94B1 (ko) 2012-08-09 2013-03-13 주식회사 미네월드 발전소 바닥재 및 비산재 정제 회재의 활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57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6752A1 (en) A concrete admixture using waste tailing and methode of thereof
CN103739184B (zh) 利用干法水泥窑余热干化生活污泥及直接掺烧处理的方法
Amaral et al. Soil–cement bricks incorporated with eggshell waste
CN107098550B (zh) 污泥固化剂及利用其的固化物制备方法
US20110175258A1 (en) Method of producing inorganic hydraulic binders
KR101891183B1 (ko) 분쇄조제
KR102004580B1 (ko) 방사성 세슘의 제거 방법 및 소성물의 제조 방법
JP2014094877A (ja) 土工資材組成物及び該組成物におけるフッ素溶出量を低減する方法
Basirun et al. A review: the effect of grinded coal bottom ash on concrete
KR102120557B1 (ko)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JP5490352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ーの製造方法
CN107098549B (zh) 污泥固化剂及利用其的固化物制备方法
JP6042246B2 (ja) 土工資材組成物及び該組成物におけるフッ素溶出量を低減する方法
KR100873872B1 (ko) 석분슬러지와 바텀애시를 혼합한 인공경량골재의 제조방법
JP4112666B2 (ja) 固化材
KR20040075498A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 및 고화제를 이용한유기성 오니의 고화처리 방법
KR20170022036A (ko) 광물성 섬유의 원료조성물
KR102012273B1 (ko) 슬래그 성능개선 조성물
Hu et al. LOWERED TEMPERATURE RESOURCE RECYCLING OF PAPER SLUDGE USING A CO-MELTING TECHNOLOGY.
JP2017136557A (ja) 土木資材の製造方法
KR101748351B1 (ko) 연약지반 개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KR102449553B1 (ko) 굴패각 재활용을 위한 토양개량재의 제조,생산,시공방법
KR10227442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고화재 조성물
KR102385368B1 (ko) 굴껍질 재활용을 통한 시멘트 대체재인 그린시멘트의 제조, 생산, 및 시공방법
KR20180003281A (ko) 실리콘 슬러지를 이용한 성토재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