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283B1 - 반려동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283B1
KR102120283B1 KR1020180139540A KR20180139540A KR102120283B1 KR 102120283 B1 KR102120283 B1 KR 102120283B1 KR 1020180139540 A KR1020180139540 A KR 1020180139540A KR 20180139540 A KR20180139540 A KR 20180139540A KR 102120283 B1 KR102120283 B1 KR 10212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main body
companion animal
discharge hole
win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896A (ko
Inventor
고유미
Original Assignee
고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유미 filed Critical 고유미
Priority to KR102018013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2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을 실시한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치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각각 하방 수직으로 구비되고 하부에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다리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주변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하고 압송하여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람공급부와 대응되게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람공급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람을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하는 바람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drying hair of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을 한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고자 가까이 두고 기르는 개, 고양이 등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을 건강과 위생을 보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목욕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털이 많고 길며 꼬불꼬불한 특성이 있어 마른 수건으로 꼼꼼하게 닦아내더라도 물기가 많고 쉽게 닦이지 않으므로 피부를 보호하고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 목욕 후 헤어드라이어나 드라이룸을 사용하여 털을 신속하게 건조해야 한다.
여기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는 사람에 적합한 구조이므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애견미용실에서 사용하는 드라이룸은 반려동물에게는 낯선 환경이므로 반려동물에게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하여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반려동물용 건조장치는 본체에서 바람이 반려동물을 향하여 직선으로 배출됨에 따라 반려동물의 털을 완벽하게 건조하기가 쉽지 않고 건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체를 한 손으로 잡고 반려동물의 몸을 따라 움직이면서 다른 손으로 반려동물의 털을 이리저리 털어가면서 건조해야 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본체에서 바람이 배출될 때 흡입팬의 작동과 바람의 유동 및 배출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에 반려동물이 놀라거나 당황하여 회피하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반려동물이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대응되는 최적의 바람을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털을 신속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놀라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건조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130호, 2018.05.21.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5246호, 2018.05.04.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271호, 2017.01.20.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대응되는 최적의 바람을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털을 신속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놀라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장치는 아치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각각 하방 수직으로 구비되고 하부에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다리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주변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하고 압송하여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람공급부와 대응되게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람공급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람을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하는 바람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람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람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중심에 중앙바람배출공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호형상의 상부바람배출공과 하부바람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각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앙바람배출공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상부바람배출공과 상기 하부바람배출공에 각각 대응되는 상부통공과 하부통공이 형성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바람배출공과 상기 하부바람배출공을 개폐하는 외각바람단속판;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양단이 축지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바람배출공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바람단속날개;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양단이 축지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바람배출공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중간부바람단속날개;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양단이 축지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바람배출공의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바람단속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리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람공급부와 상기 바람배출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조작부에는 상기 외각바람단속판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부바람단속날개과 상기 하부바람단속날개 및 하부바람단속날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바람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유동형태를 복수 개의 바람배출모드 중에서 하나의 바람배출모드로 선택하는 바람배출모드선택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바람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유동형태가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털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의 높이를 반려동물의 키에 대응되게 조절 가능하고 높이 조절 후에는 반려동물을 내측에 두고 바닥에 올려놓고 작동하면 바람이 반려동물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을 편안한 자세로 유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발생 및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능동소음제거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소음으로 인해 반려동물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의 종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의 바람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에서 제1바람배출모드에 따른 바람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에서 제2바람배출모드에 따른 바람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에서 제3바람배출모드에 따른 바람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개, 고양이 등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기 위한 반려동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는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대응되는 최적의 바람을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털을 신속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놀라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반려동물의 몸통을 둘러쌀 수 있는 아치형상을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에 각각 하방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위치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다리부와, 본체부에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주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고 압송하여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부와, 본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바람공급부와 각각 연결되어 바람을 복수 개의 유동형태 중 하나의 유동형태로 변화시켜 본체부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하는 바람배출부와, 본체부에 구비되어 바람공급부와 바람배출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여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본체부를 잡지 않더라도 반려동물이 앉거나 기립한 자세에서 반려동물 측으로 바람이 배출됨에 따라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측으로 배출되는 바람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대응되게 적합한 유동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반려동물의 털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측으로 바람이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도 저감됨에 따라 반려동물이 받는 스트레스 강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조장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다리부(20), 다리길이조절부(30), 바람공급부(40), 바람배출부(50), 소음저감부(미도시) 및 사용자조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10)는 반려동물의 몸 상부와 양측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아치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여기서 본체부(10)는 후면에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1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측면에 복수 개의 바람배출구(12)가 공기흡입구(11)와 대응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의 상부 후면과 내측면에는 두 개의 공기흡입구(11)와 바람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좌측부 후면과 내측면에는 두 개의 공기흡입구(11)와 바람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며, 본체부(10)의 우측부 후면과 내측면에는 두 개의 공기흡입구(11)와 바람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다리부(20)는 본체부(10)의 양단 하부에 각각 하방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부(1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다리부(20)의 하부에는 본체부(1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반려동물의 몸 길이를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2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20)의 하부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의 털 일부를 집중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본체부(10)가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바퀴(23)을 고정하는 스토퍼(24)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다리길이조절부(30)는 다리부(20) 상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다양한 키에 대응되게 본체부(10)의 높이 조정을 위해 다리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때 다리부(20)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다리(21)와, 상부다리(21)와 이격되어 하부를 이루는 하부다리(22)로 구성되고, 다리길이조절부(30)는 상부다리(21)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부다리(22)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대(3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리길이조절부(30)는 길이조절대(31)가 하부다리(22)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다리부(20)의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길이조절부(30)에는 하부다리(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조절대(31)의 외주면을 압착 또는 압착해제할 수 있는 길이조절버튼(3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버튼(3)을 누름 조작하면 길이조절대(31)가 압착해제되면서 하부다리(22)에서 자유롭게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길이 조절할 수 있고, 길이조절버튼(32)을 누름 해제하면 길이조절대(31)가 압착되면서 하부다리(22)에 고정되어 조절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람공급부(40)는 본체부(10)의 공기흡입구(11)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주변공기를 본체부(10)의 내부로 흡입하고 압송하여 바람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바람공급부(40)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주변공기를 본체부(10)의 내부로 흡입하고 압송하여 바람을 제공하는 흡입팬(41)과, 흡입팬(41)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된 주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42)와, 흡입팬(41)의 후방에 설치되어 흡입팬(41)에서 제공된 바람을 가열하여 바람배출구(12)로 배출시키는 히팅코일(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공급부(40)는 흡입팬(41)의 회전속도와 히팅코일의 가열온도 조절에 따라 반려동물의 털 건조를 위한 상온의 바람 또는 가열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람배출부(50)는 본체부(10)의 바람배출구(12)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바람공급부(40)에 공급되는 바람의 유동형태를 변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즉, 바람배출부(50)는 바람공급부(40)에서 공급된 바람의 유동형태를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대응되게 변화시켜 바람배출구(12)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배출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51)과 외각바람단속판(52)과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 및 하부바람단속날개(5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51)은 본체부(10)의 바람배출구(12)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고 원형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중앙바람배출공(511)이 중심에 형성되며 호형상의 상부바람배출공(512)과 하부바람배출공(513)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각바람단속판(52)은 고정프레임(51)의 외측에서 고정프레임(51)의 외각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바람배출공(511)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바람배출공(512)과 하부바람배출공(513)에 각각 대응되는 상부통공(521)과 하부통공(522)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부바람배출공(512)과 하부바람배출공(513)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람단속날개(53)는 고정프레임(51)의 외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지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중앙바람배출공(51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는 고정프레임(51)의 외측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지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중앙바람배출공(511)의 중간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람단속날개(55)는 고정프레임(51)의 외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지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중앙바람배출공(511)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배출부(50)는 외각바람단속판(52)의 회전 여부와,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 및 하부바람단속날개(55)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유동형태 중에서 하나의 유동형태로 바람을 배출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외각바람단속판(52)으로 상부바람배출공(512)과 하부바람배출공(51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 및 하부바람단속날개(55)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회전시키거나 상하 일정각도로 반복 회전시키면 바람이 사선 방향으로 배출되는 제1바람배출모드로 바람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 및 하부바람단속날개(55)를 수직으로 회전시켜 중앙바람배출공(511) 전체를 폐쇄하고 외각바람단속판(52)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 바람이 와류 형태로 배출되는 제2바람배출모드로 바람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외각바람단속판(52)으로 상부바람배출공(512)과 하부바람배출공(51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 및 하부바람단속날개(55)를 수평으로 회전시키고 흡입팬(41)을 반복하여 온오프시키면 바람이 직선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제3바람배출모드로 바람을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외각바람단속판(52)과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와 하부바람단속날개(55)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모터와, 복수 개의 모터와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어에 의해 회전 여부, 회전 각도 등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털 길이와 형태에 대응되게 바람배출부(50)의 바람배출모드를 선택하여 바람을 배출하면 반려동물의 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모인 경우 10분동안 제1바람배출모드와 제2바람배출모드와 제3바람배출모드를 각각 35%와 35%와 30%로 할당하여 바람을 배출하면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의 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모인 경우 10분동안 제1바람배출모드와 제3바람배출모드를 각각 40%와 60%로 할당하여 바람을 배출하면 털꼬임 없이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털이 곱슬인 경우 10분동안 제1바람배출모드와 제2바람배출모드와 제3바람배출모드를 각각 20%와 10%와 70%로 할당하여 바람을 배출하면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음저감부(미도시)는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팬(41)의 작동에 따라 바람배출부(50)에서 바람이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소음저감부는 흡입팬(41)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모터에 의한 소음과, 바람이 유동 및 배출될 발생하는 바람에 의한 소음에 반대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쇄시키는 능동 소음 제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조작부(60)는 본체부(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바람공급부(40)와 바람배출부(50)와 소음저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조작부(60)는 바람공급부(40)와 바람배출부(50)와 소음저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61)과, 흡입팬(41)의 속도를 제어하여 바람의 풍량과 풍속을 조절하는 바람세기조절버튼(62)과, 히팅코일의 가열온도를 제어하여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버튼(63)과, 외각바람단속판(52)의 회전과 상부바람단속날개(53)와 중간부바람단속날개(54) 및 하부바람단속날개(55)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바람배출모드를 선택하는 바람배출모드선택버튼(64)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본체부
11: 공기흡입구
12: 바람배출구
20: 다리부
21: 상부다리
22: 하부다리
23: 이동바퀴
24: 스토퍼
30: 다리길이조절부
31: 길이조절대
32: 길이조절버튼
40: 바람공급부
41: 흡입팬
42: 필터
50: 바람배출부
51: 고정프레임
511: 중앙바람배출공
512: 상부바람배출공
513: 하부바람배출공
52: 외각바람단속판
521: 상부통공
522: 하부통공
53: 상부바람단속날개
54: 중간부바람단속날개
55: 하부바람단속날개
60: 사용자조작부
61: 전원버튼
62: 바람세기조절버튼
63: 온도조절버튼
64: 바람배출모드선택버튼

Claims (5)

  1. 아치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각각 하방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반려동물의 몸 길이를 따라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하부에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다리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주변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하고 압송하여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람공급부와 대응되게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람공급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람의 유동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하는 바람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람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람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중심에 중앙바람배출공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호형상의 상부바람배출공과 하부바람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각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앙바람배출공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상부바람배출공과 상기 하부바람배출공에 각각 대응되는 상부통공과 하부통공이 형성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바람배출공과 상기 하부바람배출공을 개폐하는 외각바람단속판;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양단이 축지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바람배출공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바람단속날개;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양단이 축지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바람배출공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중간부바람단속날개;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양단이 축지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바람배출공의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바람단속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리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람공급부와 상기 바람배출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작부는
    상기 외각바람단속판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부바람단속날개과 상기 하부바람단속날개 및 하부바람단속날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바람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유동형태를 복수 개의 바람배출모드 중에서 하나의 바람배출모드로 선택하는 바람배출모드선택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조장치.
KR1020180139540A 2018-11-14 2018-11-14 반려동물 건조장치 KR10212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40A KR102120283B1 (ko) 2018-11-14 2018-11-14 반려동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40A KR102120283B1 (ko) 2018-11-14 2018-11-14 반려동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96A KR20200055896A (ko) 2020-05-22
KR102120283B1 true KR102120283B1 (ko) 2020-06-08

Family

ID=7091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40A KR102120283B1 (ko) 2018-11-14 2018-11-14 반려동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98A (ko) 2020-07-13 2022-01-20 배성우 반려동물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7999A (zh) * 2020-08-14 2020-10-30 石国伟 动物清洗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81565B1 (ko) * 2021-03-15 2022-04-08 윤태수 애완동물용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261Y1 (ko) * 2004-07-09 2004-12-04 손민석 애완동물 관리용 테이블
KR101732865B1 (ko) * 2017-03-27 2017-05-04 윤태수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843296B1 (ko) * 2016-12-20 2018-03-29 임상용 머리 고정용 헤어 드라이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29B1 (ko) * 2013-10-31 2015-10-02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680824B1 (ko) * 2014-06-11 2016-11-3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20170000271U (ko) 2015-07-12 2017-01-20 이의찬 애완동물 다방향 크기조절 털 건조장치
KR20180045246A (ko) 2016-10-25 2018-05-04 강명효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180053130A (ko) 2016-11-11 2018-05-21 김민재 애완동물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261Y1 (ko) * 2004-07-09 2004-12-04 손민석 애완동물 관리용 테이블
KR101843296B1 (ko) * 2016-12-20 2018-03-29 임상용 머리 고정용 헤어 드라이기
KR101732865B1 (ko) * 2017-03-27 2017-05-04 윤태수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98A (ko) 2020-07-13 2022-01-20 배성우 반려동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96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283B1 (ko) 반려동물 건조장치
US20100307019A1 (en) Drying apparatus for pet
KR100666911B1 (ko) 체모 및 발 건조 의자
AU20203221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WO2018029531A2 (en) Hairdryer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styling cartridges
KR101938694B1 (ko)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KR102137572B1 (ko)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US20070079766A1 (en) Beauty, medical treatment, and bath system for pet animal
KR20190001102A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170101631A (ko)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US7481006B2 (en) Outer and inner ear drying system
KR20130104439A (ko)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KR101525934B1 (ko) 애완동물용 스파
KR20090127204A (ko) 모발 건조장치
KR101533103B1 (ko) 다용도 드라이어
KR100850531B1 (ko) 애완동물용 횡류형 건조장치
KR20140000382U (ko) 애완견 드라이 장치
US20070130789A1 (en) Body hair and feet drying chair
JP2016214717A (ja) 頭髪乾燥装置
KR20050011626A (ko) 애완동물 전용 드라이어
JP3010433U (ja) 多機能なペット用装置
US2471657A (en) Hair drier
US20210048030A1 (en) Low Profile Fan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90124401A (ko) 접이식 히터가 구비된 모발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