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565B1 - 애완동물용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565B1
KR102381565B1 KR1020210033214A KR20210033214A KR102381565B1 KR 102381565 B1 KR102381565 B1 KR 102381565B1 KR 1020210033214 A KR1020210033214 A KR 1020210033214A KR 20210033214 A KR20210033214 A KR 20210033214A KR 102381565 B1 KR102381565 B1 KR 10238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ortex
pipe
suctio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수
Original Assignee
윤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수 filed Critical 윤태수
Priority to KR102021003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구성하는 통체부;
상기 통체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흡입팬과 하나이상의 배기팬;
상기 복수개의 흡입팬의 흡입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부에 유입하는 배기공;
상기 배기공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내부에 와류발생유도날개부와 상기 배기팬 하부에 부채꼴배기관 및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건조장치{Drying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을 [0001] 시킨 애완동물인 강아지 또는 고양이의 털은 물에 젖은 상태에서 물을 증발시켜 털을 건조하기 위해서, 애완동물을 본체 통체부에 설치된 출입개폐문을 통해 수용공간부에 수용하고, 본체 통체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적정한 열을 발생시키는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열공기를 수용공간부와 연통된 공기흡입 와류발생유도관을 통해 수용공간부에 와류를 발생시켜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털을 적정한 열을 갖는 와류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건조시키고, 이 와류를 다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털이 건조된 애완동물에서 발생된 물은 하부받침프레임의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하여 목욕시킨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동안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수용공간부에 수용되게 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건조시키도록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관한것이다.
배경기술이 되는 구성은 도1 내지 도6에 의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환기공(21)을 통과한 공기는 12의 흡입관 및 12a의 흡입팬을 통하여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증폭하고 40a의 삽입구 즉 41a의 흡입유도관의 상광하협의 깔때기모양의 좁아진 하단부를 통과한 후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내부관로를 통하여 31의 수용공간부(건조실 내부)로 송풍되어지는 구조이다.
기존 구조는 12의 흡입관 및 12a의 흡입팬을 통과한 공기가 41a의 흡입유도관에서 상광하협의 구조에 따라 급가속된 급류가 발생토록 고안되어진 구조이다.
배경기술이 되는 구성은 41a의 흡입유도관이 상광하협의 깔대기 구조로 되어 있어 12a의 흡기팬으로 압축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41a의 흡입유도관의 역삼각형 깔대기부분의 하단부에 충돌하는 구조적 결함 때문에 40a의 삽입구의 하단부에서 1/3정도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의 충돌손실이 발생하고 이 충돌손실된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역류하여 12a의 흡입팬 및 12의 흡입관으로 역류하고 21의 환기공의 외부로 역류 분출되어지는 구조적 결함을 가진다.
상기의 구조적 결함으로 41a의 흡입유도관의 하단부에 충돌후 역류분출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12a의 흡입팬의 흡입압력으로 새롭게 흡입되는 공기와 41a의 흡입유도관의 내부에서 상호 재충돌하게 되어 재충돌한 공기의 일부는 다시 상부의 12a의 흡입팬 및 12의 흡입관으로 역류하게 되고 이의 결과로 12a의 흡입팬 성능이 저하되고 12의 흡입관을 통하여 2차, 3차로 생성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저하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기능적 결함을 가진다.
상기 구조적 결함 및 기능적 결함으로 인한 충돌, 재충돌 현상으로 12a의 흡기팬의 성능저하, 1/3정도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의 감소 및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이의 결과로 역류하는 압축공기와 12a의 흡기팬이 충돌하는 소음과 30의 본체통체부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원래의 의도했던 발명에서 예기치 못했던 41a의 흡입유도관의 상광하협의 깔대기 구조에서 비롯된 구조적, 기능적 결함이라고 할 수 있다.
배경기술에서의 구성은 40a의 흡입유도관의 상광하협의 깔대기 부분에서 공기를 급가속하여 와류를 발생하고자 발명하였고 이는 과학적 발명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배경기술에서는 12의 흡입관 및 12a의 흡입팬을 통하여 흡입되고 압축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40a의 흡입유도관의 상광하협의 깔대기구조가 소화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구조적, 기능적 결함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흡입팬(12a)을 통하여 흡입압축된 상태로 40a의 흡입유도관의 상광하협의 깔대기구조의 하단부와 충돌한 후 역류하는 공기와 12의 흡입관 및 12a의 흡입팬을 통하여 새롭게 유입되는 공기간의 재충돌이 발생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구조적 결함으로 인하여 일정량의 압축된 공기는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거꾸로 12의 흡입관 및 12a의 흡입팬을 통하여 밖으로 역류분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결함으로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하락하고 이로 인하여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에서 생성되어야할 흡입공기의 와류(회오리)발생이 미흡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40a의 흡입유도관에서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 송풍된 공기는 40의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수직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개한 43의 배기공 공기토출구의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의 세 부분을 통해서 31의 수용공간부 내부로 토출되어진다.
흡입유도관(40a)의 상광하협의 깔대기구조의 구조적 결함으로 43의 배기공의 상단부와 중단부를 통하여 31의 수용공간부 내부로 토출되는 흡입공기의 와류(회오리)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미흡하게 되어 43의 배기공의 상단부와 중단부에서 31의 수용공간부 내부로 토출된 미흡한 공기는 31의 수용공간부 내부에서의 와류(회오리)의 발생을 미흡하게 한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에서 43의 배기공의 하단부 및 42의 경사부를 통하여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의 미흡을 초래하고 43의 배기공의 하단부 및 42의 경사부를 통하여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으로 토출된 미흡한 공기가 60의 하부받침프레임의 내부공간의 원형벽으로 따라서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도록 하였던 원래의 발명의 의도를 충족하지 못하는 구조적 결함이 되었다.
받침판(61)의 하부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의 미흡은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에서 발생시킨 와류(회오리)를 61a의 통공을 통하여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에서 31의 수용공간부로 상승시켜야할 동력을 상실하고 61a의 통공을 통하여 와류(회오리)를 31의 수용공간부로 상승시키지 못하는 결함을 가지게 된것이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 및 43의 배기공을 통한 와류(회오리)발생의 구조를 살펴보면, 1단계로 43의 배기공의 상단부와 중단부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31의 수용공간부 내부에서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고 2단계로 43의 배기공의 하단부를 통하여 42의 경사부로 진입하여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에서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와류(회오리)를 61a의 통공을 통하여 31의 수용공간부로 상승시켜 1단계의 와류(회오리)를 2단계의 와류(회오리)가 급가속화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배경기술에서는 40a의 흡입유도관의 상광하협의 깔대기구조가 발생하는 구조적 결함으로 인하여 결함을 가지게 된다.
배경이 되는 기술은 12a의 흡기팬을 통해 발생한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기존의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통해 42의 경사부의 유도를 받아 61의 받침판 하부공간의 바닥에 도착하고 도착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61의 받침판에 있는 61a의 통공을 뚫고 상승하여 61의 받침판 위에 있는 애견의 발가락과 애견복부, 애견 겨드랑이털 등을 건조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기존의 구조의 결함으로는, 12의 흡기팬을 통하여 발생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41a의 흡입유도관의 역삼각형의 깔대기구조의 좁아진 하단부에서 흡기된 공기끼리 충돌하여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일부 역류, 소실되고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공기를 31의 수용공간부로 토출하는 43의 배기공을 통해 31의 수용공간부로 송풍되어질 때, 대부분의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소실되고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거의 전무할 정도가 되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다.
배경이 되는 기술으로는 31의 수용공간부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고 남은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43의 배기공의 하단부 및 42의 경사부의 유도판을 따라 인도되어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의 바닥으로 송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침판(61)의 하부공간의 바닥에 도착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12a의 흡기팬을 통해 지속적으로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내부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송풍압력과 송풍량의 압력을 받아 60의 하부받침프레임의 내부벽면을 따라 돌면서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침판(61)의 하부공간에서 발생된 와류는 61의 받침판의 61a의 통공을 뚫고 31수용공간부를 향해 위로 상승하여 31의 수용공간부에서 발생한 와류와 합쳐 시너지효과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구조로는 41a의 흡입유도관의 역삼각형의 구조결함으로 40~50%정도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소실되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43의 배기공의 상단부, 중단부의 토출로 거의 대부분의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력을 상실하여 43의 배기공의 하단부 및 42의 경사부까지 도달할 만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력이 부족하다.
흡입유도관(41a)이 상광하협의 깔대기 구조로 되어있는 구조적 결함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는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에서 발생되어야할 와류는 여력이 부족하여 발생하지 못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는 40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지나고 61의 받침판의 하부공간까지 송풍된 공기는 구조상 42의 경사부를 끝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공기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42의 경사부 끝에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소실되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다.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는, 흡기시는 2개의 흡입팬으로 흡기되고 배기시는 1개의 배기팬으로 배기되는 구조적 결함때문에 배기되는 공기량이 적어지고 적체되어서 31의 수용공간부내의 습기제거 시간이 더 오래 소요되고 애완용 동물의 젖은 털 건조시간이 지체되고 있다. (예시 : 흡기시 400cfm*2=800cfm의 공기가 흡기되나 배기시는 400cfm*1=400cfm의 공기만이 배기되고 있는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태동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732865(2017,04,26)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21-0018982(2021.02.19.)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로는 와류발생유도날개부로 인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일어나도록 구성하여 건조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로는 흡입관과 동일 또는 비슷한 용량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구성하여 수용공간부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충분하게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로는 충분한 공기유입으로 인하여 수용공간부의 바닥부에서도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어 애완동물의 건조시간과 건조부위를 다양화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네번째 과제로는 배기팬의 유입구조를 변경하여 흡입공기량에 버금가는 공기의 배출량을 가지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구성하는 통체부;
상기 통체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흡입팬과 하나이상의 배기팬;
상기 복수개의 흡입팬의 흡입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부에 유입하는 배기공;
상기 배기공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내부에 와류발생유도날개부를 구성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은 상기 흡입팬의 흡입공기가 충분하게 진입되도록 구성한 원통형공간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와류발생유도날개부는 상기 배기공으로 와류가 발생되어 유입되도록 원통형공간부의 내부벽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로 와류의 흡입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수용공간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원통형공간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와류발생유도날개부는 수평방향에서 10도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사선으로 와류를 유도하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바닥부로 와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송풍배송관을 구성하되,
상기 바닥송풍배송관은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부터 경사각도로 구성되어 바닥부로 인출되어 구성하며,
상기 바닥송풍배송관의 말단부에 복수개의 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기팬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단부에서는 큰 직경으로 상기 배기팬의 진입부에서는 작은 직경으로 원통형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로부터 배기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공간부 내벽부에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흡입팬은 2개로 구성하되 서로 정반대에서 원통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팬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 중앙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입팬과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과의 사이에 가열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 흡입된 공기가 온풍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효과로는 흡입관과 동일 또는 비슷한 용량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구성하여 수용공간부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충분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충분한 공기유입으로 인하여 수용공간부의 바닥부에서도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어 애완동물의 건조시간과 건조부위를 다양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로는 배기팬의 유입구조를 변경하여 배기관 내부의 와류발생 유도날개를 통해 배기공내부에서 와류발생을 가속화시켜 수용공간부의 공기를 충분하에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흡입공기량에 버금가는 공기의 배출량을 가지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네번째 효과로는 와류발생유도날개부로 인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일어나도록 구성하여 건조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효과로는 흡입관(송풍압력) - 흡입공기와류발생유도관(1차와류발생) - 배기공(와류토출) - 수용공간부(2차와류발생) - 받침판의 하부공간(3차와류발생) - 수용공간부와 받침판 하부공간의 와류발생의 합침(4차와류발생 시너지효과) - 배기관(5차와류발생)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게 하여 본체프레임내부에서 5차에 걸친 와류발생을 하나로 만드는 거대한 선순환 와류발생시스템을 작동시켜 건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효과로는 배기관(흡입력 발생) - 수용공간부 공기일부 추가 흡입 - 수용공간부와 받침판 하부공간의 와류발생의 합침(4차와류발생 가속화효과) - 배기공(와류토출 가속화) - 흡입공기와류발생 유도관(1차와류발생 가속화) - 흡입관(송풍압력 가속화) 등과 같이 본체프레임내부에서 5차에 걸친 와류발생을 역순으로 하나로 가속화시키는 역순환 가속화 와류발생시스템을 작동시켜 건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외관도
도 1b는 배경기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1c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 와류발생유도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 3a는 흡입팬의 상부에서 본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과의 관계를 보이는 도이다.
도 3b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에서 공기가 수용공간부로 흡입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 4는 배경기술에서 흡입된 공기가 수용공간부로 이동하는 도이다.
도 5는 배경기술에 따른 공기흡입 와류발생유도관과 받침판의 연통공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6은 배경기술의 배기팬의 모습을 보이는 도이다.
도7a는 본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적용하여 보이는 공기흐름도.
도7b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하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공기흐름도.
도8a는 본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전체를 확대하여 보이는 공기흐름도.
도8b는 본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전체를 보이는 도이다.
도9a는 흡입팬의 상부에서 본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과의 관계를 보이는 도이다.
도9b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보이는 도이다.
도10a는 도 9b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에서 공기가 수용공간부로 흡입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0b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바닥부에서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도11a는 배기팬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도11b는 배기팬의 공기흐름도를 보이는 도이다.
본원발명은 도면7a 내지 11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별도의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기술의 발명자 및 등록권리자는 본원 출원인의 기술이다.
본 발명은 구조건 개선을 통하여 흡입유도관(41a)의 상광하협의 깔대기구조가 발생하는 구조적 결함을 해결한다면 1단계의 수용공간부(31) 내부에서의 와류(회오리) 발생과 2단계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배기공(43)의 하단부-경사부(42)-받침판(61)의 하부공간ㅡ통공(61a)-수용공간부(31)로 상승진입하는 와류(회오리) 발생이 합쳐져서 1단계의 와류(회오리) 발생을 2단계의 와류(회오리) 발생이 급가속화시키는 것과 이러한 급가속화현상이 1단계와 2단계의 구조적 결합으로 통체부 내부에서 하나의 시스템화 되어 지속적으로 와류(회오리)가 확대 재생되고 선순환되는 구조로 개선된 탁월한 발명이다.
아울러 역선순환 구조가 작동하는 바, 배기관 - 배기팬의 부채꼴배기관(130) -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에 의해 발생한 와류(회오리)에 의해 수용공간부의 와류를 가속화시키고 이는 받침판하부의 와류발생을 가속화시키고 이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와류발생을 가속화시키는 선순한 구조로 개선시키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유도관(41a)의 상광하협의 깔대기 부분을 제거하고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직경을 12의 흡입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신규의 원통모양으로 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으로 구성하였다.
배경기술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을 본원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으로 구성하게 되면, 흡입관(12) 및 흡입팬(12a)을 통하여 흡입되고 압축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역류현상이나 손실없이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관로인 와류발생유도관내부관로(430)를 통해 수용공간부 (31)내부로 송풍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는 수용공간부(31)의 내부 양측에 있는 두 개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 모두 동일한 구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의 내부직경 및 내부체적보다 본 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직경 및 내부체적이 실질적으로 2배이상 크도록 개선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도면의 배경기술을 보면, 흡입유도관(41a)의 입구의 내부직경은 흡입관(12)의 내부직경과 동일하지만, 역삼각형 구조의 흡입유도관(41a)의 상광하협의 깔대기 부분을 통과한 삽입구의 최하단부의 내부직경은 흡입관(12) 내부직경의 60%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도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의 최하단부를 통과한 부분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의 내부직경은 흡입관(12)의 내부직경의 50%에 불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배경기술의 구조로는 흡입관(12) 및 흡입팬(12a)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삽입구의 최하단부를 경과하여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으로 송풍될 때,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40~50%정도를 손실하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40~50% 손실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삽입구의 하단부와 재충돌후 역류하여 흡입팬 및 흡입관의 틈새를 뚫고 역류하고 이로인해 흡입팬으로 신규유입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지속적으로 손실시키고 통체부의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배경기술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의 내부직경은 흡입관(12)의 내부직경의 50%이하이므로, 흡입관(12) 및 흡입팬(12a)을 통하여 흡입되고 압축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애견털을 건조시키기에는 미흡할 정도의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배경기술의 구조적 결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 (400)은 흡입관(12)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하여 흡입관(12) 및 흡입팬(12a)을 통하여 흡입되고 압축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손실없이 본 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통과하여 배기공(43)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통과한 공기는 충분한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축적하고 2단계로 분리유도되어서 1단계로는 배기공(43)을 통하여 수용공간부(31) 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2단계로는 배기공(43)의 하단부 및 경사부(42) 및 받침판(61)의 하부공간에 새로운 구성요소인 바닥송풍배송관(420) 및 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425)의 유도를 받아서 받침판(61)의 하부공간으로 진입하여 와류(회오리)를 발생하게 되고 여기서 축적된 와류(회오리) 공기는 통공(61a)을 통하여 수용공간부(31)로 상승진입하는 충분한 에너지를 확보하게 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구성은 흡입관(12)의 직경과 동일하게 확장하여 배경기술보다 강화된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축적하게 하고 배기공(43)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였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공간에서 배경기술보다 강화된 공기흡입와류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공간 벽면에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를 다수로 부착구성한 것이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공간에서 기존보다 강화된 와류발생은 배기공(43)공기토출을 종래기술보다 더 강하게 토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는 흡입관(12) 및 흡입팬(12a)을 통하여 흡입, 압축된 공기를 손실없이 본발명의 구성인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로 전달하고 전달된 공기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에서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를 구성한 것이다.
와류발생 유도날개는 수평방향에서 10°하방으로 기울어지게 사선으로 와류를 유도하는 날개 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에서 10°하방으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한다.
10°하방으로 발생된 와류(회오리)는 배기공(43)에서 수용공간부(31)로 10°하방으로 송풍되게 하여 수용공간부(31)내부에서 와류(회오리) 발생의 가속화를 촉진하고 수용공간부(31)내부에 앉거나 엎드려있는 애견의 머리, 목, 등, 꼬리 부분 등과 같이 애견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송풍하여 타겟부분을 정확히 건조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동일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라도 와류(회오리) 발생을 통하면 이전보다 더 큰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가지게 되며 본원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의 내벽에 구성한 와류발생유도날개부 (435)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에서의 와류(회오리) 발생을 증폭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흡입관(12) 및 흡입팬(12a)을 통하여 흡입되고 압축된 공기는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의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의 와류(회오리) 발생을 통해 기존보다 확장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으로 증폭시킨다.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를 통해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며 증폭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의 공기는 1단계로 배기공(43)을 통하여 수용공간부(31)로 송풍되고 송풍된 공기는 수용공간부(31)의 원형벽면을 따라 돌면서 수용공간부(31)내부에서 제2차의 와류(회오리) 발생을 가속화시킨다.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를 통해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며 증폭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의 공기는 2단계로 배기공(43)의 하단부인 경사부(42)를 통하여 받침판(61)의 하부공간으로 진입되어 하부공간의 원형벽면을 따라돌면서 와류(회오리)를 발생시키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통해 받침판(61) 하부공간으로 추가적으로 지속진입되는 공기유입으로 와류발생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에서 송풍된 지속적인 공기의 유입으로 받침판(61) 하부공간에서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축적한 공기는 통공(61a)을 통하여 수용공간부(31)로 송풍된다.
1단계의 진행으로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에 의해 수평방향에서 10°하방으로 기울어지게 수용공간부(31)로 송풍된 공기는 수용공간부(31)내부에서 와류(회오리)를 만들고 이와 병행하여 2단계의 진행으로 받침판(61)의 하부공간에서 바닥송풍배송관(420) 및 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425)을 통하여 와류를 형성하고 배기공(43)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입된 공기로 축적되고 가속화된 와류는 통공(61a)을 통하여 수직으로 상승하여 송풍된 와류공기와 만나서 1단계의 수용공간부(31)의 내부 와류 + 2단계의 받침판(61)의 하부공간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송풍된 와류공기를 합치게 유도하여 시너지효과에 의해 더욱 강화된 와류(회오리)가 발생하게 된다.
1단계와 2단계로 합쳐진 와류(회오리)는 수용공간부(31)의 애견의 젖은 털을 애견의 상부 중부 및 하부 등을 부위별로 건조시키고 배기관(13) 및 배기휀(13a)의 배기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배경기술인 흡입유도관(41a)의 역삼각형의 깔대기 구조를 제거하고 본원발명의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원통형 구성을 가지고 있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직경이 흡입관(12)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흡입팬(12a)으로부터 생성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역류 또는 손실없이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 내부로 송풍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을 가진다.
흡입관(12)과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직경을 동일하게 개선하여 흡입팬(12a)으로부터 생성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이 배기공(43)의 상부 및 중부를 통하여 수용공간부(31)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고도 남을 정도로 구성한 것이다.
받침판(61)의 하부공간까지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보존하여 도달하게 하고 도달한 와류흡입공기는 유도장치를 통하여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효율적으로 통공(61a)을 통하여 상승하게 하는지를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지나고 경사부(42)를 통하여 받침판(61) 하부공간에 도달한 공기는 바닥송풍배송관(420)을 통하여 우측과 좌측방향으로 두갈래로 분기되어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닥송풍배송관(420)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좌측의 바닥송풍배송관(420)을 통하여 분기된 공기는 받침판(61)의 하부공간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하였고 우측의 바닥송풍배송관(420)을 통하여 분기된 공기는 받침판(61)의 하부공간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하여 좌측과 우측의 바닥송풍배송관(420)을 통하여 토출된 공기를 시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받침판(61)의 하부공간에 시계방향으로 축적된 에너지의 와류(회오리)가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받침판(61)의 하부공간의 중심부까지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보존하고 유도시키는 바닥송풍배송관(420)을 구성하고, 바닥송풍배송관(420)의 바닥송풍배송관 토출부(425)의 위치는 두개로서 좌측의 토출구는 애견의 목부분과 가슴, 앞다리부분의 위치까지 토출되는 공기가 도달하도록 구성하였고 우측의 토출구는 애견의 복부와 뒷다리부분의 위치까지 토출되는 공기가 도달하도록 두개의 토출구의 위치를 구성한 것이다.
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425)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바닥송풍배송관(420)의 구성은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지나고 경사부(42)를 통해 받침판(61)의 하부공간까지 도달한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을 손실하지 않고서 하부받침프레임(60)의 내부벽면을 따라돌면서 와류의 발생을 가속화시키고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축적된 와류의 에너지는 통공(61a)을 통하여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공기는 받침판(61)에 앉아있는 애견의 애견의 목부분과 가슴, 앞다리부분, 애견의 복부와 뒷다리부분의 건조를 정확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원발명에서도 배기시, 13의 배기관(13) 및 13a의 배기팬(13a)을 통하여 배기하는 구조이다.
흡입되어 압축되는 공기의 송풍압력과 송풍량은 2개의 흡입팬(12a)을 통해서 흡입되고 있으나 배기는 1개의 배기팬(13a)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동일한 용량의 흡입팬(12a)과 배기팬(13a)의 적용례는 다음과 같다.
2개의 흡입팬(12a)을 사용하면, 2개의 배기팬을 사용하여야 흡입되는 공기흡입량과 배기되는 공기배기량이 동일하게 되고 수용공간부(31)에 있는 애견이 최적의 조건으로 털 건조를 할 수 있게 된다.
1개의 흡입팬(12a)과 2개의 배기팬(13a)을 사용할 경우, 흡입되는 흡입공기량보다 배기되는 배기공기량이 커서 수용공간부(31)내부의 습기상태가 더 빨리 제습되고 털건조시간이 더 빨라지나 상당한 바람의 세기가 지속되어 수용공간부(31)에 있는 애견에게 불쾌한 조건이 되는 구조적 결함의 요소가 될 수 있다.
2개의 흡입팬(12a)과 1개의 배기팬(13a)을 사용할 경우, 흡입되는 흡입공기량보다 배기되는 배기공기량이 작아서 수용공간부(31)내부의 습기상태가 더 오래 유지되고 털건조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어 애견에게 불쾌한 조건이 되는 구조적 결함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배기관(13)의 수직원통구조를 개선하여 삼각원뿔부채꼴기둥모양의 부채꼴배기관(130)을 구성하였다.
부채꼴배기관(130)은 부채꼴 형태의 원통모양으로 기존구조보다 내부체적을 확대하고 부채꼴배기관(130)의 내부벽면에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의 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의 구조는 총의 강선과 같은 나선형 홈의 구조를 부채꼴배기관(130)의 내부벽면에 설치하여 배기되는 공기에 와류(회오리)를 일으킴으로써, 기존보다 배기압력과 배기량을 증폭하는 구조를 가지는 구성이다.
부채꼴배기관(130),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 등의 구조는 배기관(13)의 기존구조의 단순한 수직 원형구조의 배기통보다 그 내부체적이 크고 부채꼴배기관(130),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의 구조를 통해 와류(회오리)를 발생시켜 배기압력과 배기량을 기존구조보다 더 크게 증폭시키는 구조로서 기존 구조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다.나선형유도날개부(135)는 부채꼴배기관의 내벽에 나선형으로 내부쪽으로 향하여 나오도록 날개부를 구성한 것으로 배기바람이 와류를 형성하며 배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배경기술에서는 흡기시 2개의 흡입팬(12a)으로 흡기되고 배기시는 1개의 배기팬(13a)으로 배기되는 구조적 결함때문에 배기되는 공기량이 적어지고 적체되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애견의 젖은 털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결함에 대해서, 2개의 흡입팬(12a)과 1개의 부채꼴배기관(130),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를 가진 배기팬(13a)의 구조로 해결할 수 있고 이는 개선된 배기관(13)이 기존 배기관의 결함을 극복하는 구성인 것이다.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31)를 구성하는 통체부(30)를 가진다.
상기 통체부(30)에 구성한 복수개의 흡입팬(12a)과 하나이상의 배기팬(13a)을 구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흡입팬(12a)의 흡입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부(31)에 배기공(43)을 통하여 유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기공(43)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31)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구성한다.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내부에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를 구성하여 애완동물용 건조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은 상기 흡입팬(12a)의 흡입공기가 충분하게 진입되도록 원통형공간부를 구성한다.
복수개의 상기 흡입팬(12a)의 흡입공기를 수용하는 공간인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을 구성한다.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은 상기 흡입팬의 흡입공기가 충분하게 진입되도록 구성한 원통형공간부를 구성한다.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원통형공간부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은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반대측의 최외측에 구성하며,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에 흡입된 흡입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31)로 배출되도록 상기 원통형공간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기공(43)을 구성한다.
상기 와류발생유도날개부(435)는 상기 배기공(43)으로 와류가 발생되어 유입되도록 원통형공간부의 내부벽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31)로 와류의 흡입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수용공간부(31)로부터 이격된 상기 원통형공간부에 구성한다.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의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바닥부로 와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송풍배송관(420)을 구성하되,상기 바닥송풍배송관(420)은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으로부터 경사각도로 구성되어 바닥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바닥송풍배송관(420)의 말단부에 복수개의 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425)를 구성한다.
상기 배기팬(13a)은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단부에서는 큰 직경으로 상기 배기팬(13a)의 진입부에서는 작은 직경으로 원통형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31)로부터 배기가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부채꼴배기관하단부( 131)는 수용공간부(31)상단과 인접되는 구성이고 부채꼴배기관상단부(132)는 배기팬의 직하부에 구성된 것이다.
상기 원통형공간부 내벽부에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135)를 구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흡입팬(12a)은 2개로 구성하되 서로 정반대에서 원통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팬(13a)은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상부 중앙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12a)과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과의 사이에 가열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흡입팬(12a)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400)으로 흡입된 공기가 온풍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상부프레임 12: 흡입관 12a : 흡입팬 12b: 가열부재 13: 배기관
13a: 배기팬 20: 상부커버 21: 환기공 30: 통체부
31: 수용공간부 40: 공기흡입 와류발생유도관 41:유입공
41a:흡입유도관 42: 경사부 43:배기공 50: 출입개폐문 51: 개방부
50a: 경첩 50b: 개폐손잡이 51b: 투명창 60: 하부받침프레임
61: 받침판 61a: 통공 61b: 연통홈 63:이동바퀴
64: 반원형홈부 65: 반원형체
70:마이컴제어부
130:부채꼴배기관 131:부채꼴배기관하단부 132:부채꼴배기관상단부
135: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
400: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 420:바닥송풍배송관 425: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
430:와류발생유도관내부관로 435:와류발생유도날개부

Claims (10)

  1.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구성하는 통체부와 상기 통체부의 상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흡입팬과 하나이상의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팬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 중앙부에 구성하며,
    복수개의 상기 흡입팬의 흡입공기를 수용하는 공간인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을 구성하되,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은 상기 흡입팬의 흡입공기가 충분하게 진입되도록 구성한 원통형공간부를 구성하되,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원통형공간부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반대측의 최외측에 구성하며,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에 흡입된 흡입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원통형공간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기공을 구성하고,
    상기 배기공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내부벽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구성하여 와류의 흡입공기가 흐르도록 와류발생유도날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유도날개부는 수평방향에서 10도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사선으로 와류를 유도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의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바닥부로 와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송풍배송관을 구성하되,
    상기 바닥송풍배송관은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부터 경사각도로 구성되어 바닥부로 인출되어 구성하며,
    상기 바닥송풍배송관의 말단부에 복수개의 바닥송풍배송관토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단부에서는 큰 직경으로 상기 배기팬의 진입부에서는 작은 직경으로 사다리꼴원통형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로부터 배기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원통형공간부 내벽부에 나선형배기유도날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흡입팬은 2개로 구성하되 서로 정반대에서 원통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과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과의 사이에 가열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와류발생유도관으로 흡입된 공기가 온풍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20210033214A 2021-03-15 2021-03-15 애완동물용건조장치 KR10238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14A KR102381565B1 (ko) 2021-03-15 2021-03-15 애완동물용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14A KR102381565B1 (ko) 2021-03-15 2021-03-15 애완동물용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565B1 true KR102381565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14A KR102381565B1 (ko) 2021-03-15 2021-03-15 애완동물용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5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326A (ko) * 2012-09-25 2014-04-03 윤태수 애완동물용 털건조, 피부치료, 정신치료 힐링시스템 및 기기
KR20160049199A (ko) * 2014-10-27 2016-05-09 김범진 포집과 배출이 일체로 된 고효율 와류팬
KR101732865B1 (ko) 2017-03-27 2017-05-04 윤태수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180053130A (ko) * 2016-11-11 2018-05-21 김민재 애완동물 건조 장치
KR101897930B1 (ko) * 2017-07-22 2018-09-12 신현길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1963814B1 (ko) * 2017-06-26 2019-04-01 주식회사 몰트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200055896A (ko) * 2018-11-14 2020-05-22 고유미 반려동물 건조장치
KR20210018982A (ko) 2019-08-11 2021-02-19 주식회사 프레밀리 내부순환구조를 가지는 애완동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326A (ko) * 2012-09-25 2014-04-03 윤태수 애완동물용 털건조, 피부치료, 정신치료 힐링시스템 및 기기
KR20160049199A (ko) * 2014-10-27 2016-05-09 김범진 포집과 배출이 일체로 된 고효율 와류팬
KR20180053130A (ko) * 2016-11-11 2018-05-21 김민재 애완동물 건조 장치
KR101732865B1 (ko) 2017-03-27 2017-05-04 윤태수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963814B1 (ko) * 2017-06-26 2019-04-01 주식회사 몰트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101897930B1 (ko) * 2017-07-22 2018-09-12 신현길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200055896A (ko) * 2018-11-14 2020-05-22 고유미 반려동물 건조장치
KR20210018982A (ko) 2019-08-11 2021-02-19 주식회사 프레밀리 내부순환구조를 가지는 애완동물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63B1 (ko) 손 건조 장치
CN106322474B (zh) 一种油烟机的导流吸音立体降噪系统
ES2387893T3 (es) Campaña extractora de humos
CN105603677B (zh) 一种滚筒洗衣机及控制方法
CN110461144B (zh) 宠物用干燥装置
RU2013127287A (ru) Инкубатор
US20100126123A1 (en) Kitchen extractor hood with innovative design
US20120160230A1 (en) Fume Extraction Hood
CN104039211B (zh) 具有改进的空气处理系统的清洗设备
RU201412226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KR102381565B1 (ko) 애완동물용건조장치
WO2018094788A1 (zh) 抽油烟机
EP3088597A1 (en) Clothes dryer
CN106225033A (zh) 一种可形成人造龙卷风的风机结构及吸油烟机
CN108105815A (zh) 一种侧吸式吸油烟机
KR20200010714A (ko) 헤어드라이어
CN110345540A (zh) 吸油烟机
CN207540316U (zh) 一种中药材烘干机
EP3088598A1 (en) Clothes dryer
KR102459524B1 (ko) 터보 중계팬
RU2568094C1 (ru)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о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рекуперацией теплоты
CN106439964B (zh) 一种吸油烟机
CN211400707U (zh) 一种纯电能螺旋叶片循环式粮食烘干机
JP7168692B2 (ja) 換気アッセンブリ
CN209484729U (zh) 一种室内机导风结构及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