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384B1 -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384B1
KR102119384B1 KR1020200038680A KR20200038680A KR102119384B1 KR 102119384 B1 KR102119384 B1 KR 102119384B1 KR 1020200038680 A KR1020200038680 A KR 1020200038680A KR 20200038680 A KR20200038680 A KR 20200038680A KR 102119384 B1 KR102119384 B1 KR 10211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rotating
turntable
water purif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모
Priority to KR102020003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켄베이어설비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부속품을 결합하여 완성되는 냉온정수기를 제조하는 설비에서 다수의 냉온정수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 수용하면서 냉각부속품 중 냉매탱크를 진공시키는 회전식 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진공장치는 상부에 구비된 턴테이블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된 복수의 냉온정수기에 대응하는 개수로 각 냉온정수기의 냉매탱크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설비공간을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온정수기의 부속품인 냉매탱크의 진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Rotary conveyor used in facilities that automatically manufacture water purifiers}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비공간을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온정수기의 부속품인 냉매탱크의 진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냉온수기, 냉온정수기 등의 가전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연속 구비된 켄베이어설비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작업자 또는 로봇암에 의해 부속부품을 조립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설비가 구축된다.
그리고, 냉온수기 또는 냉온정수기(이하, 냉온정수기로 명칭을 통일함.)에는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가 포함되는데, 냉각장치에 경우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 - 압축기를 따라 순차적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에는 압축된 냉매를 수용할 수 있는 냉매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냉온정수기를 제조하는 설비에서는 켄베이어설비를 따라 냉온정수기를 이동시키면서 라인 연결된 진공펌프에 의해 냉매탱크에 냉매를 투입하기 위해 냉매탱크에 진공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켄베이어설비를 따라 냉온정수기를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진공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냉온정수기의 이동과 함께 진공펌프도 켄베이어설비를 따라 이동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설비를 증설해야 하고, 이에 따라 설비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 과정에서 냉매탱크와 진공펌프를 이어주는 커넥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연결 또는 분리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펌프와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회전식 진공장치를 구성하여 냉온정수기를 제조를 위한 설비공간을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온정수기의 부속품인 냉매탱크의 진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켄베이어설비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부속품을 결합하여 완성되는 냉온정수기를 제조하는 설비에서 다수의 냉온정수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 수용하면서 냉각부속품 중 냉매탱크를 진공시키는 회전식 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진공장치는 상부에 구비된 턴테이블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된 복수의 냉온정수기에 대응하는 개수로 각 냉온정수기의 냉매탱크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단 중앙에 축설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작동공간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회전기어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작동공간에 구동모터, 감속기, 구동축, 구동기어가 순차적으로 구동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회전기어의 치합을 통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축설구멍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구비되는 회전포스트와; 상기 회전포스트의 하측에 원판으로 구비되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냉온정수기를 거치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포스트의 상측에 상기 진공펌프가 복수 개로 배열 배치되는 펌프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전원부의 공급 전원을 상기 펌프실에 구비된 진공펌프에 전원 연결하는 슬립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는 상기 구동축에 체인 연결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각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설비공간을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온정수기의 부속품인 냉매탱크의 진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가 적용되어 냉온정수기를 생산하는 생산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적용되는 베이스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적용되는 센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적용되는 센서부를 나타내는 분해상태 구성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에 적용되는 구동부에서 클러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켄베이어설비(20)를 따라 냉온정수기(30)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통과하는 각 구간마다 냉온정수기(30)의 각 부속품을 조립하고, 최종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도록 설비가 구축된다.
상기와 같이, 켄베이어설비(20)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부속품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냉온정수기(30)를 제조하는 설비에서 켄베이어설비(20)를 따라 이동하던 다수의 냉온정수기(30)를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 수용하면서 냉온정수기(30)의 부속품인 냉각장치에 냉매탱크(31)를 진공시키는 회전식 진공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진공장치(10)는 상부에 구비된 턴테이블(300)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부(400)를 갖는 베이스(100)와; 상기 턴테이블(30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300)에 안착된 복수의 냉온정수기(30)에 대응하는 개수로 각 냉온정수기(30)의 냉매탱크(31)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100)는 켄베이어설비(20)의 이동 구간 중 일부 구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구조로 상단 중앙에 축설구멍(510)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520)을 갖는 하우징(500)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 작동공간(520)의 중앙에는 회전축(600)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600)에는 함께 회전하는 회전기어(610)가 축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공간(520)에는 구동모터(410), 감속기(420), 구동축(430), 구동기어(440)가 순차적으로 구동 연결되는 구동부(4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440)와 회전기어(610)의 치합을 통해 상기 회전축(600)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430)에는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4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500)의 작동공간(520)에는 상기 구동축(430)에 체인 연결되어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 각을 감지하여 제어부(8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의하면, 상기 클러치(4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430)의 회전을 구동기어(440)를 단속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축(430)에 경우 상기 감속기(420)에 직결되는 구동회전축(431)과, 상기 하우징(500)에 고정 설치된 공압주입부(46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직결된 종동회전축(433)으로 구성되어 동일 축 선상에 연장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430)에는 공압주입로(435)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450)는 구동축(430)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속기(420) 측에서부터 클러치실린더(451), 클러치피스톤(452), 클러치밀판(453), 클러치볼(454), 클러치디스크(455)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450)의 작동 관계는 우선, 상기 공압주입부(460)를 통해 공압이 주입되면, 구동축(430)의 공압주입로(435)를 따라 클러치실린더(451)에 투입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클러치피스톤(452)이 전진 작동으로 클러치밀판(453)을 밀어 클러치볼(454)을 클러치디스크(455)의 클러치홈(456)에 밀착하여 클러칭이 이루어진다.
통상에 상기 클러치디스크(455)와 구동기어(440)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러치밀판(453)에 인접 위치되는 클러치센서(470)를 통해 상기 클러치(4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800)에 제공할 수 있다.
결국, 공압에 의해 클러치(450)를 작동시켜 구동축(430)의 구동력을 구동기어(440)에 전달하여 상기 턴테이블(300)을 회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밀판(453)과 클러치디스크(455)의 사이에는 상기 클러치볼(454)을 파지하는 파지공(459)을 갖는 중간판(45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판(457)은 스프링(458)에 의해 상기 클러치밀판(453)에 탄성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450)의 작동 관계는 우선, 상기 공압주입부(460)를 통해 공압이 주입되면, 구동축(430)의 공압주입로(435)를 따라 클러치실린더(451)에 투입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클러치피스톤(452)이 상승되면 상기 클러치밀판(453)을 밀어 클러치볼(454)을 클러치디스크(455)의 클러치홈(456)에 클러칭되어 상기 구동축(433)의 회전력이 구동기어(44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러치밀판(453)에 인접 위치되는 클러치센서(470)를 통해 상기 클러치(4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800)에 제공할 수 있다.
결국, 공압에 의해 클러치(450)를 작동시켜 구동축(430)의 구동력을 구동기어(440)에 전달하여 상기 턴테이블(300)을 회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00)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3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 또는 이물질이 턴테이블(300) 및 회전판(320)에 끼이는 경우, 이를 감지한 제어부에서 상기 공기주입부(460)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을 차단하면, 상기 스프링(4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밀판(453)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클러치디스크(455)의 글러치홈(456)에 밀착된 상기 클러치볼(454)이 상기 클러치홈(456)에서 이탈되어 상기 중간판(457)의 파지공(459)을 따라 하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430)의 회전력이 상기 클러치디스크(455)와 구동기어(440)에 전달되는 않는 것이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턴테이블(300)은 상기 하우징(500)의 축설구멍(510)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00)과 함께 회전 구비되는 회전포스트(310)와; 상기 회전포스트(310)의 하측에 원판으로 구비되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냉온정수기(30)를 거치하는 회전판(320)과; 상기 회전포스트(310)의 상측에 상기 진공펌프(200)가 복수 개로 배열 배치되는 펌프실(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320)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냉온정수기(30)가 배치되는 개수에 맞게 안착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21)에는 상기 냉온정수기(30)가 안착 구비되어 상기 켄베이어설비(2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33)이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21) 중 어느 하나 즉, 상기 켄베이어설비(20)에 인접되는 위치의 베이스(100) 상부에는 상기 이동판(33)을 상기 안착부(321)로 이동시키는 셔틀(1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셔틀(110)은 소형의 켄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321)로 이동판(33)을 진입시키는 것 외 진공작업이 완료된 냉온정수기(30)를 다시 켄베이어설비(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틀(110)을 통해 냉온정수기(30)를 회전판(320)의 안착부(321)에 안착시키고, 상기 냉온정수기(30)가 상기 턴테이블(300)을 따라 한바퀴를 도는 동안 상기 진공펌프(200)에 의해 냉매탱크(31)의 진공을 완성시키면 최종적으로 회전 원위치 되면, 상기 셔틀(110)을 통해 다시 켄베이어설비(20)로 이동하여 다시 켄베이어설비(20)를 따라 다음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00)에는 전원부(700)의 공급 전원을 상기 펌프실(330)에 구비된 진공펌프(200)에 전원 연결하는 슬립링(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링(620)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 기성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구동축(430)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축(430)의 회전과 함께 회전 작동하는 센서축(930)과; 상기 센서축(93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디스크(910)와; 상기 센서디스크(910)의 회전에 따른 회전각도 신호를 감지하는 수광센서(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디스크(910)는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시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되어 냉온정수기(30)가 이동되는 초기 위치를 결정하는 사이클스톱디스크(911)와;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 정지시 소정의 정지 시간을 결정하는 BPM마스터디스크(913)와;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을 보조로 감지하는 스페어디스크(915)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디스크(910)는 둘레 일측에 절개되어 상기 수광센서(920)에 통과시 수광센싱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호를 제어부(8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BPM마스터디스크(913)는 상기 턴테이블(300)의 정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소정의 원주만큼 절개되어 상호 회전 배치에 따라 절개 부분의 넓이를 조절하는 제1디스크(913a)와 제2디스크(913b)로 중첩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디스크(913a)와 제2디스크(913b)를 상호 중첩하되, 절개부(910a)의 절개 넓이를 조절하여 수광센서(920)의 수광이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축(9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간극부시(940), 사이클스톱디스크(911), 간극부시(940), BPM마스터디스크(913), 간극부시(940), 스페어디스크(915)가 순차적으로 체결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의하면, 연속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설비(20)를 따라 이동판(33)에 탑재된 냉온정수기(30)를 이동시키면서 다양한 공정으로 냉온정수기(30)를 조립할 수 있다.
냉온정수기(30)를 회전식 진공장치(10)를 투입시켜 진공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설비(20) 또는 베이스(100)에 설비된 셔틀(110)의 의해 상기 이동판(33)을 포함한 냉온정수기(30)를 턴테이블(300)에 포함되는 회전판(320)의 안착부(321)로 이동 안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냉온정수기(30)의 진공커넥터에 수작업으로 진공펌프(200)의 진공라인을 연결하고, 진공펌프(200)의 진공 작업을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진공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2 민 도 3에 의하면, 구동부(400)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440)와 회전기어(610)의 치합으로 턴테이블(300)을 회전시켜 처음 투입된 냉온정수기(30)를 한바퀴 돌러 다시 원위치 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센서부(900)가 구동축(430)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800)에 전달하여 턴테이블(300)의 회전각도, 회전시간, 정지시간을 결정함에 따라 턴테이블(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300)에 형성된 안착부(321)의 개수에 따라 상기 센서부(900)의 BPM마스터디스크(913)의 제1디스크(913a) 및 제2디스크(913b)를 중첩 조절하여 절개부(910a)의 넓이를 조절함으로 센서부(900)의 감지를 통한 턴테이블(300)의 정지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과정 중에 진공펌프(200)을 진공작업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냉매탱크(31)를 진공시킨 후 냉온정수기(30)를 초기 위치로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셔틀(110)의 작동으로 진공이 완료된 냉온정수기(30)를 다시 컨베이어설비(20)로 이동시켜 다음 조립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셔틀(110)을 통해 컨베이어설비(20)로 복귀하거나 상기 진공펌프(200)에 의해 냉매탱크(31)의 진공이 완료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커넥터를 분리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설비공간을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온정수기의 부속품인 냉매탱크의 진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회전식 진공장치
20: 켄베이어설비
30: 냉온정수기
31: 냉매탱크
100: 베이스
200: 진공펌프
300: 턴테이블
310: 회전포스트
320: 회전판
330: 펌프실
400: 구동부
410: 구동모터
420: 감속기
430: 구동축
440: 구동기어
500: 하우징
510: 축설구멍
520: 작동공간
600: 회전축
610: 회전기어
620: 슬립링
700: 전원부
800: 제어부
900: 센서부
910: 센서디스크
911: 사이클스톱디스크
913: BPM마스터디스크
913a: 제1디스크
913b: 제2디스크
915: 스페어디스크
920: 수광센서
930: 센서축

Claims (6)

  1. 켄베이어설비(20)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부속품을 결합하여 완성되는 냉온정수기(30)를 제조하는 설비에서 다수의 냉온정수기(30)를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 수용하면서 냉각부속품 중 냉매탱크(31)를 진공시키는 회전식 진공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진공장치(10)는,
    상부에 구비된 턴테이블(300)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부(400)를 갖는 베이스(100)와;
    상기 턴테이블(30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300)에 안착된 복수의 냉온정수기(30)에 대응하는 개수로 각 냉온정수기(30)의 냉매탱크(31)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100)는,
    상단 중앙에 축설구멍(510)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520)을 갖는 하우징(500)과;
    상기 작동공간(52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회전기어(610)를 갖는 회전축(600)과;
    상기 작동공간(520)에 구동모터(410), 감속기(420), 구동축(430), 구동기어(440)가 순차적으로 구동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440)와 회전기어(610)의 치합을 통해 상기 회전축(60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300)은,
    상기 하우징(500)의 축설구멍(510)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00)과 함께 회전 구비되는 회전포스트(310)와;
    상기 회전포스트(310)의 하측에 원판으로 구비되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냉온정수기(30)를 거치하는 회전판(320)과;
    상기 회전포스트(310)의 상측에 상기 진공펌프(200)가 복수 개로 배열 배치되는 펌프실(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00)에는,
    전원부(700)의 공급 전원을 상기 펌프실(330)에 구비된 진공펌프(200)에 전원 연결하는 슬립링(6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0)의 작동공간(520)에는,
    상기 구동축(430)에 체인 연결되어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 각을 감지하여 제어부(8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구동축(430)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축(430)의 회전과 함께 회전 작동하는 센서축(930)과;
    상기 센서축(93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디스크(910)와;
    상기 센서디스크(910)의 회전에 따른 회전각도 신호를 감지하는 수광센서(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430)과 구동기어(44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430)의 회전력을 구동기어(440)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4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KR1020200038680A 2020-03-31 2020-03-31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KR10211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80A KR102119384B1 (ko) 2020-03-31 2020-03-31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80A KR102119384B1 (ko) 2020-03-31 2020-03-31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384B1 true KR102119384B1 (ko) 2020-06-05

Family

ID=7108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680A KR102119384B1 (ko) 2020-03-31 2020-03-31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3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275A (ja) * 1997-08-13 1999-03-02 Suzumo Kiko Kk 食品成形機の製品整列供給装置
JP2002211505A (ja) * 2001-01-11 2002-07-31 Pioneer Electronic Corp 物品供給装置の物品保持部駆動機構
JP2003034422A (ja) * 2001-07-17 2003-02-07 Ushio U-Tech Inc 物品の方向制御装置および処理装置
JP2009126649A (ja) * 2007-11-26 2009-06-11 Akim Kk ターレット搬送装置
KR101195070B1 (ko) * 2011-04-30 2012-10-29 (주)아이닉스 정수기필터 조립장치
KR20170061951A (ko) * 2015-11-27 2017-06-07 아레텍 주식회사 페트병 리크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275A (ja) * 1997-08-13 1999-03-02 Suzumo Kiko Kk 食品成形機の製品整列供給装置
JP2002211505A (ja) * 2001-01-11 2002-07-31 Pioneer Electronic Corp 物品供給装置の物品保持部駆動機構
JP2003034422A (ja) * 2001-07-17 2003-02-07 Ushio U-Tech Inc 物品の方向制御装置および処理装置
JP2009126649A (ja) * 2007-11-26 2009-06-11 Akim Kk ターレット搬送装置
KR101195070B1 (ko) * 2011-04-30 2012-10-29 (주)아이닉스 정수기필터 조립장치
KR20170061951A (ko) * 2015-11-27 2017-06-07 아레텍 주식회사 페트병 리크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1927B (zh) Industrial robots
RU2695240C2 (ru) Узел вентилятора,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AU2016312761B2 (en) Vacuum cleaner
JPH06213252A (ja) 組合わせ装置、車両駆動系及びクラッチ制御系
KR102119384B1 (ko)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용 회전식 진공장치
CN217769776U (zh) 电池供电的独立马达单元
US7887393B2 (en) Moving mechanism for blast gun for blasting machine
JP2007222966A (ja) トルクコンバータ自動組付装置
AU2005242222A1 (en) Control system
KR20040016062A (ko) 냉장고의 냉기토출장치
KR102346241B1 (ko) 냉온정수기 자동화 제조 설비의 회전식 진공장치용 안전 클러치
WO20090298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ing
KR20220086688A (ko) 전동 공구 및 전동 공구용 2단 기어 조립체
TW202335786A (zh) 表面加工裝置
JP6644531B2 (ja) 手首ユニットとロボット
KR101399897B1 (ko) 링크 방식 터렛공구대
CN109899684B (zh) 管道检测器的驱动装置的工作方法
KR100436249B1 (ko) 터렛헤드 장치
JP4771301B2 (ja) タレット刃物台
JP2021527189A (ja) ポンプを有するツール及びポンプ
JPH11333643A (ja) 多軸ナットランナ
JPH0735101A (ja) 油空圧複合供給ユニット
KR100860016B1 (ko) 톱밥 및 목재 칩 제조 겸용 자주형 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60114990A (ko) 오퍼레이션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시스템
CN220211045U (zh) 动力源模组、清洁基站、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