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364B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364B1
KR102119364B1 KR1020120040107A KR20120040107A KR102119364B1 KR 102119364 B1 KR102119364 B1 KR 102119364B1 KR 1020120040107 A KR1020120040107 A KR 1020120040107A KR 20120040107 A KR20120040107 A KR 20120040107A KR 102119364 B1 KR102119364 B1 KR 10211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block
hole
assembly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193A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현 filed Critical 신동현
Priority to KR102012004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3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1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slot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유아들의 성장단계에 따라 다양한 물품으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십자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조립용 관통공(110)이 형성된 상판(100);
각각의 조립용 관통공에 대응되는 상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단 중앙에는 상기 조립용 관통공에 삽입되는 일자형 돌출부(220)가 형성된 연결블럭(200); 및
상단에 조립용 슬롯(310)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용 슬롯을 통해 각각의 연결블럭에 수직으로 교차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판의 조립용 관통공에 끼워져 조립되는 다리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y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과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나 책상과 같은 소형 가구들은 목재를 다듬어 제작하나, 이는 무겁고 제작비가 많이 들며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동 및 보관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목재로 된 유아용 가구들의 문제점을 개선한 합성수지재로된 접철식 유아용 가구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가구들은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새로운 가구로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자원 낭비는 물론 환경 오염까지 초래하는 문제점 및 폐기하지 않더라도 한정된 실내에서 부피를 크게 차지하므로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공통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유아용 가구들은 제작시 날카로운 못을 이용하거나 본드 등의 접착제를 다량 사용함으로써 사용하는 유아들이 못에 긁히거나 찍혀 다칠 위험성이 있고 유해한 환경 호르몬에 유아들이 지속적으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은 물론 조립과 해체가 매우 용이하고 날카로운 못이나 본드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유아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성장단계에 따라 다양한 물품으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십자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조립용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과, 각각의 조립용 관통공에 대응되는 상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단 중앙에는 상기 조립용 관통공에 삽입되는 일자형 돌출부가 형성된 연결블럭과, 상단에 조립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용 슬롯을 통해 각각의 연결블럭에 수직으로 교차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판의 조립용 관통공에 끼워져 조립되는 다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의 상단 양측에는 일자형 돌출부가 조립용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일자형 돌출부에 교차되게 형성된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에는 상판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블럭의 하단에는 상기 다리판의 조립용 슬롯에 대응되는 조립용 슬롯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판은 조립용 슬롯이 형성된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판에는 형성된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과, 상기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에 하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등받이판과, 상판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등받이판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상기 등받이판이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연결블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판에는 등받이판와의 접촉에 의한 상판의 손상을 막아주기 위한 쿠션캡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블럭화된 부품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거나 전문적인 기술 없이도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쉽게 해체하여 분리하여 보관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유아들의 성장에 따라 다리판만 따로 구매하여 교체해 주면 재사용이 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셋째, 날카로운 못이나 본드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넷째, 필요에 따라 책상이나 의자로 조립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저면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연결블럭(200)과, 상기 연결블럭(200)을 통해 상기 상판(100)에 조립되는 다리판(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과 연결블럭(200)과 다리판(300)은 모두 목재나 합성수지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상판(100)에는 십자형태의 조립용 관통공(110)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조립용 관통공(110)들은 다리판(300)이 조립될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블럭(200)은 각각의 조립용 관통공(110)에 대응되는 상판(10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블럭(20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조립용 관통공(110)에 삽입되는 일자형 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200)의 양측에는 상판(10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230)는 일자형 돌출부(220)의 양측에 위치되어 일자형 돌출부(220)가 조립용 관통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100)의 저면에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230)에는 상판(10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231)에 대응되는 상판(100)의 저면에는 체결용 너트(101) 또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230)는 상판(100)과 연결블럭(200)과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일자형 돌출부(2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밀착부(230)가 일자형 돌출부(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2군데의 체결부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일자형 돌출부(2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4군데의 체결부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다리판(300)은 상판(1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안정되게 지지해준다. 상기 다리판(300)의 상단에는 연결블럭(200)의 하단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용 슬롯(3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판(300)은 상기 조립용 슬롯(310)을 통해 각각의 연결블럭(200)에 수직으로 교차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판(100)의 조립용 관통공(110)에 끼워져 조립된다.
한편, 상기 다리판(300)은 조립용 슬롯(310)이 형성된 직선구간(301)과, 상기 직선구간(301)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3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00)에 조립된 다리판(300)은 아래로 갈수록 상판(100)의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판(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200)의 하단에는 상기 다리판(300)의 조립용 슬롯(310)에 대응되는 조립용 슬롯(2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조립용 슬롯(210,310)을 서로 결합시켜 연결블럭(200)과 다리판(300)을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연결블럭(200)의 길이를 축소시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판(300)의 조립용 슬롯(310)의 길이도 축소시켜 제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결블럭(200)과 다리판(3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판(300)에는 삽입홈(30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03)에 삽입되는 탄성돌기(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돌기(330)는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303) 외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홈(30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 조립용 슬롯(210,310)이 결합 시, 상기 열결블록(200)의 조립용 슬롯(210)이 상기 탄성돌기(330)를 가압하며 끼워져 보다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다음과 같이 매우 간편하게 조립하여 책상이나 탁자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판(100)에 형성된 십자형태의 각 조립용 관통공(110)마다 연결블럭(200)들을 결합시킨다. 즉, 상판(100)의 하부에서 연결블럭(200)의 일자형 돌출부(220)를 조립용 관통공(110)에 끼운 상태에서 연결블럭(200)의 밀착부(230)에 형성된 결합공(231)에 나사(232)를 끼운 다음 이 나사(232)를 상판(100)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용 너트(101)에 체결하면 된다.
각 조립용 관통공(110) 마다 연결블럭(200)들이 모두 견고하게 결합되면, 각 연결블럭(200)에 다리판(300)을 조립한다. 상기 다리판(300)은 상단에 형성된 조립용 슬롯(310)을 연결블럭(200)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용 슬롯(210)에 끼운 상태에서 다리판(300)의 상단이 상판(100)의 조립용 관통공(110)에 끼워질 때까지 밀어 넣으면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0)에는 등받이판(400)이 더 조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판(100)에는 등받이판(400)의 하단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판(400)의 하단에는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120)에 끼워지는 돌출부(410)와, 상판(100)에 지지되는 지지부(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판(400)의 돌출부(410)에는 끼움공(43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공(430)은 등받이판(400)이 상기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120)에 끼워져 지지부(420)에 의해 상판(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판(400)의 돌출부(410)과 함께 상판(100)의 하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판(100)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끼움공(430)으로 연결블럭(440)이 끼워진다. 상기 연결블럭(440)은 상기 등받이판(400)이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등받이판(400)을 상판(100)에 구속시킨다.
한편, 상기 연결블럭(440)은 상기 끼움공(43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등받이판(400)에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등받이판(400)의 하단에 상판(100)이 짓눌리면서 상판(100)의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판(400)의 지지부(420)에 대응되는 상판(100)의 표면에는 등받이판(400)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막아주기 위한 쿠션캡(14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상판(100)에 등받이판(400)을 조립하여 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등받이판(400)은 상판(100)에 형성된 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120)에 돌출부(410)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판(100)의 하부로 노출된 끼움공(430)에 연결블럭(440)을 끼워서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등받이판(400)을 상판(100)에 조립하기 전에 상판(100)에 쿠션캡(140)을 결합시켜 주면 상판(100)과 등받이판(400)과의 접촉에 의한 상판(100)의 손상을 막아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등받이판(400)을 떼어버리고 책상이나 탁자로 사용할 때 등받이판(400)으로 인한 상판(100)의 손상없이 항상 깨끗한 외관 상태로 상판(10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상판(100), 연결블럭(200), 다리판(300)의 총 3가지의 블럭화된 부품만으로 책상이나 탁자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가정에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거나 전문기술 없이도 매우 쉽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판(100)에 등받이판(400)을 조립하여 의자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들이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유아들의 성장에 따라 다리판(300)만 따로 구매하여 교체해 주면 재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날카로운 못이나 본드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상판 110...조립용 관통공
120...등받이판 조립용 관통공 140... 쿠션캡
200,440...연결블럭 210,310...조립용 슬롯
220...일자형 돌출부 230...밀착부
231...결합공 300...다리판
301...직선구간 302...경사구간
400...등받이판 430...끼움공

Claims (6)

  1. 십자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조립용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
    각각의 조립용 관통공에 대응되는 상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단 중앙에는 상기 조립용 관통공에 삽입되는 일자형 돌출부가 형성된 연결블럭; 및
    상단에 조립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용 슬롯을 통해 각각의 연결블럭에 수직으로 교차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판의 조립용 관통공에 끼워져 조립되는 다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럭의 상단 양측에는 일자형 돌출부가 조립용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일자형 돌출부에 교차되게 형성된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에는 상판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럭의 하단에는 상기 다리판의 조립용 슬롯에 대응되는 조립용 슬롯이 더 형성되며,
    상기 다리판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돌기는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 외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블럭, 조립용 슬롯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연결블럭과 다리판이 사이에 압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40107A 2012-04-18 2012-04-18 조립식 가구 KR10211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07A KR102119364B1 (ko) 2012-04-18 2012-04-18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07A KR102119364B1 (ko) 2012-04-18 2012-04-18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93A KR20130117193A (ko) 2013-10-25
KR102119364B1 true KR102119364B1 (ko) 2020-06-04

Family

ID=4963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107A KR102119364B1 (ko) 2012-04-18 2012-04-18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13B1 (ko) * 2021-08-02 2024-01-11 주식회사 랩엠제로 조립식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79B2 (ja) * 1995-06-30 2001-03-26 ヤマト工業株式会社 エルボカバーの粘着コーティング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494Y1 (ko) * 1980-06-30 1981-10-16 주식회사성예사 코끼리형 의자
IT224226Z2 (it) * 1991-03-13 1996-03-14 Areta Srl Sedia ad ingombro riducibile
JPH0548727U (ja) * 1991-12-03 1993-06-29 有限会社ゼック 組立テーブル及び組立椅子
JP3150879U (ja) * 2009-03-17 2009-06-04 株式会社光栄 組立式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79B2 (ja) * 1995-06-30 2001-03-26 ヤマト工業株式会社 エルボカバーの粘着コーティング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93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JP2017119088A (ja) 磁石が内蔵されるブロック玩具におけるブロック間の接合のための表面構造
US7731192B1 (en) Balancing puzzle
KR101358638B1 (ko)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KR102119364B1 (ko) 조립식 가구
WO2012145935A1 (zh) 座椅可拆装式椅脚及具有该椅脚的座椅
KR20140100714A (ko) 완구용 블럭
KR20090043891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KR200483536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면 블록
KR200477413Y1 (ko) 유아용 조립식 의자
CN203328299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椅子
JP3197618U (ja) バランスボールチェアの構造
CN208574209U (zh) 一种具有隐形开关的可变形玩具
KR20190002184U (ko) 유아용 테이블
GB2459491A (en) Infant baby chair with collapsible multi section leg structure
JP3214140U (ja) 係止構造
KR200419704Y1 (ko) 원목테이블
CN220293339U (zh) 一种组合式多功能凳
CN202681009U (zh) 一种桌子
CN210930516U (zh) 多功能幼儿桌
KR102118611B1 (ko) 접이식 다리의 고정장치
KR20220170464A (ko) 조립식 의자
KR200296826Y1 (ko) 가전제품용 받침대
TWM547320U (zh) 金屬框架
CN206414052U (zh) 一种便携式可分离组装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