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619B1 -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619B1
KR102118619B1 KR1020180146552A KR20180146552A KR102118619B1 KR 102118619 B1 KR102118619 B1 KR 102118619B1 KR 1020180146552 A KR1020180146552 A KR 1020180146552A KR 20180146552 A KR20180146552 A KR 20180146552A KR 102118619 B1 KR102118619 B1 KR 10211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x
zinc oxid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141A (ko
Inventor
김운중
이승호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6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을 자외선 차단제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효과가 증가함과 동시에 백탁현상 및 중금속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발림성, 단담함 등이 개선되어 우수한 사용감을 보인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V}
본 발명은 발림성 및 백탁현상이 개선된 무기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세계보건기구 (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피부를 태우고, 주름, 탄력 저하 등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며, 심할 경우 피부암을 일으킨다.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어야 하며, 홍반이나 일광화상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 B는 자외선 차단지수 (sun protection factor; SPF)가 높을수록, 피부 진피를 손상하는 자외선 A는 PA 지수의 +가 많을수록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 효과가 크다.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나눌 수 있는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산란시키거나 반사시켜 화학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피부에 흡수된 자외선 에너지를 열 형태로 변환하여 밖으로 내보내는 방식으로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흡수제의 성분별로 자외선 파장영역에 따라 그 차단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혼합해서 사용하면 넓은 범위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며, 발림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백탁현상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된 자외선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피부 알러지와 염증을 유발하고, 적외선의 방출로 인해 피부표면의 온도가 약간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로서, 피부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자외선이 피부 표면에 닿기 전에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역할을 하며, 주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으로는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질 원료가 사용된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 안정성 및 자외선 차단력이 우수하나, 피부에 도포시 하얗게 뜨는 백탁현상이 발생하며, 발림성이 뻑뻑하여 균일하게 도포시키기가 어렵고,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중금속 함량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백탁현상이 없으며, 중금속 함량이 낮은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410043호 KR 10-2018-010982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높은 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지며, 중금속 함량 및 백탁현상을 최소화하고, 발림성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 왁스,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Octyl methoxycinnamate)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ZnO) 및 이산화티탄 (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왁스는 비즈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오조케라이트 왁스이며, 상기 오일은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비타민E,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와 산화아연을 혼합하여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넛 오일 8 내지 25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18 중량부, 왁스 10 내지 32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10 중량부, 천연 비타민E 0.1 내지 5 중량부 및 알로에 분말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산화아연 및 용제를 혼합한 후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하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에 이산화티탄,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3) 왁스,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혼합하여 왁스가 모두 용해된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4) 혼합물에 천연 비타민E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10 내지 32.5 중량부, 이산화티탄 0.5 내지 25 중량부, 코코넛 오일 8 내지 25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18 중량부, 왁스 10 내지 32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10 중량부, 천연 비타민E 0.1 내지 5 중량부, 알로에 분말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제 13 내지 3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의 첨가로 인해 자외선 차단효과가 증가함과 동시에 백탁 현상이 감소하였으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오조케라이트 왁스를 사용함에 따라 중금속 함량이 낮고, 발림성 및 단단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스틱 재료뿐만 아니라 친환경 화장품 및 생활용품에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UV 조사시간에 따른 변색 비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백탁현상 비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UV 스펙트럼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함량에 따른 SPF 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왁스,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Octyl methoxycinnamate)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ZnO) 및 이산화티탄 (TiO2)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Ethylhexyl Methoxycinnamate)로 불리기도 하며, 자외선 A 및 B 모두 차단이 가능하고, 국내에서는 7.5% 범위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와 산화아연을 혼합하여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화아연은 초음파 처리에 의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피복되어진다.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의 경도를 높여주는 성분으로서, 비즈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오조케라이트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즈 왁스 (Bees wax)는 밀납이라고도 하며, 주성분은 멜리실알코올의 팔미트산 에스터와 세토르산이며, 이외에 여러 가지 지방산과 알코올 및 고급탄화수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Microcrystalline wax)는 석유계 왁스로, 고형 탄화수소류의 혼합물이며, 주로 이소파라핀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오조케라이트 왁스 (Ozokerite wax)는 미네랄에서 추출한 하이드로 카본류의 광물계 왁스로, 유상 성분들 중 하이드로 카본류 오일과 같은 비극성 오일을 주로 증점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오일은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코넛 오일 (Cocos Nucifera (Coconut) Oil)은 코코야자의 종피를 제거한 종자를 압착하여 얻은 지방유로서, 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균, 항진 효능이 있으며,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고, 퍼짐성과 발림성이 좋아 흡수가 잘 된다. 또한 가벼운 사용감, 피부보습 및 자외선 자극 완화 효과가 있다.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베이스 오일 역할을 하며, UV 차단 효과가 있다. 또한 올레익산 (Ole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발림성 및 퍼짐성이 좋아 흡수가 용이하며, 사용감이 부드럽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비타민E,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비타민E는 천연방부제로 사용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 역할을 하며, 더불어 피부보호 및 피부윤기 효과가 있고, 상기 알로에 분말은 피부진정 효능이 있다. 상기 시어버터는 시어나무 (shea tree)의 열매에서 채취한 식물성 유지를 의미하며, 부드러운 질감 부여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보습 및 재생 효과가 뛰어나며, 이외에도 항산화 및 항염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용제는 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및 PEG-10 디메티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넛 오일 8 내지 25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18 중량부, 왁스 10 내지 32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10 중량부, 천연 비타민E 0.1 내지 5 중량부 및 알로에 분말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시 안정성, 사용감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인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산화아연 및 용제를 혼합한 후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하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에 이산화티탄,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3) 왁스,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혼합하여 왁스가 모두 용해된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4) 혼합물에 천연 비타민E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10 내지 32.5 중량부, 이산화티탄 0.5 내지 25 중량부, 코코넛 오일 8 내지 25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18 중량부, 왁스 10 내지 32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10 중량부, 천연 비타민E 0.1 내지 5 중량부, 알로에 분말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제 13 내지 3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산화아연 및 용제 (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및 PEG-10 디메티콘의 혼합용액)를 첨가하여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한 후 이산화티탄,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왁스,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혼합하여 왁스가 모두 용해되면 상기 혼합물에 넣어 교반한 뒤 천연 비타민E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모든 실험은 85℃에서 진행하였다. 하기 표 1은 성분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함량 (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이산화티탄 0.3 0.3 0.3 0.3 0.3
산화아연 1.14 4.8 4.8 4.8 4.8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0.37 1.56 1.56 1.56 1.56
코코넛 오일 2 2 2 2 2
아보카도 오일 2 2 2 2 2
비즈왁스(비정제) 3 3 - - -
비즈왁스(정제) - - 7 - -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 - - 3 -
오조케라이트왁스 - - - - 3
시어버터 1 1 1 1 1
천연 비타민 E 0.2 0.2 0.2 0.2 0.2
알로에 분말 0.05 0.05 0.05 0.05 0.05
용제 1.71 5.9 5.9 5.9 5.9
실시예 6 내지 11
하기 표 2에 표기된 함량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 (g)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이산화티탄 0.3 0.3 0.3 0.3 0.3 0.3
산화아연 4.8 4.8 4.8 4.8 4.8 4.8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56 1.56 1.56 1.56 1.56 1.56
코코넛 오일 1 3 5 7 9 11
아보카도 오일 2 2 2 2 2 2
비즈왁스(정제) 9 9 9 9 9 9
시어버터 1 1 1 1 1 1
천연 비타민 E 0.2 0.2 0.2 0.2 0.2 0.2
알로에 분말 0.05 0.05 0.05 0.05 0.5 0.5
용제 5.9 5.9 5.9 5.9 5.9 5.9
실시예 12 내지 15
하기 표 3에 표기된 함량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 (g)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이산화티탄 0.3 0.3 0.3 0.3
산화아연 4.8 4.8 4.8 4.8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56 1.56 1.56 1.56
코코넛 오일 7 7 7 7
아보카도 오일 1 3 4 5
비즈왁스(정제) 9 9 9 9
시어버터 1 1 1 1
천연 비타민 E 0.2 0.2 0.2 0.2
알로에 분말 0.05 0.05 0.05 0.05
용제 5.9 5.9 5.9 5.9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4에 표기된 함량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이산화티탄 - 5.5 12.63
산화아연 4.64 - 4.8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 - 1.56
코코넛 오일 2 2 2
아보카도 오일 2 2 2
비즈왁스(비정제) 3 3 3
시어버터 1 1 1
천연 비타민 E 0.2 0.2 0.2
알로에 분말 0.05 0.05 0.05
용제 5.67 8.25 24.85
시험예 1. 자외선 차단 성능평가
자외선 발색 구슬에 시료를 바른 후 UV 램프 (365 ㎚, 조사높이: 3 ㎝)로 조사하여 시간에 따른 자외선 차단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UV 조사 전, UV 조사 5분 후, UV 조사 10분 후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발색 구슬은 자외선 비즈 안에 들어있는 광변색 염료가 자외선을 받으면 분자 구조가 변하면서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색이 변하며, 자외선 공급이 차단되면 다시 원래의 분자로 돌아오면서 처음의 백색으로 돌아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는 시간이 경과한 후 색이 연한 붉은색으로 변했으며, 실시예 1 및 2는 타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AHC와 Scinic 제품과 비슷한 색을 띠는 것으로 보아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같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Dr.G와 Carezone 제품은 실시예에 비해 색이 좀 더 붉은빛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의 성능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선스틱을 바르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이 경과한 후 UV로 인해 색이 매우 붉게 변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백탁현상 평가
갈색 인조가죽에 퍼프로 도포한 경우가 실제 피부에 도포한 경우와 가장 비슷한 백탁도를 보임에 따라, 비슷한 크기의 퍼프를 선스틱에 40회 문지른 후 이를 갈색 인조가죽 (알파KID 2177, 두께 1.2 ㎜ 내지 4 ㎜, 비엘케미칼)에 40회 도포하여 백탁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 된 산화아연이 첨가된 실시예 2는 타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Dr.G와 Carezone 제품과 비슷한 백탁도를 보이며, 백탁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산화티탄이 첨가된 비교예 2는 백탁도가 낮은 반면, 산화아연이 첨가된 비교예 1은 백탁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UV 흡수 평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시료를 1000 ppm으로 희석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UV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이산화티탄이 첨가된 비교예 2가 UV 흡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Scinic 및 AHC 제품과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또한 높은 UV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은 UV 흡수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Dr.G와 Carezone 제품 또한 비교적 UV 흡수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비슷한 UV 흡수량을 보임에 따라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SPF 지수 측정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함량별 SPF 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10% 이상부터 SPF 지수가 3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선크림의 SPF 지수의 최소 요구치가 30 이상임에 따라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의 함량은 10 내지 25%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예 5. 중금속 함량 분석
(1) 선스틱 성분별 중금속 함량 분석
선스틱 성분별 납 함량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즈왁스(비정제)에서 가장 많은 납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즈왁스
(비정제)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비타민E 산화아연
Pb (ppm) 13.1061 0.7728 4.9251 0.3719 2.0235
(2) 왁스별 중금속 함량 분석
상기 선스틱 성분별 중금속 함량 분석 결과, 비즈왁스(비정제)가 가장 많은 납 함량을 나타냄에 따라, 왁스를 비즈왁스(정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오조케라이트 왁스를 대상으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즈왁스(정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오조케라이트 왁스는 비즈왁스(비정제)에 비해 낮은 중금속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금속 함량 (ppm)
Pb Ni As Hg Cd Sb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0.65735 - - - 0.00215 -
오조케라이트 왁스 0.13776 0.07218 - 0.000714 -
비즈왁스 (정제) 0.0557 0.46028 0.00343 - 0.000868 -
(3) 선스틱별 중금속 함량 분석
선스틱별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7의 결과와 같이, 비즈왁스(비정제)가 첨가된 실시예 2는 납 함량이 45.464 ppm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실시예 3(비즈왁스(정제)), 실시예 4(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실시예 5(오조케라이트 왁스)는 각각 납 함량이 1.689, 2.027, 6.763 ppm으로 대폭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납 외 다른 중금속 함량 또한 식약처 고시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반면, 타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Scinic 제품은 납 함량이 114.3446 ppm으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금속 함량 (ppm)
Pb Ni As Hg Cd Sb
실시예 2 45.464 - 0.009 - 0.005 0.008
실시예 3 1.689 1.903 0.0348 0.043 0.0724 -
실시예 4 2.027 0.598 0.0334 0.0213 0.0932 -
실시예 5 6.763 0.4386 0.0185 0.0152 0.1869 -
AHC - - - 0.00507 - 0.04446
Scinic 114.3446 - - 0.01703 - -
Dr.G - - 0.23159 0.01057 - -
Carezone - - - 0.00381 - -
시험예 6. 오일 접촉각 측정
오일의 발림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인조가죽 위에 떨어뜨려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8에서, 시료 중 코코넛 오일은 접촉각이 11.46186°, 아보카도 오일은 10.89040°로 가장 낮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코넛 오일과 아보카도 오일의 발림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코코넛 오일과 아보카도 오일을 사용하여 선스틱을 제조하였다.
Average Left angle Right angle
코코넛 오일 11.46186 11.46229 11.46143
아보카도 오일 10.89040 10.88833 10.89248
올리브 엑스트라버진 11.74718 11.72294 11.77142
올리브 퓨어오일 11.79374 11.79275 11.79472
호호바 오일 11.65146 11.48590 11.81702
윗점 오일 11.70739 11.64122 11.77356
시험예 7. 사용감 테스트
(1) 코코넛 오일의 함량에 따른 사용감 시험
코코넛 오일의 함량에 따른 선스틱의 사용감을 시험하였으며, 하기 표 9에서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을 의미한다. 실시예 9가 발림성, 단단함 및 끈적임의 평가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발림성
단단함 ×
끈적임
(2) 아보카도 오일의 함량에 따른 사용감 시험
상기 코코넛 오일의 함량에 따른 사용감 시험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실시예 9를 참고하여, 코코넛 오일의 함량을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함량을 달리한 실시예 12 내지 15에 대한 사용감을 시험하였다. 하기 표 10에서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을 의미하며, 실시예 12 내지 15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실시예 15가 발림성 및 끈적임의 평가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단단함
발림성
끈적임 ◎~○
미끄러짐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무기 자외선 차단제,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Octyl methoxycinnamate)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ZnO) 및 이산화티탄 (TiO2)을 포함하는 것;
    상기 왁스는 비즈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오조케라이트 왁스를 포함하는 것; 오일은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이 혼합된 것;
    추가성분으로 천연 비타민E,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와 산화아연을 혼합하여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한 것; 및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은 10 내지 32.5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0.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넛 오일 8 내지 25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18 중량부, 왁스 10 내지 32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10 중량부, 천연 비타민E 0.1 내지 5 중량부 및 알로에 분말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8. 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산화아연 및 용제를 혼합한 후 초음파 (sonication) 처리하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10 내지 32.5 중량부에 이산화티탄 0.5 내지 25 중량부, 코코넛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3) 왁스, 시어버터 및 알로에 분말을 혼합한 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4) 천연 비타민E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표면처리된 산화아연 10 내지 32.5 중량부, 이산화티탄 0.5 내지 25 중량부, 코코넛 오일 8 내지 25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18 중량부, 왁스 10 내지 32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10 중량부, 천연 비타민E 0.1 내지 5 중량부, 알로에 분말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제 13 내지 3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46552A 2018-11-23 2018-11-23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1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52A KR102118619B1 (ko) 2018-11-23 2018-11-23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52A KR102118619B1 (ko) 2018-11-23 2018-11-23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41A KR20200061141A (ko) 2020-06-02
KR102118619B1 true KR102118619B1 (ko) 2020-06-03

Family

ID=7108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552A KR102118619B1 (ko) 2018-11-23 2018-11-23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349B1 (ko) * 2021-09-09 2022-07-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성버터를 포함하는 유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44191B1 (ko) * 2021-09-27 2021-12-28 코스맥스 주식회사 발효 세라마이드 버터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647B1 (ko) * 2004-07-15 2006-08-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제용 이산화티탄의 광촉매 활성의 억제와 용액에서 분산성향상을 위한 실리카 코팅 방법
KR101322869B1 (ko) 2011-05-18 2013-10-29 주식회사 케미랜드 옥틸 메톡시 시나메이트가 코팅된 Talc 복합 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57B1 (ko) * 2011-11-03 2018-09-27 (주)아모레퍼시픽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1286A (ko) * 2011-12-01 2013-06-11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표면 개질된 자외선 차단 분말 및 이를 포함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101410043B1 (ko) * 2012-08-28 2014-06-27 주식회사보광화학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한 자외선 차단제,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화장품
KR20160031982A (ko) *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케미랜드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647B1 (ko) * 2004-07-15 2006-08-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제용 이산화티탄의 광촉매 활성의 억제와 용액에서 분산성향상을 위한 실리카 코팅 방법
KR101322869B1 (ko) 2011-05-18 2013-10-29 주식회사 케미랜드 옥틸 메톡시 시나메이트가 코팅된 Talc 복합 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41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6853B2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tecting skin, hair and nails against high energy blue-violet light
Goswami et al. Natural sunscreen agents: A review
KR102118619B1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53215B1 (ko)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867551A (zh) 紫外线切断效率因紫外线而增加的紫外线切断用化妆料组合物
US9351911B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providing broad spectrum sunscreen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0929B1 (ko) 스틱형 자외선 차단 화장품
Kulkarni et al. Herbal plants in photo protection and sun screening action: An overview
US10493018B1 (en) Topical moisturizing composition
EA033719B1 (ru)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набор, включающий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цветка гибискуса и масла бурити
JP2014234364A (ja) 頭皮毛髪用化粧料
KR101337892B1 (ko) 진주 단백질 추출물과 내츄럴 오일을 함유한 모발 화장료조성물
KR102393979B1 (ko) 페룰산과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14004854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destinada à maquiagem da pele, produto cosmético e uso cosmético de polissacarídeos de babaçu
KR102470447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657630B1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7386263B2 (ja) 紫外線及び赤外線の遮断用化粧料組成物
Mishra et al. Assessment of physical stability and photoprotective activity of topical formulations added with calendula oil
KR20110104760A (ko) 고기능성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 조성물
KR20240060370A (ko)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han et al. Enhancing Sun Protection: Formulating and Assessing Herbal Sunscreen Formulations
KR101814787B1 (ko) 스포츠용 물티슈
WO2024077063A1 (en) Lip balm containing sunscreen
JP2023095888A (ja)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