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69B1 -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 Google Patents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69B1
KR102118569B1 KR1020190020508A KR20190020508A KR102118569B1 KR 102118569 B1 KR102118569 B1 KR 102118569B1 KR 1020190020508 A KR1020190020508 A KR 1020190020508A KR 20190020508 A KR20190020508 A KR 20190020508A KR 102118569 B1 KR102118569 B1 KR 102118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contamination
bio
guide ra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겸
서은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에 대한 제염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염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1)의 깊이방향(a)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1)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절삭부(700)가 탑재되는 수직 프레임(100); 상기 수직 프레임(100) 상부와 결합된 수평 프레임(200); 및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개방부의 주면부(2)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되, 상기 절삭부(700)는, 커터(721)가 장착된 회전드럼(720); 상기 회전드럼(7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730); 및 상기 회전드럼(720) 및 상기 구동축(730)이 수납된 하우징(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된 파편의 집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Decontamination Frame for Bioshield Constructure}
본 발명은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절삭하고 이를 집진 폐기 또는 재활용 하기 위하여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 설치되는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2030년 내 국내 원자력발전소 20기 중 12기의 원자력발전소의 설계수명이 다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상업용원자력발전소의 해체 경험이 없어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해체 비용은 건설 비용의 10%의 고비용으로 예상되므로 절감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해체 작업의 안전성 및 용이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국외에서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방사성 콘크리트의 처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방사성 폐기물의 물량을 절감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자체처분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종류는 크게 금속 폐기물과 콘크리트 폐기물로 나뉜다. 금속 폐기물에 비해 콘크리트 폐기물은 재사용 및 재활용 방안 연구가 많지 않아 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콘크리트 폐기물 중, 방사능 준위가 가장 높은 바이오 쉴드(Bioshield)는 그 구조가 여타 다른 콘크리트 구조와는 상이하여 이를 해체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종래의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기술에 관한 선행 기술 목록은 이하와 같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5297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7526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72224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5245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함몰형 구조를 갖는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특성에 맞는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편을 안전하게 집진할 수 있는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에 대한 제염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염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1)의 깊이방향(a)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1)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절삭부(700)가 탑재되는 수직 프레임(100); 상기 수직 프레임(100) 상부와 결합된 수평 프레임(200); 및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개방부의 주면부(2)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되, 상기 절삭부(700)는, 커터(721)가 장착된 회전드럼(720); 상기 회전드럼(7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730); 및 상기 회전드럼(720) 및 상기 구동축(730)이 수납된 하우징(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710)은 상기 커터(721)에 의해 절삭된 상기 바이오 쉴드 구조물의 파편이 인입되는 인입구(740); 및 상기 인입구(740)를 통해 인입된 상기 파편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7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750)와 연결되며, 상기 파편을 포집하는 집진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상기 내주면(1)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평 이동부(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부(700)을 상기 깊이방향(a)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부(410)는,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터(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300)은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상기 주면부(2)를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모터(310)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레일(320);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32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레일(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부(410)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330)과 결합된 제1 플레이트(412); 및 상기 수평 이동 모터(411)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200)과 결합된 제2 플레이트(41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4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413)는 슬라이딩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00)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3)과 접촉된 이동바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주면부(2)에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가이드 레일(300)에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수직 이동부(420)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부(700)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절삭부(700)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을 절삭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이 제공된다.
이 겨우 상기 제3 단계(S300) 이후에, 상기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S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S400) 이후에 상기 제3 단계(S300)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단 구조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단계(S100)는, 다단 구조의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복수의 상기 주면부(2)에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함몰형 구조를 갖는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특성에 맞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원전 해체 작업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절삭된 파편을 용이하게 집진하고 이를 전량 폐기 및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상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구조물의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구조의 바이오 쉴드 구조물에서 제염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횡단면도.
도 11은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절삭부가 구빈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에 관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절삭하여 제염 작업을 수행하는 제염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제염(decontamination)이란 방사성 원소에 오염된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은 원자로의 방사성 물질의 확산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구조물로서 원자로가 위치되는 내부공간(5)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내부공간(5)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하며, 다단 구조로 함몰된 내부공간(5)이 형성될 수도 있다(도 10).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은 방사능에 직접 노출되어 피폭되므로, 원전 해체를 위해서는, 일정 깊이까지 절삭하여 폐기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절삭작업을 수행한다.
절삭된 콘크리트의 파편이나 분진은 후술되는 집진부(600)에 의해 집진되어 폐기 처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 깊이방향(a)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1)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절삭부(700)이 탑재되는 수직 프레임(100), 수직 프레임(100) 상부와 결합된 수평 프레임(200) 및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개방부의 주면부(2)를 따라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한다(도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공간(5)이 다단 구조로 함몰 형성된 경우에는 다단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개방부의 주면부(2)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3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위치된 내부공간(5a)의 내주면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한 이후 하부에 위치된 내부공간(5b)의 내주면에 대한 절삭 작업의 수행을 위해 수직 프레인(100)과 수평 프레임(200) 결합체를 크레인 등의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것 만으로 제염 작업의 연속 진행이 가능하다.
제염용 프레임이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주면(1)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절삭부(700)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100)과 내주면(1)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평 이동부(410), 절삭부(700)을 깊이방향(a)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420) 및 수평 프레임(200)을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3, 도 4).
수평 이동부(410)를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100)에 설치된 절삭부(700)과 내주면(1)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직 이동부(420)를 이용하여 절삭부(7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이용하여 절삭부(700)을 내주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삭부(700)는 커터(721)가 장착된 회전드럼(720), 회전드럼(7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730) 및 회전드럼(720) 및 구동축(730)이 수납된 하우징(710)을 포함할 수 있다(도 11).
이 경우 하우징(710)은 커터(721)에 의해 절삭된 바이오 쉴드 구조물의 파편이 인입되는 인입구(740) 및 인입구(740)를 통해 인입된 파편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7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집진부(600)은 호스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배출구(750)와 연결되어 파편을 집진한다.
수평 이동부(410)는 수평 프레임(2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터(411)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또한 수평 이동부(410)는 제2 가이드 레일(330)과 결합된 제1 플레이트(412) 및 수평 이동 모터(411)와 결합됨과 아울러 수평 프레임(200)과 결합된 제2 플레이트(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플레이트(4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413)는 슬라이딩 구동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제2 플레이트(413)의 슬라이딩 구동에 따라 수평 프레임(200)과 결합된 수직 프레임(100)의 내주면(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절삭부(700)과 내주면(1)에 대한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가이드 레일(300)은 수평 프레임(200)을 주면부(2)를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모터(310)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레일(320) 및 제1 가이드 레일(32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레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320)에는 걸림턱(321)이 형성되어 가이드 이동 모터(31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수평 프레임(200)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100) 하단에 형성되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3)과 접촉된 이동바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이에 따라 수직 프레임(100)이 내주면(1)의 주면 방향(b)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이동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100)에 장착되며, 절삭부(700)에 의해 절삭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편을 포집하는 집진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이하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제염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염방법은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주면부(2)에 가이드 레일(300)을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가이드 레일(300)에 수평 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수직 이동부(420)를 이용하여 절삭부(700)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절삭부(700)을 이용하여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을 절삭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단계(S300) 이후에,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이용하여 수평 프레임(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S400)를 더 포함하되, 제4 단계(S400) 이후에 제3 단계(S300)를 반복하여 절삭 작업을 수행한다.
만일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공간(5)이 다단 구조로 함몰 형성된 경우에는 제1 단계(S100)는, 다단 구조의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복수의 상기 주면부(2)에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위치된 내부공간(5a)의 내주면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한 이후 하부에 위치된 내부공간(5b)의 내주면에 대한 절삭 작업의 수행을 위해 수직 프레인(100)과 수평 프레임(200) 결합체를 크레인 등의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것 만으로 제염 작업의 연속 진행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수직 프레임
200 : 수평 프레임
300 : 가이드 레일
400 : 이동부
500 : 이동바퀴
600 : 집진부
700 : 절삭부

Claims (13)

  1. 상부가 개방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에 대한 제염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염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1)의 깊이방향(a)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1)에 대한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절삭부(700)가 탑재되는 수직 프레임(100);
    상기 수직 프레임(100) 상부와 결합된 수평 프레임(200); 및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개방부의 주면부(2)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되,
    상기 절삭부(700)는,
    커터(721)가 장착된 회전드럼(720);
    상기 회전드럼(7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730); 및
    상기 회전드럼(720) 및 상기 구동축(730)이 수납된 하우징(71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710)은
    상기 커터(721)에 의해 절삭된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편이 인입되는 인입구(740); 및
    상기 인입구(740)를 통해 인입된 상기 파편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7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750)와 연결되며, 상기 파편을 포집하는 집진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상기 내주면(1)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평 이동부(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700)을 상기 깊이방향(a)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410)는,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터(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300)은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상기 주면부(2)를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모터(310)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레일(320);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32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레일(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410)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330)과 결합된 제1 플레이트(412); 및
    상기 수평 이동 모터(411)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200)과 결합된 제2 플레이트(41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4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413)는 슬라이딩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00)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3)과 접촉된 이동바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
  11. 제10항의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주면부(2)에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가이드 레일(300)에 상기 수평 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수직 이동부(420)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부(700)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절삭부(700)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주면(1)을 절삭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S300) 이후에,
    상기 가이드 레일 이동부(430)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S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S400) 이후에 상기 제3 단계(S300)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단 구조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단계(S100)는,
    다단 구조의 상기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복수의 상기 주면부(2)에 상기 가이드 레일(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용 프레임을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KR1020190020508A 2019-02-21 2019-02-21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KR10211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08A KR102118569B1 (ko) 2019-02-21 2019-02-21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08A KR102118569B1 (ko) 2019-02-21 2019-02-21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69B1 true KR102118569B1 (ko) 2020-06-03

Family

ID=7108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508A KR102118569B1 (ko) 2019-02-21 2019-02-21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3313A (en) * 1985-11-25 1989-03-2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pparatus for demolishing a reactor shield wall
KR101135297B1 (ko) 2010-08-13 2012-04-1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핵연료 수중해체를 위한 파지장치
KR101507526B1 (ko) 2013-08-09 2015-04-0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 해체 부지의 복원을 위한 최적화 방법
KR101645245B1 (ko) 2015-07-20 2016-08-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의 해체 작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83388A1 (en) * 2015-05-12 2016-11-17 Laguardia & Associat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nuclear reactor vessel segmenting
KR20180072224A (ko) 2016-12-21 2018-06-29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및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3313A (en) * 1985-11-25 1989-03-2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pparatus for demolishing a reactor shield wall
KR101135297B1 (ko) 2010-08-13 2012-04-1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핵연료 수중해체를 위한 파지장치
KR101507526B1 (ko) 2013-08-09 2015-04-0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 해체 부지의 복원을 위한 최적화 방법
WO2016183388A1 (en) * 2015-05-12 2016-11-17 Laguardia & Associat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nuclear reactor vessel segmenting
KR101645245B1 (ko) 2015-07-20 2016-08-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의 해체 작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72224A (ko) 2016-12-21 2018-06-29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및 포집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종래의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기술에 관한 선행 기술 목록은 이하와 같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569B1 (ko) 흡입식 절삭부가 구비된 원전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KR101368454B1 (ko) 목재 파쇄기
CN212549950U (zh) 一种土木建筑用材料回收粉碎装置
KR102051398B1 (ko) 원자로 용기의 해체 방법
KR100621659B1 (ko) 콘크리트 바닥면 방사능 오염 제거장치
KR100967394B1 (ko)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건식처리장치
KR101087748B1 (ko) 파쇄장치
KR102169392B1 (ko) 파쇄장치를 포함하는 제진기
KR101845493B1 (ko) 원자력 시설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금속폐기물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
KR102068200B1 (ko) 원전 바이오쉴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쉴드 콘크리트의 제염방법
CN210752900U (zh) 一种建筑设计用砂浆回收处理装置
JP2013249595A (ja) 原子炉格納容器内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及び原子炉格納容器内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装置
KR101216030B1 (ko) 퇴역 증기발생기 처리공정
KR101342564B1 (ko) 공작기계용 기름 스키머
EP4289581A1 (en) Nuclear structure dry cutting apparatus
US11862355B2 (en) Method of removing radioactive structure from a wall in a nuclear power plant
KR102064771B1 (ko) 튜브형 금속방폐물의 표면제염장치
CN211890024U (zh) 一种零件加工用机床清理装置
KR102244627B1 (ko) 원자로의 해체 방법
CN212762832U (zh) 一种安全阀阀芯电动研磨箱
JPH0768776B2 (ja) 円筒状構造物の切削解体装置
JPH07111477B2 (ja) 円筒状構造物の切削解体装置
CN210306305U (zh) 一种内嵌式激光切割设备
CN111013758A (zh) 一种建筑工程用固体垃圾处理装置
CN216224616U (zh)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